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모클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모클레스는 자신의 왕인 디오니시오스 1세에게 아첨하다가 그의 권력을 하루 동안 경험하게 되었는데, 왕좌 위에 말총 하나에 매달린 칼을 보며 권력의 불안정성을 깨달았다는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이 이야기는 권력의 위험과 불안을 상징하며, 키케로의 저서, 셰익스피어의 작품, 그리고 현대 대중문화에서 폭넓게 인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도검 -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는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마법의 검으로, 호수의 요정에게서 아서 왕이 받아 영국을 통일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아서 왕 사후 호수에 반환되어 켈트족 전설에서 귀환을 상징한다.
  • 신화의 도검 - 아론다이트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아론다이트는 가이 경의 검으로, 햄프턴의 비베스 요약본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카롤링거 이야기군에서는 오토클레르의 기원으로도 묘사된다.
  • 영어 어구 - 니거
    '니거'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인종차별적 욕설로, 흑인을 지칭하는 중립적 단어에서 모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는 금기시되며, 흑인 사회 내부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흑인이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인종차별 행위로 간주된다.
  • 영어 어구 - 미투 운동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자들이 경험을 공유하고 연대하는 사회 운동으로, 2006년 타라나 버크의 캠페인에서 시작되어 2017년 알리사 밀라노의 해시태그 사용으로 전 세계 확산되었으며,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법률 개정 촉구에도 불구하고 허위 고발 논란과 소수자 배제 문제 등 비판과 논쟁이 제기되며 사회적 성찰과 노력을 요구한다.
  • 그리스 신화의 인물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그리스 신화의 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다모클레스
인물 정보
이름다모클레스
원어 이름Δαμοκλῆς
로마자 표기Damoklēs
직업궁정 신하
등장 작품고대 그리스 도덕적 일화

2. 다모클레스의 검 이야기

이야기에 따르면, 다모클레스는 자신의 왕인 디오니시오스에게 아첨하며 디오니시오스가 권력과 권위를 지닌 위대한 인물로서 비할 데 없이 행복하고 호사로움에 둘러싸여 있다고 찬양했다. 이에 디오니시오스는 다모클레스가 그 행운을 직접 맛볼 수 있도록 하루 동안 자리를 바꾸자고 제안했다. 다모클레스는 왕의 제안을 열렬히 받아들였다. 다모클레스는 수놓은 양탄자와 향기로운 향수, 아름다운 시종들의 시중을 받으며 왕좌에 앉았다. 그러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적을 만들었던 디오니시오스는 왕좌 위에 검을 매달도록 했는데, 이 검은 말꼬리 털 한 가닥으로만 손잡이가 지탱되어 있었다. 이는 왕이 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즉 많은 행운을 누리고 있지만, 질투심 많은 조언자나 하인, 중상모략하는 소문, 적대적인 왕국, 잘못된 왕의 결정, 또는 그 밖의 어떤 것이든 자신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을 항상 불안한 마음으로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다모클레스는 더 이상 그토록 행운아가 되고 싶지 않다며 떠날 수 있게 해달라고 왕에게 간청했다. 발밑에 원하는 모든 것이 있었지만 왕관 위에 있는 것을 바꿀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디오니시오스 왕은 큰 권력을 가진 사람이 살아가는 끊임없는 두려움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디오니시오스는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많은 잔혹한 일을 저질렀기에, 정의롭게 통치할 수 없었다. 그렇게 한다면 자신의 적들에게 취약해질 것이기 때문이었다. 키케로는 이 이야기를 《투스쿨룸 논총》 5권의 마지막 예시로 사용하여 덕을 갖추는 것이 행복한 삶을 사는 데 충분하다는 주제를 대조적인 예시들을 통해 마무리했다.[34]

