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는 하나의 미사일에 여러 개의 핵탄두를 탑재하여 각기 다른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공격 능력 향상, 요격 체계 무력화 등의 군사적 목적을 가지며, 부스터를 통해 탄두를 목표 지점까지 운반하고, 버스라고 불리는 장치를 통해 각 탄두를 분리하여 목표물에 도달하게 한다. MIRV 기술은 1970년대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개발 경쟁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국,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등에서 운용 또는 개발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도 미사일 - 스커드
스커드는 소련이 개발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 시리즈로, 다양한 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하여 기동성을 확보했고, 여러 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개량형 및 파생형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 탄도 미사일 - 대함탄도미사일
대함탄도미사일은 해상 함정을 공격하기 위해 개발된 탄도 미사일로, 과거 개발 시도가 있었으나 중단되었고, 중국의 실전 배치와 후티 반군의 실전 사용으로 위협이 현실화되었다. - 핵무기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핵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 |
---|
2. 목적 및 작동 원리
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진입 비행체(MIRV)는 하나의 미사일에 여러 개의 탄두를 탑재하여 각 탄두가 독립적으로 다른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이다.
MIRV는 군사적 목적과 작동 원리 면에서 기존의 단일 탄두 미사일과 차이를 보인다. 군사적 목적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며,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주 로켓 모터(부스터)가 '버스'를 준궤도 탄도 비행 경로로 밀어 올린 후, 버스는 소형 로켓 모터와 컴퓨터화된 관성 유도 시스템을 사용해 기동하며 각 탄두를 목표 지점에 분리한다.
버스의 탑재된 추진제는 개별 탄두의 목표 간 거리를 수백 킬로미터로 제한하며,[18] 일부 탄두는 소형 극초음속 에어포일을 사용해 횡단 거리를 확보하기도 한다. 또한, 요격 회피를 위해 디코이를 방출하는 경우도 있다.
정확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정확도가 두 배 높아지면 필요한 탄두 에너지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탄두의 정확도는 원형 공산 오차(CEP)로 표시되며, 트라이던트 II와 피스키퍼 미사일의 경우 CEP는 약 90-100m이다.[19]
MIRV의 탄두는 포스트 부스트 비클(PBV)에 탑재되어, 재진입체(RV)에 탑재된 탄두를 한 발씩 분리하여 궤도를 변경, 각기 다른 목표를 향해 비행한다. PBV는 버스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PBV의 연료 탑재량 제한으로 인해 너무 멀리 떨어진 목표는 공격하기 어렵고, 정밀도 문제로 인해 MIRV화된 탄두의 CEP는 단일 탄두형보다 커져 명중 정밀도가 떨어진다.[35]
2. 1. 군사적 목적
- 선제 공격 능력 향상[14]
- 특정 열핵 무기 탑재량에 대해 더 큰 목표 피해를 제공한다. 여러 개의 작고 낮은 위력의 탄두는 단일 탄두보다 훨씬 더 많은 목표 피해 면적을 유발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특정 파괴 수준에 필요한 미사일 및 발사 시설의 수를 줄인다. 이는 집속탄의 목적과 거의 동일하다.[15]
- 단일 탄두 미사일의 경우, 각 목표에 대해 하나의 미사일을 발사해야 한다. 반면, MIRV 탄두의 경우, 포스트 부스트(또는 버스) 단계에서 넓은 지역에 걸쳐 여러 목표에 탄두를 분산시킬 수 있다.
- 개별 탄두 요격을 사용하는 탄도 미사일 요격 체계의 효과를 감소시킨다.[16] MIRV 공격 미사일은 여러 개의 탄두(미국 및 러시아 미사일의 경우 3~12개)를 가질 수 있지만, 요격 미사일은 미사일당 하나의 탄두만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군사적, 경제적 측면 모두에서 MIRV는 ABM 시스템의 효과를 떨어뜨리며, MIRV에 대한 실용적인 방어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각 공격 미사일에 여러 개의 방어 미사일이 필요하게 된다. 가짜 대기권 재진입 비행체는 실제 탄두가 목표에 도달하기 전에 요격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탄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미사일 궤도의 초기에(MIRV 분리 전) 미사일을 파괴하는 시스템은 이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지만 구현하기가 더 어렵고 비용이 더 많이 든다.
