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숙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숙학교는 학생들이 학교 부지 내에서 생활하며 교육을 받는 학교 형태이다.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영국, 미국, 스위스 등 여러 국가에서 기숙학교가 발전해 왔으며, 각국은 고유한 특징을 가진 기숙학교 시스템을 운영한다. 기숙학교는 학업 외에도 다양한 활동과 사회화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때로는 사회적, 심리적 문제와 관련되기도 한다. 기숙학교는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학교 - 문법학교
    문법학교는 중세 시대 유럽에서 라틴어 교육을 위해 설립되어 대학교 설립 이후 리버럴 아츠 교육의 입구가 되었으며, 종교 개혁과 기금립 학교법 개혁을 거쳐 학문적 지향의 중등 학교로 발전했고, 현재는 다양한 국가에서 각 지역의 교육 시스템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 유형별 학교 -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은 특정 직업에 필요한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명칭과 형태를 가지며, 대한민국에서는 실용전문학교 또는 직업전문학교가 이에 해당하고 고용노동부의 인가를 받아 실습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며 학점은행제 연계를 통해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
  • 기숙학교 - 이튼 칼리지
    이튼 칼리지는 1440년 헨리 6세가 설립한 영국의 명문 사립 학교로, 윈체스터 칼리지를 모델로 삼아 가난한 소년들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진학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오랜 역사를 통해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고 장학금 제도를 확대하며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 기숙학교 - 윈체스터 칼리지
    윈체스터 칼리지는 1382년 윌리엄 오브 와이컴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명문 사립 학교이며, 흑사병 이후 사제 부족으로 뉴 칼리지, 옥스퍼드의 예비 학교 역할을 했고, 자체 입학 시험을 시행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가르친다.
기숙학교
기본 정보
필립스 아카데미 학생들
필립스 아카데미 학생들
유형사립학교
설립 연도다양함 (문서 참조)
위치다양함 (문서 참조)
특징거주 시설 제공
교사와 학생이 함께 거주하며 생활
정의
기숙학교학생들이 학기 중 학교 내 기숙사에서 거주하는 학교
교직원 역시 캠퍼스 내 거주하는 경우가 많음
역사적 배경
유럽중세 시대 수도원 학교 및 성당 학교에서 유래
귀족 자제 교육을 위해 발전
미국19세기 후반, 도시화와 이민 증가에 따른 사회 변화에 대응
특정 계층 자녀에게 차별화된 교육 제공
교육 방식
특징학업 외 활동 (예: 스포츠, 예술, 봉사) 강조
전인 교육 추구
장점학생과 교사 간 긴밀한 관계 형성
공동체 의식 함양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
단점높은 학비
엄격한 규율
다양한 형태
남녀공학남녀 학생 모두 입학 가능
남학교/여학교특정 성별 학생만 입학 가능
종교 학교특정 종교 재단에서 설립 및 운영
군사 학교군사 훈련 및 교육 제공
저명한 기숙학교 (예시)
영국이튼 칼리지
해로우 스쿨
미국필립스 아카데미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

2. 역사

기숙학교는 다양한 사회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어떤 사회에서는 어린 나이에 입학하고, 어떤 사회에서는 가족 대대로 같은 기숙학교에 보내는 전통이 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기숙학교에 더 많이, 더 오래 다니는 경향이 있다. 소년들을 다른 가족이나 학교에 보내 함께 배우게 하는 관행은 오래되었으며, 고전 문헌과 1,000년 이상 된 영국 기록에도 나타난다.

중세 초기 유럽에서는 수도원이나 대저택의 시동으로 소년들을 보내 가르치는 관행이 발전했다. 캔터베리 왕립학교는 597년경 수도원 학교에서 기원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로 여겨진다. ''크로일랜드 연대기'' 저자는 1050년대 웨스트민스터 학교 학생으로서 에드워드 참회왕의 아내 에디스 여왕에게 문법 시험을 받았던 일을 회상한다.[1] 헨리 8세 치하 수도원 해산으로 수도원 학교들이 해산되었지만, 웨스트민스터 학교는 왕의 특허장으로 보존되었고, 대부분의 학교가 즉시 대체되었다.[2] 1382년 윌리엄 오브 위컴이 설립한 윈체스터 칼리지와 1407년 데이비드 홀바체가 설립한 오스웨스트리 학교는 계속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이다.[3]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영국에서 현대 기숙학교의 시조가 되는 기숙제 학교가 창설되었다.[4] 영국의 기숙학교 제도는 미국과 호주에도 계승되었다.[6] 18세기 제4사분기에는 미국에서도 많은 기숙제 학교가 창설되기 시작했다.[7] 19세기 말 헤르만 리츠는 영국의 기숙 교육을 본받아 독일에 전원 교육사라는 기숙제 교육 기관을 많이 만들었다.[9] 19세기 말 이후 스위스에서도 기숙학교가 생겨나기 시작했다.[10] 이러한 교육 기관은 미국, 오스트리아 등에도 많이 존재한다.[12]

2. 1. 영국

유럽에서는 중세 초기부터 문학적 성직자, 즉 수도원에서 또는 대저택의 시동으로 소년들을 보내 가르치는 관행이 발전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로 여겨지는 캔터베리 왕립학교는 약 597년경 수도원 학교의 발전을 기원으로 한다. ''크로일랜드 연대기''의 저자는 1050년대경 웨스트민스터 학교 학생으로서 수도원 회랑에서 에드워드 참회왕의 아내 에디스 여왕으로부터 문법 시험을 받았던 일을 회상한다.[1] 이러한 수도원 학교는 일반적으로 헨리 8세 치하에서 수도원 해산과 함께 해산되었지만, 웨스트민스터 학교는 왕의 특허장에 의해 특별히 보존되었으며, 대부분의 학교가 즉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2] 1382년에 주교 윌리엄 오브 위컴이 설립한 윈체스터 칼리지와 1407년에 데이비드 홀바체가 설립한 Oswestry School|오스웨스트리 학교영어는 계속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이다.[3]

현대에 이르는 기숙학교의 시조는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영국에서 창설된 기숙제 학교이다.[4]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는 597년에 창설된 캔터베리의 킹스 스쿨이다.)[5] 영국의 기숙학교 제도는 영국과 연관이 깊은 미국과 호주에도 계승되었다.[6] 18세기 제4사분기에는 미국에서도 수많은 기숙제 학교가 창설되기 시작했다.[7] (현존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는 1778년에 창설된 필립스 아카데미이다.)[8] 또한 19세기 말에 헤르만 리츠가 영국의 기숙 교육을 본받아 독일에 전원 교육사라고 불리는 수많은 기숙제 교육 기관을 창설했다.[9] 19세기 말 이후 스위스에서도 기숙학교가 창설되기 시작했다.[10] (현존하는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는 1880년에 창설된 르 로제이다.)[11] 이러한 실천을 본받는 교육 기관은 미국, 오스트리아 등에 다수 존재한다.[12]

영국의 퍼블릭 스쿨은 기숙 학교의 전형이다.[13] 학생의 대부분은 졸업 후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와 같은 명문 고등 교육 기관으로 진학하기 때문에 엘리트·지식 계급을 양성하는 교육 기관으로 여겨진다.[14]

'''영국의 주요 기숙학교'''

설립 연도학교 이름
597년킹스 스쿨
1382년윈체스터 칼리지
1407년Oswestry School|오스웨스트리 학교영어
1440년이튼 칼리지
1567년럭비 스쿨
1572년해로우 스쿨



영국 웨일스 지방에서 일본인 학생을 받고 있는 기숙 학교로는 다음이 있다.


