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동 (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동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1605년 부북일기에 처음 등장한 지명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달리로 개편되었고, 1962년 울산시 승격과 함께 달동이 되었다. 1995년 삼산동과 분리되었으며,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 이후 현재의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 달동은 문수산에서 뻗어 내려온 남산 은월봉 아래에 위치하며, 과거 곶지리, 무둔실 등의 지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주요 기관 및 시설로는 남구청, 롯데마트, KBS 울산방송국 등이 있으며, 현대해상, 삼성생명 등의 기업과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남구의 법정동 - 신정동 (울산)
    신정동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동으로, 울산광역시청 등 주요 기관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며, 태화강을 경계로 중구와 접한다.
  • 울산 남구의 법정동 - 옥동 (울산)
    울산광역시 남구의 옥동은 조선시대 여러 마을이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통합되어 생긴 법정동으로, 울산대공원과 여러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울산 남구의 행정동 - 대현동 (울산)
    대현동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 시대에는 야음리라 불렸으며 야음동에서 분리 후 2007년 명칭이 변경되었고, 석유화학공단으로 이어지는 교통 요충지이자 주거 지역이다.
  • 울산 남구의 행정동 - 옥동 (울산)
    울산광역시 남구의 옥동은 조선시대 여러 마을이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통합되어 생긴 법정동으로, 울산대공원과 여러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울산 남구의 행정 구역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 남구의 행정 구역 - 신정동 (울산)
    신정동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동으로, 울산광역시청 등 주요 기관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며, 태화강을 경계로 중구와 접한다.
달동 (울산) - [지명]에 관한 문서
달동 정보
한글달동
로마자 표기Dal-dong
매큔-라이샤워 표기Tal-dong
일반 정보
국가대한민국
지역울산광역시
시군구남구
면적1.22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2년 3월)27151명
세대 (2014년 11월 30일)12,768세대
34
269
동주민센터 주소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92번길 28
홈페이지달동 주민센터

2. 역사

1605년 훈련원부정 박계숙이 쓴 부북일기에 달동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한다. 1720년 조선 숙종 46년에는 무둔리와 곶지리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었다.[1] 1765년 (조선 영조 41년)과 1801년 (조선 순조 1년)에도 무둔리와 곶지리로 나뉘어 있었으며, 1876년 (조선 고종 13년)에는 곶지동의 달일마을이 되었다.[1]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달리로 바뀌었고, 1931년 울산군 울산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울산군 울산읍 달리가 되었다. 1962년 울산시가 생겨나면서 울산시 달동이 되었고,[1] 1985년 울산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남구 달동이 되었다. 1997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이 되었다.

2. 1. 조선 시대

1605년부터 훈련원부정(訓練院副正) 박계숙(朴繼叔)이 국경 경비로 있을 때 쓴 부북일기(赴北日記)에 달동(達洞)이라는 지명이 나타난다.[1]

1720년 (조선 숙종 46년)에는 무둔리(無屯里)와 곶지리(串旨里)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었다.[1] 1765년 (조선 영조 41년)과 1801년 (조선 순조 1년)에도 계속해서 무둔리와 곶지리로 양분되어 있었다.[1] 1876년 (조선 고종 13년)에는 곶지동(串旨洞)의 달일마을이 되었다.[1]

2. 2.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 1914년 일제는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달리'''(達里)로 개편하였다.
  • 1931년 울산군 울산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울산군 울산읍 달리가 되었다.
  • 1962년 울산시가 생겨나면서 울산시 '''달동'''(達洞)이 되었다.[1]
  • 당시 출장소가 신설되어 달동은 중앙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76년에 출장소가 폐지되었다.
  • 1972년 행정동인 달동이 삼산동을 통합하였다.
  • 1985년 울산시에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남구 달동이 되었다.
  • 1992년 달동의 일부를 신정동에 편입하였다.
  • 1995년 행정동인 달동을 달동과 삼산동으로 분리하였다.
  • 1997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이 되었다.

3. 명칭의 유래

달동의 이름 유래는 울산광역시남구청에서 펴낸 울산지명사를 통해 알 수 있다.

3. 1. 달동

달동은 본디 달리(達里, Dal-li)로 불렸던 마을이다. 울산 지역에서 달(達)자가 들어간 지명은 보통 쇠가 났거나 관계가 있는 곳으로 전해지나 남구 달동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예부터 달(達)자는 산(山)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였다. 달은 옛 지명에 산, 혹은 높음의 의미로 차자(借字)되곤 했는데 이는 산의 옛말이 달이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성군(高城郡)이 고구려 때 달홀(達忽)이다"라고 적혀져 있으며, 단군설화에도 "아사달(阿斯達)"이라는 지명이 나타난다.

