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 (아일랜드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누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이름은 '다누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투아하 데 다난에서 유래되었다. 다누의 어원은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19세기부터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예술적 기술을 의미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와 연관되었다는 설, 라틴어 'bonus'와 같은 어근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신화 속에서 다누는 아누, 다난드, 그리고 다산과 연관되어 있으며, 켈트족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웨일스 신화의 돈과 유사성을 가지며, 현대 학자들은 다누를 어머니 여신으로 여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겨울의 신 - 게쉬티난나
게쉬티난나는 수메르 신화에서 '하늘의 포도'라는 뜻을 가진 여신으로, 저승의 서기관, 꿈의 해석, 농경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오빠 두무지에 대한 헌신과 사랑으로 알려져 초기 왕조 시대부터 숭배되었으나 전반적인 중요성은 낮은 여신이다. - 겨울의 신 - 현무
현무는 북방을 수호하는 수신으로, 검은색과 물을 상징하며, 거북과 뱀의 모습 또는 검은 옷을 입은 남자로 묘사되며, 장수와 생식,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며, 중국과 한국, 일본 등에서 숭배되었다. - 아일랜드의 여신 - 메브
메브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코노트의 여왕으로, 쿨리의 소 쟁탈을 일으키고 쿠 훌린과 대립하며 주권 여신으로 해석된다. - 아일랜드의 여신 - 브리이드
브리이드(Brígid)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시, 대장장이, 치유, 가축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숭배받았으며, 기독교 성녀 브리지다와 혼합되어 킬데어의 성스러운 불과 관련되기도 한다. - 땅의 신 - 가이아
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땅 그 자체를 의인화한 대지의 여신으로, 혼돈에서 태어난 태초의 신이자 우라노스와 결합하여 여러 신과 괴물의 어머니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숭배받으며 신화와 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땅의 신 - 큰메기
일본 신화와 전설에서 지진을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지는 큰메기는 땅속에 살며 가시마 신궁의 신이 요석으로 억누르고 있다는 전설과 에도 시대 메기 그림 유행, 현대 지진 대비 활동 및 대중 문화 활용 등의 특징을 지닌다.
다누 (아일랜드 신화)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신들의 어머니 모든 신들의 어머니 |
문화 | 켈트 신화 |
지역 | 아일랜드 |
배우자 | 빌레 |
가족 | 아버지: 델바에스 남편: 빌레 형제자매: 에른마스, 에른다스 어머니: 아나 자녀: 다나안 |
관련 신 | 아나 도나 단 |
로마자 표기 | Danu |
신화적 정보 | |
역할 | 신들의 어머니 풍요의 여신 |
상징 | 풍요 |
관련 장소 | 아일랜드 |
신화 | 다누는 투아하 데 다난의 어머니 신으로 여겨짐 |
어원 | 이름의 어원은 '흐름' 또는 '천상의 강'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 |
2. 어원
''다누''라는 이름의 가설적인 주격 형태는 중세 아일랜드어 텍스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현대 학자들은 소유격인 ''Danann''(또는 ''Donand'', ''Danand''로 표기)을 기반으로 이 이름을 재구성했다. ''Danann''은 주요 자료에서 유일하게 확인되는 형태이다(예: 아일랜드 신들의 집단 이름인 ''투아하 데 다난'' "다누의 부족/사람들"에서).[4] 아일랜드 신화에서 아누(때로는 ''Anann'' 또는 ''Anand''로 표기)는 여신인데, 그녀는 독자적인 여신일 수도 있고, 다누의 다른 이름일 수도 있다.[5]
다누는 중세 아일랜드 텍스트에 관련 신화나 전설이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도나우강(Danuvius), 드네스트르강, 드니프로강, 돈강 등의 지명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어, 켈트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이 이름의 어원은 19세기부터 많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초기 학자들은 이 이름을 베다의 물의 여신 다누와 연결하는 것을 선호했다. 다누(아수라)의 이름은 "흐르다, 흐르다"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dʰenh₂-''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뉴브의 고대 이름인 ''Danuuius''의 기원이 되었을 수도 있다. 이 이름은 아마도 켈트어에서 유래했지만, 켈트어에서 초기 스키타이어 차용어일 가능성도 있다.[6][2]
