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너마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너마이트는 1860년대 알프레드 노벨에 의해 발명된, 흑색화약보다 강력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최초의 폭발물이다.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흡수시켜 안정성을 높였으며, 이후 뇌관을 발명하여 폭발을 제어했다. 다이너마이트는 토목 공사, 채광, 파괴, 군사적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현재는 TNT, 암모늄 다이너마이트, 군용 다이너마이트 등 대체 폭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프레드 노벨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알프레드 노벨 - 노벨륨
노벨륨은 원자 번호 102번의 인공 방사성 원소로, 1966년 소련에서 발견되었으며, 2가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고 다양한 동위원소를 가지며 악티늄족 원소에 입자를 충돌시켜 생성하고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분리한다. - 폭발물 - 탄약
탄약은 발사 무기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와 추진제를 포함하는 모든 물질을 지칭하며, 신관, 추진제, 탄피, 발사체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소화기용 탄약, 포탄, 미사일 등 종류가 다양하며 안전한 저장과 취급이 필수적이다. - 폭발물 - 젤리그나이트
젤리그나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셀룰로스, 초석, 목분으로 구성된 폭발물이며, 아일랜드 분쟁 당시 IRA와 INLA가 테러에 사용했다. - 스웨덴의 발명품 - 차분기관
차분기관은 찰스 배비지가 제안한 자동 계산 기계로, 다항식의 값을 계산하며, 덧셈과 뺄셈을 사용하여 뉴턴의 유한 차분법을 원리로 작동한다. - 스웨덴의 발명품 - 블루투스
블루투스는 2.4GHz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여러 무선 통신 규격 통합의 의미를 담아 하랄드 블라톤 왕의 별칭에서 유래되었으며, 1998년 블루투스 SIG를 통해 공식 발표된 후 지속적인 기능 향상이 이루어져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등 다양한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속도, 전파 간섭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다이너마이트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폭발물 |
산업 | 다양함 |
용도 | 폭발 |
발명가 | 알프레드 노벨 |
발명 연도 | 1866년 |
구성 요소 | |
핵심 재료 | 니트로글리세린에 적신 규조토 (또는 기타 흡수성 물질) |
보호 코팅 | 폭발성 물질을 둘러싼 보호 코팅 |
기폭 장치 | 뇌관 |
점화 장치 | 뇌관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 (또는 도화선)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비군사 폭발물의 특성 |
2. 역사
다이너마이트는 스웨덴의 화학자 앨프리드 노벨이 1860년대에 발명한 폭약이다. 이는 기존의 화약이나 불안정한 액체 니트로글리세린보다 훨씬 강력하면서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최초의 폭발물로 평가받는다.[2] 노벨은 1867년 영국과 스웨덴에서 다이너마이트 특허를 취득했으며,[25][3] 이는 곧 흑색화약과 니트로글리세린의 안전한 대안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건설, 채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4] 발명 초기에는 "노벨의 발파 분말"(Nobel's Blasting Powder)로 불렸으나, 나중에 '힘'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δύναμις|디나미스grc(dýnamis)에서 유래한 다이너마이트(dynamite)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26][27][5][6]
2. 1. 다이너마이트의 발명
