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는 2002년 설립된 회사로, 기타큐슈 지역을 중심으로 약 90개 노선의 일반 버스 및 고속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02년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노선 조정과 영업소 통합, 신설, 폐지를 거쳤다. 굴절 버스 도입, 비접촉식 IC 카드 'nimoca' 도입 등 서비스 개선을 시도했으며, 고쿠라 루프 버스 운행, 고속 버스 노선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펼쳤다. 현재는 기타큐슈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일본제철 직원 수송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타큐슈시의 기업 - TOTO (기업)
    TOTO는 1917년 토요 도기로 설립되어 양변기 국산화와 워시렛으로 유명한 일본의 위생 도기 및 건축 자재 제조 기업으로, 절수형 변기 개발과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사회공헌 활동과 문화 예술 후원도 한다.
  • 기타큐슈시의 기업 - 기타큐 니시테쓰 택시
    기타큐 니시테쓰 택시는 1960년 하토 택시로 설립되어 여러 택시 회사를 합병하며 성장, 2015년 후쿠오카 니시테쓰 택시와 합병 후 니시니혼 철도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택시와 버스 사업을 운영하고 일부 노선을 운행한다.
  • 버스에 관한 - 니시테쓰 버스
    니시테쓰 버스는 1922년 규슈 전기철도의 사업 확장으로 시작되어 후쿠오카현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노선을 운영하는 서일본철도의 버스 사업 중심 기업 집단이며, 자회사 분사 및 사업 재편을 통해 경영 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다.
  • 버스에 관한 - 니시테쓰 버스 구루메
    니시테쓰 버스 구루메는 후쿠오카현 구루메시를 중심으로 사가현, 오이타현 일부 지역에서 노선 버스를 운행하는 니시테쓰 그룹의 버스 회사로, 1987년 난추쿠 교통으로 설립되어 2001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거점으로는 니시테쓰 구루메 버스 센터와 JR 구루메역이 있고, nimoca를 모든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니시테쓰 버스 - 니시테쓰 버스 구루메
    니시테쓰 버스 구루메는 후쿠오카현 구루메시를 중심으로 사가현, 오이타현 일부 지역에서 노선 버스를 운행하는 니시테쓰 그룹의 버스 회사로, 1987년 난추쿠 교통으로 설립되어 2001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거점으로는 니시테쓰 구루메 버스 센터와 JR 구루메역이 있고, nimoca를 모든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니시테쓰 버스 - 니시테쓰 버스 사가
    니시테쓰 버스 사가는 1961년 니시테쓰 버스 도스 자동차 영업소 개설로 시작하여 사가현 내 노선 버스와 전세 버스를 운행하며, 사가 시영 버스 등과 회수권을 공유한다.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서철 버스 기타큐슈 주식회사
영문 회사명Nishitetsu Bus Kitakyushu Co.,Ltd
로고
종류주식회사
본사 우편번호802-0014
본사 소재지후쿠오카현기타큐슈시고쿠라키타구스나쓰 1丁目1番2号
설립2002년 5월 1일
업종육운업
사업 내용일반 승합 여객 자동차 운송 사업
일반 전세 여객 자동차 운송 사업
특정 여객 자동차 운송 사업 외
대표자대표 이사 사장 야스다 겐타로
자본금1억 엔
순이익1억 2,200만 엔 (2024년 3월기)
총 자산58억 4,500만 엔 (2024년 3월기)
종업원 수798명 (2023년 3월 31일 기준)
결산기3월 31일
주요 주주서일본 철도 100%
웹사이트서철 버스 기타큐슈 공식 웹사이트
기타 정보
이전 회사해당 사항 없음
이후 회사해당 사항 없음
창립자쇼야마 가즈토시
해체해당 사항 없음