MIRV 지상 배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은 선제 공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7] 1970년 세계 최초의 MIRV인 미국 미니트맨 III 미사일은 미국의 배치 가능한 핵무기를 빠르게 증가시켜 사실상 러시아와 대량 살상 무기의 모든 핵무기를 파괴하고 어떠한 상당한 보복도 무효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폭탄을 보유할 가능성을 높였다. 이후 미국은 소련의 MIRV를 두려워했는데, 소련 미사일은 더 큰 투발 중량을 가지고 있어 미국보다 각 미사일에 더 많은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MIRV는 미사일당 탄두 수를 6배 증가시킬 수 있었지만, 소련은 10배 증가시켰다. 또한, 미국은 소련보다 핵무기 중 ICBM의 비율이 훨씬 적었다. 폭격기에는 MIRV를 장착할 수 없으므로 그 능력은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국은 소련만큼 MIRV 사용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은 MIRV를 장착할 수 있는 더 많은 수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는 ICBM의 불리함을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지상 배치 MIRV는 이러한 선제 공격 능력 때문에 START II 협정에 따라 금지되었다. START II는 2000년 4월 14일 러시아 국가 두마에서 비준되었지만, 미국이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 조약에서 탈퇴한 후 2002년 러시아는 이 조약에서 탈퇴했다.
2. 2. 작동 원리
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진입 비행체(MIRV)에서 주 로켓 모터 (부스터)는 "버스"를 자유 비행 준궤도 탄도 비행 경로로 밀어 넣는다. 부스트 단계 후, 버스는 소형 탑재 로켓 모터와 컴퓨터화된 관성 유도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동한다. 버스는 탄두를 포함하는 재진입 비행체를 목표로 전달하고 그 궤도에서 탄두를 해제할 탄도 궤도를 취한다. 그런 다음 다른 궤도로 기동하여 다른 탄두를 해제하고 모든 탄두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한다.[18]# 미사일은 1단계 부스트 모터(''A'')를 발사하여 사일로에서 발사된다.
# 발사 후 약 60초 뒤, 1단계가 떨어져 나가고 2단계 모터(''B'')가 점화된다. 미사일 슈라우드(''E'')가 배출된다.
# 발사 후 약 120초 뒤, 3단계 모터(''C'')가 점화되고 2단계에서 분리된다.
# 발사 후 약 180초 뒤, 3단계 추력이 종료되고 포스트 부스트 비히클(''D'')이 로켓에서 분리된다.
# 포스트 부스트 비히클은 자체적으로 기동하여 재진입 비히클(RV) 배치를 준비한다.
# 포스트 부스트 비히클이 물러나는 동안 RV, 디코이 및 채프가 배치된다(이것은 상승 중에 발생할 수 있음).
# RV 및 채프는 고속으로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비행 중 무장된다.
# 핵탄두는 공중 폭발 또는 지상 폭발로 폭발한다.
버스의 탑재된 추진제는 개별 탄두의 목표 간 거리를 수백 킬로미터로 제한한다.[18] 일부 탄두는 하강 중에 추가적인 횡단 거리 확보를 위해 소형 극초음속 에어포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버스 (예: 영국 Chevaline 시스템)는 디코이를 방출하여 알루미늄 풍선이나 전자 잡음 발생기와 같은 요격 장치 및 레이더를 혼동시킬 수 있다.
