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테 시게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테 시게무라는 다테 무네무라의 차남으로, 1755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로부터 한자를 받아 이름을 하사받았다. 이듬해 15세의 나이로 센다이 번의 다이묘가 되었으며, 어린 나이로 인해 삼촌인 다무라 무라타카가 후견인이 되었다. 그는 호레키 기근과 재정 적자, 가신 간의 갈등으로 고통받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관위 경쟁과 철전 주조, 경제 혼란, 그리고 '안에이 의옥'과 같은 사건들을 겪었으며, 번교 양현당을 확충했다. 1790년 은거 후 179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다이번주 - 다테 마사무네
다테 마사무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센다이 번의 초대 번주로,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오슈 지역을 장악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복속, 임진왜란과 오사카 전투에 참전, 센다이 번 건설과 스페인과의 통상 추진, 문화 예술에도 힘썼다. - 센다이번주 - 다테 나리쿠니
에도 시대 센다이 번의 12대 번주인 다테 나리쿠니는 이달 가문 양자로서 번주가 되어 기근 대비 정책과 번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잦은 재해와 사치스러운 생활로 비판받았으며, 학문과 문학 장려로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742년 출생 - 투팍 아마루 2세
투팍 아마루 2세는 페루 부왕령의 카시케로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그의 반란은 페루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치며 페루 사회와 문화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 1742년 출생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로이센 왕국의 군인이자 원수로,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진 원수'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함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이다. - 1796년 사망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1796년 사망 -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는 군사 훈련을 중시하는 교육을 받고 군대에 큰 관심을 가졌던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1773년-1796년)으로, 행정 및 군대 개혁과 공공 사업을 추진했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패배하여 니스와 사보이를 프랑스에 할양하는 등 외교적 실패를 겪었다.
다테 시게무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다테 시게무라 (伊達重村) |
로마자 표기 | Date Shigemura |
출생 | 1742년 5월 23일 |
사망 | 1796년 5월 27일 |
사망 장소 | 에도 |
다른 이름 | 기하치로 (儀八郎, 유아명) 구니무라 (国村, 처음 이름) 시게무라 (重村) 도지로 (藤次郎) |
관직 | |
관위 | 종4위 하 미마사카노카미 무쓰노카미 좌근위권소장 종4위 상 좌근위권중장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시게 도쿠가와 이에하루 도쿠가와 이에나리 |
막부 | 에도 막부 |
번 | 무쓰센다이번 번주 |
가계 | |
씨족 | 다테 씨 |
아버지 | 다테 무네무라 |
어머니 | 성선원 |
배우자 | 도시코, 고노에 우치사키의 양녀 |
자녀 | 소사부로 나리무라 센자부로 준히메 미쓰히메 이쿠히메 쇼히메 조히메 |
센다이번 번주 | |
재임 기간 | 1759년 ~ 1790년 |
전임 | 다테 무네무라 |
후임 | 다테 나리무라 |
기타 정보 | |
묘소 | 미야기현센다이시다이하쿠구의 다이넨지산 호카린 묘 |
계명 | 에이묘인덴 데쓰잔 겐키 다이고지 |
2. 생애
다테 무네무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기하치로(儀八郎)였다. 1745년 형의 죽음으로 다테 쿠니무라(伊達邦村)로 이름을 바꾸었다. 1755년 원복(겐푸쿠) 의식을 치르면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로부터 한자를 받아 다테 시게무라가 되었다. 이듬해 아버지의 죽음으로 15세의 나이에 다이묘가 되었다. 어린 나이 때문에 막부는 그의 삼촌인 이치노세키 번의 다무라 무라타카를 후견인으로 임명했다. 그는 극심한 기근, 재정 적자, 그리고 여러 가신들 간의 격렬한 내부 갈등으로 고통받는 어려운 상황을 물려받았다.[4]
1760년 사촌이자 구게인 히로하타 나카타다의 딸이자 간파쿠 고노에 우치사키의 양녀인 토시코와 결혼했다. 같은 해에 후견이 끝나고 번 내부 상황을 개혁할 수 있게 되었지만, 관위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764년 가고시마 번의 다이묘 시마즈 시게히데가 승진하자, 시게무라는 막대한 뇌물을 통해 관직을 높이려 했다. 1767년 승진에 성공했지만, 를 지불해야 했다.[4]
1768년 센다이 번은 막부로부터 7년 동안 철전을 주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센다이 번에서 막대한 양의 주화가 갑자기 유입되면서 전국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주화의 가치가 하락했다. 막부는 1772년에 계약을 단축하기 위해 개입했지만, 1776년에는 동전이 센다이 번 내에 있는 한, 2년 더 생산을 허용했다.