다이너마이트는 스웨덴의 화학자 알프레드 노벨이 1866년에 발명한 폭약이다. 이는 1847년 아스카니오 소브레로가 합성한 니트로글리세린을 기반으로 하지만, 기존의 흑색화약이나 불안정한 니트로글리세린보다 훨씬 강력하면서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개선된 최초의 폭발물이었다.[2]
알프레드 노벨의 아버지 임마누엘 노벨은 산업가이자 기술자, 발명가로, 스톡홀름에서 다리와 건물을 건설하고 스웨덴 최초의 고무 공장을 세웠다. 그는 건설 작업을 통해 흑색화약보다 효과적인 암석 발파 방법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사업 실패 후 1838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했고, 알프레드는 그곳에서 교육을 받았다. 17세 때 그랜드 투어를 떠나 프랑스에서 화학자 테오필-쥘 펠루즈와 그의 제자이자 니트로글리세린 합성자인 아스카니오 소브레로 밑에서 공부했다. 펠루즈는 니트로글리세린의 충격 민감성 때문에 상업적 사용에 대해 경고했지만, 노벨은 그 폭발력의 잠재력에 매료되었다.[2]
1857년 첫 특허를 출원한 노벨은 아버지, 동생 에밀 오스카르 노벨과 함께 니트로글리세린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니트로글리세린을 안전하게 폭발시킬 뇌관과 퓨즈를 이용한 원격 점화 방법을 고안하는 데 집중했다. 1863년 구리 격발 캡과 폭발성 수은을 이용한 뇌관으로 첫 폭발 실험에 성공했고, 1864년에는 니트로글리세린 합성법과 뇌관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2]
그러나 1864년 9월 3일, 헬레네보르그의 가족 공장에서 니트로글리세린 실험 중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동생 에밀을 포함한 여러 명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 사고 이후 스톡홀름 당국은 시내에서의 니트로글리세린 실험을 금지했고, 알프레드는 더 안전한 장소인 빈테르비켄에 니트로글리세린 주식회사(Nitroglycerin Aktiebolaget)를 설립했다. 이후 독일에도 다이너마이트 노벨(Dynamit Nobel)을 세우며 연구를 계속했다.[2]
뇌관 발명에도 불구하고 니트로글리세린 자체의 불안정성은 여전히 큰 문제였다. 약간의 충격에도 폭발할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이 매우 위험했기 때문이다. 노벨은 니트로글리세린을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안정성을 높이면서도 폭발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시멘트, 석탄, 톱밥 등 여러 재료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마침내 1866년 함부르크 공장 근처 엘베강에서 채취한 규조토(diatomaceous earth), 즉 규조류의 화석화된 껍질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안정화에 성공했다. 이 새로운 혼합물은 충격에 훨씬 둔감해져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면서도 뇌관을 사용하면 강력하게 폭발했다.[2][18]


노벨은 이 발명품에 대해 1867년 5월 7일 영국, 같은 해 10월 19일 스웨덴에서 특허를 취득했으며,[3][25] 1868년에는 미국 특허도 얻었다.[18] 다이너마이트는 곧 흑색화약과 액체 니트로글리세린을 대체하며 건설, 채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노벨은 특허권을 엄격하게 관리하여 무단 복제를 막았지만, 일부 미국 사업가들은 규조토 대신 수지 등 다른 흡수제를 사용하여 특허를 회피하기도 했다.[4]
노벨은 처음에는 이 발명품을 "노벨의 발파 화약"(Nobel's Blasting Powder)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으나, 나중에 '힘'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δύναμις|디나미스grc(dýnamis)에서 유래한 "다이너마이트"(dynamite)로 이름을 변경했다.[5][26]
이후 노벨은 1875년에 규조토 같은 비활성 물질 대신 또 다른 폭발성 물질인 니트로셀룰로스(저질화면약)를 니트로글리세린과 혼합하여 젤 상태로 만든 젤리그나이트(blasting gelatin)를 발명했다. 이는 규조토 다이너마이트보다 더 강력한 폭발력을 지녀 다이너마이트의 성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발명품이었다.
