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레스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레스코프는 1831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이다. 그는 관료의 아들로 태어나 1860년부터 문필 활동을 시작하여, 러시아적 풍토의 다면성을 그린 소설들을 다수 집필했다. 대표작으로는 『매혹된 방랑자』, 『므첸스크 군의 맥베스 부인』 등이 있으며, 사회 모순을 비판하는 저널리스트로서도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스카즈 기법을 활용하여 민속적이고 구어체적인 문체를 특징으로 하며, 안톤 체호프, 막심 고리키 등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레스코프는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기독교적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번역 출간되어 러시아 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명 - 파블로 네루다
파블로 네루다는 20세기 칠레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197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필명 - 막스 슈티르너
막스 슈티르너는 18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며,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개인의 절대적 자유와 이기심을 강조하며 모든 외부 권위에 대한 비판을 펼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831년 출생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1831년 출생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1888년에 99일간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자유주의 성향으로 독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으나 후두암으로 짧게 재위하여 독일 자유주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895년 사망 - 루이 파스퇴르
루이 파스퇴르는 1822년에 태어나 1895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로서, 분자 키랄성을 입증하고 생물 속생설을 확립했으며, 저온 살균법과 백신 개발을 통해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895년 사망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니콜라이 레스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니콜라이 세묘노비치 레스코프 |
| 필명 | M. 스테브니츠키 |
| 국적 | 러시아 |
| 출생 | 1831년 2월 16일 |
| 출생지 | 고로호보, 오룔 현, 러시아 제국 |
| 사망 | 1895년 3월 5일 |
| 사망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 활동 기간 | 1862년–1895년 |
| 직업 | |
| 직업 | 소설가, 단편 소설 작가, 스카스 작가, 언론인, 극작가 |
| 문학 | |
| 문학 사조 | 사실주의 |
| 대표 작품 | 므첸스크 군의 맥베스 부인 대성당의 사람들 매혹된 방랑자 툴라의 애꾸눈 레프티와 강철 벼룩 이야기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올가 바실리예브나 스미르노바 (1831년–1909년) |
| 파트너 | 예카테리나 부브노바 (결혼 전 성은 사비츠카야) |
| 자녀 | 베라 레스코바 베라 부브노바-레스코바 (입양) 안드레이 바랴 돌리나 (일명 바랴 쿠크, 입양) |
2. 생애
레스코프는 1853년 키예프의 부유한 상인의 딸인 올가 바실리예브나 스미르노바와 결혼했지만, 결혼 생활은 불행했다. 아내는 심각한 심리적 문제로 고통받았고, 결국 정신 병원에 입원해야 했다.[11] 1865년에는 예카테리나 밥노바와 사실혼 관계를 맺고 아들 안드레이를 낳았으나, 1878년 헤어졌다. 이후 밥노바는 아들을 빼앗긴 고통을 호소했다.[11]
1883년, 바랴 돌리나가 레스코프와 그의 아들과 함께 살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제자이자 후원자로 시작하여 나중에는 레스코프의 양녀가 되었다. 레스코프의 아들 안드레이는 군에서 경력을 쌓았고, 훗날 아버지의 회고록을 집필하여 출판했다. 이 회고록은 레닌그라드 포위전 당시 폭탄으로 파괴되었지만, 전쟁 후 저자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출판되었다.[11]
