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카하시 히사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하시 히사노리는 일본의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고마자와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팀을 거쳐 199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일본 프로 야구(NPB)에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활약했다. 2007년에는 최고 평균자책점, 베스트 나인, 최우수 투수,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 등을 수상하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2010년에는 메이저 리그(MLB)의 뉴욕 메츠에서 뛰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시카고 컵스를 거쳤다. 2013년에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 복귀하여 2015년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한이
    박한이는 KBO 리그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통산 안타 3위, 득점 4위, 출전 경기 4위를 기록하고 골든글러브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 삼성 라이온즈 코치이다.
  • 도쿄도 출신 야구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도쿄도 출신 야구 선수 - 스기시타 시게루
    스기시타 시게루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코치, 감독으로 투수로서 활약했으며,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6년 연속 20승 이상을 기록하며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고, 일본 시리즈 MVP와 사와무라 에이지 상을 수상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일본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 이가라시 료타
    이가라시 료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해외 리그에서 활약하며 핵심 불펜 투수로 명성을 얻었고,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일본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다카하시 히사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0817 Hisanori Takahashi, pitcher of the Yokohama DeNA BayStars, at Yokosuka Stadium
다카하시 히사노리 (2014년)
이름다카하시 히사노리
로마자 표기Takahashi Hisanori
가나たかはし ひさのり
한자高橋 尚成
출생일1975년 4월 2일 (세)
출생지도쿄도 스미다구
포지션투수
투구
타석
데뷔 리그NPB
데뷔일2000년 4월 6일
데뷔 팀요미우리 자이언츠
데뷔 2 리그MLB
데뷔 2 날짜2010년 4월 7일
데뷔 2 팀뉴욕 메츠
최종 리그MLB
최종 날짜2013년 4월 11일
최종 팀시카고 컵스
최종 2 리그NPB
최종 2 날짜2015년 10월 2일
최종 2 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프로 입단 연도1999년
드래프트 순위1순위 (역지명)
신장177
체중80
연봉420만 달러 (2012년)
경력도시바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0~2009)
뉴욕 메츠 (2010)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2011~2012)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2)
시카고 컵스 (201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4~2015)
NPB 통계
승-패79–73
평균 자책점3.79
탈삼진1,069
MLB 통계
승-패14–12
평균 자책점3.99
탈삼진221
국가대표
대표 국가일본
아시안 게임1998 방콕
메달1998 방콕 단체전 은메달

2. 프로 입단 전

도쿄도 스미다구 출신으로 슈토쿠 고등학교와 고마자와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 시절 도토 대학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했으며, 졸업 후에는 사회인 야구팀 도시바에 입단했다. 도시바 소속으로 1999년 제70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 우승에 기여하고 최우수 투수로 선정되는 등 활약을 바탕으로, 같은 해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순위(역지명)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2. 1. 유년 시절

도쿄도 스미다구 출신으로 슈토쿠 고등학교를 거쳐 고마자와 대학에 진학했다. 대학 시절 도토 대학 리그에서 통산 60경기에 등판하여 17승 11패, 평균자책점 2.58, 239탈삼진을 기록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사회인 야구팀인 도시바에 입단했다. 1999년 제70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서는 팀의 우승에 기여하며 최우수 투수로 선정되는 활약을 펼쳤다. 같은 해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1순위(역지명)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2. 2. 대학 시절

도쿄도 스미다구 출신으로 슈토쿠 고등학교를 거쳐 고마자와 대학에 진학했다. 도토 대학 리그에서 통산 60경기에 등판해 17승 11패, 평균자책점 2.58, 239탈삼진을 기록했다.

2. 3. 사회인 야구 시절

고마자와 대학 졸업 후 사회인 야구팀인 도시바에 입단했다. 1999년 제70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서 팀의 우승에 기여하며 최우수 투수로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같은 해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순위(역지명)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3. 일본 프로 야구 (NPB) 시절

다카하시 히사노리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일본 프로 야구(NPB) 무대에서 활동했다. 일본 시절 그는 평균 86~89마일(약 138km/h~143km/h), 최고 92마일(약 148km/h)에 이르는 패스트볼과 함께 슬라이더, 커브, 그리고 결정구로 스크루볼을 구사하는 정교한 투수로 평가받았다. 주로 선발 투수로 활약했으나, 팀 사정에 따라 마무리 투수로 등판한 경험도 있다. 2009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하여 메이저 리그 진출을 선언하며 일본 프로 야구 경력을 마무리했다.