2. 2. 다이너마이트의 전파와 영향
앨프리드 노벨은 1867년 5월 7일 영국에서, 같은 해 10월 19일 스웨덴에서 다이너마이트 특허를 취득했다.[3] 이후 다이너마이트는 기존의 화약이나 나이트로글리세린보다 안전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가진 폭발물로 인정받아 빠르게 확산되었다. 노벨은 특허를 엄격하게 통제했고, 허가받지 않은 복제 기업들은 빠르게 문을 닫았다. 그러나 일부 미국 사업가들은 규조토 대신 수지와 같은 다른 흡수제를 사용하여 특허 규제를 피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4]노벨은 처음에 자신의 발명품을 "노벨의 발파 분말"(Nobel's Blasting Powder)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으나, 나중에 '힘'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디나미스'(δύναμις|디나미스grc)에서 유래한 '다이너마이트'(dynamite)로 이름을 변경했다.[5][6]
노벨은 다이너마이트가 주로 토목 공사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가 전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다이너마이트와 같이 파괴력이 큰 무기가 전쟁 자체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기대하기도 했다.[19] 그러나 현실적으로 다이너마이트는 전쟁의 파괴력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이로 인해 노벨은 "죽음의 상인"이라는 비판적인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비판과 오명은 훗날 노벨이 자신의 유산을 인류에 기여한 사람들을 위해 사용하도록 노벨상을 제정하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2. 3. 한국으로의 도입
일본에서는 메이지에 외국에서 수입되어 비와호 수로 공사 등에 사용되었으나, 당시에는 외화를 들여 수입하는 귀중품이었다. 러일전쟁에서는 다량의 다이너마이트가 사용되었는데, 여순 요새 공격전의 갱도전에서 러시아군의 동계관산 북보루를 2300kg의 다이너마이트로 파괴한 것이 최초의 본격적인 사용 예였다.1906년부터 도쿄 포병 공창 이와하나 화약 제조소(군마현 이와하나촌, 현 다카사키시 이와하나정)에서 일본산 다이너마이트 제조가 시작되었다.[20] 이와하나 화약 제조소 터는 현재 군마의 숲 공원이 되었으며, "일본 다이너마이트 발상지"라고 새겨진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3. 종류
다이너마이트는 성분과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으로 규조토 다이너마이트,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교질 다이너마이트 및 분상 다이너마이트 등이 있다. 각 종류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규조토 다이너마이트
1846년에 발견된 니트로글리세린은 민감한 폭발물이어서 폭약으로서의 실용화는 어려웠다. 실용적인 폭약이 되려면 약간의 충격에는 반응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열화되거나 화학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안정성이 필요하다.
1866년 알프레드 노벨은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스며들게 하여 안전하게 만들었고(1868년 미국 특허 취득[18]), 더 나아가 뇌관을 발명하여 폭발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이것이 역사상 최초의 다이너마이트인 규조토 다이너마이트이다.
다이너마이트라는 이름은 "힘"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δύναμις|두나미스el(dunamis)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규조토는 폭발력에 기여하지 않는 불활성 물질이므로, 폭약 자체의 위력을 약화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1875년 노벨은 니트로글리세린과 마찬가지로 폭약인 저질화면약(약면약)을 혼합하여 젤 상태로 만들고, 규조토를 사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안정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것은 젤리그나이트(블라스팅젤라틴)이라고 불리는 발명품이며, 불활성 물질인 규조토의 사용을 중지하고 폭약의 위력을 높인 것이었다.
규조토 다이너마이트는 이후 젤리그나이트로 대체되었고, 이미 100년 가까이 생산되지 않고 있지만, 지금도 법률 용어 등에서는 그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3. 2.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니트로글리세린을 질산소다와 목분 같은 활성 흡수제에 스며들게 하여 만든다. 면약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니트로글리세린의 함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위력을 가진 다이너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며, 산업 현장에서는 쓰이지 않는다.3. 3. 교질 다이너마이트와 분상 다이너마이트
현재 산업용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에 여러 가지 산화제와 연료를 혼합한 것으로, 니트로글리세린의 비율이 높으면 콜로이드(겔상의 고체)가 되고, 낮으면 분말이 된다.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된다.;소나무 다이너마이트
:니트로글리세린(젤리그나이트) 그 자체의 다이너마이트. 다이너마이트 중 가장 큰 위력을 자랑한다. 연구 시험용 등 특수 용도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21]
;벚꽃 다이너마이트
:콜로이드 다이너마이트의 하나. 니트로글리세린에 산소 공급제로 질산칼륨 또는 질산나트륨을 혼합하여 만든다. 오늘날에는 산업용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오동나무 다이너마이트
:콜로이드 다이너마이트의 하나. 니트로글리세린에 산소 공급제로 질산암모늄을 혼합하여 만든다. 주력 산업용 다이너마이트 중 하나이다. 신오동, 3호 오동 등이 있다.