레스코프는 문단 진출 당시 러시아 문학계의 격렬한 당파 싸움 때문에, 어떤 당에도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아 비평가들로부터 계속 무시당했다.[1] 1862년 '대화재' 관련 기사와 1864년 소설 ''출구 없음'' 이후에는 완전한 고립 상태에 놓이기도 했다.[35]
1870년대에 상황이 কিছুটা 개선되었지만, 레스코프의 입지는 여전히 모호했다. 오랜 친구들은 그를 불신했고, 새로운 친구들은 여전히 경계했다. 비평가들은 그를 거의 무시했지만, ''완전한 레스코프'' 전집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35] 1895년 레스코프 사망 당시, 그는 문학계에 친구가 거의 없었지만 러시아 전역에 매우 많은 독자를 보유하고 있었다.[22]
1897년 아돌프 마르크스 출판사는 레스코프의 전집을 재발행했고, 1902~1903년에는 에세이, 기사, 서신을 추가하여 36권으로 확대했다. 이는 레스코프의 유산에 대한 새로운 관심의 물결을 일으켰다.[37] 막심 고리키는 레스코프를 "단어의 마법사"라고 칭하며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38]
1917년 혁명 이후, 소련 문학계는 레스코프의 유산을 "반동주의자"로 칭하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막심 고리키는 레스코프가 훌륭한 작가이며, 그의 작품이 충분히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개탄했다.[3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서 레스코프의 유산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했지만, 특정 검열 한계를 넘지 못했다. 그의 아들 안드레이 레스코프가 방대한 전기를 출판했고, 여러 학술 에세이가 출판되었다.[38] 1956~1958년(그리고 1973~1974년의 6권) ''완전한 레스코프'' 전집은 불완전했지만, 50년 후 상황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38] 1981년에는 레스코프가 러시아 고전의 일류 작가로 여겨졌고, 그에 대한 학술 에세이는 모스크바 대학교의 새로운 강좌에서 도스토옙스키와 레오 톨스토이에 대한 에세이 사이에 자리를 잡았다.[38]
오룔주에서 관료의 아들로 태어난 레스코프는[62] 1860년부터 문필 활동을 시작했고,[62] 1862년부터 소설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는 실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성이 강한 소설을 써서 러시아적 풍토의 다면성을 그려냈다. 그러나 저널리스트로서 사회의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했기 때문에 당국으로부터 검열이나 출판 금지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대표작으로는 『매혹된 방랑자』, 『미용사』, 『대성당 사람들』 등이 있다. 『므첸스크 군의 맥베스 부인』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에 의해 오페라화되었고, 『매혹된 방랑자』와 『왼손잡이』도 로디온 시체드린에 의해 오페라화되었다. 만년에는 협심증과 기관지 천식으로 고생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장례식 때는 당국에 의해 참례자의 일체의 연설이 금지되었다.[62]
2. 1. 초기 생애 (1831-1857)
니콜라이 세묘노비치 레스코프는 1831년 2월 4일 오룔 현 고로호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세묘노 드미트리예비치 레스코프(1789–1848)는 존경받는 형사 수사관이자 지역 법원 관리였고, 어머니 마리아 페트로브나 레스코바(결혼 전 성씨 알페리예바, 1813–1886)는 가난한 모스크바 귀족의 딸이었다.[3][4] 레스코프의 부계 조상들은 모두 오룔 현 레스카 마을의 성직자들이었고, 여기서 레스코프라는 성이 유래되었다.[3][4]레스코프는 어린 시절 고로호보에서 스트라호프 가문의 집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는데, 스트라호프는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독일과 프랑스 출신의 가정교사를 고용했다.[7] 독일인 교사가 레스코프의 재능을 칭찬하자, 호스트들의 질투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할머니의 요청으로 그의 아버지는 니콜라이를 오룔로 데려와 가족의 집에 정착시켰다.[2]