  • 애틀랜틱 칼리지
  • 크라이스트 칼리지 브레콘
  • 런던 국제 예술 고등학교(ISCA)

2. 2. 미국

미국에서는 18세기 제4사분기에 수많은 기숙학교가 창설되기 시작했다. 현존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숙학교는 1778년에 창설된 필립스 아카데미이다.[1] 수업은 소규모로 진행되며, 주로 대화 형식의 토론 수업이 이루어진다. 미국 상류층 자녀들은 부모 곁을 떠나 기숙학교에서 공부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여러 외국(특히 신흥국)에서 정계·재계의 최고위층 및 부유층 자녀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고, 정·재계 인맥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 기숙학교로 유학을 보내는 경향이 있다.

특히 유명한 기숙학교 10곳을 통칭하여 10 스쿨(The Ten Schools)이라고 부른다.

  • 필립스 아카데미
  • 필립스 엑세터 아카데미
  • 디어필드 아카데미
  • 로렌스빌 스쿨
  • 힐 스쿨
  • 세인트 폴 스쿨
  • 루미스 차피 스쿨
  • 초트 로즈마리 홀
  • 태프트 스쿨
  • 호치키스 스쿨
  • 머서스버그 아카데미
  • HPA(하와이 예비 학교)
  • 에피스코팔 고등학교
  • 더 스톰 킹 스쿨
  • 세인트 앤드루스 스쿨
  • 세인트 존스버리 아카데미
  • 쿠싱 아카데미

2. 2. 1. 아메리카 원주민 기숙학교

19세기 말부터 20세기 말까지, 원주민에 대해서는 "인디언 기숙학교"라는, 인디언만을 대상으로 한 기숙학교 입학이 강제되어 민족 정화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칼라일 인디언 산업 학교가 그 첫 번째이다.

2. 3. 캐나다

과거에는 원주민 기숙 학교가 존재했지만 폐교되었다. 캐나다 원주민 기숙 학교

현재는 CAIS(Canadian_Accredited_Independent_Schools|캐나다 사립 학교 협회영어) 가맹 96개교 중 29개교가 주요 기숙 학교이다.

CAIS 가맹교는 IB, A level, AP 중 하나이다.

기본은 영어이지만, 지역에 따라 프랑스어도 필수 과목이다. 학교에 따라 빨간 사자, 녹색 뱀 등 4가지 색상으로 팀을 나누어 연간 포인트를 경쟁하는 하우스 시스템이 있다. 학생 중에서 감독생(Prefect)이 선출된다.

캐나다 국적, 미국 국적, 유학생에 따라 학비가 다르며, 데이 스쿨과 보딩 스쿨에 따라 비용이 다르다. 다음 29개교에서 일본 국적의 경우, 유학생 학비 + 보딩 비용이 된다. (홈스테이 데이 스쿨은 불가하며, 부모가 캐나다에 거주하는 경우에만 데이 스쿨이 허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Albert_College_(Belleville,_Ontario)|앨버트 칼리지영어 (Albert College)
  • Appleby College|애플비 칼리지영어 (Appleby College)
  • Ashbury College|애슈버리 칼리지영어 (Ashbury College)
  • Athol Murray College of Notre Dame|애솔 머레이 노트르담영어 (Athol Murray College of Notre Dame)
  • Balmoral Hall School|발모럴 홀 스쿨영어 (Balmoral Hall School)
  • 비숍 칼리지 스쿨 (Bishop’s College School)
  • The Bishop Strachan School|비숍 스트라찬 스쿨영어 (The Bishop Strachan School)
  • Branksome Hall|브랭섬 홀영어 (Branksome Hall)
  • Brentwood College School|브렌트우드 칼리지 스쿨영어 (Brentwood College School)
  • Glenlyon Norfolk School|글렌라이온 노퍽 스쿨영어 (Glenlyon Norfolk School)
  • Havergal College|헤이벌 칼리지영어 (Havergal College)
  • King's-Edgehill School|킹스 에지힐 스쿨영어 (King's-Edgehill School)
  • Lakefield College School|레이크필드 칼리지 스쿨영어 (Lakefield College School)
  • Pickering College|피커링 칼리지영어 (Pickering College)
  • Queen_Margaret's_School|퀸 마가렛 스쿨영어 (Queen Margaret's School)
  • Ridley_College_(Ontario)|리들리 칼리지영어 (Ridley College)
  • Rosseau Lake College|로소 호수 칼리지영어 (Rosseau Lake College)
  • Rothesay_Netherwood_School|로세이 네더우드 스쿨영어 (Rothesay Netherwood School)
  • Shawnigan Lake School|쇼니건 레이크 스쿨영어 (Shawnigan Lake School)
  • St._Andrew's_College,_Aurora|세인트 앤드류 칼리지영어 (St. Andrew's College)
  • St._George's_School_(Vancouver)|세인트 조지 스쿨영어 (St. George's School)
  • St._John's-Kilmarnock_School|세인트 존스-킬마녹 스쿨영어 (St. John’s-Kilmarnock School)
  • St. John's-Ravenscourt School|세인트 존스-레이븐스 코트 스쿨영어 (St. John's-Ravenscourt School)
  • St._Margaret's_School_(Victoria,_British_Columbia)|세인트 마가렛 스쿨영어 (St. Margaret's School)
  • St._Michaels_University_School|세인트 마이클스 유니버시티 스쿨영어 (St. Michaels University School)
  • Stanstead College|스탠스테드 칼리지영어 (Stanstead College)
  • Trafalgar Castle School|트라팔가 캐슬 스쿨영어 (Trafalgar Castle School)
  • Trinity College School|트리니티 칼리지 스쿨영어 (Trinity College School)
  • Upper Canada College|어퍼 캐나다 칼리지영어 (Upper Canada College)


CAIS 가맹으로 기숙사가 없는 데이 스쿨 67개교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로어 캐나다 칼리지 (Lower Canada Collège)


또한, 최근에는 CAIS 외에도 전 기숙 학교 사립 학교, 인터내셔널 스쿨도 개교하고 있다.