섬네일

2. 1. 이야기의 기원과 역사적 배경

다모클레스는 자신의 왕인 디오니시오스에게 아첨하며 그가 권력과 권위를 지닌 위대한 인물로서 비할 데 없이 행복하고 호사로운 환경에 있다고 칭송했다.[3] 이에 디오니시오스는 다모클레스에게 하루 동안 왕좌를 바꿔 그 행운을 직접 경험하게 했다. 다모클레스는 왕의 제안을 받아들여 호화로운 생활을 즐겼다. 그러나 디오니시오스는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적을 만들었기에, 왕좌 위에 칼을 매달아 놓고 그 칼이 단 한 가닥의 말총에 의지하도록 했다. 이는 왕이 된다는 것이 끊임없는 위험과 불안 속에 살아가는 것임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3] 결국 다모클레스는 더 이상 왕으로 남고 싶지 않다며 디오니시오스에게 간청하며 떠났다.[3]

디오니시오스 왕은 이 이야기를 통해 권력자가 겪는 끊임없는 두려움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그는 권력을 쟁취하는 과정에서 많은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기 때문에 정의롭게 통치할 수 없었고, 이는 그를 적들에게 취약하게 만들었다.[3] 키케로는 이 이야기를 《투스쿨룸 단상》 5권에서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덕을 갖추는 것이 충분하다는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예시로 사용했다.[34][3]

2. 2. 키케로의 『투스쿨룸 담론』

다모클레스는 자신의 왕인 디오니시오스에게 아첨하며 그가 권력과 권위를 지닌 위대한 인물로서 비할 데 없이 행복하고 호사로움에 둘러싸여 있다고 찬양했다.[3] 이에 디오니시오스는 다모클레스에게 하루 동안 자리를 바꾸어 그 행운을 직접 맛볼 수 있도록 제안했고, 다모클레스는 이를 열렬히 받아들였다.[3] 다모클레스는 수놓은 양탄자와 향기로운 향수, 아름다운 시종들의 시중을 받으며 왕좌에 앉았다. 그러나 디오니시오스는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적을 만들었기에, 왕좌 위에 검을 매달도록 했는데, 이 검은 말꼬리 털 한 가닥으로만 손잡이가 지탱되어 있었다.[3] 이는 왕이 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즉 많은 행운을 누리고 있지만, 질투심 많은 조언자나 하인, 중상모략하는 소문, 적대적인 왕국, 잘못된 왕의 결정 등 자신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을 항상 불안한 마음으로 경계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3] 결국 다모클레스는 더 이상 그토록 행운아가 되고 싶지 않다며 떠날 수 있게 해달라고 왕에게 간청했다. 발밑에 원하는 모든 것이 있었지만 왕관 위에 있는 것을 바꿀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3]

디오니시오스 왕은 큰 권력을 가진 사람이 살아가는 끊임없는 두려움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디오니시오스는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많은 잔혹한 일을 저질렀기에, 정의롭게 통치할 수 없었다. 그렇게 한다면 자신의 적들에게 취약해질 것이기 때문이었다.[3] 키케로는 이 이야기를 《투스쿨룸 논총》 5권의 마지막 예시로 사용하여 덕을 갖추는 것이 행복한 삶을 사는 데 충분하다는 주제를 대조적인 예시들을 통해 마무리했다.[3]

3. 다양한 해석

키케로가 묘사한 다모클레스의 칼 이야기는 다양한 해석을 낳는다. 키케로는 "공포가 항상 드리워진 자에게는 어떤 행복도 없다는 것을 디오니시우스가 분명히 보여주지 않았는가?"라고 말하며, 권력자들은 결코 편안히 쉴 수 없으며 진정으로 그 권력을 누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36][5]

일부는 이를 더 발전시켜 죽음이 모든 이의 머리 위에 드리워져 있지만, 그러한 공포에도 불구하고 행복해지려 노력하고 삶을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이야기의 요점이라고 주장한다.[37][6] 또 다른 이들은 누군가의 삶이 겉으로 완벽해 보일지라도 그 사람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는 알 수 없기에 "남의 입장이 되어보기 전까지는 판단하지 말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디오니시오스 왕의 삶이 다모클레스의 눈에 호화롭고 완벽해 보였던 것처럼, 자신이 부러워하는 다른 이들의 삶도 그러할 수 있다는 것이다.[37][6]

또 다른 해석은 다모클레스의 검 이야기가 명백히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겨냥한 것이라고 본다. 디오니시오스 왕처럼 적을 만들고 영적인 삶을 부정하며 폭군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자신의 목 위에 항상 걸려 있는 검을 유념하라는 암시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는 것이다.[38][7]