2. 연혁


  • 2002년
  • * 5월 1일 -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西鉄バス北九州) 영업국을 모체로 설립.[2]
  • * 10월 1일 - 니시테쓰 본사 및 자회사인 기타큐슈 시내의 모든 일반 노선 버스 영업소(카즈키 영업소 제외)와 유키하시 영업소를 이관받아 영업 개시. 단, 유키하시 영업소는 니시테쓰 버스 쿄슈에 관리 위탁.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1일 프리 승차권" 발매.[2]
  • 2003년
  • * 7월 1일 - 니시테쓰 그룹 버스 사업 재편에 따라, 니시테쓰 버스 엔가 카즈키 지사와 나카마 지사를 통합하여 카즈키 영업소(나카마 영업소는 폐지), 니시테쓰 버스 무나카타 아시야 지사를 야하타 영업소 아시야 차고로 이관.[2]
  • 2004년
  • * 4월 1일 - 유키하시 영업소 폐지(부지는 니시테쓰 기타큐슈 관광에 양도, 차고 설비는 존치). 유키하시 영업소 담당 노선은 야요이가오카 영업소로 이관.[2]
  • 2005년
  • * 2월 19일 - 유카와 영업소 폐지(부지는 기타큐슈 니시테쓰 택시에 양도, 택시 차고로 전용). 유카와 영업소 니나타 차고가 니나타 영업소로 승격.[2]
  • * 4월 1일 - 아시야 지역 로컬 노선 폐지로 아시야 차고 폐지.[2]
  • * 6월 1일 - 기타큐슈 지역 니시테쓰 그룹 일반 노선 버스 무제한 이용 "'''토쿠 패스'''" 이용 개시.[2]
  • * 8월 3일 - 슬로프가 장착된 대형 논스텝 버스 2대를 노면 전차 대체 노선에 도입. 1998년 후쿠오카 시범 운행 이후 국토교통성 "표준 사양 논스텝 버스 요령"에 적합하며, 앞문 글라이드 슬라이드, 중간 미닫이, 차내 롱 시트가 특징.[2]
  • * 9월 30일 - 코미네 영업소 폐지. 회전 장소로 부지 규모를 축소하여 코미네 차고가 됨.[2]
  • 2006년
  • * 10월 1일 - "기타큐슈 도시권 1일 프리 승차권"(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1일 프리 승차권에서 개칭)이 버스 차내에서도 발매 개시.[2]
  • 2007년
  • * 4월 1일 - 버스 위치, 지연 시간, 도착 예정 시각 등 정보를 PC나 휴대 전화로 실시간 제공하는 "'''니시테쓰 버스 내비'''" 도입(모지, 코쿠라, 토바타, 야하타, 카즈키, 아사노 영업소 관내 일부 노선).[2]
  • * 4월 28일 - 유키하시 영업소가 야요이가오카 영업소 유키하시 차고로 영업 재개(일부 노선 야요이가오카 영업소에서 이관).[2]
  • * 10월 1일 - 니시테쓰 본사 출향 승무원도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로 이적.[2]
  • 2008년
  • * 3월 24일 - "'''니시테쓰 버스 내비'''" 기타큐슈 지역 전 노선 도입.[2]
  • * 6월 9일 - 니시테쓰 버스 신 디자인 버스(스마트 루프) 52대 도입 중 10대 우선 납입. 유키하시 제외 각 영업소에 1대씩 배치, 운행 개시. 이후 도심부 영업소 중심으로 구형 차량 교체, 기존 차량 도색 스마트 루프화 진행.[2]
  • * 10월 19일 - 코쿠라·야하타 영업소에 비접촉식 IC 카드 "nimoca" 도입.[2]
  • 2009년
  • * 2월 22일 - 모지·니나타·토바타 영업소에 "nimoca" 도입.[2]
  • * 4월 1일 - 미즈마키정 남부 운행 나카마선(63, 64번) 기타큐슈 시 교통국 이관, 미즈마키정 철수.[2]
  • * 6월 23일 - 츠네미·야요이가오카·카즈키·유키하시 영업소에 "nimoca" 도입.[2]
  • * 7월 13일 - 아사노·나카타니 영업소에 "nimoca" 도입.[2]
  • * 9월 15일 - "토쿠 패스" 탑재 정기권 "nimoca"화(사용 개시일 10월 1일).[2]
  • * 10월 15일 - 통근·통학·계약 각종 정기권 및 코쿠라, 쿠로사키 도심 프리 정기권 "nimoca"화.[2]
  • 2010년
  • * 1월 1일 - "토쿠 패스" 얼굴 사진 제시 방식 폐지.[2]
  • * 4월 1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 노선 재편으로 일부 계통 구간 또는 전 구간 폐지(1단계).[2]
  • 2011년
  • * 4월 1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 노선 재편으로 일부 계통 구간 또는 전 구간 폐지(2단계).[2]
  • * 10월 1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 노선 재편으로 일부 계통 구간 또는 전 구간 폐지(3단계).[2]
  • 2012년
  • * 6월 23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 버스 사업 재검토로 니나타 영업소 폐지. 정기권 구입 등 영향 지역 주민 위해 영업소 게시 형태로 발표.[2]
  • 2014년
  • * 4월 26일 - 기타큐슈 시립 스타디움 건설에 따른 도로 이설로 아사노 영업소 니시테쓰 관광 버스 기타큐슈 지사 내 아오바 차고로 이설.[2]
  • * 4월 27일 - 아사노 영업소 아오바 영업소로 영업 개시.[2]
  • 2017년
  • * 3월 24일 - 와카마츠구 내 오하시 거리~코요 중학교 앞 구간, 기타큐슈 시 교통국과 노선 중복 및 모터리제이션 영향 적자로 폐지.[2]
  • * 3월 31일 - 기타큐슈 시 교통국 공동 운행 아시야 급행선, 모터리제이션 영향 적자로 본격 운행 못하고 폐지. 와카마츠구 대부분 노선 폐지.[2]
  • 2018년
  • * 12월 1일 - 기타큐슈 시 및 큐슈 운수국 위탁 사업으로 코쿠라 도심부 관광 명소 순환 버스 "코쿠라 루프 버스" 운행 개시.[2]
  • 2019년
  • * 4월 1일 - 니시테쓰 고속 버스 사업 분할·해산으로 기타큐슈 지역 고속 버스 사업 당사 이관[2]。 기타큐슈 고속 자동차 영업소 신설, 니시테쓰 고속 버스 기타큐슈 지사 담당 노선 니시테쓰 본사 계승 후 당사 관리 위탁(코쿠라 자동차 영업소 "유노쿠니호", "기타큐슈 에어포트 버스" 제외).
  • * 7월 25일 - 1번·25번에 굴절 버스 도입.[2]
  • * 11월 1일 - 우오마치 정기권 판매소 "니시테쓰 여행 코쿠라 여행 센터" 내 이전.[2]
  • * 12월 20일 - 방일 관광객 감소로 코쿠라 루프 버스 운행 중단.[3]
  • 2020년
  • * 1월 14일 - 코쿠라 - 후쿠오카 공항선 폐지.[4]
  • * 3월 14일 - 승무원 부족으로 일부 계통 감편(주행 킬로미터 약 5% 감편). 고속 버스 "나카마호" 폐지.[5]
  • 2021년
  • * 7월 31일 - 10번에 굴절 버스 도입.[2]
  • * 10월 1일 - 코쿠라미나미구 내 니시테쓰 버스 치쿠호 노선(니시테쓰 고토지~나카타니선) 폐지. 쵸요시코시~야마가사키 구간 승계, 토쿠리키·나카타니 지구 기종점 1년 시범 운행. 시범 운행 1년 후 2022년 10월 1일 이후 계속, 2023년 3월 31일 종료.[2]