  • UWC Pearson College|피어슨 칼리지영어 (UWC Pearson College)
  • Bodwell High School|보드웰 고등학교영어 (Bodwell High School)
  • 브룩스 웨스트쇼어 (Brookes Westshore)

2. 4. 기타 국가

2015년 기준 중국 대륙의 농촌 지역에는 약 10만 개의 기숙학교가 있으며, 약 3300만 명의 아이들이 그곳에서 생활하고 있다.[30] 중국에서는 일부 아이들이 2세에 기숙학교로 보내지기도 한다.[31] 기숙학교의 대부분은 중국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부 및 중부 중국만큼 부유하지 않다.[32] 많은 이주 노동자와 농부들이 자녀를 기숙학교에 보낸다.[33]

학생 기숙사(자와할 네루 바바디야 비디야라야, 바라반키)


인도에는 사립 기관과 주 및 중앙 정부 기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기숙학교가 존재한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주목할만한 예로는 자와할 네루 바바디야 비디야라야, 에칼라비야 모델 레지덴셜 스쿨, 아쉬람 학교가 있다. 인도 기숙학교는 CBSE, ICSE, IB, NIOS, AISSCE와 같은 다양한 교육 위원회와 제휴하고 있다. 이러한 기관은 주로 영어를 주요 수업 매체로 사용한다.

스위스의 기숙학교는 세계 각국의 학생과 교사로 구성되어 국제성이 높다. 다른 국가의 기숙학교 설립보다 늦게 설립되었으며, 영국식과 미국식 방식을 모두 채택하는 등 다양한 커리큘럼을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르 로제(Le Rosey)
  • 보 소레이 유 칼리지(College Alpin Beau Soleil)
  • 에콜 드 휴머니티(École d’Humanité)
  • 에이글론 칼리지(Aiglon College)
  • 콜레주 뒤 레만(Collège du Léman)
  • 레이신 아메리칸 스쿨(Leysin American School)
  • 타시스 아메리칸 스쿨
  • 세인트 조지스 인터내셔널 스쿨
  • 누벨
  • 샹토멜레
  • 콜레주 샹피테
  • 인스티튜트 몬타나 추겔베르크(Institut Montana Zugerberg)
  • 인스티튜트 몬테 로자(Institut Monte Rosa)
  • 브리야몽 인터내셔널 스쿨(Brillantmont International School)
  • 인스티튜트 아우프 데 로젠베르크(Institut auf dem Rosenberg)
  • 르 리제-몽타나 칼리지(Le Regent Crans Montana College)
  • 프레플루리 (Pré Fleuri) 3세~
  • 라 가렌느 국제학교 (La Garenne École Internationale) 4세~
  • 스위스 공문학원 고등부(Kumon Leysin Academy of Switzerland)
  • 오덴발트슐레


압둘라 2세 국왕의 요청에 따라 2007년 가을, 중동 최초의 남녀 공학 기숙 학교가 설립되었다. 국왕의 모교인 미국 디어필드 아카데미를 본떠, 전체 학생의 약 절반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수업은 주로 영어로 진행되지만, 아랍어는 필수 과목이다.

  • 킹스 아카데미

  • 국제고등학교(NUCB International College)
  • 럭비 스쿨 재팬(Rugby school Japan)
  • 해로우 인터내셔널 스쿨 재팬(Harrow International School Japan)
  •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 ISAK 재팬(UWC ISAK JAPAN)
  • 하쿠바 국제학교(Hakuba International School)
  • 삿포로 세이신 여자 학원 중학교·고등학교
  • 하코다테 라 살 중학교·고등학교
  • 후지 세이신 여자 학원 중학교·고등학교
  • 해양 중등 교육 학교
  • 학교법인 닛세이 학원
  • 국제 고등 전문 학교

3. 특징

"기숙학교"라는 용어는 주로 고전적인 영국의 기숙학교와 이를 모델로 한 전 세계의 많은 기숙학교를 지칭한다.[1] 영국의 기숙학교는 대부분 사립학교이며, 공립학교에 적용되는 국가 교육 과정이나 기타 교육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 그러나 건강 및 안전, 일반 법률에 대한 규정은 존재한다. 어린이, 학교 및 가족부(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는 영국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United Kingdom))와 협력하여 기숙학교를 위한 지침(국가 기숙 표준)을 마련했다.[8]

국가 기숙 표준에 따르면, 학생 2명 이상을 수용하는 기숙사는 학생 수에 4.2m2를 곱하고 1.2m2를 더한 면적이 필요하다. 침대 사이 간격은 최소 0.9m여야 하며, 큐비클은 학생당 창문과 5m2 이상의 공간, 개인 침실은 6m2 이상의 면적이 필요하다. 기숙학교는 모든 기숙생에게 최소 2.3m2의 생활 공간과 학생 10명당 최소 1개의 욕조 또는 샤워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

Charterhouse School


영국의 기숙 학교는 중세 시대에 문해력이 있는 성직자들이 수도원이나 귀족 가문에서 소년들을 교육하기 위해 파견되면서 시작되었다. 12세기 교황은 웨스트민스터와 같은 모든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자선 학교를 설립하도록 명령했고, 퍼블릭 스쿨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19세기까지 거의 전적으로 성직자들이 교직원을 맡았다. 16세기 이후에는 모든 계층의 청소년이 함께 교육받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기숙 예비 학교는 자신들이 진학하는 퍼블릭 스쿨을 반영하며, 특정 학교와 공식적인 관계를 맺기도 한다. 고전적인 영국의 기숙 학교는 대영 제국의 식민지 확장과 함께 인기를 얻었다. 해외 영국 식민지 행정관들은 자녀를 영국 본토의 퍼블릭 스쿨에 보냈고, 현지 통치자들에게도 같은 교육을 제공했다. 기숙 학교는 현지인들이 영국의 이상을 공유하도록 장려하여 제국주의적 목표 달성에 기여했다.

1998년, 영국에는 772개의 사립 기숙 학교가 있었고, 10만 명 이상의 아이들이 다녔다. 영국 아이들의 약 1%가 기숙 학교에 보내지며, 이는 영국 계급 사회에서 중요한 요소이다.[12][13][14] 심지어 5세에서 9세 사이의 어린아이들도 기숙 학교에 보내진다.[15]

둔 스쿨(The Doon School), 데라둔, 인도


인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등 영국 연방 국가 또는 영연방 국가에서는 기숙 학교가 교육의 열망적인 방식 중 하나이다. 가나에서는 대부분의 중등학교가 기숙 학교이다. 뉴질랜드와 스리랑카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여러 공립 학교에 기숙 시설이 있으며, 기숙생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10% 정도이다.