이러한 행동들은 더욱 악화되는 번의 재정 상황과 정치적 내부 갈등을 개선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1790년 아들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6년 후 에도에 있는 번의 시모야시키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번주 즉위
다테 무네무라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적 이름은 기하치로(儀八郎)였다. 1745년 형이 사망하면서 다테 쿠니무라(伊達邦村)로 이름을 바꾸었다. 1755년 원복(겐푸쿠) 의식을 치르고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에게서 한자를 받아 다테 시게무라가 되었다. 175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15세의 어린 나이에 다이묘가 되었다. 어린 나이 때문에 막부는 그의 삼촌인 이치노세키 번의 다무라 무라타카를 후견인으로 임명했다.[4]1756년 아버지 무네무라가 사망하고 가독을 상속했을 때, 시게무라는 15세였다. 이 때문에 막부는 무쓰국이치노세키 번주인 숙부 다무라 무라타카를 후견인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가독 상속 직후, 호레키 기근과 번 재정 문제에 대한 대응을 두고 5명의 봉행직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했다. 시바타 나리요시와 엔도 요시노부가 오조 미치요리와 다만기 겐코를 봉행직에 임명하여 인사를 쇄신할 것을 요구했고, 이에 무네무라 정권의 중핵이었던 오쿠야마 요시카제, 츠다 사다야스, 아시나 모리히사가 반대하면서 다툼이 표면화되었다.
같은 해 9월, 시바타와 엔도의 요청에 따라 와타리다테 무라자네 등이 오쿠야마와 아시나를 해임하고 오조, 다만기, 나카지마 나리야스를 봉행직에 기용할 것을 시게무라에게 진언했다. 후견인 무라타카는 장인 무라자네의 의견에 따라 인사 쇄신안에 동의했지만, 오쿠야마는 로주 호리타 마사스케에게 직소를 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와중에 아시나가 무네무라의 장례와 묘소에 관한 각서 회람을 잊고 있었던 것이 발각되었고, 인사 쇄신을 요구하는 측은 이를 "어유서"의 은닉이라고 주장하며 오쿠야마 등 3인을 공격했다.
"어유서" 문제로 인해 이 사건은 정책 논쟁에서 인신 공격으로 변질되었고, 윤11월 19일에 츠다는 개역, 아시나는 폐문, 오쿠야마는 핍색 및 영지 삭감과 함께 요시오카에서 오노다로 이봉되었다. 면직된 3인을 대신하여 나카지마, 오조, 다만기가 봉행직에 취임했고, 다음 해 1월에는 시게무라의 세자 시절 가로였던 시바타 야스후미가 봉행직을 받았다. 이를 '''호레키 의옥'''이라 한다.
1760년 시게무라는 사촌이자 간파쿠 고노에 우치사키의 양녀인 토시코와 결혼했다. 같은 해에 후견이 끝나고 번 내부 상황을 개혁할 수 있게 되었지만, 관위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764년 가고시마 번의 다이묘 시마즈 시게히데가 승진하자, 시게무라는 막대한 뇌물을 통해 관직을 높이려 했다. 1767년 승진에 성공했지만, 220000RYO를 지불해야 했다.[4]
2. 2. 번정 초기: 섭정과 내부 갈등
다테 무네무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기하치로(儀八郎)였다. 1745년 형의 죽음으로 다테 쿠니무라(伊達邦村)로 이름을 바꾸었다. 1755년 원복(겐푸쿠) 의식을 치르면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로부터 한자를 받아 다테 시게무라가 되었다. 이듬해 아버지의 죽음으로 15세의 나이에 다이묘가 되었다. 어린 나이 때문에 막부는 그의 삼촌인 이치노세키 번의 다무라 무라타카를 후견인으로 임명했다. 그는 극심한 기근, 재정 적자, 그리고 여러 가신들 간의 격렬한 내부 갈등으로 고통받는 어려운 상황을 물려받았다.[1]1756년 아버지 무네무라가 사망하여 가독을 상속했을 때, 시게무라는 15세였다. 이 때문에 막부는 무쓰국이치노세키 번주 다무라 무라타카를 후견인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번에서는 호레키 기근과 재정 악화에 대한 대응을 두고 가신들 간의 갈등이 발생했다. 5명의 봉행직 (오쿠야마 요시카제, 츠다 사다야스, 아시나 모리히사, 시바타 나리요시, 엔도 요시노부) 사이에서 의견이 대립했고, 9월에는 시바타와 엔도가 새로운 봉행직 임명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표면화되었다.[1]
