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스 뤼베르 핀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닐스 뤼베르 핀센은 페로 제도 출신의 의사이자 과학자로, 광선 요법 연구로 19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핀센은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고 해부학 검시관으로 일했으며, 1896년 핀센 연구소를 설립하여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 그는 니만-픽병을 앓으면서 특정 파장의 빛이 의학적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핀센은 광선 요법 연구로 노벨상을 받았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의 캐머런 치료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의 이름을 딴 핀센 연구소, 기념비, 거리 등이 있으며, 1904년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의학자 - 닐스 카이 예르네
덴마크의 면역학자 닐스 카이 예르네는 항체 형성의 자연 선택 이론과 면역 네트워크 이론을 정립하여 면역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에서 활동하고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덴마크의 의학자 - 비외른 입센
비외른 입센은 20세기 덴마크 의사로, 혁신적인 치료법 도입과 세계 최초의 중환자실 설립에 기여했으며, 1952년 덴마크 소아마비 유행 시 환자 치료에 앞장서고 1953년 코펜하겐 시립 병원에 중환자실을 설립하여 중증 환자 치료 발전에 기여하고 1958년 중환자 관리 원칙 보고서 공동 집필로 중환자 관리 표준을 제시했다. - 토르스하운 출신 - 카이 레오 요하네센
카이 레오 요하네센은 페로 제도의 정치인이며 전 축구 및 핸드볼 선수로, 축구 국가대표팀 골키퍼로 활약하고 HB 토르스하운에서 페로 제도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킨딜에서 핸드볼 선수로 활동했다. - 토르스하운 출신 - 린다 앤드루스
페로 제도 출신 가수 린다 앤드루스는 덴마크 《X Factor》 우승 후 소니 뮤직과 계약, 데뷔 싱글 발표 및 정규 앨범 발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백 보컬 참여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 덴마크의 노벨상 수상자 - 헨리크 폰토피단
덴마크 소설가이자 191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헨리크 폰토피단은 사회 비판적 작품으로 농민과 농촌 프롤레타리아의 삶을 묘사했으며, 이후 심리적, 자연주의적 주제에 관심을 기울여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덴마크 사회의 변화상을 다룬 《약속의 땅》, 《행복한 페르》, 《죽은 자들의 왕국》 등의 대표작을 남겨 덴마크 문학에서 사회 묘사 소설을 확립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 덴마크의 노벨상 수상자 - 닐스 보어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로, 원자 구조와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보어의 원자 모형 발표로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소 원자 스펙트럼을 설명했으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 코펜하겐 이론물리학 연구소 설립,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 등 양자역학의 철학적 해석에 기여, 맨해튼 계획 참여 및 핵무기 통제를 위한 국제 협력을 촉구하는 등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도 앞장섰다.
닐스 뤼베르 핀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60년 12월 15일 |
출생지 |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 |
사망일 | 1904년 9월 24일 |
사망지 | 코펜하겐, 덴마크 |
국적 | 덴마크 |
모교 | 코펜하겐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광선 치료 |
수상 | 노벨 생리학·의학상 (1903년) 에든버러 대학교 치료학 캐머런 상 (1904년) |
2. 생애
닐스 뤼베르 핀센은 1860년 페로 제도의 토르스하운에서 태어났다.[2] 어린 시절 아이슬란드와 덴마크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882년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1890년 의학 학위를 취득했다.[9] 졸업 후 잠시 대학의 해부학 검시관으로 일했으나, 곧 과학 연구에 전념하기 위해 사임했다.
핀센은 자신이 앓고 있던 니만-픽병의 경험을 계기로 빛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2]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한 광선 요법을 개발하여 의학계에 큰 기여를 했다.[10] 그의 연구는 1896년 핀센 연구소 설립으로 이어졌으며, 그는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피부에 미치는 빛의 영향에 대하여''(1893)와 ''의학에서 농축된 화학적 광선의 사용''(1896) 등이 있다.[1]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스칸디나비아인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페로 제도 출신 수상 기록이다. 이듬해 1904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로부터 캐머런 치료학상을 받았다.