1839년, 아버지 세묘노 레스코프는 싸움과 음모로 인해 직위를 잃었다. 레스코프 가족은 작은 파닌 호토르로 이주해야 했다. 이곳에서 니콜라이는 구전 민속과 '토착' 러시아 방언에 대한 첫 경험을 했다.[8]
1841년 8월, 레스코프는 오룔 리세에서 정규 교육을 시작했지만, 5년 동안 부진한 성적을 거둔 후, 2년제 졸업장을 겨우 받을 수 있었다.[8] 학자 B. 부크스타브는 레스코프의 학교 실패가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와 비슷하게 지루한 암기식 루틴과 국가 교육의 무능함에 대한 혐오감 때문이라고 주장했다.[6]

1847년 6월, 레스코프는 오룔 형사 법원 사무실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1848년 5월, 레스코프 가족의 재산은 화재로 파괴되었고,[9] 같은 해 7월, 레스코프의 아버지는 콜레라로 사망했다.[8] 1849년 12월, 레스코프는 키예프로 전근을 요청하여 지역 정부 재무부에 보조 서기로 합류했다.[4]
키예프에서 그는 대학 강의를 청강하고, 폴란드어와 우크라이나어를 공부했으며, 성상 아이콘-그림을 그리는 기술을 익혔다. 또한 학생들의 종교 및 철학 서클에 참여했으며, 순례자, 분파주의자 및 종교적 반대자들을 만났다. 러시아의 농노제 비판론자이자 경제학자인 드미트리 주라프스키가 그의 주요 영향력 중 하나였다고 한다.[10]
1853년, 레스코프는 올가 스미르노바와 결혼했고, 아들 드미트리(1년 만에 사망)와 딸 베라를 두었다.[11]
2. 2. 상업 회사 근무와 문학 활동 시작 (1857-1860)
1857년, 레스코프는 영국계 상업 회사 '스코트 & 윌킨스'에 합류하여 러시아 전역을 여행하며 다양한 지역의 문화와 풍습을 접했다. 이 시기의 경험은 그의 문학적 자양분이 되었으며, 훗날 작품 속에서 생생하게 묘사된다.[62] 1860년 '스코트 & 윌킨스'가 문을 닫자, 레스코프는 본격적으로 저널리스트로서의 경력을 시작했고, 여러 신문과 잡지에 기고하며 사회 비판적인 글을 발표했다. 특히 1860년부터 문필 활동을 시작했다.[62]2. 3. 상트페테르부르크 이주와 초기 문학 활동 (1861-1870)
1862년, 레스코프는 그리고리 엘리세예프가 편집한 ''벡'' 잡지 3월호에 "꺼져가는 불꽃"(나중에 "가뭄"으로 재발행)을 게재하면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7] 이어서 단편 소설 ''사향소''(1863년 5월)와 ''농민 여성의 삶''(1863년 9월)이 출판되었다.[8][21]1864년 2월, ''빌리오테카 들랴 치테니야'' 잡지에 그의 데뷔 소설 ''출구 없음''이 연재되기 시작했다. 이 소설은 허무주의자 공동체를 풍자하고 일반 사람들의 미덕과 기독교 가치의 힘을 칭찬하여 급진 좌파 평론가들을 충격에 빠뜨렸다.[10] 중심 인물인 벨로야르체프는 작가이자 사회 운동가인 바실리 슬레프초프를 명백히 풍자한 것이었다.[10] 이로 인해 레스코프는 우익, '반동적' 작가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드미트리 피사레프는 그의 평론 "러시아 문학의 정원 산책"(''루스코예 슬로보'', 1865년 3호)에서 "스테브니츠키가 쓴 것을 게재할 용기를 내는 잡지가 ''러시아 메신저'' 외에 러시아 어디에 있겠는가?"라고 비판했다.[2] 사회 민주주의 통제 언론은 ''출구 없음''이 내무부의 제3부에 의해 '의뢰'되었다는 소문을 퍼뜨렸다.[10] 이러한 소문은 그의 경력에 큰 해를 끼쳤고, 인기 잡지들은 그를 보이콧했다.[10]
레스코프는 스캔들로 인해 보이콧과 배척을 당하는 등 매우 힘든 문학 경력을 보냈지만, 현재는 러시아 문학의 고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6][11][2]
2. 4. 중후기 문학 활동과 대표작 (1870-1895)
1872년 출판된 《대성당 사람들(소보랴네)》은 여러 이야기와 스케치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작품이다.[6] 이 작품은 레스코프의 작가 경력의 전환점으로 평가받으며, 정치적 논쟁에서 벗어나 러시아 민중의 삶과 종교적 문제에 집중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막심 고리키는 《칼날 위에》와 같은 "악한 소설" 이후, 레스코프의 작품이 "문학적인 성화"가 되었고, 그는 러시아 이코노스타시스를 위한 성인 갤러리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10] 레스코프의 다양한 스케치들은 "선한 사람들"(투베로조프, 데스니친, 베네팍토프 - 모두 사제)이 사기꾼, 악당, 허무주의자, 관리들과 싸우는 전장을 묘사한다.[10] 1872년 《러시아 메신저》에 게재된 《대성당 사람들》은 "현실적인" 사람들의 기독교와 부패한 공식 기독교 사이의 메울 수 없는 격차를 주요 주제로 다루며, 국가와 교회 모두를 분노케 했다.[6]1873년에는 구교도 공동체가 기독교로 돌아오게 한 기적을 다룬 《봉인된 천사》가 출판되었다.[10] 이 작품은 전통 민담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스코프의 스카즈 기법이 잘 드러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봉인된 천사》는 당국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고위층에 반향을 일으켰고, 궁정에서도 읽혔다고 전해진다.[6]