정확성은 매우 중요하다. 정확성을 두 배로 높이면 방사선 피해의 경우 필요한 탄두 에너지가 4분의 1로 감소하고 폭발 피해의 경우 8분의 1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항법 시스템 정확도와 사용 가능한 지구 물리학 정보는 탄두 목표 정확도를 제한한다. 정확도는 원형 공산 오차(CEP)로 표시된다. 이것은 탄두가 중심을 목표로 할 때 50%의 확률로 떨어질 수 있는 원의 반경이다. CEP는 트라이던트 II 및 피스키퍼 미사일의 경우 약 90-100m이다.[19]
다탄두 각 개별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의 탄두는 PBV(Post-Boost Vehicle: 포스트 부스트 비클)라고 불리는 소형 로켓과 같은 것에 탑재되어, 거기에서 재진입체('''R'''e-entry '''V'''ehicle, RV)에 탑재된 탄두를 한 발씩 속도와 방향을 미세하게 변경하여 분리함으로써 궤도가 바뀌어 탄두마다 다른 목표를 향해 비행한다. PBV에서 RV가 한 발씩 분리되어 가는 모습이 버스에서 승객이 내리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PBV는 "버스(Bus)"라고도 불린다.
탄도 미사일은 부스트 페이즈가 종료되면 이후 포물선을 그리며 관성으로 비행한다는 특성상, 또한 PBV에 탑재되는 로켓 엔진은 소형이며 연료 탑재량도 적기 때문에,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발사 시 포물선 궤도의 연장선에서 크게 벗어나는 목표를 동시에 노릴 수는 없다. 또한 분사 제어의 정밀도 문제로 인해, MIRV화된 탄두의 CEP은 확대되므로, 단일 탄두형에 비해 명중 정밀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직격 또는 최대한 이에 가까운 착탄을 필요로 하는 목표, 특히 경화(대 핵폭발 방어)된 군사 목표 (미사일 사일로 등)의 공격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다.[35]
3. 역사 및 현황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 도입에는 소형 핵탄두 개발 기술이 필요하다. 21세기 초 현재 MIRV화된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는 국가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화인민공화국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성 17형도 다탄두 탑재 가능성이 있다.[1]
미국은 1986년 LGM-118 피스키퍼 ICBM을 실전 배치했으나 2005년 폐기했다. 이 미사일에는 10개의 핵탄두가 탑재되었다.[1]
프랑스는 1985년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인 MSBS M-4로 MIRV화에 성공하여 배치하기 시작했다. M-4는 6기의 탄두를 탑재했다. 영국은 MIRV화된 SLBM인 트라이던트 II를 미국에서 도입해 자국산 핵탄두를 장착했지만, PBV는 미국제이다.[1]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은 1970년대 초부터 MIRV를 연구 개발해왔다. DF-21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1980년대 후반부터 배치되었으며, 2002년 MIRV화(3기) 실험에 성공했다. 대륙간 탄도탄 DF-31 (사거리 8,000km, 단탄두)의 사거리 연장형(11,000km)인 DF-31A는 탄두가 3기(각 150kT)로 MIRV화되었다. 미국 국방부 보고서 "중국의 군사력 2008"에 따르면 DF-31A는 이미 실전 배치되었다.[1]
3. 1. 도입 역사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 기술 개발 경쟁이 이루어졌다.21세기 초 현재 MIRV화된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화인민공화국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성 17형도 다탄두가 가능할 가능성이 있다.[1]
미국에서는 1986년에 실전 배치되어 2005년에 폐기된 ICBM LGM-118 피스키퍼에 10개의 핵탄두가 탑재되었다.[1]