3. 1.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2000년 ~ 2009년)

다카하시 히사노리는 2000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며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부터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9승을 거두었고, 특히 2000년 일본 시리즈 5차전에서는 완봉승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하고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1][2]

이후 몇 년간 꾸준히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며 2002년에는 첫 두 자릿수 승리(10승)를 달성했지만,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부상 등으로 인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 2006년에는 시즌 초반 부상으로 이탈했다가 복귀 후 마무리 투수로 보직을 변경하여 15세이브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본인의 의사에 따라 2007년 다시 선발로 복귀했다.[1]

2007년은 다카하시에게 최고의 해로, 개인 최다인 14승을 거두고 처음으로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하며 팀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 또한 그해 처음으로 올스타전에도 출전했다.[1] 이후 2008년과 2009년에도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2009년에는 개인 통산 세 번째 두 자릿수 승리(10승)를 기록했다.[1]

2009년 시즌 종료 후, 다카하시는 FA 자격을 취득하여 10년간 몸담았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떠나 메이저 리그 진출을 선언했다.[1]

3. 1. 1. 2000년 ~ 2005년

2007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 다카하시


2000년 4월 6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 호리우치 쓰네오 이후 처음으로 선발 등판하여 데뷔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 일본 프로 야구 데뷔 당시 다카하시는 86mph~89mph(최고 92mph)의 패스트볼, 슬라이더, 커브, 그리고 헛스윙을 유도하는 스크루볼을 주무기로 하는 정교한 투수로 평가받았다. 시즌 초부터 기대 이상의 활약을 펼쳤으나, 신인왕은 타격왕을 차지한 긴조 다쓰히코에게 돌아갔다. 최종 성적은 9승 6패, 평균자책점 3.18을 기록했다. 같은 해 2000년 일본 시리즈 5차전(후쿠오카 돔)에 선발 등판하여, 역대 10번째이자 요미우리 투수로는 5번째로 일본 시리즈 첫 등판 완봉승을 거두며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2001년에는 9승을 기록했고, 다음 해인 2002년에는 처음으로 두 자릿수 승리인 10승을 달성하며 요미우리 선발 투수진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갑작스러운 부상으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투구가 많아지며 성적이 침체되었다.

2005년에는 팀의 선발 로테이션을 지켰지만, 불안정한 투구가 많아 2년 연속으로 10패째를 기록하는 등 불안한 시즌을 보냈다. 10패 중에는 5월 8일 미야기 구장에서 열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에서 이와쿠마 히사시와 투수전을 벌이다 패배한 경기도 포함되었는데, 이로 인해 구단 역사상 최초의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패전 투수가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시즌 초중반 부진에도 불구하고 9월 이후 5연승을 기록하며 최종적으로는 10승 6패, 평균자책점 2.94로 시즌을 마감, 개인 통산 세 번째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의 성적은 17승 26패, 평균자책점 5.00으로 다소 부진했다.

3. 1. 2. 2006년



2006년 시즌에는 몸쪽 공을 적극적으로 던지는 스타일을 시도하여 시범 경기에서 좋은 투구를 이어갔다. 하지만 정규 시즌 개막 후인 4월 5일 야쿠르트와의 경기 도중, 벤치로 날아든 아오키 노리치카의 파울 타구에 얼굴을 맞아 오른쪽 뺨 골절 부상을 당했다. 이 부상으로 인해 장기간 전력에서 이탈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복귀 후에는 마무리 투수로 나서 시즌 15세이브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원래 마무리 투수였던 도요다 기요시가 부상 등으로 빠지면서 취해진 임시 조치였다. 시즌 종료 후 재계약 협상 과정에서 다카하시는 기요타케 히데토시 구단 대표에게 2007년 시즌에는 다시 선발 투수로 복귀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3. 1. 3. 2007년



