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무는 북방을 수호하는 수신으로, 검은색을 의미하며 물을 상징한다. 거북과 뱀이 결합된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검은 옷을 입은 남자의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고대 중국에서 장수와 생식을 상징하며, 음양의 조화를 나타내는 존재로 여겨졌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북방 7수(별자리)를 대표하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사신 신앙의 일부로 숭배되었다. 대중문화에서는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겨울의 신 - 다누 (아일랜드 신화)
    다누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다산과 관련된 중요한 여신으로, 투아하 데 다난과 관련되어 "풍요" 또는 "위대함"을 의미하며, 아누 여신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고, 유럽 지명과의 연관성 및 인도 신화의 여신 다누와의 연관성을 통해 켈트족 전역에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존재이다.
  • 겨울의 신 - 게쉬티난나
    게쉬티난나는 수메르 신화에서 '하늘의 포도'라는 뜻을 가진 여신으로, 저승의 서기관, 꿈의 해석, 농경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오빠 두무지에 대한 헌신과 사랑으로 알려져 초기 왕조 시대부터 숭배되었으나 전반적인 중요성은 낮은 여신이다.
  • 전설의 거북 - 쿠르마
    쿠르마는 힌두교 신화에서 비슈누의 화신 중 하나로 우유 바다 휘젓기에서 만다라 산을 떠받친 거북을 의미하며, 굳건함, 안정성, 우주 질서 등을 상징하고 요가 자세 및 에너지 경로와도 관련이 있다.
  • 전설의 거북 - 갓파
    갓파는 일본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물의 요괴로, 머리에 물이 담긴 접시, 등에 거북이 등껍질을 가진 아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장난기가 많고 오이를 좋아하지만 때로는 사람을 해치는 존재로 전해진다.
  • 사신 - 백호
    백호는 동아시아 사신 중 서쪽을 수호하는 상징으로, 오행 사상과 관련되어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과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고대 유물과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사신 - 청룡
    청룡은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로, 고분 벽화, 별자리, 문화적 묘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동쪽을 수호하는 사신으로 숭배된다.
현무

2. 명칭과 상징

현무(玄武)는 북방을 수호하는 신으로, 검정색을 띤다. 검정은 오행설에서 북방의 색으로 여겨지며 물을 나타낸다.[1] 백호, 청룡, 주작과 함께 사신을 이루며, 각각 서쪽은 백호, 동쪽은 청룡, 남쪽은 주작이 수호한다. 현무는 북방을 수호하는데, 이는 오행설에서 중앙에 황색, 북쪽에 흑색, 동쪽에 청색, 서쪽에 백색, 남쪽에 적색을 할당한 것에서 유래한다. 사신 신앙은 오행설의 영향을 받아 전국 시대 즈음에 성립되어, 고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졌다.[1]

"현무"의 본래 표기는 "현명"(玄冥)이며, "명"은 "음"을 의미하여 "태음신"으로 여겨졌다. 현무는 명계(冥界)와 현세를 왕래하며, 명계에서 거북 점의 신탁을 받고 현세에 그 답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어졌다. 또한 어둠, 도난 등을 관장한다.[1]

"현무"의 "무"는 무신(武神)으로서의 신성에서 유래한다. 후한의 채옹은 "북방의 현무, 갑각류의 장이다"라고 말했고, 북송의 홍흥조는 "무라고 하는 거북과 뱀은, 북방에 있다. 그러므로 현이라고 한다. 신체에는 비늘과 갑옷이 있으므로 무라고 한다"라고 말했다. 현무의 무신으로서의 신성은 신앙을 얻지 못하고, ·송(唐宋) 이후에는 전해지지 않았다.[1]

중국 천문학에서 현무는 주천을 천구 적도대에 따라 4분할한 것 중 하나로, 북방 7수의 총칭이다. 북방 7수의 형태를 연결하여 이 감긴 거북의 모습으로 형상화했다.[1]

일본 나라현약사사 금당 본존대좌와 아스카촌의 키토라 고분 석곽 내벽 북쪽 벽에도 현무가 그려져 있다.[1]

하이쿠에서 겨울의 계절어인 "동제(冬帝)", "현제(玄帝)"와 동의어이며, "겨울(북·현)"의 상징이다. 겨울을 "현동(玄冬)"이라고도 한다.[1]

2. 1. 형상

고구려 벽화 현무


고대 안악과 평양의 무덤에서 현무의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 현무는 거북이 장식품으로 이어져 가구나 노리개 등의 액세서리에 문양으로 넣는다. 현무의 방향이나 형태는 그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서로 마주보는 쌍현무로 그려지기도 한다.[1]

현무는 북방을 수호하는 수신이다. 현(玄)은 검정을 의미하며, 검정은 오행설에서 북방의 색으로 여겨져 물을 나타낸다. 거북과 뱀이 합쳐진 형상을 하고 있다. 다리가 긴 거북이 감긴 모습으로 그려지거나, 꼬리가 뱀인 경우도 있다. 다만 현천상제(玄天上帝)로서는 검은 옷을 입은 남자의 모습으로 그려진다.[1]

고대 중국에서 거북은 "장수와 불사"의 상징, 뱀은 "생식과 번식"의 상징이었으며, 후한 말의 위백양은 "주역참동계"에서 현무의 거북과 뱀이 합쳐진 모습을 "현무는 거북과 뱀, 함께 의지하여 암수로 삼고, 후에 짝이 된다"고, 음양이 합쳐지는 모습에 비유했다.[1]

