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테 히데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테 히데무네는 1591년에 태어나 1658년에 사망한 인물로, 다테 마사무네의 서장자이며 우와지마번의 초대 번주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었으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으로 이이 나오마사의 딸과 정략 결혼하면서 센다이번의 가독 상속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우와지마 10만 석을 분봉받았으며, 번정을 다스리다 말년에 은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와지마번주 - 다테 무네나리
다테 무네나리는 에도 시대 우와지마 번의 번주로서 공무합체를 지지하며 막말 정치 활동을 펼쳤고, 메이지 유신 이후 신정부에서 활동하며 외교에 참여했으며, 번주 시절에는 식산흥업을 중심으로 번정 개혁을 추진하는 등 우와지마 번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우와지마번주 - 다테 무네타다
다테 무네타다는 다테 무라토시의 장남으로 우와지마 번의 7대 번주가 되어 번정 개혁과 특산품 육성을 통해 번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98세까지 장수하며 막부에 개국을 건의했다. - 우와지마 다테가 - 다테 무네나리
다테 무네나리는 에도 시대 우와지마 번의 번주로서 공무합체를 지지하며 막말 정치 활동을 펼쳤고, 메이지 유신 이후 신정부에서 활동하며 외교에 참여했으며, 번주 시절에는 식산흥업을 중심으로 번정 개혁을 추진하는 등 우와지마 번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우와지마 다테가 - 우와지마번
에도 시대 우와 군을 중심으로 한 우와지마번은 도미타 노부타카가 시작했으나 다테 히데무네가 번주가 되면서 다테 가문의 통치가 시작되었고, 막부 말기 다테 무네나리의 주도로 서구화를 추진했으며 폐번치현 후 에히메현에 편입되었다. - 1591년 출생 - 무스타파 1세
무스타파 1세는 정신 질환으로 두 차례 퇴위당하며 오스만 제국 역사상 영향력이 미미했던 술탄으로, 연장자 계승 원칙 확립에 기여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과 정치적 혼란이 컸다. - 1591년 출생 - 호세 데 리베라
호세 데 리베라는 스페인 바로크 화가로 카라바조의 테네브리즘을 계승,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나폴리파의 중심 화가로 활동하며 스페인 왕실의 후원을 받았고, 종교화, 풍속화, 초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강렬한 명암 대비와 사실적인 묘사로 유명하다.
다테 히데무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다테 히데무네 (伊達 秀宗) |
로마자 표기 | Date Hidemune |
출생 | 1591년 11월 11일 |
출생지 | 무쓰국 |
사망 | 1658년 7월 8일 |
사망지 | 우와지마번 |
묘소 | 에히메현 우와지마시 도가쿠지 도쿄도 미나토구 도젠지 |
신분 | |
씨족 | 다테 씨 (종가 → 우와지마가) |
관위 | 종5위하・시종, 도토미노카미, 종4위하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다테 마사무네 |
어머니 | 신조노카타 (이설 있음) |
양아버지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배우자 | 이이 나오마사의 딸・기 (亀) |
측실 | 와타나베 씨, 야마가미 씨, 요시이 씨, 고이케 씨 등 |
자녀 | 무네자네 무네토키 무네토시 기쿠 만 쓰루마쓰 고오리 무네오미 무네즈미 도쿠마쓰 무네모토 다케마쓰 마쓰 이와마쓰 기요 무네노리 |
경력 | |
시대 |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섬긴 주군 | 도요토미 히데요시 히데요리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
소속 번 | 이요 우와지마번 번주 |
관위 | 종5위하 |
임관 | 시종, 도토미노카미 |
최종 관위 | 종4위하 |
참여 전투 | 오사카 전투 |
기타 정보 | |
초기 이름 | 헤이고로 (병오랑) |
계명 | 도가쿠지덴 줍유 기잔 조신 대거사 (等覚寺殿拾遺義山常信大居士) |
2. 생애
덴쇼 19년(1591년) 9월 25일, 다테 마사무네의 서자(庶子)이자 서장자(庶長子)로서 무쓰 국 시바타 군 무라타 성에서 태어났다. 유명은 '''히에이고로'''였다. 어머니는 측실인 신조의 여인(異説あり)이다. 당시 정실(正室)인 아이히메에게는 아들이 없었기에 다테 가문의 가독 상속자로 여겨졌다. 분로쿠 3년(1594년) 마사무네를 따라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알현하였고, 인질로 바쳐져 후시미 성에서 양육되었다.