;느릅나무 다이너마이트
:콜로이드 다이너마이트의 하나. 오동나무 다이너마이트를 개량한 것으로, 산소 공급제로 질산암모늄 외에 질산칼륨 또는 질산나트륨을 혼합하여 폭발 후 남는 가스(후가스)를 개선한 것이다. 갱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2호 느릅나무가 일반적이다.
;매화 다이너마이트
:콜로이드 다이너마이트의 하나. 오동나무 다이너마이트에 감열소염제(식염 등)를 첨가하여 탄광 내에서 메탄 가스나 탄진에 점화되지 않도록 한 검정화약. 탄광 굴진용 주력 다이너마이트였지만, 탄광의 쇠퇴와 함께 사용량이 격감했다.
;계수나무 다이너마이트
:질산암모늄을 산화제로 하는 분말 다이너마이트. 비검정화약.
;질산암모늄 다이너마이트
:분말 다이너마이트. 질산암모늄을 산화제로 하고, 감열소염제를 첨가한 탄광 갱내용 주력 다이너마이트. 검정화약. 현재 사용량은 거의 없다.
4. 제조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서술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생략함)
4. 1. 제조 과정 및 형태
다이너마이트는 보통 길이 약 약 20.32cm (약 200mm)에 지름 약 약 3.17cm (약 32mm)의 판지 원통형으로 판매되며, 무게는 약 약 0.23kg (약 230g)이다.[7] 이렇게 만들어진 다이너마이트 1개는 약 1MJ의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다.[8] 크기는 다양하며, 부분(쿼터 스틱 또는 하프 스틱) 또는 무게로 등급이 매겨진다.다이너마이트는 일반적으로 니트로글리세린 함량에 따라 "중량 강도"로 등급이 매겨지며, 일반적으로 20%에서 60%까지 다양하다. 예를 들어, "40%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 40%와 안정제 및 첨가제와 혼합된 흡수성 저장 매체인 "도프(dope)" 60%로 구성된다. 桐, 榎, 매화 등에는 제조회사나 배합의 작은 변화에 따라 백, 신 등의 말을 덧붙이는 경우가 많다.
산업용 다이너마이트의 대부분은 직경 32 또는 25 mm의 원통형으로 성형하여, 약포지로 싸고, 용융 파라핀에 담가 외측에 내수, 내습 피막을 만들어 보호한다. 분말 다이너마이트는 약포지통 또는 폴리에틸렌 봉투에 충전 포장한다.
최근에는 니트로글리세린의 일부가 니트로글리콜로 대체되고 있다. 과거 니트로글리콜은 불동 다이너마이트에 소량 사용되는 것에 불과했지만, 석유화학 기술의 발달로 원료가 되는 에틸렌글리콜이 천연 유지의 가수분해로 만드는 글리세린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니트로글리콜의 사용량이 증가했다.
다이너마이트보다 안전하고 저렴한 함수폭약이나 암모니아폭약으로의 대체가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위력을 가진 대체품도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본 제조업체들에서 폐품화도 진행되고 있다.[22][23][24]
4. 2. 보관 방법
니트로그리세린 기반 다이너마이트의 최대 보관 수명은 좋은 보관 조건 아래에서 제조일로부터 1년까지로 권장된다.[7]시간이 지나면 사용된 흡수제와 관계없이 다이너마이트 막대에서 니트로그리세린이 스며 나와 표면에 맺히거나 흘러내리는 이른바 "땀 흘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니트로그리세린은 보관 상자나 보관 장소 바닥에 고일 수 있다. 따라서 폭발물 관련 지침에서는 보관 중인 다이너마이트 상자를 정기적으로 뒤집어 줄 것을 권장한다. 니트로그리세린이 막대 표면에서 결정화되면 충격, 마찰, 온도 변화에 더욱 민감해져 위험성이 커진다. 새 다이너마이트는 뇌관 없이는 폭발할 위험이 거의 없지만, 오래되어 땀을 흘린 다이너마이트는 매우 위험하므로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현대에는 다이너마이트를 밀봉된 비닐봉투에 넣고 왁스로 코팅한 판지 상자를 사용하여 이러한 땀 흘림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다이너마이트는 충격에 다소 민감하다. 충격 저항 시험은 보통 낙하 해머(drop hammer)를 이용해 측정하는데, 약 100mg의 폭발물을 모루 위에 놓고 폭발이 일어날 때까지 0.5kg에서 10kg 사이 무게의 추를 다른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9] 2kg 무게의 추를 사용했을 때, 폭굉수은은 1cm~2cm, 니트로그리세린은 4cm~5cm 높이에서 떨어뜨리면 폭발한다. 다이너마이트는 이보다 둔감하여 15cm~30cm 높이에서 폭발하며, 암모니아계 폭발물은 40cm~50cm 높이에서 폭발한다. 따라서 보관 및 취급 시 충격에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다이너마이트는 지름 32 mm 또는 25 mm 크기의 원통형으로 만들어 약포지로 감싼다. 이후 녹인 파라핀에 담가 표면에 방수 및 방습 피막을 만들어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분말 형태의 다이너마이트는 약포지 통이나 폴리에틸렌 봉투에 담아 포장한다.