따라서 달동은 산이나 높음의 의미로 쓰였을 것으로 보이며, 시간이 지나며 산 아래 평평한 마을을 뜻하는 의미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 달동은 문수산이 뻗어져 내려온 남산 12봉 중 은월봉의 아래에 자리잡고 있어 이러한 의미로 쓰였다고 볼 수 있다.

3. 2. 곶지리

곶(串)은 바다나 강에 뻗어나온 육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지(旨)는 고원이나 마루를 의미한다. 그런데 곶은 바다나 강이 아니더라도 본래 높은 산이나 언덕이 평평한 육지로 뻗어나온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므로 곶지리는 남산 은월봉의 줄기가 내려온 마을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3. 무둔실

무둔실(無屯失)은 조선 숙종 이후 순조까지 나타나는 달동의 지명이다. 무둔실은 지금의 롯데마트 울산점 근처에서 서쪽으로 울산공고가 자리잡은 지역까지를 이르는 말이었는데, 대개 "물골"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둔실에서 무(無)는 물(水)의 약칭인 "무"의 음차(音借)자로 보고, 둔(屯)은 본래 골(谷)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골(谷)은 본래 옛말로 단(ㅏ는 아래아)이었는데 屯으로 음차해 왔다. 따라서 무둔실은 물골의 뜻을 지닌 말이며 실(失)은 부산의 두실과 같이 언덕을 의미하는 말로 둔(屯)자와 중첩되는 말이다.

3. 4. 기타 지명

비행장은 일제강점기 최초의 국제공항이었던 울산비행장이 위치한 삼산동 주변의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울산비행장은 만주 침략을 위해 확장되었는데, 달동에 이와 관련한 격납고나 부속 건물이 들어섰다. 해방 후 귀환동포들이 울산비행장 주변에 정착하면서 이러한 마을 이름이 생겼다.[1]

마단들이나 왕생이들은 달동의 동쪽에 있는 넓은 들(삼산벌 포함)을 의미하는데, 특히 왕생이들은 달동 동쪽 벌판을 가리킨다. 왕생이들은 장차 왕이 태어날 들판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1]

독산(獨山)은 달동 동남쪽에 있으며, 현재의 현대홈타운이나 홈플러스 울산남구점 앞 지역을 부르는 말이다. 독산은 달동에 있던 서당에 딸린 산이라는 의미이며, 이 서당산은 대현동(야음동의 행정동)에서 보면 큰 바위처럼 보여 대암(大巖)이라고도 불린다.[1]

개와동네는 비행장 마을(예전에는 달리 2구로 불렸다) 북쪽에 떨어져 있는 마을이다. 비행장은 귀환동포 정착촌이어서 기와집을 찾아보기 어려웠는데, 이 마을에는 기와집이 많아 개와동네라는 이름이 붙었다.[1]

4. 지리

달동은 위치상 울산의 도심인 신정동, 삼산동과 경계를 접하고 있어 교통량이 많은 편이며, 남쪽으로 야음동(특히, 행정동인 수암동, 대현동)과 접하고 있다. 달동에는 산이나 강이 접하고 있지 않으나, 야음동과는 여천천으로 경계를 이루고 태화강과 남산 · 신선산 등이 지척에 위치하고 있어 어렵지 않게 닿을 수 있다.

5. 주요 기관 및 시설


  • 현대해상
  • 삼성생명
  • 굿모닝병원
  • 롯데마트 울산점
  • 남구청
  • KBS 울산방송국
  • 뉴코아아울렛 울산점
  • 남구문화원
  • 울산문화예술회관
  • 남울산우체국
  • 울산불교방송

6. 교육

7. 주거 시설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
달동현대 1차현대건설현대중공업남구 삼산중로 831990년 8월
달동현대 2차현대산업개발현대산업개발남구 삼산로156번길 5-741994년 9월
달동현대 3차현대건설현대건설남구 번영로89번길 231995년 11월
달동 힐스테이트
(舊 달동 현대홈타운스위트)
현대건설㈜기라캠남구 왕생로86번길 28 (1단지)
남구 왕생로86번길 43 (2단지)
2006년 5월
달동 월드메르디앙월드건설㈜㈜동륭H&K남구 삼산로125번길 332008년 5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