2. 1. 설립 배경

규슈 전기 궤도를 모체로 하는 니시테쓰 기타큐슈 영업국은 2000년 니시테쓰 기타큐슈선 노면전차 사업에서 철수했다. 이후 니시테쓰 그룹의 버스 사업 재편(지역 분사화) 방침에 따라 2002년 본사에서 분리 독립하여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가 설립되었다.[1]

니시테쓰는 이전에도 수익성이 낮은 노선을 지역 자회사로 분리했지만,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는 영업국의 독립이라는 위치에 있었다. 타사와 달리 주요 노선에서 본사와 비슷한 수송량과 노선 규모를 갖는 등, 다른 지역 자회사와는 다른 취급을 받는 점이 여러 가지 있었다.[1]

  • 사업 거점 명칭은 니시테쓰 본사와 같은 "자동차 영업소"를 사용한다.
  • 차량 및 차내 사명 표기는 파란색(청자색)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로 표기된다. (2014년 현재 일부 차량은 니시테쓰 버스 무나카 등 일반 노선 차량에도 청자색 표시가 존재한다.) 니시테쓰 본사에서 자회사로 전속된 차량은 "Group" 로고를 추가하지만,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소속 차량에는 추가하지 않는다. 타사에서는 삭제되는 차량 측면의 "니시테쓰" 표기도 유지된다. 단, 버스 정류장에는 다른 자회사와 마찬가지로 "Group" 로고를 사용한다.
  • 지역 자회사 중 유일하게 자체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 후쿠오카 - 기타큐슈선을 제외한 노선과 승무원은 모두 자사 관할이다. (니시테쓰 본사 출향자도 2007년에 자사로 전적했다.)
  • 분리 자회사이지만, 매년 정기적으로 신차를 도입하고, 설비 면에서도 니시테쓰 본사와 거의 동일하며, 그룹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차량은 세법상 니시테쓰 본사 소유 차량을 리스하는 방식이었지만, 2004년 이후 신차는 대부분 자사 소유가 되었다. 자사 소유 차량은 도로 운송 차량법에 따른 플레이트에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주식회사"가 직접 인쇄되어 있다.