3. 1. 하우스 시스템

전형적인 기숙학교는 학교 부지 내 또는 주변 지역에 여러 개의 별도 기숙사를 가지고 있다.[1] 여러 명의 수석 교직원이 하우스마스터, 하우스미스트리스, 기숙사 부모, 프리펙트, 또는 기숙사 지도교사로 임명되며, 각자는 자신의 '하우스' 또는 기숙사에 거주하는 5명에서 50명 사이의 학생들에 대해 준 부모적인 책임(''in loco parentis'')을 지며, 특히 수업 시간 외에 이러한 책임을 진다.[1] 각 하우스는 종종 영국 또는 영연방 국가에서 ''매트론''으로 알려진 하우스키퍼와 학업 문제에 대한 ''하우스 튜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종종 각 성별의 직원을 제공한다.[1] 미국에서는 기숙학교에 기숙사에 거주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기숙사 부모라고 부른다.[1] 이들은 종종 유지 보수 및 하우스를 관리하는 청소 직원을 두지만, 일반적으로 개별 기숙사와 관련된 튜터는 없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많은 학생들은 종종 교직원의 감독을 덜 받으며, 모니터 또는 프리펙트 시스템은 상급생에게 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한다.[1] 하우스는 쉽게 독특한 특성을 개발하며, 스포츠에서 하우스 간의 건전한 경쟁이 종종 장려된다.[1]

하우스 또는 기숙사에는 일반적으로 스터디-침실 또는 기숙사, 학생들이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는 식당 또는 강당, 도서관 및 숙제를 할 수 있는 칸막이 책상이 포함된다.[1] 하우스는 텔레비전 시청 및 휴식을 위한 공용 공간과 간식을 위한 주방, 때로는 자전거 또는 기타 스포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1] 일부 시설은 여러 하우스 또는 기숙사 간에 공유될 수 있다.[1]

일부 학교에서는 각 하우스에 모든 연령대의 학생들이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프리펙트 시스템이 있어, 나이가 많은 학생들에게 특권과 어린 학생들의 복지에 대한 책임을 부여한다.[1] 다른 학교에서는, 별도의 하우스가 다른 학년 또는 반의 요구를 수용한다.[1] 일부 학교에서는, 통학하는 학생들도 사회 활동 및 스포츠 목적으로 기숙사나 하우스에 배정된다.[1]

캐나다의 경우 학교에 따라 빨간 사자, 녹색 뱀 등 4가지 색상으로 팀을 나누어 연간 포인트를 경쟁하는 하우스 시스템이 있다.

3. 2. 기타 시설

기숙학교는 일반적인 학업 시설 외에도 다양한 과외 활동 시설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시설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음악실
  • 체육관
  • 운동장 및 학교 부지
  • 보트
  • 스쿼시 코트
  • 수영장
  • 영화관
  • 극장
  • 학교 예배당 (부지 내에 위치)


통학 학생들은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방과 후에도 학교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음식의 질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기숙학교는 다양한 종류의 식단 제한 및 선호도에 맞는 메뉴를 제공한다. 일부 학교는 특정 식사(예: 저녁 식사) 또는 특정 요일에 복장 규정을 적용하기도 한다. 학생들은 보통 친구, 팀원, 교직원, 코치와 자유롭게 식사할 수 있으며, 과외 활동 그룹(예: 프랑스 클럽)은 함께 회의와 식사를 할 수 있다. 식당은 종종 수업과 학습이 학생과 교사, 또는 다른 교직원 멘토나 코치 사이에서 계속될 수 있는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일부 학교는 통학 학생에게 조식과 석식을 제공(표준 점심 식사 외)하기도 하며, 다른 학교는 요금을 부과한다.

많은 기숙 학교에는 추가 음식 및 학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교내 매점이나 간이 매점이 있다. 지정된 시간에 음식을 구매할 수 있는 학생 휴게소도 있을 수 있다.

기숙학교에는 응급 처치 또는 기타 응급 의료 지원을 위한 작은 방인 의무실도 갖추고 있다.

3. 3. 시간 관리

각 학생은 개별 시간표를 가지며, 초년생의 경우 학생의 재량은 거의 허용되지 않는다.[2] 기숙생과 통학생은 학교 수업 시간에 함께 수업을 받으며, 대부분의 경우 학교 수업 시간 이후에도 스포츠, 클럽 및 동아리 활동, 소풍을 포함한다.

영국의 기숙학교는 연간 3개의 학기를 가지며, 각 학기는 약 12주로 구성된다. 각 학기 중간에는 며칠간의 휴가가 있어 학생들이 집으로 돌아가거나 학교 밖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또한, 각 학기마다 여러 번의 외출이나 주말이 있어 학생들이 집이나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다(예: 유학생들은 지정된 보호자와 함께 지내거나 호스트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다). 최근에는 기숙 학생들이 집에서 가까운 학교에 다니는 경우가 많아 가족과 자주 만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들은 다른 학교와의 홈 경기에서 학교 스포츠팀을 응원하거나, 음악, 드라마, 연극 공연에 참여할 수 있다. 유학생은 지정된 교육 보호자를 두는 것이 권장된다.[3]

3. 4. 다양한 형태의 기숙학교

기숙학교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모든 기숙형 학교가 "전통적인" 기숙학교는 아니다. 다른 형태의 기숙형 학교는 다음과 같다:

  • 치료 기숙학교: 정서적, 행동적, 약물 남용 또는 학습 장애가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치료와 교육을 결합한다.[4]
  • 씽크 글로벌 스쿨과 같은 이동형 기숙학교: 매 학기마다 학생들을 새로운 도시로 이동하며, 현지 학교와 제휴하여 교육 및 생활 시설을 제공한다.[5]
  • A+ 월드 아카데미와 같은 항해 기숙학교: 배를 기반으로 전 세계를 항해하며 고등학교 교육, 여행, 개인 개발을 결합한다.[5]
  • 야외 기숙학교: 생존 스타일의 야영과 야외 활동을 통해 독립심과 자립심을 가르친다.[6]
  • 기숙 교육 프로그램: 위기에 처한 아동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위한 기숙학교.
  • 학기 학교: 1 학기 동안 집중적인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 노스캐롤라이나 과학 및 수학 학교 또는 인터로켄 예술 아카데미와 같이 특정 학문 분야에 초점을 맞춘 전문 학교.
  • 이스라엘 유스 빌리지: 공동체 생활과 교육을 제공하며, 정해진 시간에 부모와 접촉한다.
  • 공립 기숙학교: 미국에서는 일반 공립 기숙학교가 드물지만, SEED 재단은 워싱턴 D.C.와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공립 차터 기숙학교를 운영했다. 크레인 연합 고등학교는 오리건주 크레인에 있는 시골 공립 기숙학교이다.[7]
  • 목장 학교: 미국 서부에서 흔했던 형태로, 게스트 목장의 측면을 통합했다.


영국의 기숙 학교는 중세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12세기 교황은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자선 학교 설립을 명령했다. 퍼블릭 스쿨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을 반영했으며, 19세기까지 성직자들이 교직원을 맡았다. 16세기 이후 모든 계층의 청소년이 함께 교육받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기숙 예비 학교는 진학하는 퍼블릭 스쿨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고전적인 영국의 기숙 학교는 대영 제국의 식민지 확장과 함께 인기를 얻었다. 해외의 영국 식민지 행정관들은 자녀를 영국 본토의 퍼블릭 스쿨에 보냈고, 현지 통치자들에게도 동일한 교육을 제공했다. 기숙 학교는 현지인들이 영국의 이상을 공유하도록 장려하여 제국주의적 목표 달성에 기여했다.