4. 문화, 예술, 문학에서의 활용

다모클레스의 검은 권력자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절박하고 항시 존재하는 위험을 상징하는 이야기로 자주 인용된다.[39] 더 넓은 의미로는, 특히 비극의 발생이 미묘한 계기나 우연에 의해서만 저지되고 있는 불안정한 상황이 야기하는 불길한 예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39]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헨리 4세》는 "왕관을 쓴 머리는 편히 쉴 수 없다"라는[40] 구절로 이러한 주제를 확장했다. 이는 티케포르투나가 상징하는 불안정성과 관련된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이미지와 비교해볼 수 있다.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는 기사가 정복의 머리 위에 걸려 있는 다모클레스의 검을 언급한다. 기사는 마르스 신전의 벽에 그려진 그림을 특별히 주목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 역시 《송가집》 제3권의 첫 번째 송가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을 암시했다. 그는 이 작품에서 권력의 자리에 따르는 수많은 위협과 불안보다 소박하고 전원적인 삶의 미덕을 찬양했다. 가이우스 마이케나스에게 보내는 호소문에서 호라티우스는 "불경스러운 머리 위에 빼든 검(destrictus ensis)이 걸려 있는" 사람에게는 "시칠리아의 진수성찬"(Siculae dapes)도 맛있는 즐거움을 주지 못한다고 묘사했다.[4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클리포드 베리먼이 그린 정치 만평으로, 연합국의 거대한 손이 가리키는 대로 독일 대표가 떨리는 손으로 평화 조약에 서명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그의 머리 위로는 "정의의 평화"라는 글귀가 새겨진 큰 검이 실 한 가닥에 매달려 있다(1919년).


이 표현은 희생자가 권력의 자리에 있는지와 관계없이, 특히 위험이 가시적이고 근접해 있을 때 임박한 파멸의 감각이 스며든 모든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게 되었다.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핵전쟁의 전면적인 위협을 전 세계인의 머리 위에 걸린 다모클레스의 검에 비유했다.[44] 소련 제1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차르 봄바가 "제국주의자들의 머리 위에 다모클레스의 검처럼 매달려 있기를" 바랐다.[45] 케네디 대통령의 1961년 유엔 연설을 통해 일본에서 널리 알려졌다.[31]

{{verse translation

|lang=en|italicsoff=y|

Today, every inhabitant of this planet must contemplate the day when this planet may no longer be habitable.

Every man, woman and child lives under a nuclear sword of Damocles, hanging by the slenderest of threads, capable of being cut at any moment by accident or miscalculation or by madness

|오늘날, 이 행성의 모든 거주자는 이 행성이 더 이상 살 수 없게 될 날을 숙고해야 한다.

모든 남녀노소는 핵이라는 다모클레스의 칼 아래 살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가느다란 실에 매달린 그 칼은 사고나 오산 또는 광기에 의해 언제라도 끊어질 수 있다.

}}

조셉 케플러의 《퍽》에 실린 장면으로, "산업"이라고 적힌 왕관을 쓴 다모클레스가 실 한 가닥에 매달린 "석탄 파업"이라고 적힌 큰 검 아래 서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는 20세기 초의 석탄 파업이 당대의 다모클레스의 검이었음을 암시한다(1903년).


16세기와 17세기 유럽의 문장서에는 교훈적인 두 행시나 사행시와 함께 다모클레스의 검을 상징으로 한 목판화가 등장하며, 여기에는 "폭군들은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다"(METUS EST PLENUS TYRANNIS)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46] 작은 삽화에는 국가의 천개 아래에서 연회 자리에 앉아 있는 다모클레스와 그 근처에 앉아 있는 디오니시오스가 묘사되어 있다.[47] 명확한 정치적 교훈을 담고 있는 이 동판화는 이후 그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48][49]