분로쿠 4년(1595년) 7월, 히데쓰구 사건이 발생하자 히데쓰구와 친밀했던 마사무네도 연좌되어 은거하고 가독을 히에이고로에게 넘겼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로 용서받았지만, 8월 24일 재경 중신 19명[4]의 연서(連署)로 된 기청문 제출을 명령받고 "만약 마사무네가 반역할 의도가 있다면 즉시 은거시키고 히에이고로를 당주로 세울 것"을 서약하게 되었다.[5]
분로쿠 5년(1596년) 5월 9일,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어 원복하고, 편휘를 받아 히데무네라 칭했다. 종오위하 시종에 서임되고, 도요토미 성도 받았다.[6]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측근이 되었다. 히데요시 사후 게이초 5년(1600년) 이시다 미쓰나리 등이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거병(關ヶ原の戦い)하자, 우키타 히데이에의 저택에서 마사무네의 인질이 되었다.
게이초 7년(1602년) 9월, 다테 마사무네를 알현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인질로 에도로 향했다.[7] 그러나 아이히메에게서 아들 호기쿠마루(후의 다테 다다무네)가 태어났다. 게이초 8년(1603년) 1월, 마사무네는 호기쿠마루를 이에야스에게 알현시켜 히데무네의 입지는 미묘해졌다.[7] 게이초 14년(1609년),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이이 나오마사의 딸 가메와 정략결혼하여 도쿠가와 가문에 편입되었다.[7]
동생 호기쿠마루가 게이초 12년(1607년) 이치히메와 약혼하고, 게이초 16년(1611년) 12월 에도 성에서 원복(성인식)을 치르고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서 이름 한 글자를 받아 다다무네가 되면서, 히데무네는 다테 가문의 가독 상속자에서 제외되었다.[7]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히데(秀)' 자를 받고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섬기며 도요토미 성까지 받았던 히데무네가 도쿠가와 가문의 시대에는 센다이번의 주인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였다.[7]
아버지 마사무네는 히데무네에게 별도의 가문을 세워주는 것을 생각했고, 게이초 19년(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에 참전하여 첫 전투를 승리로 장식했다.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참전의 공으로 마사무네에게 주어진 이요 우와지마 10만 석을 물려받아, 12월 25일에 초대 번주가 되었다. 에도 막부가 내린 오사카 전투의 논공행상에서 가장 많은 석고를 받은 은상이었다. 가신단의 대부분은 마사무네가 다테 가문 중에서 선택했고, 히데무네가 입번할 당시 57기의 기병대 외에 아시가루, 고자를 합쳐 약 1200명이 있었다고 한다. 가마보코 장인도 센다이에서 데려왔다는 설도 있다.[8] 중신들은 마사무네의 의향에 따라 히데무네를 보필했다. 번정 정비를 위한 초기 자금으로 센다이번으로부터 60000냥을 빌렸다.
겐나 6년(1620년), 가로 야마이에 고요리를 일족과 함께 살해했다(야마이에 소동). 사쿠라다 모토치카(사쿠라다 겐반) 일파가 습격했다고 전해지지만, 겐반 본인은 당일 오사카에 있었고, 실제로는 히데무네가 명령한 '어성패(御成敗)'였다. 히데무네는 이 사건을 에도 막부나 마사무네에게 보고하지 않아, 격노한 아버지에게 간당(파문)당한다. 고요리는 원래 마사무네의 가신이었고, 본가 측 인물이었다. 일이 있을 때마다 여러 가지 일에 참견했기 때문에 히데무네가 싫어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겐나 7년(1621년), 마사무네는 로주 도이 도시카쓰에게 우와지마번의 반상을 청했다(와레이 소동). 도시카쓰의 중재로 마사무네는 신청을 철회하고, 부자는 만났다. 히데무네는 장남임에도 센다이번의 가독을 계승하지 못한 것과 장기간 인질 생활에 대해 마사무네에게 상당한 원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했다. 마사무네도 그 심정을 이해하고, 간당을 해제했다. 이 일을 계기로 부자 관계는 좋아졌다고 한다.
그 후, 히데무네는 번정에 전력을 다했다. 겐나 8년(1622년) 12월, 엔슈노카미에 서임되었다. 간에이 3년(1626년) 8월 19일에는 종4위하에 승위하였다.