4. 3. 주요 제조업체

1940년대부터 수십 년간 세계 최대의 다이너마이트 생산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었다. 데비어스(De Beers)는 1902년 서머싯 웨스트(Somerset West)에 공장을 설립했으며, 이 공장은 나중에 AECI(African Explosives and Chemical Industries)가 운영했다. 주요 수요처는 비트바테르스란트(Witwatersrand)를 중심으로 한 금광이었다. 서머싯 웨스트 공장은 1903년부터 가동되어 1907년에는 연간 34만 상자(각 22.7kg)를 생산할 정도로 성장했다.[10]
그러나 1960년대 서머싯 웨스트 공장에서는 두 차례의 큰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일부 노동자가 사망했지만, 공장의 모듈식 설계와 토목 구조, 폭발 방향을 위로 유도하도록 심은 나무 덕분에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모더폰테인(Modderfontein) 공장에서도 여러 차례 폭발 사고가 있었다. 결국 1985년 이후 노동조합의 압력으로 AECI는 다이너마이트 생산을 점차 중단하고, 이후에는 취급이 더 안전한 질산암모늄 유제 폭약을 생산하기 시작했다.[11]
미국에서는 샌프란시스코의 자이언트 파우더 컴퍼니(Giant Powder Company)가 처음으로 다이너마이트를 생산했다. 이 회사는 1867년 노벨로부터 독점 생산권을 얻어 설립되었다. 자이언트 파우더 컴퍼니는 이후 듀폰(DuPont)에 인수되었고, 1905년 듀폰에 의해 해체될 때까지 '자이언트'라는 이름으로 다이너마이트를 생산했다.[12]
듀폰은 1911년에서 1912년 사이 미국 순회법원의 판결로 폭발물 시장 독점이 해체될 때까지 자사 이름으로 다이너마이트를 생산했다. 독점 해체 이후 허큘리스 파우더 컴퍼니(Hercules Powder Company)와 애틀러스 파우더 컴퍼니(Atlas Powder Company)라는 두 개의 새로운 회사가 설립되어 다양한 종류의 다이너마이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현재 미국에서 다이너마이트를 생산하는 회사는 다이노 노벨(Dyno Nobel)이 유일하다. 유일한 생산 시설은 미주리주 카르타고에 위치해 있지만, 다른 업체들이 다이노 노벨로부터 원료를 구매하여 자체 상표를 붙여 판매하기도 한다.