맥클라우드는 다누를 예술적 기술을 의미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 ''dán''과 연결한다. 초창기 아일랜드에서 장인과 기타 숙련된 노동자는 ''aes dánaˆ,'' 또는 "기술을 가진 사람들"로 알려졌다.[2]
언어학자 에릭 햄프는 2002년 ''다누'' 이름에 대한 연구에서 전통적인 어원들을 거부하고, ''*Danu''가 라틴어 ''bonus''(고대 라틴어 ''duenos'')와 동일한 어근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했다. 즉, 원시 인도유럽어 ''*dueno-'' "좋은"에서 원시 켈트어 주격 단수 n-어간 ''*Duonū''("귀족")를 거쳐 유래했다는 것이다.[7]
도나우강(Danube) (라틴어: Danuvius), 드네스트르강(Dniester), 드니프로강(Dniepr), 돈강(Don)과 같은 지명의 흔적을 근거로, 다누는 아마도 켈트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것이다.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아수라 신족의 '다누'(Danu)라는 이름을 가진 여신이 켈트 신화의 다누와도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이 여신은 매우 오래된 시대의 인도유럽 신화의 기원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dhanu'라는 이름은 원래 'swift(신속함)'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3. 신화 속 모습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아수라 신족의 여신 '다누'(Danu)와 켈트 신화의 다누가 관련 있다는 점은, 이 여신이 매우 오래된 인도유럽 신화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dhanu'라는 이름은 원래 'swift(신속함)'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3. 1. 아누(Anu)와의 관계
《코르마크의 용어집》은 《에린 침략의 서》보다 앞선 텍스트로, 여신 아누를 신들의 어머니로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다누가 아누와 동일 인물이며 같은 여신이라고 주장한다.[2] 이는 또한 일부 학자들이 아누의 별칭이라고 말하는 모리안과 다누를 연결할 수 있다.[2]
아일랜드 텍스트에서 다누와 가장 가까운 인물은 델바에스의 딸인 다난드일 것이다.[2] 《에린 침략의 서》에서 투아하 데 다난은 다난드와 델바에스의 세 아들인 브리안, 유카르, 유카르바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셋은 "다난의 신들"이라고 불린다.[8][2] 맥레오드는 다누의 세 아들이 장인 신들인 고이브뉴, 루크타, 크레드네에 더 잘 어울릴 수 있으며, 다누의 신들은 그들을 지칭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다누의 다산과의 연관성은 "젖꼭지"를 의미하는 다누의 젖꼭지(아누의 젖꼭지라고도 함)와 관련하여 볼 수 있다.[2]
또 다른 가능한 일치는 《코달》에 관한 딘헨차스 시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가난의 아내인 다나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나인은 고른이라는 딸의 어머니이다.[2]
일부 텍스트에서는 다누를 투아하 데 다난의 반투아타흐(마녀 또는 마법사) 또는 반드루이(여성 드루이드)로 기록하고 있다.[2] 도나우강, 드네스트르강, 드니프로강, 돈강과 같은 지명의 흔적을 근거로, 다누는 아마도 켈트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아수라 신족의 '다누'(Danu)라는 이름을 가진 여신이 켈트 신화의 다누와도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이 여신이 매우 오래된 시대의 인도유럽 신화의 기원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dhanu'라는 이름은 'swift(신속함)'라는 의미를 원래 가진 것으로 보인다.
3. 2. 다난드(Danand)와의 관계
코르마크의 용어집은 에린 침략의 서보다 앞선 텍스트로, 여신 아누를 신들의 어머니로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다누가 아누와 동일 인물이며 같은 여신이라고 주장한다.[2] 이는 또한 일부 학자들이 아누의 별칭이라고 말하는 모리안과 다누를 연결할 수 있다.[2]
아일랜드 텍스트에서 다누와 가장 가까운 인물은 델바에스의 딸인 다난드일 것이다.[2] 에린 침략의 서에서 투아하 데 다난은 다난드와 델바에스의 세 아들인 브리안, 유카르, 유카르바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셋은 "다난의 신들"이라고 불린다.[8][2] 맥레오드는 다누의 세 아들이 장인 신들인 고이브뉴, 루크타, 크레드네에 더 잘 어울릴 수 있으며, 다누의 신들은 그들을 지칭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다누의 다산과의 연관성은 "젖꼭지"를 의미하는 다누의 젖꼭지(아누의 젖꼭지라고도 함)와 관련하여 볼 수 있다.[2]