같은 해, 라도가 호수 여행에서 영감을 받은[8] 《매혹된 방랑자》(1873)가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여러 줄거리가 얽혀 있는 비정형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레스코프는 이러한 형식이 전통적인 소설을 대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학자들은 이반 플라긴이라는 등장인물을 일리야 무로메츠와 비교하며, "고난의 시대에 러시아인의 육체적, 도덕적 고통"을 상징한다고 평가했다.[10] 그러나 당시 비평가들은 작품의 형태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26] 《매혹된 방랑자》는 《러스키 미르》 신문에 게재될 예정이었으나 거부당했다.[6]
1881년, 잡지 《루스》는 《툴라 출신의 사팔뜨기 레프티의 이야기와 강철 벼룩》을 게재했다. 이 작품은 레스코프의 스카즈 스타일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언어 유희와 독창적인 신조어가 풍부하며, 유머와 풍자를 담고 있다. 작가의 시점은 주인공의 시점과 상호 작용하며, 아타만 플라토프와 같은 등장인물은 주인공에 의해 영웅적으로 묘사되지만, 작가에 의해 조롱당한다.[6] 이 작품은 좌파와 우파 모두에게 비판을 받았는데, 좌파는 레스코프가 제국주의적 사상을 전파한다고 비난했고, 우파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우울하게 묘사했다고 비판했다.[6]
만년의 레스코프는 레프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적 윤리와 사회 비판 의식을 결합한 작품들을 발표했다. 그러나 그의 후기 작품들은 검열로 인해 출판에 어려움을 겪거나, 출판 후에도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1891년, 정교회와 이오안 크론슈타츠키를 풍자한 《폴루노치키》(올빼미)가 《세베르니 베스트니크》에 출판되어 큰 논란을 일으켰다. 1894년 중편소설 《토끼 워렌》은 당국에 사람들을 신고하는 성직자를 다룬 이야기로, "집중된 풍자에서 그의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지만,[1] 출판이 금지되었고 1917년에야 《니바》에 출판되었다.[31]
3. 주요 작품
- Некудаru (1864, 출구 없음)
- Леди Макбет Мценского уездаru (1865, 므첸스크 군의 맥베스 부인)
- Соборянеru (1872, 대성당 사람들)
- Запечатленный ангелru (1873, 봉인된 천사)
- Очарованный странникru (1873, 매혹된 방랑자)
- Левшаru (1881, 왼손잡이)
《므첸스크 군의 맥베스 부인》(1864년 11월 키예프에서 집필, 1865년 1월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잡지 Эпо́хаru에 게재)과 중편 소설 《아마존》(Оте́чественные запи́скиru, 1866년 7호)은 모두 "거의 끊임없는 악과 열정의 그림"으로[1] 당시 비평가들에게는 무시당했지만, 수십 년 후에는 서로 다른 계층과 삶의 방식을 가진 매우 표현력이 풍부한 여성 캐릭터를 강력하게 묘사한 걸작으로 칭찬받았다.[6]
1872년에 출판된 《대성당 사람들》(Соборянеru)은 얇게 그려진 플롯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태피스트리를 형성하는 이야기와 스케치의 모음집이다.[6] 이 작품은 작가의 경력의 전환점으로 여겨졌고, 정치적 부정주의에서 벗어난 작품이었다. 막심 고리키에 따르면, 그의 "악한 소설"인 《칼날 위에》 이후, 레스코프의 "솜씨는 더 이상 문학적인 성화가 되었고, 그는 러시아 이코노스타시스를 위한 성인 갤러리를 만들기 시작했다."[10]
1873년에는 구교도 공동체가 기독교로 돌아오게 한 기적에 관한 이야기인 《봉인된 천사》가 출판되었다.[10]
1872년 라도가 호수로의 여행에서 영감을 받은[8] 《매혹된 방랑자》(1873)는 여러 줄거리가 얽혀 있는 비정형적이고 느슨하게 구성된 작품이었다.
