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스타리그 200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음 스타리그 2007은 2007년 5월 4일부터 7월 21일까지 진행된 e스포츠 대회로, 'UCC 세상 다음'이라는 슬로건으로 열렸다. 16강 체제로 진행되었으며, 테란이 10명으로 가장 많은 선수가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김준영이 변형태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 우승으로 김준영은 개인 통산 첫 스타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7년 5월 4일 ~ 2007년 7월 21일까지 진행된 다음 스타리그 2007은 'UCC 세상 다음'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었다.
2. 리그 정보
2. 1. 대회 개요
'''UCC 세상 다음'''
2. 2. 경기 방식
2. 3. 사용 맵
wikitable
종족 | Hitchhiker | 몽환 | Python | Monty Hall |
---|---|---|---|---|
인원 | 2 | 4 | 4 | 2 |
P vs Z | 1:0 | 0:0 | 0:0 | 0:1 |
Z vs T | 4:1 | 5:1 | 2:5 | 3:2 |
T vs P | 2:2 | 1:3 | 0:3 | 2:2 |
Z vs Z | 0번 | 0번 | 0번 | 0번 |
T vs T | 3번 | 1번 | 2번 | 2번 |
P vs P | 0번 | 1번 | 1번 | 1번 |
다음 스타리그 2007은 여러가지 새로운 시도와 기록들이 나타난 리그였다. 먼저, 16강 체제로 회귀하였으며, 듀얼 토너먼트가 스타 챌린지와 듀얼 토너먼트로 다시 분리되었다. 16강에는 테란이 10명으로 최다 진출하였고, 저그는 3명(마재윤, 김준영, 서경종)으로 질레트 스타리그와 타이 기록을 세웠다. 8강 A조에서는 마재윤과 변형태의 팀킬전이 벌어져 임요환-최연성 이후 2연속 팀킬 잔혹사가 발생했다. 송병구는 4강에서 변형태에게 3:0으로 패하며 테란을 상대로 셧아웃당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3. 주요 특징 및 사건
온게임넷은 주관방송사에서 주최사로 지위가 격상되었으며, 리그 컨셉을 '불꽃'으로 정하고 그래픽, 자막 등 전체적인 변화를 꾀했다. 오프닝과 그래픽 패키지, 자막은 온게임넷 OAP팀이 제작하였고, 오프닝은 일본 그래픽 업체와 공동 제작하였다. 맵 소개 장면에서는 3차원으로 맵을 보여주는 방식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16강은 재경기 없이 마무리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스타리그 사상 최초로 0:2에서 3:2로 역전 우승하는 드라마가 펼쳐졌다. 역대 스타리그 맵을 조합한 4인용 비대칭맵 몽환(노스텔지아, 라이드 오브 발키리스, 개마고원, 제노스카이의 각 부분을 조합)이 등장했고, 정사각형 형태의 2인용 맵 몬티홀이 스타리그 최초로 등장했다.
대회 시작 2주 동안은 스폰서 계약 문제로 스폰서 노출 없이 경기가 진행되었고, 조지명식도 스폰서 없이 치러졌다. 오랜만에 스타리그로 복귀한 박정석이 8강에 진출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조지명식에서는 ABC조 탑시드에게 D조 선수를 선택할 권한을 부여하여 스타리그 최초로 다른 조를 구성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으나, 이후 폐지되었다.
8강 야외투어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결승전은 울산 문수월드컵경기장 호반광장에서 열렸다. 지난 두 시즌 동안 우승을 차지했던 마재윤과 이윤열은 4강 진출에 실패하고 동반 탈락했다.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마스터즈 성적에 따라 한동욱이 시드를 받았다.