5. 용도
다이너마이트는 발명 이후 건축, 채광, 토목 공사와 같은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전쟁 등 군사적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수중 환경에서의 폭파 작업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기술 발달로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폭발물이 개발되면서 여러 분야에서 점차 다른 기술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5. 1. 토목 및 건설
다이너마이트는 과거 건축, 채광 등 다양한 토목 및 건설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단단한 암반을 폭파하거나 지형을 정리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수중 환경에서의 폭파 작업에도 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폭발물과 공법이 개발되면서, 오늘날 여러 분야에서 다이너마이트의 사용은 점차 다른 기술로 대체되고 있다.5. 2. 군사적 용도
다이너마이트는 전쟁터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주로 무장 전투를 지원하거나 교량과 같은 구조물을 파괴하여 적군의 진격을 늦추거나 보급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쓰였다.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은 본래 토목 공사 등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개발했다. 일각에서는 노벨이 다이너마이트의 군사적 사용을 원치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실제로는 전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었다. 노벨은 오히려 다이너마이트와 같이 파괴력이 큰 무기가 등장하면 역설적으로 전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했다.[19] 그러나 현실은 그의 기대와 달랐고, 다이너마이트는 전쟁의 참혹함을 더욱 키우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노벨은 "죽음의 상인"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이러한 배경은 훗날 그가 노벨상을 제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5. 3. 기타 용도
다이너마이트는 건축, 채광, 파괴 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지만, 폭발물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쓰임새가 변화해왔다. 특히 다음과 같은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6. 안전 및 규제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을 기반으로 하는 강력한 폭발물이므로 취급과 보관에 매우 높은 수준의 주의가 필요하다. 잘못된 보관 환경이나 외부 충격은 예기치 못한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오래되어 니트로글리세린이 분리된 다이너마이트는 더욱 불안정하여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다이너마이트를 다루는 모든 과정에서는 전문적인 안전 교육 이수와 함께 정해진 절차를 엄격히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제조, 운반, 저장, 사용 등 전 과정에 걸쳐 철저한 안전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폭발물의 취급은 엄격한 법적 규제의 대상이 된다.
6. 1. 관련 법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폭발물 제조, 유통, 저장, 사용 및 소지 또는 그 재료에 대한 면허를 요구하는 폭발물 관련 법률을 제정했다.7. 다이너마이트와 관련된 사건/사고
- 1955년 - 아키하 댐 다이너마이트 폭발 사고
8. 대체 폭약
다른 폭약들이 종종 다이너마이트로 불리거나 혼동되기도 한다.
8. 1. TNT
트리니트로톨루엔(TNT)은 20세기 동안 다이너마이트와 함께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종종 다이너마이트와 동일시되거나 혼동되곤 한다. 이러한 오해는 벅스 버니와 같은 만화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들에서 강화되기도 했다.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은 TNT라는 약칭이 더 짧고 기억하기 쉬우며, '폭탄'을 의미한다는 것을 읽기 능력 없이도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이유로 다이너마이트 막대기부터 흑색화약 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폭발물에 TNT 라벨을 붙였다.두 폭발물 모두 고성능 폭약이라는 점 외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다. TNT는 군에서 채택한 2세대 주조 폭약인 반면, 다이너마이트는 1세대 둔감화 폭약으로 주로 민간 토목 공사를 위해 개발되었다. 다이너마이트는 열악한 환경에서 쉽게 변질되고 불이나 총탄에도 폭발할 수 있어 전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군은 다이너마이트가 발명된 지 약 40년 후인 1902년에 포탄 충전재로 TNT를 채택했다. 반대로 TNT는 다이너마이트보다 훨씬 비싸고 무게당 위력이 낮으며, 혼합하여 시추공에 채우는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민간 토목 공사에서는 인기가 없었다.[13]
TNT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둔감하고 안정적이라는 점이다. 방수 기능이 있으며, 뇌관이나 연쇄 폭발에 의한 극도의 충격과 열 없이는 폭발하지 않는다. 이러한 안정성 덕분에 약 81.1°C에서 녹여 고성능 폭탄에 부어 다시 굳힐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위험이나 TNT의 특성 변화가 없다.[14] 따라서 미국에서 생산된 TNT의 90% 이상은 군사용으로 공급되었으며, 대부분 포탄, 수류탄, 항공 폭탄의 충전재로 사용되었다. 나머지는 갈색 벽돌 형태로 포장되어 전투 공병들이 파괴 장약으로 사용했다.
8. 2. 암모늄 다이너마이트
1885년 미국에서 화학자 러셀 S. 페니먼(Russell S. Penniman)은 기존 다이너마이트의 주성분인 니트로글리세린보다 저렴한 질산암모늄을 사용하여 "암모늄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다. 질산암모늄은 니트로글리세린이 가진 화학 에너지의 약 85% 정도를 가지고 있다.[15]암모늄 다이너마이트의 성능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평가된다.