2007년에는 선발 투수로 복귀했다. 4월에는 월간 5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구단 좌완 투수로서는 1979년 5월 니우라 히사오 이후 28년 만의 좋은 성적이었다. 입단 8년 만에 처음으로 감독 추천을 받아 올스타전에 출전하게 되었다. 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열린 올스타전 2차전에 선발로 등판했으나, 야마사키 다케시에게 홈런을 맞는 등 2이닝 동안 2실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아베 신노스케의 3점 홈런 등 센트럴 리그 타선의 도움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

정규 시즌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인 14승을 올리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시즌 후반기인 8월 2일부터 9월 15일까지 한 달 이상 승리를 추가하지 못하는 부진을 겪기도 했고, 이 때문에 잠시 세스 그레이싱어에게 평균자책점 1위 자리를 내주기도 했다. 그러나 시즌 막판 2연승을 거두며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차지했다.

3. 1. 4. 2008년 ~ 2009년

처음으로 개막전 선발 투수로 지명되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 등판했지만, 팀은 2대 6으로 패했다. 이후 등판에서도 극심한 부진이 이어졌고, 5월 20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교류전에서는 3회 도중 6실점을 기록하는 등 최악의 성적을 남기며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시즌 후반에는 다시 1군으로 복귀하여 원래의 투구 감각을 되찾았고, 최종적으로 8승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4. 메이저 리그 (MLB) 시절

다카하시 히사노리는 2010년 뉴욕 메츠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력을 시작했다.[1] 이후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3] 피츠버그 파이리츠,[4] 시카고 컵스[6] 등 여러 팀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각 팀에서의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4. 1. 뉴욕 메츠 (2010년)

2010년 2월 11일, 다카하시는 뉴욕 메츠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1] 이 계약에는 메츠가 2010년 10월 31일까지 그를 자유 계약 선수로 풀어주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2] 다카하시는 2010 시즌을 메츠의 불펜 투수로 시작했다. 5월 21일, 그는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선발 투수로 첫 등판하여 6이닝 동안 실점 없이 막았지만 승패를 기록하지는 못했다.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가 부상으로 빠지면서, 다카하시는 메츠의 마무리 투수 역할을 맡게 되었고, 8월 16일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에서의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4.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2011년 ~ 2012년)

2010년 12월 2일, 다카하시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과 2년 800만달러 계약을 체결했다.[3] 2012년 7월 28일, 새로 영입된 선발 투수 잭 그레인키를 위한 자리를 만들기 위해 트리플 A 솔트레이크 비스로 옵트 아웃되었다.

4. 3.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2년)

2012년 8월 24일,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다카하시를 영입했다.[4] 그러나 같은 해 10월 31일, 파이리츠는 다카하시를 방출했다.[5]

4. 4. 시카고 컵스 (2013년)

2012년 12월 27일, 시카고 컵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으며, 이 계약에는 스프링 트레이닝 초청이 포함되었다.[6] 그는 구원 투수로서 2013년 시즌 개막전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지만, 같은 해 4월 16일에 지명 할당되었다.

5. 일본 프로 야구 복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동한 후, 다카하시는 2013년 시즌 종료 후 일본 프로 야구로 복귀하여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 계약을 맺었다.[9] 이후 요코하마에서 두 시즌을 보낸 뒤 2015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발표했다.[10]

5. 1.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시절 (2014년 ~ 2015년)

2013년 시즌 종료 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 계약했다.[9] 2013년 12월 2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는 다카하시와 2년 계약을 맺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다카하시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떠난 지 5년 만에 NPB센트럴 리그로 복귀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메츠 시절 사용했던 47번을 받았다. 2014년 1월 20일에는 등록명을 '히사노리(尚成)'로 변경한다고 구단이 발표했다.

2015년 9월, 다카하시는 2015년 일본 프로 야구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요코하마에서 뛴 두 시즌 동안 단 한 번의 승리도 기록하지 못했다.[10]

6. 상세 정보



다카하시는 2000년 일본 프로 야구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데뷔했다. 그는 일본에서 약 138.40km~약 143.23km(최고 약 148.06km)의 패스트볼, 슬라이더, 커브, 그리고 헛스윙을 유도하는 스크루볼을 주무기로 하는 정교한 선발 투수였다.