다모클레스의 검은 조셉 케플러가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창간한 풍자 정기간행물인 《퍽》과 같은 만화가들의 삽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50] 당시의 시사 문제나 논쟁적 사안들이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음을 환기시키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다모클레스의 검은 소설,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비디오 게임, 음악 등 대중문화에 자주 등장한다.[51] 주목할 만한 예시로는 다모클레스라는 혜성이 행성을 파괴하는 것을 막아야 하는 1990년 16비트 비디오 게임 《다모클레스》,[52] 《록키 호러 픽쳐 쇼》의 노래 "다모클레스의 검",[53] 그리고 개발된 연구실 천장에 매달려 있고 불길한 외양을 하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여진 1968년 이반 서덜랜드가 개발한 가상현실 헤드셋 '다모클레스의 검' 등이 있다.[51]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방영된 캐나다 텔레비전 시리즈 《메이드 인 캐나다》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은 작품의 중심이 되는 제작사 피라미드가 제작한 극중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이름이었다. 《다모클레스》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NCIS의 여러 시즌에 걸친 다편 구성의 이야기에서 사용된 배의 이름이다. CW의 프로그램 《더 100》은 시즌 5의 두 부분으로 된 피날레의 제목을 "다모클레스"로 지었다.

미국 밴드 트리비움은 2021년 앨범 《In the Court of the Dragon》에 "다모클레스 위의 검처럼"이라는 노래를 수록했다. 다모클레스의 검은 현대 힙합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징으로, "왕"과 같은 래퍼들이 최고의 자리에서 쫓겨날 수 있다는 위협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1996년 푸지스의 노래 "Zealots"의 가사에서 언급되었다.[36] 또한 카니예 웨스트의 음악에도 등장하는데, 2010년 싱글 "Power"의 뮤직비디오에서는 이오니아식 기둥들 사이에 서 있는 웨스트의 머리 위에 검이 위치해 있으며, 이후 이 노래의 커버 아트에는 왕관을 쓴 흑인 남성의 관통된 머리가 등장한다.[36]

4. 1. 문학

다모클레스의 검은 권력자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절박하고 항시 존재하는 위험을 상징하는 이야기로 자주 인용된다.[39] 더 넓은 의미로는, 특히 비극의 발생이 미묘한 계기나 우연에 의해서만 저지되고 있는 불안정한 상황이 야기하는 불길한 예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39]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헨리 4세》는 "왕관을 쓴 머리는 편히 쉴 수 없다"라는[40] 구절로 이러한 주제를 확장했다. 이는 티케포르투나가 상징하는 불안정성과 관련된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이미지와 비교해볼 수 있다.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는 기사가 정복의 머리 위에 걸려 있는 다모클레스의 검을 언급한다. 기사는 마르스 신전의 벽에 그려진 그림을 특별히 주목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 역시 《송가집》 제3권의 첫 번째 송가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을 암시했다. 그는 이 작품에서 권력의 자리에 따르는 수많은 위협과 불안보다 소박하고 전원적인 삶의 미덕을 찬양했다. 가이우스 마이케나스에게 보내는 호소문에서 호라티우스는 "불경스러운 머리 위에 빼든 검(destrictus ensis)이 걸려 있는" 사람에게는 "시칠리아의 진수성찬"(Siculae dapes)도 맛있는 즐거움을 주지 못한다고 묘사했다.[43]

이 표현은 희생자가 권력의 자리에 있는지와 관계없이, 특히 위험이 가시적이고 근접해 있을 때 임박한 파멸의 감각이 스며든 모든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게 되었다.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핵전쟁의 전면적인 위협을 전 세계인의 머리 위에 걸린 다모클레스의 검에 비유했다.[44] 소련 제1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차르 봄바가 "제국주의자들의 머리 위에 다모클레스의 검처럼 매달려 있기를" 바랐다.[45]

16세기와 17세기 유럽의 문장서에는 교훈적인 두 행시나 사행시와 함께 다모클레스의 검을 상징으로 한 목판화가 등장하며, 여기에는 "폭군들은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다"(METUS EST PLENUS TYRANNIS)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46] 작은 삽화에는 국가의 천개 아래에서 연회 자리에 앉아 있는 다모클레스와 그 근처에 앉아 있는 디오니시오스가 묘사되어 있다.[47] 명확한 정치적 교훈을 담고 있는 이 동판화는 이후 그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48][49]