1998년, 영국에는 772개의 사립 기숙 학교가 있었고, 10만 명 이상의 아이들이 다녔다. 영국 아이들의 약 1%가 기숙 학교에 보내지며, 영국 계급 사회에서 중요한 요소이다.[12][13][14] 5세에서 9세 사이의 어린 아이들도 기숙 학교에 보내진다.[15]

인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등 영국 연방 국가 또는 영연방 국가에서는 기숙 학교가 교육의 열망적인 방식 중 하나이다. 가나에서는 대부분의 중등학교가 기숙 학교이다. 뉴질랜드와 스리랑카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여러 공립 학교에 기숙 시설이 있으며, 이들 학교의 기숙생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10% 정도이다.

4. 사회학적 문제

악타니시 인문계 기숙학교


과거 소련에서는 기숙학교를 인테르나트 학교(Школа-интернат|학교-인테르나트ru)[27]라고 불렀다. 이 학교들은 조직 면에서 다양했는데, 일부는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특수 학교였다. 1960년대 소련 정부는 AESC(고급 교육 과학 센터, СУНЦ -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특수 교육 과학 센터ru)라는 새로운 유형의 기숙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들은 주요 대학교의 일부였으며, 학생들을 대학 진학을 위해 준비시켰다. 현재 러시아에는 모스크바, 노보시비르스크, 예카테린부르크에 단 몇 곳만 남아 있지만, 몇몇 기숙 학교는 여전히 구 소련 공화국에서 운영되고 있다.

일부 엘리트 대학 진학 기숙학교는 사회학자들에 의해 차세대 정치적 상류층사회화 중심지이자 엘리트주의적인 계급 제도를 재생산하는 곳으로 간주된다.[34] 기숙학교는 학생들이 유사한 사회 계층의 사람들과 어울려 올드 보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회화의 중심지로 여겨지며,[34] 학생들은 강한 권리의식과 사회 통제 또는 계층 의식을 내면화하게 된다.[34] (이후 내용은 '사회적 역할 통제와 성별 계층화'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4. 1. 사회적 역할 통제와 성별 계층화

일부 엘리트 대학 진학 기숙학교는 13세에서 18세 사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사회학자들은 이 학교를 차세대 정치적 상류층사회화 중심지이자 엘리트주의적인 계급 제도를 재생산하는 곳으로 간주한다.[34] 이는 권력과 계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들이 자녀의 사회화를 위해 기숙학교를 찾는 요인이 된다.[34] 이러한 가족들은 사회 계급, 계층 및 권력에 대한 권리의식을 공유한다.[34]

기숙학교는 특정 가족들에게 학생들이 유사한 사회 계층의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이른바 올드 보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회화의 중심지로 여겨진다.[34] 엘리트 기숙학교 학생들은 사회를 통제해야 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성장한다.[34] 그들 중 상당수는 사회의 정치 상류층에 진입하거나 국제 금융 및 벤처 캐피털과 같은 분야에서 금융 엘리트에 합류한다.[34] 엘리트 기숙학교 사회화는 학생들이 강한 권리의식과 사회 통제 또는 계층 의식을 내면화하도록 한다.[34] 이러한 형태의 사회화는 피터 쿡슨(Peter Cookson)과 캐롤라인 호지스(Caroline Hodges)가 1985년에 "심층 구조 사회화"라고 불렀다.[34][35] 이는 기숙학교가 학생들의 물리적 삶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삶까지 통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34][35]

기숙학교 설립은 학생들이 청소년기에 침해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적절하고 수용 가능한 행동을 포함하여 삶의 여러 측면과 관련된 행동 통제를 수반한다.[34][35] 이러한 기숙학교 사회화는 학교를 떠난 후에도 사회생활에서 지속된다.[34] 따라서 기숙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이 속해 있거나 속하고자 하는 엘리트 사회 계급의 가치를 고수하게 된다.[34] 닉 더펠(Nick Duffell)은 저서 ''Wounded Leaders: British elitism and the Entitlement Illusion – A Psychohistory''에서 영국 기숙학교 시스템에서 엘리트 교육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엘리트주의, 괴롭힘 및 여성 혐오 문화를 영속시키는 지도자 집단"을 국가에 남긴다고 말한다.[36] 피터 W. 쿡슨 주니어(Peter W Cookson Jr)에 따르면, 예비 기숙학교의 엘리트주의 전통은 현대 경제의 발전과 미국의 자유주의 서부 해안의 정치적 부상으로 인해 쇠퇴했다.[34][35]

기숙학교에서의 통제와 위계에 대한 사회화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고 강한 집착과 경직된 성별 계층화를 발달시킨다.[34][37] 한 연구된 학교에서 사회적 압력은 동조에 대한 압력이 너무 심해서 몇몇 학생들은 학업 성적 향상과 체중 감량을 위해 향정신성 약물인 아데랄과 리탈린과 같은 약물을 남용했다.[34][37] 기숙학교 문화에서 사회화의 뚜렷하고 위계적인 성격은 학생들이 함께 앉아 패거리를 형성하는 방식, 특히 식당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는 만연한 형태의 명시적, 암묵적 괴롭힘과 패거리 간, 개인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이어진다.[34][37] 경직된 성별 계층화와 역할 통제는 부유함과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남학생들이 패거리를 형성하고, 여학생들은 돈을 위해서만 결혼할 것이라고 공공연히 인정하며 부유하거나 유복한 남성만을 남자친구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34][37] 학생들은 감수성과 감정적 반응을 많이 보이지 못하고, 피상적이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수준에서만 가까운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사회적 위계에서 적절하고 높은 순위를 차지하도록 보이는 사회적 행동을 한다.[34][37] 이는 그들의 성별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34][37]

5. 심리학적 문제

엘리트 대학 진학 기숙학교는 13세에서 18세 사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사회학자들은 이러한 학교들이 차세대 정치적 상류층사회화 중심지이자 엘리트주의적인 계급 제도를 재생산하는 곳으로 간주한다.[34] 권력과 계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들은 자녀의 사회화를 위해 기숙학교를 찾는다.[34]

기숙학교는 학생들이 유사한 사회 계층의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올드 보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회화의 중심지로 여겨진다.[34] 엘리트 기숙학교 학생들은 사회를 통제해야 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성장하며,[34] 이들 중 상당수는 사회의 정치 상류층에 진입하거나 국제 금융 및 벤처 캐피털과 같은 분야에서 금융 엘리트에 합류한다.[34] 이러한 "심층 구조 사회화"는[34][35] 기숙학교가 학생들의 물리적, 감정적 삶을 통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34][35]

기숙학교 설립은 학생들이 청소년기에 침해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행동 통제를 수반하며,[34][35] 이러한 사회화는 학교를 떠난 후에도 지속된다.[34] 닉 더펠(Nick Duffell)은 영국 기숙학교 시스템의 엘리트 교육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엘리트주의, 괴롭힘 및 여성 혐오 문화를 영속시키는 지도자 집단"을 남긴다고 주장한다.[36]

기숙학교에서의 통제와 위계에 대한 사회화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은 집착과 경직된 성별 계층화를 발달시킨다.[34][37] 일부 학생들은 학업 성적 향상과 체중 감량을 위해 향정신성 약물인 아데랄과 리탈린 등을 남용하기도 한다.[34][37] 기숙학교 문화의 위계적 성격은 식당에서 학생들이 패거리를 형성하는 방식에서 두드러지며, 이는 명시적, 암묵적 괴롭힘과 과도한 경쟁으로 이어진다.[34][37] 경직된 성별 계층화와 역할 통제는 남학생들이 부와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패거리를 형성하고, 여학생들은 부유한 남성만을 남자친구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34][37] 학생들은 감정 표현에 제약을 받고, 피상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회적 위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기 위한 행동을 한다.[34][37]

