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닫힌 원순서 집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닫힌 원순서 집합은 원순서 집합의 한 종류로, 사슬이 상계를 가질 때 닫힌다고 정의된다. 특히, 사슬이 정렬 전순서 집합일 경우, 닫힌 원순서 집합은 상계를 가지며, 순서수 λ에 대해 λ-닫힌 원순서 집합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닫힌 원순서 집합은 초른 보조정리, 부르바키-비트 정리 등과 관련이 있으며, 강제법과 같은 수학적 개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르바키-비트 정리는 1950년대 말에 부르바키와 비트에 의해 증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서론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 순서론 - 사전식 순서
    사전식 순서는 정렬된 집합의 순서를 일반화하여 곱집합의 순서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단어 순서 정렬 방식과 유사하게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수학적 개념이다.
닫힌 원순서 집합
닫힌 원순서 집합
영어 명칭Closed preordered set
수학적 성질
유형순서론
정의원순서 집합 (X, ≤)에서, 모든 아래닫힘 부분집합이 최소 상계를 가지면 닫힌 원순서 집합이라고 한다.
즉, 모든 Y ⊆ X에 대해, (∀y ∈ Y: y ≤ x)를 만족하는 x ∈ X가 존재하면, sup(Y)가 존재한다.
관련 개념완비 격자
체인 완비 부분 순서 집합 (chain-complete partial order)
예시
완비 격자모든 완비 격자는 닫힌 원순서 집합이다.
멱집합집합 X의 멱집합 P(X)는 포함 관계(⊆)에 대해 완비 격자이므로, 닫힌 원순서 집합이다.
실수 집합실수 집합 ℝ은 일반적인 순서(≤)에 대해 닫힌 원순서 집합이다.
참고 문헌
서적(영어) G. Gierz, K.H. Hofmann, K. Keimel, J.D. Lawson, M. Mislove, D.S. Scott, Continuous Lattices and Domai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관련 링크
참고 사이트nLab: closed preordered set (영어)

2. 정의

원순서 집합 (X,\lesssim)에서, 정렬 전순서 집합을 이루는 사슬을 '''정렬 사슬'''이라고 한다. X의 정렬 사슬들의 집합은 \operatorname{woChain}(X)로 표기할 수 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의 원순서 집합을 정의한다.


  • '''닫힌 원순서 집합'''(closed proset영어): 원순서 집합 (X,\lesssim) 내의 모든 정렬 사슬 C\subseteq XX 안에서 상계를 가질 때, (X,\lesssim)를 닫힌 원순서 집합이라고 한다.
  • '''\lambda-닫힌 원순서 집합'''(\lambda-closed proset영어): 순서수 \lambda에 대하여, 원순서 집합 (X,\lesssim) 내의 모든 정렬 사슬 C\subseteq X 중에서 그 순서형이 \lambda보다 작은 것들이 항상 X 안에서 상계를 가질 때, (X,\lesssim)\lambda-닫힌 원순서 집합이라고 한다.[1]

2. 1. 닫힌 원순서 집합

원순서 집합 (X,\lesssim)에서 정렬 사슬(well-ordered chain)은 그 자체로 정렬 전순서 집합을 이루는 사슬을 의미한다. X에 속한 모든 정렬 사슬의 집합은 \operatorname{woChain}(X)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원순서 집합 (X,\lesssim)가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이를 닫힌 원순서 집합(closed proset영어)이라고 부른다.

: X에 포함된 임의의 사슬 C가 정렬 전순서 집합이라면, 이 사슬 CX 안에서 상계 x를 가진다.

모든 전순서 집합공종인 정렬 전순서 집합을 부분집합으로 가지기 때문에, 위의 정의에서 '정렬 사슬'이라는 조건을 '모든 사슬'로 바꾸어도 동일한 정의가 된다.

더 일반적으로, 순서수 \lambda에 대해, 원순서 집합 (X,\lesssim)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lambda-닫힌 원순서 집합(\lambda-closed proset영어)이라고 한다.[1]

: X에 포함된 임의의 사슬 C가 정렬 전순서 집합이고 그 순서형이 \lambda보다 작다면, 이 사슬 CX 안에서 상계 x를 가진다.

만약 순서수 \lambda가 집합 X크기 |X|보다 크다면 (\lambda>|X|), X\lambda-닫힌 원순서 집합이라는 조건은 X가 닫힌 원순서 집합이라는 조건과 서로 동치이다.

2. 2. λ-닫힌 원순서 집합

순서수 \lambda\in\operatorname{Ord}에 대하여, 원순서 집합 (X,\lesssim)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lambda-닫힌 원순서 집합'''(\lambda-closed proset영어)이라고 한다.[1]

:임의의 사슬 C\subseteq X에 대하여, 만약 C가 정렬 전순서 집합이며 그 순서형이 \lambda 미만이라면, C는 상계 x\in X를 갖는다.

만약 \lambda>|X|라면, X\lambda-닫힌 원순서 집합인 것은 닫힌 원순서 집합인 것과 동치이다.

3. 성질

닫힌 원순서 집합은 몇 가지 중요한 수학적 성질을 가진다.

초른 보조정리에 따르면, 닫힌 원순서 집합 (X,\lesssim)의 모든 원소는 어떤 극대 원소보다 작거나 같다 (X=\downarrow\max X). 즉, 집합 내의 임의의 원소 위에는 항상 극대 원소가 존재한다.