6. 1. 수상·타이틀 경력

수상/타이틀횟수연도/시기비고
최고 평균자책점1회2007년
최고 승률1회2007년※ 센트럴 리그에서는 1972년까지 타이틀로 제정됨 (당시는 타이틀 아님)
최우수 배터리상1회2007년[11]
베스트 나인1회2007년
최우수 투수1회2007년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1회2000년
월간 MVP2회2002년 5월, 2007년 4월
JA 전농 Go·Go상 (최다 탈삼진상)1회2005년 5월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우수 선수상1회2007년


6. 2. 개인 기록 (NPB)

개인 기록
기록내용
첫 등판·첫 선발·첫 승리2000년 4월 6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3차전(나고야 돔), 8이닝 1실점
첫 탈삼진상동, 3회말에 이노우에 가즈키로부터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2000년 5월 7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8차전(도쿄 돔)
첫 홀드2005년 7월 20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1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말 1사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과 2/3이닝을 무실점
첫 세이브2006년 7월 16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9회말에 6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이닝 무실점
첫 안타·첫 타점2000년 4월 23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6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5회초에 기쿠치하라 쓰요시로부터 3루 적시 내야 안타
통산 1000투구 이닝2007년 9월 9일, 대 한신 타이거스 21차전(도쿄 돔), 1회초 3아웃에 다카하시 미쓰노부를 1루수 뜬공으로 달성 ※역대 307번째.
통산 1000탈삼진2009년 8월 16일, 대 한신 타이거스 18차전(도쿄 돔), 4회초에 시모야나기 쓰요시로부터 ※역대 125번째.



다카하시는 2000년 일본 프로 야구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데뷔했다. 그는 일본에서 약 138.40km~약 143.23km(최고 약 148.06km)의 패스트볼, 슬라이더, 커브, 그리고 헛스윙을 유도하는 스크루볼을 주무기로 하는 정교한 선발 투수였다.

6. 3. 등번호


  • 36(2000년 ~ 2001년)
  • 17(2002년 ~ 2006년)
  • 21(2007년 ~ 2009년, 2011년 ~ 2012년)
  • 47(2010년, 2014년 ~ 2015년)
  • 41(2012년 ~ 2013년)

6. 4. 등록명


  • 高橋 尚成|다카하시 히사노리jpn (2000년 ~ 2012년, 2015년)
  • 尚成|히사노리jpn (2014년)

참조

[1] 웹사이트 NY Mets announce signings of Hisanori Takahashi, Mike Jacobs and Shawn Riggans http://www.nj.com/me[...] NJ.com 2014-01-03
[2] 뉴스 Mets Face a Deadline on Keeping Takahashi https://www.nytimes.[...] 2010-10-24
[3] 웹사이트 Angels sign Takahashi to two-year deal | MLB.com: News http://mlb.mlb.com/n[...] Mlb.mlb.com 2014-01-03
[4] 웹사이트 Bucs promote Clement, claim Takahashi off waivers https://web.archive.[...] 2012-08-24
[5] 웹사이트 Pirates exercise Alvarez's option, decline Barajas' https://web.archive.[...] 2012-11-03
[6] 웹사이트 Cubs Agree To Sign Hisanori Takahashi http://www.mlbtrader[...] Mlbtraderumors.com 2014-01-03
[7] 웹사이트 Rockies Acquire Hisanori Takahashi: MLB Rumors http://www.mlbtrader[...] MLBTradeRumors.com 2014-01-03
[8] 뉴스 Hisanori Takahashi News: Takahashi elected free agency, Baseball America reports. https://www.thescore[...] theScore Inc. 2013-10-04
[9] 웹사이트 Takahashi to play for BayStars http://the-japan-new[...] The Japan News 2014-01-03
[10] 뉴스 Lions' Akiyama becomes 6th with 200-hit season http://the-japan-new[...] 2015-09-14
[11] 문서 포수는 아베 신노스케와 함께 수상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