지역고분
평양요동성총, 약수리벽화분, 대안리1호분, 쌍영총, 노산동1호분, 수렵총, 고산리1호분, 덕화리1호분, 덕화리 2호분, 개마총, 호남리사신총, 진파리1호분, 내리1호분, 강서대묘, 강서중묘
집안삼실총, 통구사신총, 오회분5호묘, 오회분4호묘


3. 역사와 신앙

현무(玄武)는 북방을 수호하는 수신이다. 현(玄)은 검정을 의미하며, 검정은 오행설에서 북방의 색으로 여겨져 물을 나타낸다. 거북과 뱀이 합쳐진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리가 긴 거북이 감긴 모습이나 꼬리가 뱀인 경우로 그려진다. 다만 현천상제(玄天上帝)로서는 검은 옷을 입은 남자의 모습으로 그려진다.[1]

백호, 청룡, 주작과 함께 사신을 이루며, 각각 서쪽, 동쪽, 남쪽을 분담하여 수호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현무는 북방을 수호하는데, 이는 오행설에서 유래한다. 오행설은 중앙에 황색, 북쪽에 흑색, 동쪽에 청색, 서쪽에 백색, 남쪽에 적색으로 오색을 할당하였으며, 사신 신앙은 이러한 오행설의 영향을 받아 전국 시대 즈음에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사신 신앙은 중국뿐만 아니라 고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졌다.[1]

3. 1. 고대 중국

고대 중국에서 거북은 "장수와 불사"의 상징, 뱀은 "생식과 번식"의 상징이었으며, 후한 말의 위백양은 "주역참동계"에서 현무의 거북과 뱀이 합쳐진 모습을 "현무는 거북과 뱀, 함께 의지하여 암수로 삼고, 후에 짝이 된다"고, 음양이 합쳐지는 모습에 비유했다.[1]

"현무"의 본래 표기는 (발음은 같음) "현명"(玄冥) ("명"은 "음"을 의미하며, 현무는 "태음신"으로 여겨졌다)이며, (북방의 신인) 현무는 (북쪽에 있는) 명계(冥界)와 현세를 왕래하여, 명계에서 (거북 점=귀갑점)의 신탁을 받고, 현세에 그 답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어졌다. 현무는 어둠을 관장하며, 몰래, 도난, 다음(多淫) 등을 나타낸다.[1]

"현무"의 "무"는 현무의 "무신"으로서의 신성에서 유래하며, 후한의 채옹은 "북방의 현무, 갑각류의 장이다"라고 말했고, 북송의 홍흥조는 "무라고 하는 거북과 뱀은, 북방에 있다. 그러므로 현이라고 한다. 신체에는 비늘과 갑옷이 있으므로 무라고 한다"라고 말했다. 현무의 무신으로서의 신성은 신앙을 얻지 못하고, ·송(唐宋) 이후에는 전해지지 않았다.[1]

중국 천문학에서는 주천을 천구 적도대에 따라 4분할한 것 중 하나로, 북방 7수의 총칭이다. 북방 7수의 형태를 연결하여 이 감긴 거북의 모습으로 형상화했다.[1]

3. 2. 한국

고대 안악평양의 무덤 벽화에서 현무의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 현무는 거북이 장식품으로 이어져 가구나 노리개 등의 액세서리에 문양으로 넣기도 한다.

현무의 방향이나 형태는 그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서로 마주보는 쌍현무로 그려지기도 한다. 현무 그림이 발견된 고분은 다음과 같다.

평양집안



백호, 청룡, 주작과 함께 사신의 형태로 한 조를 이루며, 서쪽은 백호, 동쪽은 청룡, 남쪽은 주작으로 각각 한쪽을 분담하여 수호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현무는 북방의 수호를 맡는데, 현무와 북방의 결합은 오행설이 중앙에 황색, 북쪽에 흑색, 동쪽에 청색, 서쪽에 백색, 남쪽에 적색으로 오색을 할당한 것에서 유래하며, 사신 신앙은 오행설의 영향을 받으며 전국 시대 즈음에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사신 신앙은 중국뿐만 아니라 고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졌다.

3. 3. 일본

일본에서는 나라현약사사 금당의 본존대좌와 아스카촌의 키토라 고분의 석곽 내벽 북쪽 벽에도 현무가 그려져 있다.[1]

하이쿠에서 겨울의 계절어인 "동제(冬帝)", "현제(玄帝)"와 동의어이며, "겨울(북·현)"의 상징이다. 또한, 겨울을 "현동(玄冬)"이라고도 한다.[1] 백호, 청룡, 주작과 함께 사신의 형태로 한 조를 이루며, 서쪽은 백호, 동쪽은 청룡, 남쪽은 주작으로 각각 한쪽을 분담하여 수호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현무는 북방의 수호를 맡는데, 현무와 북방의 결합은 오행설이 중앙에 황색, 북쪽에 흑색, 동쪽에 청색, 서쪽에 백색, 남쪽에 적색으로 오색을 할당한 것에서 유래하며, 사신 신앙은 오행설의 영향을 받으며 전국 시대 즈음에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사신 신앙은 중국뿐만 아니라 고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졌다.

4. 천문학

중국 천문학에서 현무는 천구 적도대에 따라 하늘을 4등분한 것 중 하나로, 북방 7수(두수, 우수, 여수, 허수, 위수, 실수, 벽수)의 총칭이다. 북방 7수의 형태를 연결하면 이 감긴 거북의 모습으로 형상화된다.[1]

4. 1. 북방 7수

현무는 북방의 7개 별자리군을 대표한다. 이 별자리들은 모두 합쳐 현무와 갑충의 모양을 이룬다. 현무는 총 67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있다.[1]

5. 대중문화

참조

[1] 문서 厳冬(げんとう)
[2] 웹인용 현무 https://terms.naver.[...] 2021-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