또한, 닫힌 원순서 집합 (X,\lesssim) 위에서 정의된 증가 자기 함수(\forall x\in X\colon f(x)\gtrsim x인 자기 함수 f\colon X\to X)는 항상 고정점(f(y)=y)을 가진다는 '''부르바키-비트 정리'''(Bourbaki–Witt theorem영어)가 성립한다.

집합론강제법에서도 닫힌 원순서 집합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 크기 \lambda 미만의 사슬들이 항상 상계를 갖는 성질(\lambda-닫힘)을 만족하는 원순서 집합 P를 사용하여 강제법 모형 M[G]를 구성할 때, 원래 모형 M의 특정 함수 집합(Y^X, 단 |X| < \lambda)이나 \lambda 이하의 기수공종도 등이 보존된다.[1] 이는 모형을 확장할 때 기존의 수학적 구조가 어떻게 유지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이다.

3. 1. 초른 보조정리

'''초른 보조정리'''에 따르면, 닫힌 원순서 집합 (X,\lesssim)에 대하여, X=\downarrow\max X이다. 여기서 \downarrow는 하폐포이며, \max XX의 극대 원소들의 집합이다.

3. 2. 부르바키-비트 정리

원순서 집합 (X,\lesssim)가 닫힌 원순서 집합이라고 하자. 또한, 자기 함수 f\colon X\to 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forall x\in X\colon f(x)\gtrsim x

'''부르바키-비트 정리'''(Bourbaki-Witt定理, Bourbaki–Witt theorem영어)에 따르면,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f\uparrow x에 속한, 하나 이상의 고정점을 갖는다.

:\exists y\in X\colon f(y)=y\gtrsim x

3. 2. 1. 초른 보조정리를 사용한 증명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초른의 보조 정리를 사용하여 m\in\uparrow x\cap\max X을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극대 원소의 정의에 의하여 f(m)\sim m\gtrsim x이다.

3. 2. 2. 직접 증명

x\in X가 주어졌다고 하자. 함수

:g\colon\operatorname{woChain}(X)\to X

가, X 속의 정렬 사슬을 그 상계에 대응시킨다고 하자 (g(\varnothing)=x).

귀류법을 사용하여, X가 닫힌 원순서 집합이며, 임의의 y\gtrsim x에 대하여 f(y)\gtrsim y\not\gtrsim f(y)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순서수 \alpha\in\operatorname{Ord}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점렬을 재귀적으로 정의하자.

:x_\alpha=\begin{cases}f(x_\beta)&\exists \beta\colon\beta+1=\alpha\\

g(\{x_\beta\colon\beta<\alpha\})&\nexists\beta\colon\beta+1=\alpha

\end{cases}



귀류법 가정 아래 \{x_\beta\colon\beta<\alpha\}는 정렬 전순서 집합이다. 따라서, 이는 순서 보존 함수 x_\bullet\colon\operatorname{Ord}\to X를 정의한다. 그런데 모든 순서수의 고유 모임 \operatorname{Ord}집합이 될 수 없으므로, x_{\alpha+1}\sim f(x_\alpha)\sim x_\alpha\alpha\in\operatorname{Ord}가 존재한다. 이는 귀류법 가정과 모순이다.

3. 3. 강제법

강제법에서는 특정 성질을 만족하는 원순서 집합을 사용하여 ZFC의 표준 추이적 모형을 확장한다. 이때 닫힌 원순서 집합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주어졌다고 가정해 보자.

  • ZFC의 표준 추이적 모형 M
  • 모형 M에 속하는 두 집합 X, Y \in M
  • 모형 M에서 기수순서수 \lambda \in \operatorname{Card}^M
  • 모형 M에 속하는 원순서 집합 P \in M
  • P의 부분 집합 G \subseteq M


만약 다음 조건들이 모두 성립한다면,

  • M에서 X의 크기가 \lambda보다 작다 (M \models (|X| < \lambda)).
  • M에서 P\lambda-닫힌 원순서 집합이다 (M \models (P\text{는 } \lambda\text{-닫힌 원순서 집합이다})).
  • M에서 GP의 포괄적 순서 아이디얼이다 (M \models (G\text{는 } P\text{의 포괄적 순서 아이디얼이다})).


이 조건들 하에서, X에서 Y로 가는 함수들의 집합은 원래 모형 M과 강제법 모형 M[G] 사이에서 절대적이다. 즉, 확장된 모형 M[G]에 존재하는 X에서 Y로 가는 모든 함수 f: X \to Y는 이미 원래 모형 M의 원소이다.[1]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Y^X)^{M[G]} = (Y^X)^M

특히, 이러한 경우 원래 모형 M에서 \lambda 이하의 공종도\lambda 이하의 기수들은 확장된 모형 M[G]에서도 그대로 보존된다.[1]

4. 역사

부르바키-비트 정리는 1950년대 말에 니콜라 부르바키[2]에른스트 비트[3]가 증명하였다.

참조

[1] 서적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https://web.archive.[...] North-Holland 1980
[2] 저널 Sur le théorème de Zorn 1949
[3] 저널 Beweisstudien zum Satz von M. Zorn. Herrn Erhard Schmidt zum 75. Geburtstag gewidmet 195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