핀센은 1880년대 중반부터 심장병 등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말년에는 휠체어에 의지하면서도 연구 활동을 지속했다. 그는 1904년 9월 24일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코펜하겐 대학교 병원의 핀센 연구소, 코펜하겐과 토르스하운의 거리 및 기념비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13]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닐스 뤼베르 핀센은 4명의 자녀 중 둘째로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을 가진 아이슬란드 가문 출신인 한네스 핀센(Hannes Finsen)이었고, 어머니는 덴마크 팔스터 출신의 요한 포만(Johanne Formann)이었다.[2]핀센의 가족은 1858년 아버지가 Landfoged 직책을 맡게 되면서 아이슬란드에서 토르스하운으로 이사했다.[3] 닐스가 네 살 때인 1864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고, 아버지는 어머니의 사촌인 비르기테 키르스티네 포만(Birgitte Kirstine Formann)과 재혼하여 여섯 자녀를 더 두었다. 1871년 그의 아버지는 페로 제도의 Amtmand(지방 장관)가 되었다. 아버지는 12년 동안 페로 의회 의원을 지냈으며, 그의 형 올라프 핀센(Olaf Finsen) 역시 5년 동안 의원을 역임했고 수도 토르스하운의 초대 시장이 되었다.[4][5]
핀센은 토르스하운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지만, 1874년 형 올라프도 재학 중이던 덴마크의 기숙 학교 헤를루프스홀름으로 보내졌다. 형과 달리 닐스는 헤를루프스홀름에서 힘든 시간을 보냈으며, 교장은 닐스를 "마음은 착하지만 기술과 에너지 수준이 낮은 소년"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6] 낮은 성적과 덴마크어 구사의 어려움 때문에, 그는 1876년 아버지의 옛 학교인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레르디 스콜린 (Lærði skólinnis)에 입학하기 위해 보내졌다.[7] 이곳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의 성적은 이전보다 향상되었으나,[8] 졸업 당시 그의 나이는 21세였으며, 15명의 학생 중 11등으로 졸업했다.[8]
2. 2. 교육
핀센은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다.[5] 1874년에는 형 올라프도 다니고 있던 덴마크의 기숙 학교인 헤를루프스홀름으로 보내졌다. 그러나 형과 달리 닐스는 헤를루프스홀름에서 힘든 시간을 보냈으며, 당시 교장은 닐스를 "마음은 착하지만 기술과 에너지 수준이 낮은 소년"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6]낮은 성적과 덴마크어 구사의 어려움 때문에[7], 1876년 그는 아버지의 모교이기도 한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레르디 스콜린으로 전학했다.[7] 1882년 21세의 나이로 졸업했으며, 졸업 성적은 15명의 학생 중 11등이었다.[8]
1882년 코펜하겐으로 이주하여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1890년에 졸업했다. 코펜하겐으로 오기 전 아이슬란드에서 수학한 경력 덕분에, 그는 덴마크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 기숙사인 레겐센에 입학할 수 있는 특혜를 받았다. 이러한 우선 입학 제도는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와 같은 덴마크 식민지 출신의 교육받은 엘리트들을 코펜하겐 대학교에 통합시키려는 덴마크 정부의 공식적인 정책의 일환이었다.[9]
2. 3. 의학 연구 및 경력
1890년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한 후, 같은 대학에서 해부학 검시관(prosector)으로 경력을 시작했다.[9] 그러나 3년 뒤 과학 연구에 더 집중하기 위해 검시관 직을 그만두었다. 1898년에는 교수로 임명되었고, 1899년에는 다네브로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1896년에는 핀센 연구소가 설립되었으며, 핀센이 초대 소장을 맡았다. 이 연구소는 나중에 코펜하겐 대학교 병원에 통합되었고, 현재는 단백질 분해를 전문으로 하는 암 연구 실험실로 운영되고 있다.
핀센은 자신이 앓고 있던 니만-픽병으로 인해 일광욕을 하게 되면서 빛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연구를 시작했다.[2] 그는 특정 파장의 빛이 의학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광선 요법 이론을 발전시켰다.[10] 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저작으로 발표되었다.
연도 | 원제 | 번역 제목 |
---|---|---|
1893 | Finsen Om Lysets Indvirkninger paa Hudenda | 피부에 미치는 빛의 영향에 대하여 |
1896 | Om Anvendelse i Medicinen af koncentrerede kemiske Lysstraalerda | 의학에서 농축된 화학적 광선의 사용 |
이 논문들은 곧 독일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널리 알려졌다. 후기에는 염화나트륨의 효과를 연구하며 저나트륨 식단의 영향을 관찰했고, 그 결과를 1904년 En Ophobning af Salt i Organismenda ("유기체 내 염분의 축적")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1]
핀센은 광선 요법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스칸디나비아 출신 인물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페로 제도 출신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이다. 이듬해인 1904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로부터 캐머런 치료학상을 받았다.
2. 4. 질병과 사망
핀센의 건강은 1880년대 중반부터 악화되기 시작했다. 그는 심장병의 증상을 보였고, 복수와 전반적인 쇠약을 겪었다. 이 병은 그의 몸을 쇠약하게 만들었지만 정신은 쇠약하게 만들지 못했고, 그는 휠체어에서 계속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1904년 9월 24일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에 대한 기록은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3. 연구 업적
핀센은 자신이 앓았던 니만-픽병으로 인해 일광욕을 하며 빛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연구를 시작했다.[2] 그는 특정 파장의 빛이 유익한 의학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광선 요법 이론을 개발했다.[10] 그의 주요 저작물로는 1893년에 출판된 ''Finsen Om Lysets Indvirkninger paa Huden'' ("피부에 미치는 빛의 영향에 대하여")와 1896년에 출판된 ''Om Anvendelse i Medicinen af koncentrerede kemiske Lysstraaler'' ("의학에서 농축된 화학적 광선의 사용") 등이 있다. 이 논문들은 곧 독일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1]
핀센은 광선 요법 연구로 19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스칸디나비아인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페로 제도 출신 노벨 생리학상 수상자이다.[1] 1904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캐머런 치료학상을 수상했다.