와타리다테 무라자네 등 5명이 오쿠야마, 아시나를 해임하고 새로운 봉행직을 임명할 것을 시게무라에게 진언했다. 후견인 무라타카는 이에 동의했지만, 오쿠야마는 로주 호리타 마사스케에게 직소까지 불사하며 반발했다. 이 와중에 아시나가 무네무라의 장례와 묘소에 관한 각서 회람을 잊은 것이 발각되었고, 이는 "어유서" 은닉으로 몰려 공격의 빌미가 되었다.[1]
결국 윤11월 19일 츠다는 개역, 아시나는 폐문, 오쿠야마는 핍색 및 영지 삭감과 이봉 처분을 받았다. 나카지마, 오조, 다만기가 새로운 봉행직에 취임했고, 다음 해 1월에는 시바타 야스후미가 봉행직을 받았다. 이를 '''호레키 의옥'''이라 한다.[1]
2. 3. 호레키 의옥 (宝暦疑獄)
간포 2년(1742년), 6대 센다이 번주 다테 무네무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다테 시게무라는 175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그러나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막부에서 파견된 관리와 숙부인 다무라 무라타카의 후견을 받게 되었다.[4]가독 상속 직후, 호레키 기근과 번 재정 악화에 대한 대응을 두고 봉행직 간에 의견 대립이 발생했다. 시바타 나리요시와 엔도 요시노부는 오조 미치요리와 다만기 겐코를 봉행직에 임명하여 인사를 쇄신할 것을 요구했으나, 무네무라 정권의 핵심 인물인 오쿠야마 요시카제, 츠다 사다야스, 아시나 모리히사는 이에 반대했다.[5]
9월, 시바타와 엔도의 요청에 따라 와타리다테 무라자네 등 5명이 오쿠야마와 아시나를 해임하고 오조, 다만기, 나카지마 나리야스를 봉행직에 기용할 것을 시게무라에게 건의했다. 후견역인 무라타카는 장인 무라자네의 의견에 따라 인사 쇄신안에 동의했으나, 오쿠야마는 로주 호리타 마사스케에게 직소까지 불사하며 반발했다.[5]
이때, 아시나가 무네무라의 장례와 묘소에 관한 각서 회람을 잊은 것이 발각되었고, 인사 쇄신을 요구하는 측은 이를 "어유서" 은닉으로 몰아 공격했다. 이로 인해 사건은 정책 논쟁에서 인신공격으로 변질되었고, 윤11월 19일 츠다는 개역, 아시나는 폐문, 오쿠야마는 핍색 및 영지 삭감과 요시오카에서 오노다로 이봉 처분을 받았다. 이후 나카지마, 오조, 다만기가 봉행직에 취임하고, 다음 해 1월에는 시바타 야스후미가 봉행직을 받았다. 이를 '''호레키 의옥'''이라 한다.[5]
2. 4. 사쓰마 번과의 관직 경쟁
1764년, 가고시마 번의 다이묘인 시마즈 시게히데가 정4위 상, 사콘에곤추조(좌근위 중장)로 승진했다. 시게히데보다 세 살 어렸던 시게무라는 그에게 추월당하는 것을 참을 수 없어, 자신의 존칭과 지위를 높이기 위해 막부 관리들에게 막대한 선물과 뇌물을 바쳤다.[1] 이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가신들에게 봉급 삭감을 요구했고, 항의하는 자들은 가택 연금에 처했다.[1] 1767년, 마침내 승진에 성공했지만, 그 대가로 를 지불해야 했다.[1]원래 센다이 번주는 동격으로 간주하는 사쓰마 번주에게 관위로 차이를 두는 것을 싫어하여, 사쓰마 번주가 승진할 때마다 자신도 이와 동격으로 올리도록 요구했다.[2] 메이와 원년(1764년) 11월에 시게히데가 종4위 상・좌근위권중장에 서임되자, 시게무라는 3살 연하인 시게히데에게 앞질러진 것에 자존심이 상했다. 그는 조속히 관위 승진을 실현하기 위해 마쓰다이라 다케모토(노중 필두)・다누마 오키쓰구(측근 어용 취차)・다누마 오키자네(히토쓰바시 도쿠가와 가 가로)・다카오카(오오쿠노녀) 4명에게 거액의 금품을 보냈다.[2] 또한 쇼군과 막부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번 재정이 위기적인 상태임에도 테츠다이 후신을 적극적으로 자청했다.[2] 메이와 3년(1766년) 비용 마련을 위해 녹봉 30석 이상의 번사에게 연공미의 일부 상납을 명했고, 이를 간한 도메다테 무라요시는 50일간 칩거에 처해졌다.[2]
