뉴턴 유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턴 유체는 점성 응력이 변형률 텐서에 비례하는 유체로, 유체의 점성률이 전단 속도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뉴턴의 점성 법칙을 따르며, 물, 공기, 에탄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비압축성 등방성 유체의 경우 전단 응력은 유속의 기울기에 비례하며, 압축성 유체의 경우 체적 점성을 고려한 구성 방정식을 사용한다. 이방성 뉴턴 유체에서는 점성 응력 텐서를 사용하여 내부 마찰 응력과 속도장의 공간 미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성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점성 - 제1대 준남작 조지 스토크스 경
조지 스토크스 경은 아일랜드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유체 역학, 광학, 수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루카시안 수학 교수직을 54년간 역임하고 스토크스 법칙, 스토크스 정리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유체역학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유체역학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뉴턴 유체 | |
---|---|
개요 | |
유형 | 유체 |
관련 분야 | 유체역학 |
2. 정의
흐르는 액체나 기체는 주변 유체로부터 힘을 받는데, 여기에는 점성 응력이 포함된다.[5] 이 점성 응력은 유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뉴턴 유체는 이러한 점성 응력과 속도 기울기 간의 관계가 특정 방정식을 따르는 유체를 말한다.
점성 응력 텐서 와 속도 벡터장 의 기울기 는 선택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3×3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뉴턴 유체는 이러한 행렬이 다음 방정식으로 관련되어 있는 유체이다.
:
여기서 는 유체의 속도나 응력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된 4차 텐서(3×3×3×3)이다.
이 구성 방정식은 '''뉴턴 점성 법칙'''이라고도 한다.
점성이란 유체를 움직일 때 저항력이 작용하는 성질을 말한다. 유체의 점성은 유체 내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므로, 이 저항력을 "마찰 응력"이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마찰 응력은 유체-유체 간 또는 유체-물체 간의 속도 기울기 (속도의 변화율)에 비례하여 커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직교 좌표에 의한 공간을 가정하고, 그곳에 유체에 의한 흐름이 존재한다고 할 때, 유체와 유체 (또는 유체와 물체)는 그 사이에 있는 면을 경계로 힘 (응력)을 서로 미치며, 면에 수직인 방향 (법선 방향)의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이 압력이며, 면에 평행한 방향 (접선 방향)의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접선 응력''' 또는 '''전단 응력'''이라고 한다.
흐르는 유체의 점성률을 (Pa·s), 유체의 속도를 (m/s), 유체-유체 간 또는 유체-물체 간의 거리를 (m)라고 하면, 접선 응력 (Pa)는 다음과 같다.
:
이때, (1/s)를 이 유체의 '''전단 속도'''라고 한다. 뉴턴 유체에서는 점성률 가 전단 속도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상수로 나타낸다.
더 일반적으로, 위 식은 텐서 표기되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압력 텐서, 는 변형률 텐서이다.
2. 1. 비압축성 등방성 사례
비압축성 유체이고 등방성인 뉴턴 유체가 '''x 방향으로만 층류'''인 경우(즉, 유체의 점성이 등방성인 경우), 전단 응력은 다음의 간단한 구성 방정식으로 변형률과 관련된다.[5]:
여기서
x, y 평면에서 일반적인 2D 비압축성 흐름의 경우, 뉴턴 구성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5]
:
여기서:
3D 공간에서 일반적인 방향을 가진 비압축성 흐름의 경우로 일반화하면, 구성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5]
:
여기서
- 는 번째 공간 좌표이고,
- 는 축 방향의 유체 속도이며,
- 는 축 에 수직인 유체 요소의 면에 작용하는 응력의 번째 성분이다. 이것은 전단 응력 텐서의 ij-번째 성분이다.
텐서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5]
:
여기서 는 유속 기울기이다.
총 응력 텐서 는 등방성 응력 텐서와 편차 응력 텐서()의 합으로 분해할 수 있다.
:
비압축성인 경우, 등방성 응력은 열역학적 압력 에 비례한다.
:
편차 응력은 전단 응력 텐서 와 일치한다.
:
응력 구성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텐서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항등 텐서이다.
2. 2. 일반 압축 사례
뉴턴 유체의 압축성 유동에 대한 구성 법칙은 코시 응력 텐서에 대한 몇 가지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응력은 갈릴레이 불변이다. 즉, 유동 속도에 직접 의존하지 않고, 유동 속도의 공간 미분에만 의존한다.
- 편차 응력은 변형률 텐서의 변화율에 대해 선형이다.
- 유체는 등방성으로 가정한다. 헬름홀츠 분해에 의해 두 개의 스칼라 Lamé 매개변수, 제2 점성 및 동점성 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선형 응력 구성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는 항등 텐서, 는 변형률 텐서 변화율의 대각합이다.
3차원 변형률 텐서 변화율의 대각합은 유동의 발산(팽창률)과 같다.