1636년 아버지 마사무네가 사망하자, 무네토키와 함께 센다이 각범사(覚範寺)에서 거행된 장례식에 참석했다.[1] 1637년부터 이듬해까지 시마바라의 난에 막부의 명령에 따라 군대를 파병했다.[2]
1637년경부터 중풍으로 병상에 눕는 일이 많아졌다.[3] 1638년에는 차남 무네토키가 우와지마로 귀국하여 정무를 대행했다.[4] 1649년에는 우와지마 대지진이 발생했고, 이듬해 중풍을 이유로 막부로부터 요양을 허락받았다.[5]
1653년 무네토키가 요절하여 삼남 무네토시가 세자가 되었다.[6] 1657년 무네토시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7] 오남 무네스미에게 요시다번을 분지하여 우와지마번은 7만 석, 요시다번은 3만 석이 되었다.
1658년 에도 번저에서 사망했다. 향년 68세.[8]
2. 1. 출생과 도요토미 시대
덴쇼 19년(1591년) 9월 25일, 다테 마사무네의 서자(庶子)이자 서장자(庶長子)로서 무쓰 국 시바타 군 무라타 성에서 태어났다. 유명은 '''히에이고로'''였다. 어머니는 측실인 신조의 여인(異説あり)이다.당시 정실(正室)인 아이히메에게는 아들이 없었기에 주변에서는 "御曹司様"이라 불리며 다테 가문의 가독 상속자로 여겨졌다. 분로쿠 3년(1594년) 마사무네를 따라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알현하였고, 인질로 바쳐져 후시미 성에서 양육되었다.
분로쿠 4년(1595년) 7월, 히데쓰구 사건이 발생하자 히데쓰구와 친밀했던 마사무네도 이 사건에 연좌되어 은거하고 가독을 히에이고로에게 넘기며 이요로 국외 이봉을 명받았다. 결국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로 용서받았지만, 8월 24일에는 재경 중신 19명[4]의 연서(連署)로 된 기청문 제출을 명령받고 "만약 마사무네가 반역할 의도가 있다면 즉시 은거시키고 히에이고로를 당주로 세울 것"을 서약하게 되었다.[5]
분로쿠 5년(1596년) 5월 9일,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어 히데요시 밑에서 원복하고, 편휘를 받아 히데무네라 칭했다. 종오위하 시종에 서임되고, 도요토미 성도 받았다.[6]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측근 소네로 발탁되었다.
히데요시 사후 게이초 5년(1600년)에 오부교 이시다 미쓰나리 등이 오다이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거병(關ヶ原の戦い)하자, 미쓰나리 측인 우키타 히데이에의 저택에서 다테 마사무네의 인질이 되었다.
2. 2. 에도 시대와 우와지마번주
게이초 7년(1602년) 9월, 다테 마사무네를 알현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인질로 에도로 향했다.[7] 그러나 정실인 아이히메에게서 아들 호기쿠마루(후의 다테 다다무네)가 태어났다. 게이초 8년(1603년) 1월, 마사무네는 호기쿠마루를 이에야스에게 알현시켜 히데무네의 입지는 미묘해졌다.[7] 게이초 14년(1609년),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한 명이자 중신인 이이 나오마사의 딸 가메와 정략결혼하여 도쿠가와 가문에 편입되었다.[7]그러나 동생 호기쿠마루가 게이초 12년(1607년)에 이에야스의 다섯째 딸인 이치히메와 약혼하고, 게이초 16년(1611년) 12월 에도 성에서 원복(성인식)을 치르고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서 이름 한 글자를 받아 다다무네라는 이름을 받게 되면서, 사실상 히데무네는 다테 가문의 가독 상속자에서 제외되었다.[7] 마사무네의 장남이었지만 생모인 이이사카 씨가 측실이었기 때문에 본가의 가독을 계승할 수 없었다고 여겨져 왔지만, 이는 잘못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7]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히데(秀)' 자를 받고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섬기며 한때는 도요토미 성까지 받았던 히데무네가 도쿠가와 가문의 시대에는 센다이번의 주인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제외되었다고 여겨진다.[7]
이 때문에 아버지 마사무네는 히데무네에게 별도의 가문을 세워주는 것을 생각한다. 게이초 19년(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에 아버지와 함께 참전하여 첫 전투를 승리로 장식했다.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참전의 공으로 마사무네에게 주어진 이요 우와지마 10만 석을 물려받아, 같은 해 12월 25일에 초대 번주가 되었다. 에도 막부가 내린 오사카 전투의 논공행상에서 가장 많은 석고를 받은 은상이었다. 가신단의 대부분은 마사무네가 다테 가문 중에서 선택한 자들이었고, 히데무네가 입번할 당시 57기의 기병대 외에 아시가루, 고자를 합쳐 약 1200명이 있었다고 한다. 가마보코 장인도 센다이에서 데려왔다는 설도 있다.[8] 중신들은 마사무네의 의향에 따라 히데무네를 보필했다. 또한, 번정 정비를 위한 초기 자금으로 센다이번으로부터 60000냥을 빌렸다.