프랑스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인 MSBS M-4로 MIRV화에 성공하여 1985년부터 배치를 시작했으며, 6기의 탄두를 탑재했다. 영국은 MIRV화된 SLBM인 트라이던트 II를 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자국산 핵탄두를 장착했지만, PBV는 미국제이다.[1]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에서는 1970년대 초부터 MIRV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DF-21은 1980년대 후반부터 배치가 진행되고 있는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2002년에 이 미사일의 MIRV화(3기) 실험에 성공했다. 대륙간 탄도탄 DF-31 (사거리 8,000km, 단탄두)의 사거리 연장형(11,000km)인 DF-31A는 탄두도 MIRV화되었다. 탄두는 3기/각 150kT이다. 미국 국방부의 "중국의 군사력 2008"에 따르면, DF-31A는 이미 실전 배치되었다고 한다.[1]
3. 2. 국가별 현황
- 중국:
미사일 | 상태 | 탄두 개수 |
---|---|---|
DF-3A | 퇴역 | 3개 |
DF-4A | 퇴역 | 3개 |
DF-5B | 운용 중 | 3-8개 |
DF-5C | 운용 중 | 10개 |
DF-31A | 운용 중 | 3-5개 |
DF-31B | 운용 중 | 3-5개 |
DF-41 | 운용 중 | 최대 10개 |
JL-2 | 운용 중 | 1-3개 |
JL-3 | 개발 중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은 1970년대 초부터 MIRV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2002년 중거리 탄도 미사일 DF-21의 MIRV화(3기) 실험에 성공했고, 대륙간 탄도탄 DF-31 (사거리 8,000km, 단탄두)의 사거리 연장형(11,000km)인 DF-31A는 탄두가 3기/각 150kT로 MIRV화되었다. 미국 국방부의 "중국의 군사력 2008"에 따르면, DF-31A는 이미 실전 배치되었다.
- 프랑스:
프랑스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인 MSBS M-4로 MIRV화에 성공하여 1985년부터 배치했다.
- 인도:
미사일 | 상태 | 탄두 개수 |
---|---|---|
Agni-V[26] | 운용 중 | 3-6개(시험)[27][28] 10–12개(작전)[29] |
Agni Prime[30] | 운용 중 | 2개 |
Agni-VI[31] | 개발 중 | |
K-6[32] | 개발 중 |
- 이스라엘:
- 파키스탄:
- 소련/러시아 연방:

미사일 | 상태 | 탄두 개수 |
---|---|---|
R-36 4형 | 퇴역 | 10-14개 |
R-36 5형 | 운용 중 | 10개 |
R-29R | 운용 중 | 3개 |
R-29RK | 퇴역 | 7개 |
MR-UR-100 Sotka | 퇴역 | 4개 |
UR-100N 3형 | 퇴역 | 6개 |
RSD-10 Pioneer | 퇴역 | 3개 |
R-39 Rif | 퇴역 | 10개 |
R-29RM Shtil | 퇴역 | 4개 |
RT-23 Molodets | 퇴역 | 10개 |
R-29RMU Sineva | 운용 중 | 4개 또는 10개 |
RS-24 Yars | 운용 중 | 3-4개 |
R-29RMU2 Layner | 운용 중 | 4개 또는 12개 |
RSM-56 Bulava | 운용 중 | 6-10개 |
RS-28 Sarmat | 운용 중 | 10-15개 |
RS-26 Rubezh | 개발 중단 | 4개 |
BZhRK Barguzin | 개발 중단 | 4-16개 |
- 영국:
미사일 | 상태 | 탄두 개수 |
---|---|---|
UGM-133 Trident II | 운용 중 | 8-12개 |
영국은 MIRV화된 SLBM인 트라이던트 II를 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자국산 핵탄두를 장착하고 있지만, PBV는 미국제이다.
- 미국:
미사일 | 상태 | 탄두 개수 |
---|---|---|
LGM-30 미니트맨 III | 운용 중 | 1-3개 (현재 1개 탑재) |
UGM-73 포세이돈 | 퇴역 | 10개 또는 14개 |
UGM-96 Trident I | 퇴역 | 8개 |
LGM-118 피스키퍼 | 퇴역 | 10개 |
UGM-133 Trident II | 운용 중 | 8-12개 |
미국에서는 1986년에 실전 배치되어 2005년에 폐기된 ICBM LGM-118 피스키퍼에 10개의 핵탄두가 탑재되었다.