5. 1. 전체 시설과 아동 이주

과거 소련에서는 이러한 학교를 때때로 인테르나트 학교(Школа-интернат|학교-인테르나트ru)[27]라고 불렀다. 이 학교들은 조직 면에서 다양했다. 일부 학교는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특수 학교였고, 1960년대 소련 정부는 AESC - 고급 교육 과학 센터(СУНЦ -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특수 교육 과학 센터ru)라는 새로운 유형의 기숙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들은 주요 대학교의 일부였으며, 학생들을 대학 공부에 준비시켰다. 현재 러시아에는 몇 곳만 남아 있지만, 몇몇 기숙 학교는 여전히 구 소련 공화국에서 운영되고 있다.[27]

다른 학교들은 고아원과 연관되어 있었고,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기숙 학교도 설립되었다. 일반 학교는 "연장 체류" 프로그램(Группа продленного дня|그룹파 프로들룐노보 드냐ru)을 제공하여 아이들에게 저렴한 식사를 제공하고, 부모가 퇴근하기 전에 너무 일찍 집에 가는 것을 막았다.[27]

일부 엘리트 대학 진학 기숙학교는 13세에서 18세 사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사회학자들은 이 학교를 차세대 정치적 상류층사회화 중심지이자 엘리트주의적인 계급 제도를 재생산하는 곳으로 간주한다.[34] 이는 권력과 계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들이 자녀의 사회화를 위해 기숙학교를 찾는 요인이 된다.[34]

기숙학교는 학생들이 유사한 사회 계층의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올드 보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회화의 중심지로 여겨진다.[34] 엘리트 기숙학교 학생들은 사회를 통제해야 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성장하며,[34] 사회의 정치 상류층이나 국제 금융 및 벤처 캐피털과 같은 분야에서 금융 엘리트에 합류한다.[34] 엘리트 기숙학교 사회화는 학생들이 강한 권리의식과 사회 통제 또는 계층 의식을 내면화하도록 한다.[34] 이러한 형태의 사회화는 피터 쿡슨(Peter Cookson) & 캐롤라인 호지스(Caroline Hodges) (1985)에 의해 "심층 구조 사회화"라고 불린다.[34][35] 이는 기숙학교가 학생들의 물리적 삶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삶까지 통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34][35]

기숙학교 설립은 학생들이 청소년기에 침해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행동 통제를 수반한다.[34][35] 이러한 기숙학교 사회화는 학교를 떠난 후에도 사회생활에서 지속된다.[34] 닉 더펠(Nick Duffell)은 저서 ''Wounded Leaders: British elitism and the Entitlement Illusion – A Psychohistory''에서 영국 기숙학교 시스템에서 엘리트 교육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엘리트주의, 괴롭힘 및 여성 혐오 문화를 영속시키는 지도자 집단"을 국가에 남긴다고 말한다.[36] 피터 쿡슨(Peter W Cookson Jr) (2009)에 따르면, 예비 기숙학교의 엘리트주의 전통은 현대 경제의 발전과 미국의 자유주의 서부 해안의 정치적 부상으로 인해 쇠퇴했다.[34][35]

기숙학교에서의 통제와 위계에 대한 사회화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고 강한 집착과 경직된 성별 계층화를 발달시킨다.[34][37] 한 연구된 학교에서 사회적 압력은 동조에 대한 압력이 너무 심해서 몇몇 학생들은 향정신성 약물인 아데랄과 리탈린과 같은 약물을 남용했다.[34][37] 기숙학교 문화에서 사회화의 뚜렷하고 위계적인 성격은 학생들이 함께 앉아 패거리를 형성하는 방식, 특히 식당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는 만연한 형태의 명시적, 암묵적 괴롭힘과 패거리 간, 개인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이어진다.[34][37] 경직된 성별 계층화와 역할 통제는 부유함과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남학생들이 패거리를 형성하고, 여학생들은 돈을 위해서만 결혼할 것이라고 공공연히 인정하며 부유하거나 유복한 남성만을 남자친구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34][37] 학생들은 감수성과 감정적 반응을 많이 보이지 못하고, 피상적이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수준에서만 가까운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사회적 위계에서 적절하고 높은 순위를 차지하도록 보이는 사회적 행동을 한다.[34][37]

기숙학교에 아이들을 보내는 것은 가족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주장되지만, 이는 총체적 시설[38]로 간주될 수 있는 곳에서 어린 시절의 상당 부분을 보내는 것을 수반하며, 사회 심리학자 어빙 고프먼이 시사한 바와 같이 사회적 단절을 경험할 수 있다.[38] 이는 부모와 문화로부터 장기간 떨어져 지내는 것을 수반하여 향수병[39][40][41]과 정서적 유기[10][11][15]를 경험하게 할 수 있으며, 'TCK' 또는 제3문화 아이라고 알려진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42]

구성주의와 오르프 슐베르크 및 스즈키 메소드를 포함한 아동을 위한 새로운 음악 교육 방법과 같은 몇몇 현대 교육 철학은 아동과 부모의 일상적인 상호 작용을 훈련과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만든다. 아동에게 분리는 모성 박탈을 수반한다.[44] 유럽 연합캐나다 프로젝트 "국경을 넘는 아동 복지"(2003)[9], 아동 발달에 관한 국제적인 사업으로, 기숙학교를 아동의 영구적 이주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9]

기숙학교에 입학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통계적 비율, 특정 국가의 기숙학교에 다니는 전체 아동 수, 아동이 기숙학교에 보내지는 시기의 평균 연령, 기숙학교 학생의 평균 교육 기간(년)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아이들을 기숙학교에 보내는 모든 상황이나 모든 이유에 대한 증거 또는 연구도 거의 없다.[14]

5. 2. 기숙학교 증후군

'기숙학교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2011년 심리치료사 조이 샤버리엔에 의해 만들어졌다.[45] 이 용어는 어린 나이에 기숙학교에 보내진 성인에게서 관찰되는 일련의 지속적인 심리적 문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조이 샤버리엔의 관찰은 기숙학교 출신인 조지 몬비오트에 의해 지지되며, 그는 영국의 정부 기능 장애의 일부를 기숙학교에 기인한다고 주장하기까지 한다.[46] 영국의 심리치료사 닉 더펠은 기숙학교 분리를 경험한 성인을 '기숙학교 생존자'라고 부른다. 그는 이러한 개인들이 관계로부터의 소외감, 워커홀리즘, 강박적인 행동, 통제하려는 경향과 같은 행동을 보인다고 묘사했다.[47]