또 다른 가능한 일치는 《코달》에 관한 딘헨차스 시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가난의 아내인 다나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나인은 고른이라는 딸의 어머니이다.[2]
일부 텍스트에서는 다누를 투아하 데 다난의 반투아타흐(마녀 또는 마법사) 또는 반드루이(여성 드루이드)로 기록하고 있다.[2]
3. 3. 다산과의 연관성
《코르마크의 용어집》은 《에린 침략의 서》보다 앞선 텍스트로, 여신 아누를 신들의 어머니로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다누가 아누와 동일 인물이며 같은 여신이라고 주장한다.[2] 이는 또한 일부 학자들이 아누의 별칭이라고 말하는 모리안과 다누를 연결할 수 있다.[2]
아일랜드 텍스트에서 다누와 가장 가까운 인물은 델바에스의 딸인 다난드일 것이다.[2] 에린 침략의 서에서 투아하 데 다난은 다난드와 델바에스의 세 아들인 브리안, 유카르, 유카르바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셋은 "다난의 신들"이라고 불린다.[8][2] 맥레오드는 다누의 세 아들이 장인 신들인 고이브뉴, 루크타, 크레드네에 더 잘 어울릴 수 있으며, 다누의 신들은 그들을 지칭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다누의 다산과의 연관성은 "젖꼭지"를 의미하는 다누의 젖꼭지(아누의 젖꼭지라고도 함)와 관련하여 볼 수 있다.[2]
또 다른 가능한 일치는 《코달》에 관한 딘센차스 시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가난의 아내인 다나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나인은 고른이라는 딸의 어머니이다.[2]
3. 4. 기타 자료
《코르마크의 용어집》은 《에린 침략의 서》보다 앞선 텍스트로, 여신 아누를 신들의 어머니로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다누가 아누와 동일 인물이며 같은 여신이라고 주장한다.[2] 이는 또한 일부 학자들이 아누의 별칭이라고 말하는 모리안과 다누를 연결할 수 있다.[2]
아일랜드 텍스트에서 다누와 가장 가까운 인물은 델바에스의 딸인 다난드일 것이다.[2] 《에린 침략의 서》에서 투아하 데 다난은 다난드와 델바에스의 세 아들인 브리안, 유카르, 유카르바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셋은 "다난의 신들"이라고 불린다.[8][2] 맥레오드는 다누의 세 아들이 장인 신들인 고이브뉴, 루크타, 크레드네에 더 잘 어울릴 수 있으며, 다누의 신들은 그들을 지칭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2]
다누의 다산과의 연관성은 "젖꼭지"를 의미하는 다누의 젖꼭지(아누의 젖꼭지라고도 함)와 관련하여 볼 수 있다.[2]
또 다른 가능한 일치는 《코달》에 관한 딘센차스 시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가난의 아내인 다나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다나인은 고른이라는 딸의 어머니이다.[2]
일부 텍스트에서는 다누를 《투아하 데 다난》의 《반투아타흐》(마녀 또는 마법사) 또는 《반드루이》(여성 드루이드)로 기록하고 있다.[2] 도나우강, 드네스트르강, 드니프로강, 돈강과 같은 지명의 흔적을 근거로, 다누는 아마도 켈트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아수라 신족의 '다누'(Danu)라는 이름을 가진 여신이 켈트 신화의 다누와도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이 여신이 매우 오래된 시대의 인도유럽 신화의 기원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dhanu'라는 이름은 'swift(신속함)'라는 의미를 원래 가진 것으로 보인다.
4. 웨일스 신화와의 유사성
마비노기온에 등장하는 웨일스 전설 속 인물 돈은 다누와 유사점을 보이는데,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돈을 신화 속의 어머니 여신으로 여긴다.[9] 돈의 이름이 강을 가리키는 어원에서 유래했다는 이론은 이를 뒷받침한다.[2] 돈의 자녀 중 한 명이 고이비우에 해당하는 웨일스 인물인 고파논이라는 사실은, 다누와 관련된 기술의 신들이 고이비우와 그의 두 형제라는 이론을 뒷받침한다.[5]
그러나 마비노기온에서 돈의 성별은 명시되지 않았으며, 일부 중세 웨일스 고대 연구가들은 돈을 남성으로 추정했다.[10]
참조
[1]
서적
2011
[2]
서적
2018
[3]
서적
1915
[4]
서적
1998
[5]
서적
1998
[6]
서적
2006
[7]
서적
2002
[8]
서적
LGE
[9]
서적
1999
[10]
서적
1993
[11]
논문
【第45回大会公開講演】妖精メリュジーヌとケルトの大女神―インド=ヨーロッパ神話の視点から―
2022-03
[12]
서적
The Sacred Isle : Belief and Religion in Pre-Christian Ireland
http://books.google.[...]
Boydell [u.a.]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