1881년 10월 잡지 Русьru는 "툴라 출신의 사팔뜨기 레프티의 이야기와 강철 벼룩"을 게재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회고적으로 레스코프의 가장 훌륭한 작품으로 여겨지며, 독창적인 이야기꾼이자 스타일리스트의 거장으로서 그의 스카즈 스타일은 언어 유희가 풍부하고 독창적인 신조어로 가득 차 있으며, 각각 유머러스할 뿐만 아니라 풍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4. 문학적 특징 및 영향
레스코프는 1850년대 후반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Scott & Wilkins''라는 회사에서 일하며 보고서와 편지를 작성했다. 그의 글은 작가 일리야 셀리바노프에 의해 "출판할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49] 1860년에는 반(反)알코올 폭동에 대한 에세이 "와인 산업 문제에 관한 스케치"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8]
레스코프는 특정 정당과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아 문단에서 고립되기도 했다.[1] 1862년 ''북쪽 벌''에 게재한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화재 관련 기사는 논란을 일으켜 급진 언론과 당국 양쪽으로부터 비판받았다.[2] 이 사건은 그의 경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은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포괄하며, 러시아 민중의 삶, 종교적 갈등, 사회적 모순 등을 다루었다. 특히, 스카즈 기법의 대가로 알려져 있으며, 생동감 넘치는 구어체 문체와 독특한 언어 사용이 특징이다.
레스코프의 유산은 19세기 라즈노친츠 문학의 일부로, '실제 삶의 스케치'를 창시 장르로 삼았다. 그는 러시아 지방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산업, 농업, 종교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었다.[7] 사회적 불의에 무관심하지 않았지만, 개인적인 경험만이 신뢰할 만하다고 여기는 실무자로서 사회 문제를 바라보았다.[6]
레프 톨스토이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처럼 복음서를 인류를 위한 도덕적 규약으로 보았다. 그의 작품에는 "성스러운" 등장인물들이 등장하여 "온 땅에 좋은 것을 증식"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7] 말년에는 레프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기독교"라는 개념을 발전시키기도 했다.[47]
D.S. 미르스키는 레스코프의 기독교가 톨스토이와 마찬가지로 "반성직적이며, 비종파적이고 순전히 윤리적"이지만, 겸손과 자선에 대한 숭배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1]
4. 1. 스카즈 기법의 대가
레스코프는 러시아 문학에서 스카즈 기법의 대가로 꼽힌다. 스카즈는 화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구전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구어체 문체를 사용하는 기법이다.[22] 레스코프는 이를 통해 작품에 생동감과 현장감을 부여하고,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했다. 안톤 체호프는 그를 투르게네프와 함께 자신의 "문학 스승"으로 불렀다.[6] 막심 고리키는 레스코프를 도스토옙스키, 피셈스키, 곤차로프, 투르게네프와 함께 러시아 문학 사상가들의 엘리트로 꼽으며, 그의 문학적 업적을 높이 평가했다.[51]레스코프는 언어를 통해 인물의 심리와 특징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데 능숙했다. 그는 "사람은 가장 작은 일에서 자신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낸다"고 믿었다.[7]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실제 삶에서처럼 각자의 독특한 말투를 사용하며, 이는 레스코프가 수년간 러시아 사람들의 대화를 관찰하고 연구한 결과였다.[6] 그는 "나의 성직자들은 성직자들이 하는 것처럼 말하고, 나의 무지크들은 실제 생활에서 무지크들이 말하는 것처럼 말한다"고 설명했다.[6]
당대 비평가들은 레스코프의 문체가 지나치게 화려하고 과장되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레프 톨스토이는 레스코프의 재능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언어 실험이 "너무 과장되었다"고 지적했다.[57] 그러나 레스코프는 자신의 독창적인 문체를 고수하며, "레프 니콜라예비치처럼 단순하게 쓰는 것은 나에게 불가능합니다. 그런 재능은 제 것이 아닙니다... 저를 있는 그대로 받아주세요."라고 말했다.[58]
4. 2. 다양한 장르와 주제