이듬해 메이와 4년(1767년) 간토 여러 강의 부신 테츠다이 역을 맡은 공로로, 마침내 막부로부터 추임을 얻어 같은 해 12월 종4위 상・좌근위권중장으로 승진했다. 그러나 부신에 소요된 비용은 무려 에 달했기 때문에, 적자 보전을 위해 영민에게 헌금을 모집했고, 이에 응한 농민·상인 등 300여 명을 사분으로 끌어올려 지행을 주었다.[2]
2. 5. 철전 주조와 경제 혼란
1768년, 다테 시게무라는 막부에 센다이 산 철을 사용하여 관영통보철전을 주조할 것을 요청하여 7년 기한으로 허가받았다.[3]대량으로 주조된 센다이 산 철전이 에도로 유입되면서 화폐 가치 하락을 초래하였다. 야마가타에서는 센다이 산 "악전"(철전)을 가져와 "양전"(동전)으로 환전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자들이 끊이지 않았으며, 무라야마 군 내에서는 화폐 가치 하락으로 물가가 급등하는 등 번 외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쳤다. 이 때문에 안에이 원년(1772년)에 막부로부터 주전 중단을 명받았다. 단, 센다이 번의 간청에 의해 타 영지로 철전 유출을 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안에이 5년(1776년)부터 나머지 2년 분의 주조는 허가받았다.[3]
2. 6. 안에이 의옥 (安永疑獄)
1773년 1월, 가사이 기요타네, 가와시마 유키노부, 엔도 요시노부, 간노 센반, 가와다 시게요리는 이와야도 다테 무라토미와 그의 동생 아유카이 모리타츠에게 봉행들의 태만을 규탄하고 인사를 쇄신해야 한다고 호소했다.[1] 무라토미는 이 계획에 찬동하여 도메 다테 무라요시와 와타리 다테 무라요시에게 계획을 밝히고 도움을 요청했지만, 무라요시는 거절했고 무라요시는 참가를 승낙했다.[1]3월 5일 새벽, 무라토미와 무라요시는 마쓰오카 도키요시·시바타 노리노리·오치 요시카도·고토 히사야스·오마치 아키요리 등 봉행 5명을 센다이성 아래 와타리 다테 가문 저택으로 불러 심문했다.[1] 같은 날 밤, 이들을 저택 내에 연금한 채 등성하여 시게무라에게 면회를 요청했고, 다음 날인 6일 면회를 허락받은 두 사람은 심문 내용을 보고하고 봉행들의 경질을 간청했다.[1] 시게무라는 이 호소를 인정하여 8일에 마쓰오카를 제외한 4명의 봉행을 파면하고 칩거를 명했다.[1] 대신 엔도와 다만키 아키유키·이시다 모토나오가 봉행직에 취임했으며, 시게무라는 무라토미와 무라요시의 행위를 가상히 여겼다.[1]
그러나 사건 소식을 들은 무라요시가 12일에 센다이로 올라가 시게무라와 면회하면서 사태는 반전된다.[1] 무라요시는 무라토미·무라요시 등이 번주의 허가 없이 봉행을 심문하고 사저에 연금한 것은 부당하다며 사건 재심리를 요구했다.[1] 시게무라는 이를 인정하고 17일부터 가야바 시쇼와 아라이 모리쓰구에게 명하여 취조하게 했다.[1] 그 결과, 봉행들의 심문은 가사이·가와시마 등이 자신의 승진을 위해 무라토미를 부추겨서 행하게 한 것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1] 윤3월 11일, 주범으로 지목된 가사이·가와시마 양명은 개역되었고, 아유카이는 칩거, 엔도는 폐문, 가와다는 다시로 섬으로 유배되었으며, 무라토미와 무라요시는 함께 근신 후 같은 해 10월에 은거를 명받았다. 이를 '''안영 의혹'''이라 한다.[1]
2. 7. 번교 양현당 확충
시게무라의 치세 기간 동안 번교양현당의 확충이 진행되었다. 1760년(호레키 10년) 7월에 의학 교육이 시작되었고, 1761년(호레키 11년) 3월에 키타이반쵸 코토다이 거리(현재 미야기현미야기 현청의 위치)로 이전했다. 1771년(메이와 8년) 시게무라에 의해 양현당으로 명명되었으며, 1772년(메이와 9년) 7월 1일에 학문소를 양현당으로 칭하게 되었다.[1]1779년(안에이 7년) 시바타 노부노리의 헌언을 받아 학두직을 설치하고, 양현당 문고가 설치되었다.[1]
2. 8. 은거와 죽음