일부 엘리트 대학 진학 기숙학교는 13세에서 18세 사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사회학자들은 이 학교를 차세대 정치적 상류층사회화 중심지이자 엘리트주의적인 계급 제도를 재생산하는 곳으로 간주한다.[34] 이는 권력과 계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들이 자녀의 사회화를 위해 기숙학교를 찾는 요인이 된다.[34] 이러한 가족들은 사회 계급, 계층 및 권력에 대한 권리의식을 공유한다.[34]

기숙학교는 특정 가족들에게 학생들이 유사한 사회 계층의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이른바 올드 보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회화의 중심지로 여겨진다.[34] 엘리트 기숙학교 학생들은 사회를 통제해야 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성장한다.[34] 그들 중 상당수는 사회의 정치 상류층에 진입하거나 국제 금융 및 벤처 캐피털과 같은 분야에서 금융 엘리트에 합류한다.[34] 엘리트 기숙학교 사회화는 학생들이 강한 권리의식과 사회 통제 또는 계층 의식을 내면화하도록 한다.[34]

기숙학교에서의 통제와 위계에 대한 사회화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고 강한 집착과 경직된 성별 계층화를 발달시킨다.[34][37] 한 연구된 학교에서 사회적 압력은 동조에 대한 압력이 너무 심해서 몇몇 학생들은 학업 성적 향상과 체중 감량을 위해 향정신성 약물인 아데랄과 리탈린과 같은 약물을 남용했다.[34][37] 기숙학교 문화에서 사회화의 뚜렷하고 위계적인 성격은 학생들이 함께 앉아 패거리를 형성하는 방식, 특히 식당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는 만연한 형태의 명시적, 암묵적 괴롭힘과 패거리 간, 개인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이어진다.[34][37] 경직된 성별 계층화와 역할 통제는 부유함과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남학생들이 패거리를 형성하고, 여학생들은 돈을 위해서만 결혼할 것이라고 공공연히 인정하며 부유하거나 유복한 남성만을 남자친구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34][37] 학생들은 감수성과 감정적 반응을 많이 보이지 못하고, 피상적이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수준에서만 가까운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사회적 위계에서 적절하고 높은 순위를 차지하도록 보이는 사회적 행동을 한다.[34][37]

기숙학교에 아이들을 보내는 것은 가족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주장된다. 그러나 이는 총체적 시설[38]로 간주될 수 있는 곳에서 어린 시절의 상당 부분을 보내는 것을 수반하며, 사회 심리학자 어빙 고프먼이 시사한 바와 같이 사회적 단절을 경험할 수 있다.[38] 이는 부모와 문화로부터 장기간 떨어져 지내는 것을 수반하여 향수병[39][40][41]과 정서적 유기[10][11][15]를 경험하게 할 수 있으며, 'TCK' 또는 제3문화 아이라고 알려진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42]

6. 대중문화 속 기숙학교

일본에는 NUCB 국제 칼리지[29]와 같이 사립 기관에서 운영하는 여러 국제 기숙 학교가 있다. 이 학교들은 IB, A-Level, 일본 학교 교육법 제1조 등 다양한 교육 위원회와 관련이 있으며, 주로 영어를 사용하여 교육한다.

기숙학교는 문학,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중요한 배경이나 소재로 등장한다.

6. 1. 문학

기숙학교와 그 주변 환경, 상황은 빅토리아 시대 후반에 자체적인 관례를 가진 영국 문학의 한 장르가 되었다. 전형적으로 주인공들은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명예로운 이유로 학교 규칙을 어겨야 할 때가 있고 발각되면 심한 처벌을 받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학교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반란을 시작하지는 않는다.[34]

학교 이야기의 주목할 만한 예는 다음과 같다.

작가작품명발표 연도비고
사라 필딩The Governess, or The Little Female Academy1749년
찰스 디킨스니콜라스 니클비1838년연재 소설
샬럿 브론테제인 에어1847년
샬럿 브론테빌레트1853년
토마스 휴즈톰 브라운의 학창 시절1857년
프레데릭 W. 패러에릭, 혹은 조금씩1858년이 주제에 대한 특히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처리
L. T. 미드A World of Girls1886년외 다수
라우르 폼페이아O Ateneu1888년동성애 문제를 노골적으로 다룸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Sara Crewe: or what Happened at Miss Minchins''1887년작은 공주(1905)로 개정 및 확장
프랭크 리차드 (필명)그레이프라이어스 학교1910년빌리 번터 등장, 총 1,670편
건비 하다스소년 학교 소설 다수-
엘리너 브렌트-다이어샬레 학교 시리즈1925년 ~ 1970년약 60편
에리히 케스트너날으는 교실 (Das Fliegende Klassenzimmer)1933년비영국적인 예
제임스 힐턴굿바이, 미스터 칩스1934년교사 중심
루드비히 베멜만스마들렌 시리즈1939년 ~ 현재어린이 그림책
애거사 크리스티비둘기 사이의 고양이1959년여학생 기숙 학교 배경 살인 사건
페넬로페 파머샬롯 서머타임1969년
질 머피최악의 마녀 시리즈1974년 ~마법 학교 배경
다이아나 윈 존스마녀의 주간1982년마법 사용 금지, 라우드 하우스 배경
J. K. 롤링해리 포터 시리즈1997년 ~ 2007년호그와트 마법학교 배경
제니 니모붉은 왕의 아이들 시리즈2002년 ~ 2009년블로 아카데미 배경
리바 브레이젬마 도일 삼부작 1, 2권2003년, 2006년
에니드 블라이턴말로리 타워, 세인트 클레어, 가장 못된 소녀 시리즈-
존 반 데 루이트스퍼드 및 영화 시리즈-마이클하우스 기반 학교 배경



조지 오웰의 에세이 "소년 주간지"는 1940년에 프랭크 리차드가 공립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독자들에게 공립 학교 이야기에 대한 취향을 만들었다고 제안했다.

이 설정은 주목할 만한 북미 소설에도 등장한다.

작가작품명발표 연도
J.D. 샐린저호밀밭의 파수꾼1951년
존 노울스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1959년
존 노울스평화가 깨지다1981년
로버트 코르미에초콜릿 전쟁1974년
데이비드 포스터 월러스무한한 농담1996년
에드워드 케이스타 아카데미2009년
존 그린알래스카를 찾아서2006년



190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영국 만화와 연재물에는 수집되지 않은 거대한 기숙 학교 장르 문학도 있다.

군사 또는 해군 사관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책과 영화의 하위 장르는 위와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6. 2. 영화 및 TV

기숙학교 생활은 학생들이 24시간 함께 생활하며 학업, 수면, 사교 활동을 하기 때문에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34] 이는 과도한 경쟁, 오락용 약물 사용 및 심리적 우울증의 형태로 나타나며, 때로는 자살 또는 자살 시도로 나타날 수 있다.[34]

다음은 기숙학교를 배경으로 하거나 기숙학교가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는 영화 및 TV 프로그램 목록이다.