2005년 6월에는 기타큐슈 지역 버스를 무제한 이용 가능한 정기권 "토쿠 패스"가 도입되었다. 사용 가능 범위는 기타큐슈 시, 가리타 정, 유키하시 시, 나카마 시, 노가타 시 (이온몰 노가타 버스 정류장 한정)이다.[1]

전자 화폐 "nimoca"는 2008년 10월 19일부터 도입을 시작하여 2009년 7월 13일에 전 영업소에 도입이 완료되었다. 2009년 9월 30일을 기점으로 기존 자기식 버스 카드와 정기권 판매가 종료되었고, 2010년 3월 3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1]

2. 2. 주요 연혁


  • 2002년
  • * 5월 1일 -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西鉄バス北九州) 영업국을 모체로 설립.[2]
  • * 10월 1일 - 니시테쓰 본사 및 자회사인 기타큐슈 시내의 모든 일반 노선 버스 영업소(카즈키 영업소 제외)와 유키하시 영업소를 이관받아 영업 개시. 단, 유키하시 영업소는 니시테쓰 버스 쿄슈에 관리 위탁. 동시에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1일 프리 승차권" 발매 개시.[2]
  • 2003년
  • * 7월 1일 - 니시테쓰 그룹 버스 사업 재편에 따라, 니시테쓰 버스 엔가 카즈키 지사와 나카마 지사를 통합하여 카즈키 영업소(나카마 영업소는 폐지), 니시테쓰 버스 무나카타 아시야 지사를 야하타 영업소 아시야 차고로 이관받음.[2]
  • 2004년
  • * 4월 1일 - 유키하시 영업소를 폐지(부지는 니시테쓰 기타큐슈 관광에 양도하고, 차고 설비는 존치). 유키하시 영업소 담당 노선 중, 같은 날 이후에도 남은 노선에 대해서는 야요이가오카 영업소로 이관.[2]
  • 2005년
  • * 2월 19일 - 유카와 영업소를 폐지(부지는 기타큐슈 니시테쓰 택시에 양도, 택시 차고로 전용). 유카와 영업소 니나타 차고가 니나타 영업소로 승격.[2]
  • * 4월 1일 - 아시야 지역의 로컬 노선 폐지에 따라 아시야 차고를 폐지.[2]
  • * 6월 1일 - 기타큐슈 지역 니시테쓰 그룹 일반 노선 버스 무제한 이용 "'''토쿠 패스'''" 이용 개시.[2]
  • * 8월 3일 - 슬로프가 장착된 대형 논스텝 버스 2대를 노면 전차 대체 노선에 도입. 1998년 후쿠오카에서의 시범 운행 이후이다. 국토교통성 "표준 사양 논스텝 버스 요령"에 적합하며, 외관상 앞문 글라이드 슬라이드, 중간 미닫이가 특징. 차내도 롱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2]
  • * 9월 30일 - 코미네 영업소를 폐지. 회전 장소로 부지 규모를 축소하여 코미네 차고가 됨.[2]
  • 2006년
  • * 10월 1일 - "기타큐슈 도시권 1일 프리 승차권"(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1일 프리 승차권에서 개칭)이 버스 차내에서도 발매 개시.[2]
  • 2007년
  • * 4월 1일 - 버스의 현재 위치나 지연 시간, 도착 예정 시각과 같은 정보가 PC나 휴대 전화로 실시간으로 승객에게 제공되는 "'''니시테쓰 버스 내비'''"를 도입(모지, 코쿠라, 토바타, 야하타, 카즈키, 아사노의 각 영업소 관내의 일부 노선).[2]
  • * 4월 28일 - 유키하시 영업소가 야요이가오카 영업소 유키하시 차고로 영업 재개(노선에 대해서는, 야요이가오카 영업소로부터 일부 이관되었다.).[2]
  • * 10월 1일 - 니시테쓰 본사로부터의 출향 취급인 승무원도,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로 이적.[2]
  • 2008년
  • * 3월 24일 - "'''니시테쓰 버스 내비'''"를 기타큐슈 지역 전 노선에 도입.[2]
  • * 6월 9일 - 니시테쓰 버스의 신 디자인 버스(스마트 루프) 52대 도입 중, 우선 10대를 납입. 유키하시 이외의 각 영업소에 1대씩 배치하여 운행을 개시. 이후 도심부의 영업소를 중심으로 구형 차량 교체에 의한 추가 도입·기존 차량 도색의 스마트 루프화를 진행.[2]
  • * 10월 19일 - 코쿠라·야하타 영업소에 비접촉식 IC 카드 "nimoca" 도입.[2]
  • 2009년
  • * 2월 22일 - 모지·니나타·토바타 영업소에 "nimoca" 도입.[2]