겐나 6년(1620년), 가로 야마이에 고요리를 일족과 함께 살해했다(야마이에 소동). 후년에 만들어진 전설에서는 사쿠라다 모토치카(사쿠라다 겐반) 일파가 습격했다고 전해지지만, 겐반 본인은 당일 오사카에 있었고, 실제로는 히데무네가 명령한 '어성패(御成敗)'였다.
히데무네는 이 사건을 에도 막부나 마사무네에게 보고하지 않아, 격노한 아버지에게 간당(파문)당한다. 고요리는 원래 마사무네의 가신이었고, 본가 측 인물이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일이 있을 때마다 여러 가지 일에 참견했기 때문에 히데무네가 싫어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게다가 다음 해 겐나 7년(1621년), 분노가 가라앉지 않은 마사무네는 로주 도이 도시카쓰에게 우와지마번의 반상을 청했다(와레이 소동). 결국, 도시카쓰의 중재로 마사무네는 신청을 철회하고, 마사무네와 히데무네는 만나, 그 자리에서 히데무네는 장남임에도 불구하고 도쿠가와 시대에 들어서 센다이번의 가독을 계승하지 못한 것과 장기간 인질 생활을 했던 것으로부터, 마사무네에 대해 상당한 원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했다. 마사무네도 그 히데무네의 심정을 이해하고, 간당을 해제했다. 이 일을 계기로 부자 관계는 좋아졌다고 한다.
그 후, 히데무네는 번정에 전력을 다했다. 다음 해 겐나 8년(1622년) 12월, 엔슈노카미에 서임되었다. 간에이 3년(1626년) 8월 19일에는 종4위하에 승위하였다.
2. 3. 만년
1636년 아버지 마사무네가 사망하자, 무네토키와 함께 센다이 각범사(覚範寺)에서 거행된 장례식에 참석했다.[1] 1637년부터 이듬해까지 시마바라의 난에 막부의 명령에 따라 군대를 파병했다.[2]1637년경부터 중풍으로 병상에 눕는 일이 많아졌다.[3] 1638년에는 차남 무네토키가 우와지마로 귀국하여 정무를 대행했다.[4] 1649년에는 우와지마 대지진이 발생했고, 이듬해 중풍을 이유로 막부로부터 요양을 허락받았다.[5]
1653년 무네토키가 요절하여 삼남 무네토시가 세자가 되었다.[6] 1657년 무네토시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7] 오남 무네스미에게 요시다번을 분지하여 우와지마번은 7만 석, 요시다번은 3만 석이 되었다.
1658년 에도 번저에서 사망했다. 향년 68세.[8]
3. 인물 및 일화
다테 히데무네는 우와지마번의 초대 번주이지만, 우와지마에서는 그를 기리는 비석이나 동상이 없고 "히데무네 공"이라 존칭하는 사람도 없을 정도로 존경받지 못하고 있다.[1] 이는 막말·유신기의 명군이었던 소우키와 소우죠의 그늘에 가려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1]
그러나 히데무네 또한 명군이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참근교대 때 우와지마로 돌아가던 중 거친 바다를 만나 배가 전복될 뻔했으나, 히데무네는 태연자약하게 동요하지 않았다고 한다.[2] 또한 도요토미 히데요리와의 씨름 놀이에서 히데요리를 제압했지만, 짓누를 때 가이시(懐紙, 품속에 넣어두는 종이)를 꺼내어 직접 밟지 않아 도요토미 히데요시·요도도노 부부 등 도요토미 가 사람들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고 한다.[2]
히데무네는 지번 취급을 싫어하여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와의 대면에서 이복동생 다테 다다무네보다 상석에 앉아, 마사무네의 장남으로서 우와지마번이 센다이번보다 우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3] 그는 마사무네처럼 와카에도 능했다.[4] 훗날 막말 조정 및 메이지 신정부에서 활약한 다테 소우죠 등의 공적으로 우와지마번 번주가는 후작에 서임되었고, 오슈 에치고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백작에 그친 센다이번 번주가를 능가하는 가격을 받게 되었다. (우와지마번은 에도시대 전기에 센다이번에서 양자가 들어왔기 때문에, 이후 번주는 혈통상 다다무네의 남자 계통 자손이다.)