1790년(간세이 2년), 차남 나리무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여 좌병위독이라 칭하며 소데가사키의 에도 번저 별저에 거주했지만, 1796년(간세이 8년)에 55세로 사망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아버지 | 다테 무네무라 | 센다이 번 제6대 번주 | |
어머니 | 세이젠인 | 1719–1763 | 사카 노부유키의 딸, 오세이노 카타[1] |
정실 | 간신인 | 1745–1808 | 고노에 이에사키의 양녀, 히로하타 나가타다의 딸, 토시코[1] |
장녀 | 1764-1764 | 요절 | |
삼녀 미쓰히메 | 1770-1844 | 히코네 번주 이이 나오토미의 정실 | |
측실 | 요린인 | 니시카와 마사히로의 딸, 오세가노 카타[1] | |
장남 다테 소사부로 | 1765-1771 | 요절 | |
측실 | 엔게츠인 | 오하라 미츠토요의 딸, 오코토노 카타[1] | |
차녀 준히메 | 1765-1820 | 우와지마 번주 다테 무라나가의 정실 | |
측실 | 엔카쿠인 | 야스다 요시마사의 딸, 오세가노 카타[1] | |
사녀 세이히메 | 1772-1792 | 돗토리 번주 이케다 하루미치의 정실 | |
오녀 사치히메 | 1773-1836 | 쓰치우라 번주 쓰치야 히데나오의 계실 | |
삼남 다테 센사부로 | 1775-1784 | 요절 | |
구녀 | 1787-1787 | 요절 | |
측실 | 쇼소인 | 기타야마 요시히로의 딸, 오조노 카타[1] | |
차남 다테 나리무라 | 1775-1796 | 센다이 번 제8대 번주 | |
육녀 호히메 | 1778-1778 | 요절 | |
측실 | 자쿠인 | 니시오 마타자에몬의 딸, 오소데노 카타[1] | |
칠녀 메구히메 | 1784-1785 | 요절 | |
측실 | 젠조인 | 하마오 야스야스의 딸, 오다이노 카타[1] | |
팔녀 카즈히메 | 1787-1789 | 요절 | |
측실 | 젠테인 | 니시무라 나오아키의 딸, 오아이노 카타[1] | |
십녀 우츠히메 | 1787-1821 | 하타모토 토메-다테 가문의 다테 무라유키의 정실 |
4. 가신
'''일문'''
- 이시카와 야마토
- 다테 아와 (무라요시, 와타리 다테)
- 다테 스루가
- 다테 아키
- 다테 시키부 (무라요시, 도메 다테)
- 다테 카즈마 (무라토미, 이와야도 다테)
- 다테 쓰시마
- 다테 우치조 (무라토오, 이와데야마 다테)
- 다테 오리베
- 시라카와(시라카와) 코즈케
- 미사와 와카사
'''봉행'''
- 카타쿠라 코주로
- 오카(오마치) 쇼겐(로라이, 봉행)
- 오오치 누이도노(요시카도, 봉행)
- 고토 마고베
- 시바타(시바타) 주조 (노리노리, 봉행)
- 마츠오카 나가토(토키요시, 봉행)
- 엔도 다쿠미
- 다만키 토사
- ▲ 이시다 부젠(모토나오, 봉행)
'''토시요리'''(『센다이시사』에서 카사이와 후루타가 와카토시요리(若年寄)임이 확인되므로, 무감에서 『토시요리(年寄)』라고 게재된 인물은 센다이 번의 와카토시요리(若年寄)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 세가미 치쿠고
- 카사이 사부로 (키요타네, 와카토시요리)
- 쿠로사와 요닌
- 오타(후루타) 토네리 (요시토모, 와카토시요리)
5. 대중문화 속의 다테 시게무라
2016년 일본 시대극 사무라이 코미디 영화 멋진 9인(일본어: 殿、利息でござる!)은 다테 시게무라 시대의 센다이 번을 배경으로 하며, 시게무라와 시마즈 시게히데 사이의 예칭을 둘러싼 갈등을 다루고 있다. 다테 시게무라 역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 하뉴 유즈루가 연기했다.[2] 곡타야 주지로를 소재로 한 이 영화에서 하뉴 유즈루는 센다이 출신으로서 시게무라 역을 맡았다.[5]
참조
[1]
encyclopedia
Date Shigemura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2-09-24
[2]
웹사이트
殿、利息でござる!
http://eiga.com/movi[...]
2016-05-27
[3]
웹사이트
2022-09-24
[4]
서적
仙台叢書
[5]
웹사이트
「殿、利息でござる!」 「殿」役は仙台市出身のフィギュアスケーター羽生結弦さん!!
https://www.khb-tv.c[...]
東日本放送
2023-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