  • * 4월 1일 - 미즈마키정 남부에 운행하고 있는 나카마선(행선 번호 63, 64번)을 기타큐슈 시 교통국으로 이관하여 폐지, 미즈마키정에서 철수.[2]
  • * 6월 23일 - 츠네미·야요이가오카·카즈키·유키하시 영업소에 "nimoca" 도입.[2]
  • * 7월 13일 - 아사노·나카타니 영업소에 "nimoca"를 도입.[2]
  • * 9월 15일 - "토쿠 패스"를 탑재하는 정기권을 "nimoca"화(사용 개시일은 10월 1일).[2]
  • * 10월 15일 - 통근·통학·계약의 각종 정기권 및, 코쿠라 및 쿠로사키의 도심 프리 정기권을 탑재하는 정기권을 "nimoca"화.[2]
  • 2010년
  • * 1월 1일 - "토쿠 패스"의 얼굴 사진 제시 방식을 폐지.[2]
  • * 4월 1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의 노선 재편에 의해, 몇몇 계통에서 일부 구간 또는 전 구간이 폐지(1단계).[2]
  • 2011년
  • * 4월 1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의 노선 재편에 의해, 몇몇 계통에서 일부 구간 또는 전 구간이 폐지(2단계).[2]
  • * 10월 1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의 노선 재편에 의해, 몇몇 계통에서 일부 구간 또는 전 구간이 폐지(3단계).[2]
  • 2012년
  • * 6월 23일 - 경영 부진에 따른 니시테쓰 그룹의 버스 사업 재검토의 일환으로, 니나타 영업소를 이날의 막차를 기점으로 폐지. 정기권 구입 등으로 영향을 받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영업소 게시의 형태로 발표.[2]
  • 2014년
  • * 4월 26일 - 아사노 영업소를 기타큐슈 시립 스타디움 건설에 따른 도로 이설로 인해 이날의 막차를 기점으로 니시테쓰 관광 버스 기타큐슈 지사 내의 아오바 차고로 이설.[2]
  • * 4월 27일 - 이날부터 아사노 영업소는 아오바 영업소로 영업 개시.[2]
  • 2017년
  • * 3월 24일 - 와카마츠구 내의 오하시 거리~코요 중학교 앞 구간이 같은 구내의 영업 지역인 기타큐슈 시 교통국과 노선이 거의 겹치는 것과 모터리제이션의 진행 등의 영향으로 적자가 되어 폐지.[2]
  • * 3월 31일 - 기타큐슈 시 교통국과의 공동 운행인 아시야 급행선이 모터리제이션의 진행 등의 영향으로 적자가 되어 본격 운행에 이르지 못하고 폐지. 결과적으로 와카마츠구의 대부분의 노선이 폐지.[2]
  • 2018년
  • * 12월 1일 - 기타큐슈 시 및 큐슈 운수국으로부터의 위탁 사업으로, 코쿠라 도심부의 관광 명소를 잇는 순환 버스 "코쿠라 루프 버스"를 운행 개시.[2]
  • 2019년
  • * 4월 1일 - 니시테쓰 고속 버스의 사업 분할·해산에 따라, 니시테쓰 고속 버스의 기타큐슈 지역의 고속 버스 사업을 당사에 이관[2]。이에 따라, 기타큐슈 고속 자동차 영업소를 신설하고, 지금까지 니시테쓰 고속 버스 기타큐슈 지사가 담당했던 노선을 니시테쓰 본사가 계승한 후, 그것들을 니시테쓰 본사로부터 당사에 관리 위탁을 받는 형태가 됨(코쿠라 자동차 영업소가 하고 있는 기존의 "유노쿠니호"나 "기타큐슈 에어포트 버스"는 대상 외).
  • * 7월 25일 - 1번·25번에 굴절 버스 도입.[2]
  • * 11월 1일 - 우오마치 정기권 판매소가 "니시테쓰 여행 코쿠라 여행 센터" 내로 이전.[2]
  • * 12월 20일 - 방일 관광객의 현저한 감소 등으로 인해 코쿠라 루프 버스 운행 중단[3]
  • 2020년
  • * 1월 14일 - 코쿠라 - 후쿠오카 공항선 폐지[4]
  • * 3월 14일 - 승무원 부족으로 인해, 몇몇 계통에서 감편(주행 킬로미터 베이스로 약 5% 감편). 고속 버스 "나카마호" 폐지[5]
  • 2021년
  • * 7월 31일 - 10번에 굴절 버스 도입.[2]
  • * 10월 1일 - 코쿠라미나미구 내에 운행하고 있던 니시테쓰 버스 치쿠호가 승무원 부족이나 모터리제이션의 진행 등의 영향으로 적자가 되어 동 구내의 노선(니시테쓰 고토지~나카타니선)을 폐지. 이에 따라 동 구내의 쵸요시코시~야마가사키 구간을 승계하고 동 구내의 토쿠리키·나카타니 지구를 기종점으로 하여 1년간의 시범 운행 형태로 운행 개시. 시범 운행은 1년을 넘은 2022년 10월 1일 이후에도 계속되었지만, 2023년 3월 31일을 기점으로 종료.[2]