- 중량 강도 (Weight Strength): 폭약 내에 포함된 질산암모늄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성능 폭발물인 ''65% 엑스트라 다이너마이트''는 질산암모늄 65%와 나머지 35%는 안정제와 첨가제가 섞인 흡수 매개체("도프", Dope)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 약통 강도 (Cartridge Strength): 특정 밀도와 입자 크기를 가진 폭발물이 낼 수 있는 잠재적인 폭발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민간에서는 ANFO, 군사에서는 TNT와 같은 표준 폭발물과 비교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20% 약통 강도를 가진 65% 암모늄 다이너마이트는 그 폭약 막대가 20% ANFO와 동일한 중량 강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8. 3. 군용 다이너마이트
군용 다이너마이트(또는 M1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보다 안정적인 성분으로 만들어진 다이너마이트 대체물이다.[16] RDX 75%, TNT 15%, 그리고 둔감제와 가소제 10%로 구성되어 있다. 상업용 다이너마이트의 60%에 해당하는 위력을 가지지만, 저장과 취급이 훨씬 안전하다.[17]참조
[1]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of Non-Military Explosives
https://apps.dtic.mi[...]
Research Triangle Institut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U.S. Department of Commerce
1974
[2]
웹사이트
Alfred Nobel – Dynamit
https://www.tekniska[...]
Swedish National Museum of Science and Technology
[3]
서적
Schück & Sohlman
1929
[4]
특허
US Patent 234489
1880-11-16
[5]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www.thefreedi[...]
Houghton Mifflin Company
[6]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and Unabridged
http://www.thefreedi[...]
HarperCollins
[7]
웹사이트
Austin Powder Guide, Dynamite series page 2
http://www.austinpow[...]
[8]
웹사이트
145 Years of Dynamite
http://www.chemistry[...]
ChemViews Magazine
2012-11-28
[9]
서적
Drilling and Blasting of Rocks
Taylor & Francis
[10]
웹사이트
Home
https://www.caia.co.[...]
[11]
웹사이트
Historical Highlights 1980's
http://www.aeci.co.z[...]
2006-06-30
[12]
웹사이트
The Federal Reporter with Key-Number Annotations, Volume 188: Cases Argued and Determined in the Circuit Courts of Appeals and Circuit and District Courts of the United States, August-October, 1911.
https://digital.libr[...]
1911-05-08
[13]
서적
Explosivstoffe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14]
보고서
LASL Explosive Property Data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15]
웹사이트
FHWA - Center for Local Aid Support - Publications
https://www.fhwa.dot[...]
[16]
서적
A Soldiers Handbook, Volume 1: Explosives Operations
https://books.google[...]
Jared Ledgard
[17]
서적
U.S. Marine Corps School Of Infantry SOI Complete Training Materials
https://books.google[...]
Jeffrey Frank Jones
2017-10-19
[18]
특허
Improved explosive compound
http://patimg1.uspto[...]
1868-05-26
[19]
서적
当った予言、外れた予言
文春文庫
[20]
서적
陸軍岩鼻火薬製造所の歴史―県立公園「群馬の森」の過去をさぐる―
みやま文庫
2007-07-20
[21]
뉴스
温泉旅館に爆破男 酔ってマイト投げる
朝日新聞
1968-03-08
[22]
웹사이트
産業用火薬爆薬類 ダイナマイト
https://www.kayakuja[...]
カヤク・ジャパン株式会社
[23]
웹사이트
アルテックス®榎、桐(高威力含水爆薬)
https://www.kayakuja[...]
カヤク・ジャパン株式会社
[24]
웹사이트
国内生産品リスト
https://www.j-kayaku[...]
日本火薬工業会
[25]
서적
Schück & Sohlman
1929
[26]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http://www.thefreedi[...]
Houghton Mifflin Company
[27]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and Unabridged
http://www.thefreedi[...]
HarperCollins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