4. 듀얼 토너먼트 결과
4. 1. 예선 통과자
wikitable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
박용욱, 김택용 | 김윤환, 손주흥 | 박성훈, 구성훈 | 김동건, 심소명 | 배병우, 박지호 | 이영호, 이제동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
박정석, 염보성 | 이재황, 서지훈 | 박찬수, 윤용태 | 김성기, 원종서 | 서기수, 허영무 | 장용석, 주현준 |
4. 2. 1, 2라운드 결과
다음 스타리그 2007 1, 2라운드에서는 각 조별로 경기를 치러 16강 진출자를 가렸다.1라운드는 각 조별 2명씩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A, B조 경기에서는 '''진영수'''가 이재황을 2:0으로, '''박찬수'''가 박성준을 2:0으로 꺾었다. C, D조에서는 '''전상욱'''이 주현준을 2:0으로, '''신희승'''이 박지호를 2:0으로 이겼다. E, F조에서는 '''이학주'''가 김윤환을 2:0으로, '''손주흥'''이 장육을 2:0으로 제압했다. G, H조에서는 '''이재호'''가 안상원에게 2:1로, '''박성준'''이 심소명을 2:0으로 꺾었다. I, J조에서는 '''김성기'''가 이성은을 2:0으로, '''원종서'''가 서기수에게 2:1로 승리했다. K, L조에서는 '''윤용태'''가 박명수에게 2:1로, '''박영민'''이 이제동에게 2:1로 이겼다. M, N조에서는 '''김준영'''이 김동건을 2:0으로, '''최연성'''이 채지훈을 2:0으로 꺾었다. O, P조에서는 '''김택용'''이 김남기에게 2:1로, '''염보성'''이 박태민에게 2:1로 승리했다. Q, R조에서는 '''송병구'''가 배병우를 2:0으로, '''서경종'''이 장용석을 2:0으로 이겼다. S, T조에서는 '''박지수'''가 박용욱에게 2:1로, '''오영종'''이 허영무를 2:0으로 꺾었다. U, V조에서는 '''이영호'''가 박성훈을 2:0으로, '''구성훈'''이 조용호를 2:0으로 제압했다. W, X조에서는 '''이병민'''이 서지훈을 2:0으로, '''박정석'''이 한승엽을 2:0으로 이겼다.
2라운드에서는 1라운드 각 조 승리자 간의 승자전, 패자 간의 패자전, 그리고 승자전 패자와 패자전 승자 간의 최종전을 통해 각 조 2위까지 16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신희승과 서경종이, B조에서는 이영호와 김택용이, C조에서는 이재호와 최연성이, D조에서는 진영수와 원종서가, E조에서는 김준영과 송병구가, F조에서는 김성기와 박정석이 16강에 진출했다.
결과적으로 테란은 진영수, 전상욱, 신희승, 이학주, 손주흥, 이재호, 김성기, 원종서, 최연성, 염보성, 박지수, 이영호, 구성훈, 이병민으로 가장 많은 16강 진출자를 배출했다. 저그는 박찬수, 박성준, 김준영, 서경종이, 프로토스는 윤용태, 박영민, 김택용, 송병구, 오영종, 박정석이 16강에 올랐다.
5. 16강 결과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른다.
A조 | B조 | C조 | D조 | ||||
---|---|---|---|---|---|---|---|
마재윤 | 2승 1패 | 이윤열 | 0승 3패 | 변형태 | 2승 1패 | 한동욱 | 0승 3패 |
최연성 | 1승 2패 | 김택용 | 3승 0패 | 박정석 | 3승 0패 | 신희승 | 1승 2패 |
이영호 | 2승 1패 | 진영수 | 2승 1패 | 서경종 | 1승 2패 | 김준영 | 3승 0패 |
이재호 | 1승 2패 | 김성기 | 1승 2패 | 원종서 | 0승 3패 | '''송병구 | 2승 1패''' |
16강에는 테란 10명, 저그 3명, 프로토스 3명이 진출했다.
6. 8강 및 결승 결과
8강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마재윤과 변형태의 경기에서는 변형태가 2:1로 승리했다. 박정석과 송병구의 경기에서는 송병구가 2:1로 승리했다. 김택용과 이영호의 경기에서는 이영호가 2:0으로 승리했다. 진영수와 김준영의 경기에서는 김준영이 2:1로 승리했다.
4강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변형태와 송병구의 경기에서는 변형태가 3:0으로 승리했다. 이영호와 김준영의 경기에서는 김준영이 3:2로 승리했다.
결승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변형태와 김준영의 경기에서는 김준영이 3:2로 승리했다.
3, 4위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송병구와 이영호의 경기에서는 송병구가 3:0으로 승리했다.
김준영은 2007년 5월 25일 서울 용산구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린 다음 스타리그 2007 결승전에서 변형태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준영은 이 우승으로 개인 통산 첫 스타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6. 1. 8강 대진 및 결과
8강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마재윤과 변형태의 경기에서는 변형태가 2:1로 승리했다. 박정석과 송병구의 경기에서는 송병구가 2:1로 승리했다. 김택용과 이영호의 경기에서는 이영호가 2:0으로 승리했다. 진영수와 김준영의 경기에서는 김준영이 2:1로 승리했다.4강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변형태와 송병구의 경기에서는 변형태가 3:0으로 승리했다. 이영호와 김준영의 경기에서는 김준영이 3:2로 승리했다.
결승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변형태와 김준영의 경기에서는 김준영이 3:2로 승리했다.
3, 4위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송병구와 이영호의 경기에서는 송병구가 3:0으로 승리했다.
6. 2. 4강 대진 및 결과
wikitable
6. 3. 결승전
김준영은 2007년 5월 25일 서울 용산구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린 다음 스타리그 2007 결승전에서 변형태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준영은 이 우승으로 개인 통산 첫 스타리그 우승을 달성했다.7. 최종 순위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