21세기 초 현재 MIRV화된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화인민공화국뿐이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성 17형은 다탄두가 가능할 가능성이 있다.
3. 3. 대한민국과 MIRV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화인민공화국은 21세기 초 현재 MIRV화된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성 17형도 다탄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 대한민국은 MIRV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북한의 핵 위협과 주변 강대국들의 군사력 증강에 대한 우려 속에서 핵 억제력 확보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4. 전략적 함의 및 평가
MIRV는 1기의 미사일로 여러 개의 목표를 공격할 수 있으며, 핵미사일의 배치 수를 늘리지 않고도 핵 공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수단으로 여겨졌다.
다만, 탄도 미사일은 부스트 페이즈가 종료되면 이후 포물선을 그리며 관성으로 비행하고, PBV에 탑재되는 로켓 엔진은 소형이며 연료 탑재량도 적기 때문에,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발사 시 포물선 궤도의 연장선에서 크게 벗어나는 목표를 동시에 노릴 수는 없다. 또한 분사 제어의 정밀도 문제로 인해, MIRV화된 탄두의 CEP은 확대되므로, 단일 탄두형에 비해 명중 정밀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직격 또는 최대한 이에 가까운 착탄을 필요로 하는 목표, 특히 핵폭발에 대한 방어(경화)된 군사 목표 (미사일 사일로 등)의 공격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다.[35]
4. 1. 전략적 함의
MIRV 기술은 선제 공격 능력 향상과 특정 열핵 무기 탑재량에 대해 더 큰 목표 피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핵 억제력을 강화한다.[14][15] 여러 개의 작고 낮은 위력의 탄두는 단일 탄두보다 훨씬 더 많은 목표 피해 면적을 유발하며, 이는 집속탄의 목적과 유사하다.[15] 또한, 개별 탄두 요격을 사용하는 탄도 미사일 요격 체계의 효과를 감소시켜[16] MIRV에 대한 실용적인 방어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그러나 MIRV 지상 배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은 선제 공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7] 1970년 세계 최초의 MIRV인 미국 미니트맨 III 미사일은 미국의 배치 가능한 핵무기를 빠르게 증가시켰다. 이는 사실상 러시아의 모든 핵무기를 파괴하고 보복을 무효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폭탄을 보유할 가능성을 높였다. 이후 미국은 소련의 MIRV를 두려워했는데, 소련 미사일은 더 큰 투발 중량을 가지고 있어 미국보다 각 미사일에 더 많은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상 배치 MIRV는 선제 공격 능력 때문에 START II 협정에 따라 금지되었다. START II는 2000년 4월 14일 러시아 국가 두마에서 비준되었지만, 미국이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 조약에서 탈퇴한 후 2002년 러시아는 이 조약에서 탈퇴했다.
MIRV는 1기의 미사일로 여러 개의 목표를 공격할 수 있어 핵미사일의 수를 늘리지 않고도 핵 공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수단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탄도 미사일의 특성상 MIRV화된 탄두의 CEP은 확대되므로, 단일 탄두형에 비해 명중 정밀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경화(대 핵폭발 방어)된 군사 목표 (미사일 사일로 등)의 공격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다.[35]
4. 2. START II 협정과 MIRV
선제 공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 지상 배치 MIRV 대륙간 탄도 미사일은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7] 이러한 이유로 START II 협정에 따라 지상 배치 MIRV는 금지되었다. START II는 2000년 4월 14일 러시아 국가 두마에서 비준되었지만, 미국이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 조약에서 탈퇴한 후 2002년 러시아는 이 조약에서 탈퇴했다.4. 3.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성 17형은 다탄두 탑재 가능성이 있어,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는 여러 개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요격이 어렵고 광범위한 지역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대응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1]5. 관련 기술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의 탄두는 포스트 부스트 비클(PBV, Post-Boost Vehicle)이라는 소형 로켓에 탑재된다. PBV는 재진입체 (RV)에 탑재된 탄두를 속도와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한 발씩 분리하며, 이로 인해 각 탄두는 서로 다른 목표를 향해 비행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이 마치 버스에서 승객이 내리는 것과 비슷하여 PBV는 "버스"라고도 불린다.