3. 영업소

영업소의 명칭은 시기에 따라 여러 차례 바뀌었다. 2008년 여름 이후 유인 사업소가 다시 "영업소"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었다. 같은 시기 이후 자체 제작한 노선도나 모니터 모집 전단에서는 "영업소" 표기로 통일되었지만, 공식 사이트에서는 2014년 7월 1일 기준으로 유키하시의 거점은 "차고"로 취급되고 있다.

3. 1. 현존 영업소

2022년(레이와 4년) 3월 12일 현재,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의 현존 영업소 정보는 다음과 같다. 영업소 표기(○ 안에 한자 1자 또는 2자로 표시) 및 기재 순서는 공식 사이트의 버스 영업소 목록에 따른다.

영업소명소속 표기소재지본거지 구역병설(최근) 정류장
고쿠라 자동차 영업소○소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스나쓰 1초메 1번 2호스나쓰
야요이가오카 자동차 영업소○야기타큐슈시 고쿠라미나미구 누키 야요이가오카 1초메 11번 1호고쿠라미나미구 남동부야요이가오카 영업소
유키하시 차고○유키유키하시시 주오 1초메 12번 41호유키하시시, 간다정유키하시 영업소
토바타 자동차 영업소○토기타큐슈시 토바타구 카와시로 2초메 1번 46호토바타구토바타 영업소, 토바타 와타시바, 제철 토비하타문
야하타 자동차 영업소○하타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 아나오 4초메 11번 1호야하타니시구 북부, 야하타히가시구야하타 영업소, 코고자키(니시테쓰 야하타 영업소 입구)
모지 자동차 영업소○문기타큐슈시 모지구 나리타케 2초메 17번 5호모지구 서부타노우라
츠네미 자동차 영업소○항기타큐슈시 모지구 키시 3초메 5번 1호모지구 동부, 고쿠라미나미구 북동부츠네미 영업소
나카타니 자동차 영업소○곡기타큐슈시 고쿠라미나미구 오아자 타카츠오 523번지 1호고쿠라미나미구 중서부나카타니
카즈키 자동차 영업소○카즈키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 카즈키니시 3초메 10번 1호야하타니시구 남부카즈키 영업소
기타큐슈 고속 자동차 영업소[6]○키타코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스나쓰 1초메 1번 2호스나쓰


  • 고쿠라 영업소 및 기타큐슈 고속 자동차 영업소는 본사에 병설되어 있다.

3. 2. 과거 영업소


  • 유카와 자동차 영업소
  • 코미네 자동차 영업소 (현재 코미네 차고)
  • 야하타 자동차 영업소 아시야 차고 (구 니시테쓰 버스 무나카타 아시야 지사)
  • 니나타 자동차 영업소
  • 아사노 자동차 영업소
  • 아오바 자동차 영업소