다모클레스의 검은 조셉 케플러가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창간한 풍자 정기간행물인 《퍽》(Puck)과 같은 만화가들의 삽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50] 당시의 시사 문제나 논쟁적 사안들이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음을 환기시키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다모클레스의 검은 소설,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비디오 게임, 음악 등 대중문화에 자주 등장한다.[51] 주목할 만한 예시로는 다모클레스라는 혜성이 행성을 파괴하는 것을 막아야 하는 1990년 16비트 비디오 게임 《다모클레스》,[52] 《록키 호러 픽쳐 쇼》의 노래 "다모클레스의 검",[53] 그리고 개발된 연구실 천장에 매달려 있고 불길한 외양을 하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여진 1968년 이반 서덜랜드가 개발한 가상현실 헤드셋 '다모클레스의 검' 등이 있다.[51]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방영된 캐나다 텔레비전 시리즈 《메이드 인 캐나다》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은 작품의 중심이 되는 제작사 피라미드가 제작한 극중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이름이었다. 《다모클레스》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NCIS의 여러 시즌에 걸친 다편 구성의 이야기에서 사용된 배의 이름이다. CW의 프로그램 《더 100》은 시즌 5의 두 부분으로 된 피날레의 제목을 "다모클레스"로 지었다.

미국 밴드 트리비움은 2021년 앨범 《In the Court of the Dragon》에 "다모클레스 위의 검처럼"이라는 노래를 수록했다. 다모클레스의 검은 현대 힙합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징으로, "왕"과 같은 래퍼들이 최고의 자리에서 쫓겨날 수 있다는 위협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1996년 푸지스의 노래 "질럿츠"의 가사에서 언급되었다.[36] 또한 카니예 웨스트의 음악에도 등장하는데, 2010년 싱글 "Power"의 뮤직비디오에서는 이오니아식 기둥들 사이에 서 있는 웨스트의 머리 위에 검이 위치해 있으며, 이후 이 노래의 커버 아트에는 왕관을 쓴 흑인 남성의 관통된 머리가 등장한다.[36]

4. 2. 정치

다모클레스의 검은 권력자가 직면하는 위험을 상징하는 이야기로 자주 인용된다.[39] 넓은 의미로는 불안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불길한 예감을 나타낸다.[39]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헨리 4세》는 "왕관을 쓴 머리는 편히 쉴 수 없다"라는 구절로 이 주제를 확장했다.[40] 이는 티케포르투나가 상징하는 불안정성과 관련된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이미지와 비교된다.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기사는 정복의 머리 위에 걸려 있는 다모클레스의 검을 언급하며, 마르스 신전 벽에 그려진 그림에 주목한다.

기원전 1세기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는 《송가집》 제3권 첫 번째 송가에서 "불경스러운 머리 위에 빼든 검(destrictus ensis)이 걸려 있는" 사람에게는 "시칠리아의 진수성찬"(Siculae dapes)도 맛있는 즐거움을 주지 못한다고 묘사하며 다모클레스의 검을 암시했다.[43]

이 표현은 임박한 파멸의 감각이 스며든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핵전쟁의 위협을 전 세계인의 머리 위에 걸린 다모클레스의 검에 비유했다.[44] 소련 제1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차르 봄바가 "제국주의자들의 머리 위에 다모클레스의 검처럼 매달려 있기를" 바랐다.[45]

16, 17세기 유럽 문장서에는 다모클레스의 검을 상징하는 목판화가 등장하며, "폭군들은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다"(METUS EST PLENUS TYRANNIS)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46] 이 동판화는 명확한 정치적 교훈을 담고 있어 이후 그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48][49] 다모클레스의 검은 조셉 케플러가 창간한 풍자 정기간행물 《퍽》(Puck)과 같은 만화 삽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50]

다모클레스의 검은 현대 힙합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징이며, 카니예 웨스트의 음악에도 등장한다.[36]

케네디 대통령의 1961년 유엔 연설을 통해 일본에서 널리 알려졌다.[31]

{{verse translation

|lang=en|italicsoff=y|

Today, every inhabitant of this planet must contemplate the day when this planet may no longer be habitable.

Every man, woman and child lives under a nuclear sword of Damocles, hanging by the slenderest of threads, capable of being cut at any moment by accident or miscalculation or by madness

|오늘날, 이 행성의 모든 거주자는 이 행성이 더 이상 살 수 없게 될 날을 숙고해야 한다.