MIRV는 1기의 미사일로 여러 목표를 공격할 수 있어, 핵미사일 배치 수를 늘리지 않고도 핵 공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탄도 미사일은 부스트 페이즈가 종료되면 포물선을 그리며 관성 비행을 하고, PBV의 로켓 엔진은 소형이며 연료 탑재량도 적기 때문에,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발사 시 포물선 궤도에서 크게 벗어나는 목표는 동시에 공격하기 어렵다. 또한, 분사 제어 정밀도 문제로 MIRV화된 탄두의 CEP은 확대되어 단일 탄두형보다 명중 정밀도가 낮다. 따라서 직격 또는 매우 근접한 착탄을 요구하는 경화(대 핵폭발 방어)된 군사 목표 (미사일 사일로 등) 공격에는 적합하지 않다.[35]
5. 1. MRV (Multiple Reentry Vehicle)
탄도 미사일의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MRV) 시스템은 단일 목표 지점 상공에서 여러 탄두를 전개한 다음, 탄두가 흩어져 집속탄과 유사한 효과를 낸다. 이러한 탄두는 개별적으로 목표 설정이 불가능하다. MRV의 장점은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여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이다. 이는 패턴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전체 피해를 증가시키며, MRV 집단 내의 단일 탄두가 낼 수 있는 피해보다 훨씬 더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MRV는 효율적인 지역 공격 무기가 되며, 한 번에 여러 탄두가 배치되기 때문에 탄도 미사일 요격에 더 큰 어려움을 준다.[6]개선된 탄두 설계를 통해 동일한 위력에 대해 더 작은 탄두를 만들 수 있으며, 향상된 전자 장치와 유도 시스템을 통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MIRV 기술은 선진국에게 MRV보다 더 매력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탄두 미사일은 소형화된 물리 패키지와 질량이 적은 재돌입 비행체를 필요로 하며, 이 두 가지 모두 고도로 발전된 기술이다. 그 결과, 단일 탄두 미사일은 덜 발전된 또는 생산성이 낮은 핵 기술을 가진 국가에게 더 매력적이다. 미국은 1964년 USS Daniel Webster에 탑재된 Polaris A-3 SLBM에 처음으로 MRV 탄두를 배치했다. Polaris A-3 미사일은 각각 약 200ktTNT의 위력을 가진 3개의 탄두를 탑재했다. 이 시스템은 영국 해군에서도 사용되었으며, Chevaline 업그레이드를 통해 MRV를 유지했지만, Chevaline의 탄두 수는 요격 미사일 대응책으로 인해 2개로 줄었다.[6] 소련은 R-27U SLBM에 3개의 MRV를, R-36P ICBM에 3개의 MRV를 배치했다. 자세한 내용은 대기권 재진입을 참조한다.
5. 2. 디코이 (Decoy)
영국의 Chevaline 시스템과 같이 일부 버스는 알루미늄 풍선이나 전자 잡음 발생기 등을 사용하여 요격 장치 및 레이더를 혼란시키는 디코이를 방출한다.[18] 디코이는 요격 미사일과 레이더를 혼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만체로, MIRV와 함께 사용되어 요격 효과를 감소시킨다.참조
[1]
웹사이트
UGM-133
http://www.designati[...]
Directory of U.S. Military Rockets and Missiles
2014-06-13
[2]
웹사이트
Statement for the Record: Worldwide Threat Assessment
https://www.dia.mil/[...]
2018-03-06
[3]
뉴스
Why Did Pakistan Test Its MIRV-Capable Ababeel Missile?
https://thediplomat.[...]