4. 노선

카즈키(쾌속) 고쿠라고쿠라・야하타・카즈키3535나가노 - 고쿠라야요이가오카666모지 - 토바타・나카타니나카타니7
7M7
7M9292사이가야 - 오타니이케
고쿠라(나카하라) 토바타선고쿠라1010츠네미 - 고쿠라츠네미고쿠라역 버스 터미널 - 미하기노 - 카타노역 - 유가와 - 누마 단지구치 - 요시다 단지 - 츠네미 영업소2222고쿠라 - 구로사키
카즈키(쾌속) 고쿠라고쿠라・야하타
・카즈키2525고쿠라(이보리) 토바타고쿠라・토바타27
2827
2827
28구로하라 - 토바타토바타・고쿠라
・야요이가오카3434시이나카타니38-x38-x나가노 - 고쿠라야요이가오카40
41코미네 - 토바타・와카마츠토바타・카즈키50
5350
537575오오히라・바바야마카즈키7070모지 - 토바타모지・토바타9191구로사키・토바타 - 스나츠고쿠라・야하타


고속 버스

고속 버스(기타큐슈 - 벳푸・오이타 노선)

후쿠오카 공항과 기타큐슈 시를 잇는 노선. 이용객 감소와 승무원 부족으로, 2020년 1월 13일을 기점으로 폐지되었다[12]
특정 수송일본제철야하타 제철소·고쿠라 지구의 종업원 수송용 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실제 운행은 니시테쓰 그룹의 기타큐슈 니시테쓰 택시에 위탁하고 있다.

4. 1. 일반 노선 버스

카즈키(쾌속) 고쿠라고쿠라・야하타・카즈키3535나가노 - 고쿠라야요이가오카666모지 - 토바타・나카타니나카타니7
7M7
7M9292사이가야 - 오타니이케
고쿠라(나카하라) 토바타선고쿠라1010츠네미 - 고쿠라츠네미운행 경로: 스나츠 - 고쿠라역 버스 터미널■ - 헤이와도리 - 미하기노 - 카타노역 - 시로노역 앞 - 유가와 - 카스와라 5초메 - 테라사코구치 - 누마 단지구치 - 나카요시다 - 요시다 단지 - 카미요시다 - 츠네미 영업소2222고쿠라 - 구로사키
카즈키(쾌속) 고쿠라고쿠라・야하타
・카즈키2525고쿠라(이보리) 토바타고쿠라・토바타27
2827
2827
28구로하라 - 토바타토바타・고쿠라
・야요이가오카3434시이나카타니38-x38-x나가노 - 고쿠라야요이가오카40
41코미네 - 토바타・와카마츠토바타・카즈키50
5350
537575오오히라・바바야마카즈키7070모지 - 토바타모지・토바타9191구로사키・토바타 - 스나츠고쿠라・야하타


4. 2. 고속 버스


후쿠오카 공항과 기타큐슈 시를 잇는 노선.

1979년, 기타큐슈 - 후쿠오카선에 속하는 노선 중 최초로 개통. 와카미야IC 이동 「히키노호」의 운행 경로를 준용한 루트로 (정차 장소도 동일), 후쿠오카 시내를 후쿠오카 도시 고속도로 경유로 국내선 터미널 경유 국제선 터미널로 직행하는 계통으로 (25 - 80분 간격으로 1일 18왕복 운전) 운행했다.

2018년 2월 1일에 하카타역 계통 다이어 개정에 따라 감편[11]。이용객 감소와 최근의 승무원 부족으로, 2020년 1월 13일을 기점으로 폐지되었다[12]

과거에는 고가IC 경유 편과 후쿠오카IC 경유 (후쿠오카 도시 고속도로에는 접속하지 않고 일반도로 경유로 직접 후쿠오카 공항으로) 편, 후쿠오카 공항과 구로사키·토바타·와카마츠를 잇는 노선도 있었다.

4. 3. 특정 수송

일본제철야하타 제철소·고쿠라 지구의 종업원 수송용 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실제 운행은 니시테쓰 그룹의 기타큐슈 니시테쓰 택시에 위탁하고 있다.

5. 차량

차량이나 차내의 사명 표기에서는, 다른 그룹 회사가 검정색인 반면, 파란색(청자색) 표기의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가 되어 있다. 설립 초에는 다른 자회사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2014년 현재에는 일반 노선차에서도 니시테쓰 버스 무나카 등 일부 차량에서도 청자색 표시가 존재한다. 또한, (원칙적으로) 니시테쓰 본사에서 자회사의 자사 노선으로 전속된 차량에 대해서는, 전속 후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Group" 로고를 니시테쓰 로고 아래에 추가하지만,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소속 차량에는 부여하지 않는다. 타사에서는 원칙적으로 삭제되는 차량 측면의 "니시테쓰" 표기도 남아 있다.