:
응력 텐서를 등방성 및 편차 부분으로 분해하고, 체적 점성 를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 방정식을 얻는다.[5]
: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도 있다.[7]
:
압축성인 경우 압력은 더 이상 등방성 응력 항에 비례하지 않고, 체적 점성 항이 추가된다.
:
편차 응력 텐서 는 전단 응력 텐서 와 일치하며, 비압축성인 경우에 압축성 항이 있고, 이는 전단 점성에 비례한다.
:
체적 점성 와 동점성 는 일정할 필요가 없으며, 유체가 단일 화학 종을 포함하는 경우 압력과 온도와 같은 두 개의 열역학 변수에 의존한다. 이러한 수송 계수 중 하나를 보존 변수로 명시적으로 만드는 방정식을 상태 방정식이라고 한다.[9]
제2 점성 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체적 점성 의 효과는 기계적 압력이 열역학적 압력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10]
: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의 경우 무시된다.[11] 으로 설정하는 가정을 '''스토크스 가설'''이라고 한다.[12]
2. 3. 이방성 유체
일반적으로, 비등방성 뉴턴 유체에서 내부 마찰 응력과 속도장의 공간 미분을 관련시키는 계수 는 9개의 요소로 구성된 점성 응력 텐서 로 대체된다.[14]액체의 마찰력에 대한 일반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다. 마찰력의 미분 벡터는 액체 층의 면적 벡터의 외적 미분과 속도의 회전에 증가된 점성 텐서를 곱한 것과 같다.[14]
:
여기서 는 점성 텐서이다. 점성 텐서의 대각 성분은 액체의 분자 점성이고, 비대각 성분은 난류 와 점성이다.[14]
3. 뉴턴의 점성 법칙
뉴턴의 점성 법칙은 유체 내부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마찰 응력)이 유체 간 또는 유체-물체 간 속도 기울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점성이란 유체를 움직일 때 저항력이 작용하는 성질을 말한다. 유체의 점성은 유체 내부 마찰에 의해 발생하므로, 이 저항력을 "마찰 응력"이라고 한다.[5]
흐르는 유체의 점성률을 μ영어 (Pa·s), 유체의 속도를 u영어 (m/s), 유체-유체 간 또는 유체-물체 간 거리를 y영어 (m)라고 하면, 접선 응력 τ영어 (Pa)는 다음과 같다.
:τ영어 = μ영어∂u/영어∂y영어
이때, ∂u/영어∂y영어 (1/s)를 이 유체의 전단 속도라고 한다. 뉴턴 유체에서는 점성률 μ영어가 전단 속도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상수로 나타낸다.
비압축성 유체이고 등방성인 뉴턴 유체가 '''x 방향으로만 층류'''인 경우(즉, 유체의 점성이 등방성인 경우), 전단 응력은 다음 구성 방정식으로 변형률과 관련된다.
:
일반적인 텐서 표기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τ영어는 압력 텐서, S_ij영어는 변형률 텐서이다.
3. 1. 거듭제곱 법칙 모형
오스트발트-드 웰 관계식멱법칙 모델은 뉴턴 유체와 비뉴턴 유체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전단 응력을 변형률 속도의 함수로 측정한다.
멱법칙 모델에 대한 전단 응력, 변형률 속도 및 속도 기울기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는 변형률 속도의 절댓값을 (''n''−1) 제곱한 값이다.
- 는 속도 기울기이다.
- ''n''은 멱법칙 지수이다.
조건 | 유체 종류 |
---|---|
n < 1 | 유사 소성 유체 |
n = 1 | 뉴턴 유체 |
n > 1 | 딜레이턴트 유체 |
4. 예시
물, 공기, 에탄올, 글리세롤, 그리고 얇은 엔진 오일은 일상생활에서 겪는 전단 응력 및 전단 속도 범위 내에서 뉴턴 유체의 예시이다. 작은 분자로 구성된 단상 유체는 일반적으로 뉴턴 유체이다.
참조
[1]
서적
Incompressible Flow
John Wiley & Sons
[2]
서적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Mathematical Library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Fluid Mechanics
[4]
서적
Micro- and Nanoscale Fluid Mechanics: Transport in Microfluidic Devices
http://www.kirbyr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6]
서적
A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1993
[7]
서적
Transport Phenomena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간행물
On the theories of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in motion, and of the equilibrium and motion of elastic solids.
2007
[13]
간행물
Introduction to physical gas dynamic
Introduction to physical gas dynamics/Huntington
1975
[14]
서적
Basis of Nonsymmetrical Hydromechanic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15]
문서
アイザックニュートン
https://ja.namu.wiki[...]
[16]
웹사이트
ニュートンの粘性法則
https://pigeon-poppo[...]
[17]
웹사이트
Shear Stress
https://www.instron.[...]
[18]
웹사이트
ニュートンの粘性法則
https://pigeon-poppo[...]
[19]
서적
移動速度論
オーム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