2023-11-18
[4]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it Successfully Conducted Multiple Warhead Missile Test
https://www.nknews.o[...]
2024-06-27
[5]
뉴스
Military says Minuteman missiles ready
https://news.google.[...]
1970-07-20
[6]
서적
The U.S. Nuclear Arsenal: A History of Weapons and Delivery Systems since 1945
Naval Institute Press
2009-07-01
[7]
웹사이트
The Minuteman III ICBM
http://nuclearweapon[...]
[8]
웹사이트
Nuclear Chronology
https://www.acq.osd.[...]
2021-07
[9]
웹사이트
W87-1 Modification Program
https://www.energy.g[...]
2019-03-01
[10]
뉴스
Last Malmstrom ICBM reconfigured under treaty
https://www.greatfal[...]
[11]
뉴스
Putin has touted an 'invincible' nuclear weapon that really exists — here's how it works and why it deeply worries experts
https://www.business[...]
[12]
웹사이트
The End of MIRVs for U.S. ICBMs
https://blog.ucsusa.[...]
2014-06-27
[13]
웹사이트
NMHB 2020 [Revised]
https://www.acq.osd.[...]
[14]
웹사이트
MIRV: A BRIEF HISTORY OF MINUTEMAN and MULTIPLE REENTRY VEHICLES
https://nsarchive2.g[...]
Lawrence Livermore Laboratory
1976-02-01
[15]
문서
[16]
서적
First Strike!: The Pentagon's Strategy for Nuclear War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17]
웹사이트
China's Evolving Nuclear Deterrent: Major Drivers and Issues for the United States
https://www.rand.org[...]
2017-03-15
[18]
웹사이트
Question Re Mirv Warheads — Military Forum {{!}} Airliners.net
http://www.airliners[...]
[19]
서적
Military Persuasion: Deterrence and Provocation in Crisis and War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
웹사이트
Putin says Russia hit Ukraine with new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s://www.bbc.co.u[...]
2024-11-20
[21]
웹사이트
Russian ballistic missile carried multiple warheads, US and Western officials say
https://www.cnn.com/[...]
2024-11-21
[22]
웹사이트
Russia fired experimental ballistic missile at Ukraine, Putin says
https://www.reuters.[...]
2024-11-21
[23]
웹사이트
Videos circulating online show impact of Dnipro strike
https://www.bbc.co.u[...]
2024-11-20
[24]
뉴스
Putin says Russia fired experimental ballistic missile into Ukraine
https://www.theguard[...]
2024-11-21
[25]
웹사이트
UN says Russia's use of intermediate-range missile 'worrying'
https://www.bbc.co.u[...]
2024-11-20
[26]
웹사이트
India conducts first test flight of domestically developed missile that can carry multiple warheads
https://apnews.com/a[...]
2024-03-11
[27]
웹사이트
India's MIRV-tipped Agni-5 Missile Test : All your questions answered
https://www.business[...]
[28]
웹사이트
One missile, many weapons: What makes the latest Agni-5 special
https://indianexpres[...]
2024-03-12
[29]
웹사이트
Why India Testing Agni-5 is a Milestone Moment
https://www.news18.c[...]
2024-03-12
[30]
웹사이트
India to conduct first user trial of Agni-V missile
https://www.newindia[...]
2021-09-13
[31]
웹사이트
Mission Divyastra successful: A look at evolution of Agni missiles
https://www.indiatod[...]
[32]
웹사이트
India Launches Second Ballistic Missile Sub
https://thediplomat.[...]
[33]
웹사이트
Jericho 3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34]
웹사이트
Pakistan missile test confirms its MIRV ambitions
https://www.iiss.org[...]
[35]
문서
[36]
웹사이트
http://nuclearweapon[...]
[37]
뉴스
http://news.sina.com[...]
[38]
간행물
中国の軍事力2008
http://www.defense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