4. 가계
- 아버지: 다테 마사무네
- 어머니: 신조노 가타 - 고양이 공주(猫御前), 이이사카 무네야스의 둘째 딸, 다른 설도 있음
- 의붓아버지: 도요토미 히데요시
- 정실: 거북이(亀) - 도쿠코인(게이린인), 이이 나오마사의 딸
- 측실: 아사이씨(朝井氏)
- 측실: 야마가미씨(山上氏)
- 측실: 요시이씨(吉井氏)
- 측실: 고이케씨(小池氏)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다테 무네미 | 1612년 | 1644년 | 장남, 좌근대부(左近大夫), 적장남이었으나 병약하여 적자의 지위를 사퇴함 |
다테 무네토시 | 1615년 | 1653년 | 차남, 세자(世子),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9] |
국화(菊) | 장녀 | ||
만(萬) | 차녀, 요절 | ||
학송(鶴松) | 삼녀 | ||
다테 무네토시 | 1635년 | 1709년 | 삼남, 우와지마 이다가(宇和島伊達家) 제2대 당주, 아사이씨(朝井氏) 소생 |
다테 무네토요 | 1642년 | 1704년 | 칠남, 강신(降臣), 요시다 이다가(吉田伊達家) 제3대 다테 무라토요의 아버지, 아사이씨(朝井氏) 소생 |
구와오리 무네오미 | 1635년 | 1686년 | 사남, 우와지마성 대가로(城代家老), 구와오리 무네요리의 양자, 야마가미씨(山上氏) 소생 |
다테 무네즈미 | 1636년 | 1708년 | 오남, 요시다 이다가(吉田伊達家) 초대, 요시이씨(吉井氏) 소생 |
죽송(竹松) | 사녀, 요절, 요시이씨(吉井氏) 소생 | ||
송(松) | 오녀, 가신 와타나베 사헤에(渡辺左兵衛)에게 시집감, 요시이씨(吉井氏) 소생 | ||
이와마쓰(岩松) | 팔남, 요절, 요시이씨(吉井氏) 소생 | ||
덕송(徳松) | 육남, 요절, 고이케씨(小池氏) 소생 | ||
청(清) | 육녀, 고이케씨(小池氏) 소생 | ||
다테 무네노리 | 구남, 강신(降臣), 칸당(勘当) 당하고 요시다(吉田)로 도망, 고이케씨(小池氏) 소생 |
우와지마 이다가(宇和島伊達家), 요시다 이다가(吉田伊達家)는 모두 도중에 혈통이 끊겼기 때문에, 센다이번 주가(主家)에서 맞이한 다테 무네요시(히데무네의 동생 다다무네의 손자)의 자손이 되고 있다. 따라서 요시다 이다가(吉田伊達家) 제3대 무라토요(村豊)의 자식인 우에스기 요시에의 자손(우에조 우에스기가) 등이 히데무네의 남계 자손이다. 또한 우와지마 이다가(宇和島伊達家) 제2대 무네토시(宗利)의 외손자인 마루가메번 주 교고쿠 다카노리의 자손 등이 히데무네의 여계 자손이다.
참조
[1]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08-01
[2]
서적
Portraits of Edo and Early Modern Japan: The Shogun's Capital in Zuihitsu Writings, 1657–1855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5-28
[3]
서적
Performing the Great Peace: Political Space and Open Secrets in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2-29
[4]
문서
[[石川義宗]]・[[伊達成実]]・[[留守政景|伊達政景]]・[[亘理重宗]]・[[国分盛重]]・[[泉田重光]]・[[大條宗直]]・[[桑折宗長]]・[[白石宗実]]・[[石母田景頼]]・[[大内定綱]]・[[中島宗求]]・[[原田宗資]]・[[富塚信綱]]・[[遠藤玄信]]・[[片倉景綱]]・[[山岡重長]]・[[湯目景康]]・[[湯村親元]]
[5]
서적
素顔の伊達政宗
洋泉社
[6]
학술지
羽柴氏下賜と豊臣姓下賜
1996-06
[7]
문서
政宗が慶長19年11月10日付で[[本多正純]]に宛てた書状には秀宗の「身上の儀」(秀宗が秀吉の猶子だった事情)を家康と秀忠に伝えてほしいと「返々頼入計候」(くれぐれもお願いします)と念を押している。
[8]
웹사이트
愛媛特産「じゃこ天」と仙台の深~い縁 秋田知事「貧乏くさい」発言で注目 実は「日本で一番○○揚げ物」だった
https://kahoku.news/[...]
河北新報
2023-10-27
[9]
문서
兄に代わり世子となり、父秀宗が病床に臥してからは当主代行となっていたが、父に先立つ。『[[大武鑑]]』では2代と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