레스코프는 소설, 중편 소설, 단편 소설, 희곡,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49] 그의 작품은 러시아 민중의 삶, 종교적 갈등, 사회적 모순, 여성 문제 등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다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8] 1860년에 발표된 "와인 산업 문제에 관한 스케치"는 반(反)알코올 폭동을 다룬 에세이로, 그의 본격적인 문학적 데뷔작으로 평가받는다.[8]그는 데뷔 소설 《출구 없음》(1864)에서 허무주의 공동체를 풍자하고, 《므첸스크 군의 맥베스 부인》(1865)과 《아마존》(1866)에서는 강렬한 여성 캐릭터를 묘사했다.[6] 체르니셰프스키의 소설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반박으로 쓴 《방치된 사람들》(1865)과 바실리예프스키 섬의 독일인 공동체를 그린 《섬사람들》(1866)도 이 시기에 발표되었다.[21] 1867년에는 희곡 《낭비자》를 발표하여 극작가로도 데뷔했지만, "비관주의와 반사회적 경향"을 이유로 혹평을 받았다.[8]
1870년에는 허무주의 운동을 비판한 소설 《칼날 위에》를 발표했지만, 이 소설은 실패작으로 평가받았다.[22] 이후 레스코프는 정통 소설 장르를 피하고, 《대성당 사람들》(1872)과 같은 이야기와 스케치 모음집을 발표했다.[6] 그는 구교도 공동체의 기적을 다룬 《봉인된 천사》(1873)와 여러 줄거리가 얽힌 《매혹된 방랑자》(1873)를 통해 스카즈 기법을 활용했다.[10]
말년에는 "툴라 출신의 사팔뜨기 레프티의 이야기와 강철 벼룩"(1881)과 같은 작품을 통해 언어 유희와 풍자가 돋보이는 독창적인 스타일을 선보였다.[28] 또한, 초기 기독교 전설을 바탕으로 한 단편 소설들을 발표하며 종교적 주제를 다루기도 했다.[1]
4. 3. 유머와 풍자
레스코프의 작품들은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특유의 유머와 풍자를 잃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날카로운 풍자와 해학을 통해 현실의 부조리를 드러냈으며, 독자들에게 웃음과 함께 생각할 거리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레스코프는 고골과 함께 독특한 민속적인 글쓰기 스타일인 스카즈 방식의 창시자로 여겨지는데, 그의 작품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레스코프는 언어 유희와 신조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툴라 출신의 사팔뜨기 레프티의 이야기와 강철 벼룩"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 작가의 시점은 주요 등장인물의 시점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며, 유머러스하면서도 풍자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28] 그러나 이러한 독특한 스타일 때문에, 레스코프는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선악 구분이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8]
4. 4. 후대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
안톤 체호프는 투르게네프와 함께 레스코프를 자신의 "문학 스승"으로 꼽았다.[6] 체호프는 단편 소설 구성 기술을 레스코프에게서 배웠으며, 작품의 밀도, 집중력, 그리고 작가가 자신의 견해를 강요하지 않고 독자가 스스로 판단하도록 이끄는 능력에 감탄했다. 레스코프는 체호프의 재능을 일찍이 알아보고 그의 성공을 예측한 작가이기도 하다.[48] 레프 톨스토이는 레스코프를 "미래를 위한 작가"라고 칭송했다.[49][50]막심 고리키는 레스코프를 19세기 러시아 문학에서 자신의 생각을 용감하게 표현한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로 평가했다. 고리키는 레스코프를 도스토옙스키, 피셈스키, 곤차로프, 투르게네프와 함께 러시아 역사와 문화에 대한 확고한 견해를 가지고 자신만의 작업 방식을 개발한 사상가로 보았다.[51] 20세기 비평가들은 레스코프를 단어 예술을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인간 성격의 뉘앙스를 표현한 작가로 평가했다. 고리키는 레스코프가 톨스토이, 고골, 투르게네프, 곤차로프와 달리 "단순히 자신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배경을 묘사하고, "생생한 러시아 일반 대화의 신경질적인 구조를 짜는" 진정한 장인이었다고 평가했다.[52]
고리키는 레스코프가 "L. 톨스토이, 고골, 투르게네프, 곤차로프와 같은 거장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자격이 있는" 진정한 예술가라고 생각했다.[53] 그는 레스코프가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독립성을 유지하며[34] "톨스토이나 투르게네프와 같은 그의 위대한 동시대인들이 결코 할 수 없었던... 러시아의 기존 계층과 사회 집단의 삶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34] 고리키는 레스코프를 자신의 스타일과 관점 형성에 영향을 준 작가로 언급하며, 그의 영향으로 "진짜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보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56]
5. 사상
레스코프는 저널리스트로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다. 1860년 경찰 의학 분야의 부패를 다룬 기사("러시아의 경찰 의사에 관한 몇 마디")로 동료들과 갈등을 빚었고, ''소브레멘나야 메디치나''에서 해고되었다.[6] 1862년에는 러시아 수도의 상당 부분을 파괴한 화재 사건에 대한 기사로 급진 언론과 당국 양쪽으로부터 비판받았다.[2] 이러한 경험은 그의 사회 비판 의식을 더욱 강화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농민 문제, 종교적 타락, 사회적 불평등 등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며, 작품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구교도 공동체에 대한 보고서를 소책자로 출판하기도 했다.[8]