제목연도
톰 브라운의 기숙학교1916
기숙사의 소녀들1931
굿바이 미스터 칩스1939
톰 브라운의 기숙학교1940
A Yank at Eton1942
기니피그1948
가장 행복한 날들1950
브라우닝 버전1951
톰 브라운의 기숙학교1951
세인트 트리니안의 벨스1954
세인트 트리니안의 블루 머더1957
세인트 트리니안의 순수한 지옥1960
아이들의 시간1961
특별한 우정1964
위대한 세인트 트리니안의 열차 강도1966
천사의 문제1966
영 토를레스1966
바람도 두려워한다1968
만약에...1968
굿바이 미스터 칩스1969
톰 브라운의 기숙학교1971
캔디 캔디1976
너는 혼자가 아니다1978
팩츠 오브 라이프1979–1988
세인트 트리니안의 와일드캐츠1980
탭스1981
핑크 플로이드 - 더 월1982
클래스1983
또 다른 나라1984
초콜릿 워1988
죽은 시인의 사회1989
파워 오브 원1992
여인의 향기1992
스쿨 타이스1992
브라우닝 버전1994
작은 아씨들1995
보이즈1996
포네트1996
마들렌1998
영 아메리칸스2000
로스트 앤 딜리어스2001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2001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002
케디트 켈리2002
와일드 손베리 무비2002
엠퍼러스 클럽2002
반항의 길2002–2004
블레이크 홀시 고등학교의 이상한 날들2002–2006
코드 리오코2003–2007
'댓ll 티치 2003–2006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2004
유희왕 GX2004–2008
Winx Club2004–2019
코러스2004
나쁜 교육2004
해리 포터와 불의 잔2005
조이 1012005–2008
쉬즈 더 맨2006
아름다운 그대에게2006
5ive Girls2006
사안!2006
러빙 아나벨2006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2007
엘 인터나도2007–2010
세인트 트리니안스2007
아름다운 그대에게2007
지상의 별처럼2007
와일드 차일드2008
프롬 워즈2008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2009
아처2009–2023
크랙스2009
태너 홀2009
세인트 트리니안스 2: 프리튼의 금화 전설2009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1부2010
스퍼드2010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2011
모스 다이어리2011
바비: 프린세스 참 스쿨2011
아누비스의 집2011–2013
우리들의 불은 아직 타오른다2013
에버 애프터 하이2013–2016
디센던츠2015
디센던츠: 비밀의 학교2015
디센던츠: 사악한 세상2015–2017
DC 슈퍼 히어로 걸스2015–2018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2016
디센던츠 22017
레거시2018–2022
디센던츠 32019
디센던츠: 로열 웨딩2021
페이트: 윙스의 전설2021–2022
기숙학교: 라스 쿰브레스2021–2023
영 로열스2021–2024
포켓몬스터: 어드벤처2023–현재
디센던츠: 레드의 부상2024


6. 3. 비디오 게임

참조

[1] 서적 Rise of the public schools: a study of boys public boarding schools in England and Wales from 1837 to the present day Nelson
[2] 서적 Linton Hall Cadet, Linton Hall Military School Memories: One cadet's memoir Scrounge Press
[3] 웹사이트 YES Guardians - Premier Educational Guardianship for International Students https://www.yesguard[...] YES Guardians 2022-09-14
[4] 뉴스 A Business Built on the Troubles of Teenagers https://www.nytimes.[...] 2005-08-17
[5] 웹사이트 What is TGS? http://thinkglobalsc[...] Think Global School
[6] 웹사이트 Wilderness Therapy Program, Therapeutic Boarding School for Troubled Boys https://www.woodcree[...] Woodcreek Academy
[7] 웹사이트 The Oregon Story. Rural Voices: Three Days at Crane. Crane High School – OPB http://www.opb.org/p[...]
[8] 웹사이트 Boarding Schools – National Minimum Standards / Inspection Regulations http://www.dh.gov.uk[...] TSO 2002-03
[9] 웹사이트 CWAB – Session 6.2 – Reasons for displacement http://www.sws.soton[...] European Union – Canada project Child welfare across borders
[10] 서적 The Making of Them. The British Attitude to Children and the Boarding School System Lone Arrow Press
[11] 논문 Boarding School: The Trauma of the Privileged Child
[12] 서적 Residential services for children: definitions, numbers, and classifications Chapin Hall Center for Children
[13] 서적 Caring for Children away from Home Wiley and Son
[14] 논문 The impact of residential placement on child development: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15] 논문 Discussion of Trauma at the Threshold: The Impact of Boarding School on Attachment in Young Children
[16] 논문 Review of "American Boarding Schools: A Historical Study" https://www.jstor.or[...] 1973-09
[17] 서적 Youth from Every Quarter: A Bicentennial History of Phillips Academy, Andover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8] 서적 The History of Milton, Mass.: 1640 to 1887 https://books.google[...] Press of Rockwell and Churchill
[19] 서적 Financial History of Lawrence Academy at Groton, Massachuset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Boarding Schools with the Oldest Founding Date (2017–2018) https://www.boarding[...]
[21] 논문 The influence of the academy in Western Massachusetts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2] 웹사이트 Lawrenceville School {{NHLS url|id=860001[...] National Park Service 1985-07
[23] 서적 Find the Promise: Middlesex School, 1901-2001 Middlesex School
[24] 뉴스 Disadvantaged Students Outnumbered at Top Public Boarding Schools https://www.edweek.o[...] 2016-10-26
[25] 웹사이트 How to Educate Traumatized Students https://www.theatlan[...] 2015-12-26
[26] 서적 Education for Extinction: American Indians and the Boarding School Experience, 1875–1928 University of Kansas Press
[27] 문서 Google Translate
[28] 웹사이트 The most expensive boarding school in the world https://nypost.com/2[...] 2015-01-28
[29] 뉴스 NUCB International College: A World-class International Boarding High School to Open in Japan https://www.business[...] 2022-04-20
[30] 뉴스 China's Dickensian Boarding Schools https://www.bloomber[...] 2015-04-06
[31] 뉴스 Asia-Pacific | Private school for China's youngest http://news.bbc.co.u[...] 2004-06-10
[32] 문서
[33] 뉴스 Search for justice after China school abuse https://www.bbc.com/[...] 2015-04-06
[34] 백과사전 Boarding Schoo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9-15
[35] 서적 Preparing For Power: America's Elite Boarding School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987-09-30
[36] 뉴스 Why boarding schools produce bad leaders https://www.theguard[...] 2014-06-09
[37] 서적 Perfectly Prep: Gender Extremes at a New England Prep School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26
[38] 서적 Asylums: Essays on the Social Situation of Mental Patients and Other Inmates Doubleday Anchor
[39] 논문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homesickness and confiding among students
[40] 논문 Homesickness and health in boarding school children
[41] 논문 The phenomenology of homesickness in boys
[42] 서적 Third Culture Kids Nicholas Brealey Publishing/Intercultural Press
[43] 서적 Goodbye to All That Penguin Modern Classics
[44] 서적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Penguin
[45] 논문 Boarding School Syndrome: Broken Attachments A Hidden Trauma 2011-05
[46] 웹사이트 The Unlearning https://www.monbiot.[...] 2019-11-11
[47] 웹사이트 The damage that boarding schools do https://www.theguard[...] 2014-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