모든 남녀노소는 핵이라는 다모클레스의 칼 아래 살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가느다란 실에 매달린 그 칼은 사고나 오산 또는 광기에 의해 언제라도 끊어질 수 있다.

}}

4. 3. 대중문화

다모클레스의 검은 권력자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항상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이야기로 자주 인용된다.[39] 더 넓은 의미로는, 특히 비극의 발생이 사소한 계기나 우연에 의해서만 저지되고 있는 불안정한 상황이 야기하는 불길한 예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39]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헨리 4세》는 "왕관을 쓴 머리는 편히 쉴 수 없다"라는[40] 구절로 이 주제를 확장했다. 이는 티케포르투나가 상징하는 불안정성과 관련된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이미지와 비교해볼 수 있다.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기사는 정복의 머리 위에 걸려 있는 다모클레스의 검을 언급한다.[41][42]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송가집》 제3권의 첫 번째 송가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을 암시하며, 권력에 따르는 위협과 불안보다 소박하고 전원적인 삶의 미덕을 찬양했다.[43]

이 표현은 희생자가 권력의 자리에 있는지와 관계없이, 특히 위험이 가시적이고 근접해 있을 때 임박한 파멸의 감각이 스며든 모든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게 되었다.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핵전쟁의 전면적인 위협을 전 세계인의 머리 위에 걸린 다모클레스의 검에 비유했다.[44] 소련 제1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차르 봄바가 "제국주의자들의 머리 위에 다모클레스의 검처럼 매달려 있기를" 바랐다.[45]

16세기와 17세기 유럽의 문장서에는 다모클레스의 검을 상징으로 한 목판화가 등장했다.[46]

다모클레스의 검은 소설,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비디오 게임, 음악 등 대중문화에 자주 등장한다.[51] 1990년 16비트 비디오 게임 《다모클레스》,[52] 《록키 호러 픽쳐 쇼》의 노래 "다모클레스의 검",[53] 1968년 이반 서덜랜드가 개발한 가상현실 헤드셋 '다모클레스의 검' 등이 그 예시이다.[51]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방영된 캐나다 텔레비전 시리즈 《메이드 인 캐나다》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은 작품의 중심이 되는 제작사가 제작한 극중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이름이었다. 《다모클레스》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NCIS의 여러 시즌에 걸친 다편 구성의 이야기에서 사용된 배의 이름이다. CW의 프로그램 《더 100》은 시즌 5의 두 부분으로 된 피날레의 제목을 "다모클레스"로 지었다.

미국 밴드 트리비움은 2021년 앨범 《In the Court of the Dragon》에 "다모클레스 위의 검처럼"이라는 노래를 수록했다. 다모클레스의 검은 현대 힙합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징이며, 카니예 웨스트의 음악에도 등장한다.[36]