레프 톨스토이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적 휴머니즘과 사회 개혁 사상을 발전시켰다. 특히 톨스토이와의 만남은 그의 후기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47] 그는 톨스토이처럼 기독교를 "반성직적이며, 비종파적이고 순전히 윤리적"인 것으로 보았다.[1]
그의 사상은 특정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다. "영적 자만심", 즉 자의식적인 의로움을 가장 큰 범죄로 여겼으며, 적극적인 자선을 주요 덕목으로 생각했다.[1] 이러한 그의 사상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서적
Leskov
https://books.google[...]
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from its beginnings to 1900
2011-10-10
[2]
웹사이트
Nikolai Semyonovich Leskov profile
http://leskov.lit-in[...]
leskov.lit-info.ru
2011-10-10
[3]
간행물
N.S. Leskov. Letters (1859–1880). A letter No.39
http://az.lib.ru/l/l[...]
N. Leskov's letter to Pyotr Shchebalsky, 16 April 1871
[4]
웹사이트
N.S.Leskov biography
http://www.kostyor.r[...]
www.kostyor.ru
2011-10-10
[5]
웹사이트
Autobiographical Notes
http://az.lib.ru/l/l[...]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Vol 11, pp. 5–20
2011-10-10
[6]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6 volumes. Vol. 1, pp. 3—42
Pravda Publishers. Moscow, 1973
[7]
웹사이트
Nikolai Semyonovich Leskov profile
http://az.lib.ru/l/l[...]
Russian Writers. Biobibliographical dictionary. Vol. 1. (ed. P.A. Nikolayev). Moscow, Prosveshchenye Publishers
2011-10-10
[8]
웹사이트
N.S. Leskov timeline
http://az.lib.ru/l/l[...]
az.lib.ru/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8. Vol 11, pp. 799–834
2011-10-10
[9]
웹사이트
Nikolay Semyonovich Leskov profile
http://www.vokrugsve[...]
www.vokrugsveta.ru
2011-10-10
[10]
웹사이트
Nikolai Semyonovich Leskov profile
http://www.krugosvet[...]
www.krugosvet.ru
2010-01-29
[11]
웹사이트
Nikolai Leskov
http://www.kirjasto.[...]
Kuusankoski Public Library
[12]
문서
Alexander James Scott's name became the Russian Александр Яковлевич Шкотт (Aleksandr Yakovlevich Shkott), his middle name James (Yakov) transforming into a [[patronymic]].
[13]
웹사이트
The Product of Nature (Produkt prirody)
http://az.lib.ru/l/l[...]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8. Vol 9
2011-10-10
[14]
간행물
The Russian Society in Paris (Russkoye obshchestvo v Parizhe). Novelets, Stories and Notes. Vol. 1
St. Petersburg, 1867, p. 320
[15]
문서
Arrested on 28 July 1862, Nechiporenko reported Leskov to the police, stating that the latter had had a "harmful influence" on him.
[16]
웹사이트
N.S. Leskov. Overview
http://az.lib.ru/l/l[...]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Vol. 1. М., 1956
2010-07-01
[17]
웹사이트
The Life of Nikolai Leskov (Zhizn Nikolaya Leskova) Vol. 1
http://az.lib.ru/l/l[...]
az.lib.ru
2010-07-01
[18]
문서
1862. The No. 137 Case. The Chanceller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Higher Verdict dealt with the 1862 fires in Saint Petersburg, published in Severnaya Ptchela, No. 143, 1862,.