후기 연구에서는 염화나트륨의 효과를 연구했으며, 저나트륨 식단의 결과를 관찰하여 1904년에 ''En Ophobning af Salt i Organismen'' ("유기체 내 염분의 축적")을 출판했다.[1]
항생 물질의 등장으로, 햇빛으로 특정 종류의 수포와 결핵을 치료하는 방법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그의 과학적 연구의 대부분은 오늘날 잊혀지고 있다. 그러나 그가 증명한 햇빛의 특정 파장이 특성을 회복시킨다는 개념은, 오늘날 암의 방사선 치료에 남아있다.
또한, 그가 노벨상 수상 시 언급한, 햇빛의 살균 작용 발견자인 아서 헨리 다우언스와 토마스 포터 블런트는, 현재 프리 라디칼의 발견자로 재평가되고 있다.[14]
4. 수상 및 기념
핀센은 광선 요법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비롯한 중요한 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덴마크와 페로 제도 등지에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 거리, 기념비 등이 세워졌다.
4. 1. 노벨 생리학·의학상
핀센은 광선 요법 연구에 대한 공로로 19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스칸디나비아 출신 인물이며, 현재까지 유일한 페로 제도 출신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이듬해인 1904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수여하는 캐머런 치료학상을 받았다. 핀센은 노벨상 수상 당시 햇빛의 살균 작용을 발견한 아서 헨리 다우언스와 토마스 포터 블런트를 언급했는데, 이들은 훗날 프리 라디칼의 발견자로 재평가되고 있다.[14]4. 2. 기념물
코펜하겐 대학교 병원의 핀센 연구소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프레데릭스베르의 핀센스베이(Finsensvej)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 북쪽에 위치한 핀센 발전소도 마찬가지였다.루돌프 테그너가 디자인한 핀센의 대형 기념비는 1909년 코펜하겐의 국립병원 옆에 설치되었다. 이 기념비는 "Mod lyset"(빛을 향하여)라는 제목으로, 하늘을 향해 손을 뻗은 두 명의 무릎을 꿇은 나체 여성과 등 뒤에 세 번째 여성을 둔, 서 있는 나체 남자를 묘사한다. 이 조각상은 햇빛이 치유력을 가질 수 있다는 핀센의 주요 과학 이론을 상징한다. 이 조각상은 블레그담스베이와 뇌르 알레 모퉁이에 위치해 있다.[12]
토르스하운에도 핀센의 기념비가 있으며, 도시의 주요 거리 중 하나인 닐스 핀센스 괴타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코문누스쿨린, 토르스하운 중심부에 있는 오래된 공립 학교는 핀센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학생 기숙사로 개조되었다.[13]
5. 개인 생활
핀센은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에서 4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1864년 그가 4세 때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고, 아버지는 어머니의 사촌과 재혼하여 6명의 자녀를 더 두었다. 1871년 아버지가 페로 제도의 지사가 되었다. 그는 초기 교육을 토르스하운에서 받았으나, 1874년 덴마크의 헤를루프숄름 기숙학교로 보내졌다. 그의 형도 이 학교를 다녔지만, 핀센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교장으로부터 "마음은 착하지만, 기술과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낮은 성적으로 인해 1876년 아버지의 모교인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Lærði skólinn으로 전학했고, 이곳에서 학업 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핀센의 건강은 1880년대 중반부터 악화되기 시작했다. 그는 심장 질환의 증상을 보였고, 복수와 전반적인 쇠약을 겪었다. 병으로 인해 몸은 쇠약해졌지만, 정신력은 강인하여 휠체어에 의지하면서도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1904년 9월 24일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에 대한 기록은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1. 결혼
핀센은 1892년 12월 29일 잉에보르 발스레브(1868–1963)와 결혼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03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
웹사이트
Niels Ryberg Finsen - Biographical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AB
2014
[3]
웹사이트
Landfoged
http://www.denstored[...]
2015-11-05
[4]
문서
da:Olaf Finsen (apoteker)
[5]
문서
da:Hannes Finsen (stiftamtmand)
[6]
웹사이트
Niels Ryberg Finsen: Danmarks første Nobelpristager
http://www.rostra.dk[...]
2015-11-08
[7]
웹사이트
Niels Finsen
https://web.archive.[...]
2018-01-06
[8]
웹사이트
Niels Ryberg Finsen – Danmarks første Nobelpristager
http://www.rostra.dk[...]
[9]
PDF
http://www.regensianersamfundet.dk/medlemsbladet_arkiv/Regensen/1992/Regensen_1992.pdf
2022-03
[10]
간행물
From patient to discoverer-Niels Ryberg Finsen (1860-1904)-the founder of phototherapy in dermatology
https://www.research[...]
[11]
웹사이트
Memoir of Funeral of Niels Ryberg Finsen, and Clippings 1904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12]
웹사이트
Mod Lyset
http://kk.sites.iter[...]
2013-09-17
[13]
웹사이트
Tey fyrstu eru flutt í Finsen
http://kvf.fo/netvar[...]
[14]
블로그
フリーラジカルの祖は一体誰か?
https://www.chem-sta[...]
[15]
웹사이트
Medicine 1903
http://nobelpriz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