5.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의미

참조

[1] 웹사이트 Cicero's Tusculan Disputations, On the Nature of the Gods, On the Commonwealth https://www.gutenber[...] 2023-06-01
[2] 웹사이트 Marcus Tullius Cicero http://www.utexas.ed[...] 2021-06-07
[3] 논문 Cicero and Archimedes' tomb 2012-03-14
[4] 웹사이트 HERBERT GANDY (BRITISH 1857-1934) https://shapiroaucti[...] 2021-05-21
[5] 웹사이트 From Damocles to Socrates https://eidolon.pub/[...] 2017-11-14
[6] 논문 Cicero and Archimedes' Tomb http://dx.doi.org/10[...] 2002-11
[7] 논문 Cicero and Dionysios the Elder, or the End of Liberty http://dx.doi.org/10[...] 2006
[8] 서적 "[[Benet's Reader's Encyclopedia]]"
[9] online quotation in context Henry IV http://www.phrases.o[...]
[10] 서적 The Canterbury Tales Penguin Books
[11] online quotation in context The Canterbury Tales Florida State University 2015-10-11
[12] 웹사이트 Carmina (Horatius) https://la.wikisourc[...] Latin Wikisource
[13] 웹사이트 Address b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http://www.jfklibra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1961-09-25
[14] AV media The Cold War CNN
[15] 서적 Morosophie http://www.emblems.a[...] Glasgow University
[16] 서적 Emblemata Nova n.d.
[17] 서적 Philosophicall Rudiments Concerning Government and Society
[18] 서적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Etched Work of Wenceslaus Hollar, 1607–167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U.S. Senate: Puck Magazine https://www.senate.g[...] 2021-05-21
[20] 서적 "[[Stiff Upper Lip, Jeeves]]"
[21] 웹사이트 Hints and solution for Damocles http://mercenarysite[...] 2021-05-21
[22] 기타 The Rocky Horror Picture Show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Various Artists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1-05-21
[23] 기타 "[[大辞泉]]"
[24] 기타 "[[大辞林]]』第3版"
[25] 기타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6] 기타 小学館『[[プログレッシブ (辞典)|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典』第4版
[27] 기타 糸の素材については諸説入り乱れている。
[28] 논문 『走れメロス』とディオニュシオス伝説 https://hdl.handle.n[...] 京都大学西洋古典研究会
[29] 뉴스 ダモクレスの剣 - 塾頭通信 http://www.kyoshinom[...] 北海道師範塾 2012-11-07
[30] 뉴스 トリビア・コーナー - インベストライフ http://www.investlif[...] I-O ウェルス・アドバイザーズ株式会社
[31] 웹사이트 Address B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http://www.jfklibrar[...]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1961-09-25
[32] 웹인용 Cicero's Tusculan Disputations, On the Nature of the Gods, On the Commonwealth https://www.gutenber[...] 2023-06-01
[33] 웹인용 Marcus Tullius Cicero http://www.utexas.ed[...] 2021-06-07
[34] 저널 Cicero and Archimedes' tomb 2012-03-14
[35] 웹인용 HERBERT GANDY (BRITISH 1857-1934) https://shapiroaucti[...] 2021-05-21
[36] 웹인용 From Damocles to Socrates https://eidolon.pub/[...] 2021-06-07
[37] 저널 Cicero and Archimedes' Tomb http://dx.doi.org/10[...] 2002-11
[38] 저널 Cicero and Dionysios the Elder, or the End of Liberty http://dx.doi.org/10[...] 2006
[39] 서적 Benet's Reader's Encyclopedia
[40] 서적 Henry IV http://www.phrases.o[...]
[41] 서적 The Canterbury Tales Penguin Books
[42] 서적 The Canterbury Tales https://web.archive.[...] Florida State University 2015-10-11
[43] 웹인용 Carmina (Horatius) https://la.wikisourc[...] Latin Wikisource
[44] 웹인용 Address b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https://web.archive.[...]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1-08-05
[45] 영상 The Cold War CNN
[46] 서적 Morosophie http://www.emblems.a[...] Glasgow University
[46] 서적 Coelitus impendet http://www.emblems.a[...] Glasgow University
[46] 서적 Emblematum Liber http://www.emblems.a[...] Glasgow University
[47] 서적 Emblemata Nova null
[48] 서적 Philosophicall Rudiments Concerning Government and Society
[49] 서적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Etched Work of Wenceslaus Hollar, 1607–1677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웹인용 U.S. Senate: Puck Magazine https://www.senate.g[...] 2021-05-21
[51] 서적 Stiff Upper Lip, Jeeves
[51] 서적 Příliš hlučná samota
[51] 서적 De Donkere Kamer van Damocles
[51] 에피소드 Burns Verkaufen der Kraftwerk
[51] 에피소드 Work Experience (The Office)
[51] 에피소드 Jumping the Shark
[51] 영상 Code Geass
[51] 영상 K (anime)
[51] 영상 Toto (album)
[51] 영상 Hydra (Toto album)
[51] 영상 Toto IV
[51] 웹인용 SWORD, THE http://www.toto99.co[...] 2007-05
[51] 영상 Sword of Damocles Externally
[51] 영상 Zealots
[51] 영상 Oh My Lord
[51] 영상 Starblind
[52] 웹인용 Hints and solution for Damocles http://mercenarysite[...] 2021-05-21
[53] 인용 The Rocky Horror Picture Show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Various Artists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1-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