[19]
웹사이트
The Unbroken One (Neslomlenny)
http://az.lib.ru/l/l[...]
The Three Heretics. The Lives of A.F. Pisemsky, P.I. Melnikov-Pechorsky, N.S. Leskov/Moscow, Kniga Publishers
2011-10-10
[20]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6—1958. Vol. 10, p. 169
[21]
웹사이트
Leskov, Nikolai Semenovich profile
http://encyclopedia2[...]
Great Soviet Encyclopedia @ encyclopedia2.thefreedictionary.com
2011-06-01
[22]
웹사이트
Leskov
http://az.lib.ru/l/l[...]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from Its Beginning up to 1925/Translated by R. Zernova. London: Overseas Publications Interchange Ltd, 1992., pp. 490–502
2011-10-10
[23]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6–1958. Vol 10, P. 433
[24]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8. vol 11, p. 509
[25]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8. Vol 10, p. 362
[26]
간행물
Literature and Life
Russkoye Bogatstvo, 1897. No. 6, p. 104
[27]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6–1958. Vol 11, p.229
[28]
간행물
Nov
magazine, 1886, No.7, р. 352
[29]
간행물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6–1958. Vol 11, p.529
[30]
간행물
Against the Tides
р. 382
[31]
웹사이트
Zayachy remis (The Rabbit Warren)
http://az.lib.ru/l/l[...]
az.lib.ru/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Moscow. 1958. Vol 9
2011-10-10
[32]
웹사이트
Nikolai Leskov and His Daughters
http://bdpu.org/scie[...]
bdpu.org
2011-10-10
[33]
문서
E.S. Bubnova's letters to N.S. Leskov (dated 8 October 1880 and 14 August 1882).
[34]
웹사이트
The Book of Son and Father (Kniga o syne i otze)
http://az.lib.ru/l/l[...]
Mskow.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2011-10-10
[35]
웹사이트
Nikolai Semyonovich Leskov profile
http://www.rulex.ru/[...]
The Russian Biographies Dictionary
2011-10-10
[36]
간행물
Russkaya Mysl
1891
[37]
웹사이트
At Daggers With Russia
http://ria.ru/analyt[...]
ria.ru
2011-02-16
[38]
웹사이트
The Leskov Necklace (Leskovskoye ozherelye)
http://lib.rus.ec/b/[...]
lib.rus.ec
[39]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40]
웹사이트
Nikolai Leskov
http://feb-web.ru/fe[...]
The Literary Encyclopedia in 11 volumes. Vol. 6. Moscow
[41]
웹사이트
Katerina Izmaylova
http://100oper.nm.ru[...]
100oper.nm.ru
[42]
서적
Tupeiny khudozhnik (The Toupee Artists). The opera
https://books.google[...]
Teatrkinopechat
[43]
웹사이트
Leskovian Subject
http://www.ng.ru/cul[...]
Novaya Gazeta
[44]
웹사이트
The Unpublished Leskov
http://www.belletris[...]
www.belletrist.ru
[45]
웹사이트
Nikolai Semyonovich Leskov profile
http://az.lib.ru/l/l[...]
az.lib.ru
[46]
서적
The Complete Leskov
[47]
서적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48]
편지
Anton Chekhov's letter to brother Al.P. Chekhov
1883-10
[49]
웹사이트
The Verdict of Posterity
http://www.kostyor.r[...]
www.kostyor.ru
[50]
웹사이트
Pater Brown, Karlsson or Wodehouse
http://www.radonezh.[...]
www.radonezh.ru
[51]
서적
The Works of Maxim Gorky in 30 volumes
[52]
서적
The Works of Maxim Gorky in 30 volumes
[53]
서적
The Works of Maxim Gorky in 30 volumes
[54]
서적
The Works of Maxim Gorky in 30 volumes
[55]
서적
The Works of Maxim Gorky in 30 volumes
[56]
서적
The Works of Maxim Gorky in 30 volumes
[57]
서적
Lev Tolstoy's correspondence with Russian writers
Moscow
1962
[58]
서적
The Works of N.S. Leskov in 11 volumes
[59]
서적
[60]
간행물
Privet!
Saint Petersburg
1898
[61]
서적
The Complete L.N. Tolstoy
Moscow
1953
[62]
URL
https://cir.nii.ac.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