분리 자회사이긴 하지만, 매년 정기적으로 신차를 도입하고 있으며, 설비 면(nimoca 도입, 차내 액정식 운임표, 주요 정류장에 버스 내비 접근 표시기 설치 등)도 니시테쓰 본사와 손색없이, 그룹 최고 수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차량은, 세법상 니시테쓰 본사 소유의 차량을 리스하는 방식이지만, 2004년 이후의 신차는 대부분 자사 소유가 되었다. 출구 위에 도로 운송 차량법에 의거하여 부착되어 있는 플레이트에 소속 사명이 표기되어 있지만, 리스 차량은 "니시 일본 철도 주식회사" 위에 스티커가 붙여져 있다(일부 붙여져 있지 않은 것도 있음). 반면, 자사 소유의 차량에 대해서는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주식회사"가 직접 인쇄되어 있다.

6. 기타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는 니시테쓰의 모태인 규슈 전기 궤도의 계열사로, 2002년 본사에서 분리 독립하였다. 다른 니시테쓰 버스 자회사들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사업 거점 명칭은 니시테쓰 본사와 동일한 "자동차 영업소"이다.
  • 차량 및 차내 사명 표기는 파란색(청자색)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로, 다른 그룹 회사의 검정색 표기와 구별된다.
  • "Group" 로고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 측면 "니시테쓰" 표기를 유지한다. (단, 버스 정류장에는 "Group" 로고 사용)
  • 지역 자회사 중 유일하게 자체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 후쿠오카 - 기타큐슈선을 제외한 노선, 승무원은 모두 자사 관할이다. (2007년 니시테쓰 본사 출신 직원 전적)
  • 매년 신차를 도입하고, 설비 수준도 니시테쓰 본사와 유사하며, 그룹 최고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 2004년 이후 신차는 대부분 자사 소유이다. 리스 차량은 "니시 일본 철도 주식회사"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으나, 자사 소유 차량은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주식회사"가 직접 인쇄된다.


2005년 6월, 기타큐슈 지역 버스 무제한 이용 정기권 "토쿠 패스"가 도입되었다. (기타큐슈 시, 카리타정, 유키하시시, 나카마시, 노가타시에서 사용 가능, 노가타시는 이온몰 노가타 버스 정류장만 해당)

2008년 10월 19일부터 전자 화폐 "nimoca"를 도입, 2009년 7월 13일 전 영업소에 완료하였다. 2009년 9월 30일 기존 자기식 버스 카드, 정기권 판매가 종료되었고, 2010년 3월 31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西鉄バス北九州株式会社 第22期決算公告 https://catr.jp/comp[...]
[2] 웹사이트 完全子会社(西鉄高速バス株式会社)の吸収合併(簡易合併・略式合併)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 2018-08-02
[3] 웹사이트 小倉ループバス運行休止について https://nishitetsu-k[...] 西鉄バス北九州 2019-12-07
[4] 보도자료 高速バス「小倉~福岡空港線」運行終了について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 2019-12-13
[5] 보도자료 乗務員不足に伴うバスの減便について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 2020-02-26
[6] 문서 [[西鉄高速バス]]の解散に伴い、従来の北九州支社は2019年4月1日より、西鉄バス北九州北九州高速自動車営業所として小倉自動車営業所と共に西鉄バス北九州本社ビルに開設。
[7] 문서 これとは別に、西鉄バス北九州発足前は門司港駅 - 関門橋 - 唐戸 - 下関駅間の急行バスを急行色の一般路線バスで運行していたが廃止された。その廃止時期は不明。また下関市はもともと[[サンデン交通]]の運行エリアであり、こちらの方が路線、乗客数ともに充実している。
[8] 웹사이트 7月18日(土)~ 高速バス「北九州~湯布院線」期間限定運行!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 2015-06-26
[9] 웹사이트 東九州自動車道を活用した新たな高速バス路線「北九州〜別府・大分線」運行開始日決定! http://www.nishitets[...] 西鉄バス北九州株式会社 2015-02-18
[10] 웹사이트 祝・愛称決定!「ゆのくに」号 http://nishitetsu-kt[...] にしてつバスっちゃ!北九州 2015-09-13
[11] 웹사이트 西鉄高速バス 北九州〜福岡線、小倉〜福岡空港線をご利用のお客さまにお知らせ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株式会社
[12] 보도자료 高速バス「小倉~福岡空港線」運行終了について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 2019-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