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경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경숭은 청나라 말기의 관료로, 1865년 진사시에 급제했다. 1882년 프랑스와 베트남의 무력 충돌 당시 베트남으로 파견되어 흑기군을 이끌고 프랑스군을 격파했으며, 청불 전쟁에서 군공을 세워 2품으로 진급했다. 1891년 타이완 포정사에 임명되었으며, 1894년에는 타이완 순무가 되었다.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이 일본에 할양되자, 그는 대만민주국을 선포하고 총통에 취임했지만, 일본군의 침공으로 도주하여 샤먼으로 피신했다. 1903년 구이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민주국 - 류융푸
    류융푸는 중국에서 태어나 흑기군을 조직하여 베트남에서 프랑스군과 싸웠고, 청일 전쟁 이후에는 타이완에서 일본에 저항했으며, 타이난 지명과 초등학교에 이름이 사용될 정도로 존경받는 군인이다.
  • 대만민주국 - 을미 전쟁
    을미사변은 청일 전쟁 후 일본이 대만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탕징쑨이 대만 민주국을 수립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일본이 대만을 식민지로 만들었으며, 일본군은 질병과 게릴라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 1895년 대만 - 대만민주국
    대만민주국은 청일 전쟁 후 청나라의 대만 할양에 반발한 대만인들이 1895년 수립한 공화국으로, 짧은 존속 기간에도 대만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참여 인물들은 중화민국 건국에 기여했다.
  • 1895년 대만 - 류융푸
    류융푸는 중국에서 태어나 흑기군을 조직하여 베트남에서 프랑스군과 싸웠고, 청일 전쟁 이후에는 타이완에서 일본에 저항했으며, 타이난 지명과 초등학교에 이름이 사용될 정도로 존경받는 군인이다.
당경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만년의 당경숭
만년의 당경숭
본명당경숭
한자 표기唐景崧
로마자 표기Tang Gyeong-song
유경(維卿)
출생1841년
출생지청나라 광시성 구이린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
사망1903년 (62세)
사망지청나라 광시성 구이린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
국적청나라
경력
소속 군대윈난군
복무 기간1882년 ~ 1895년
최종 계급청나라 타이완성 순무
주요 참전청불 전쟁
주요 직책
타이완성 순무1894년 – 1895년 5월 23일
대만민주국 총통1895년 5월 23일 – 1895년 6월 5일
이전/이후 직책
안찰사 겸 타이완 병비도이전: 진명지
이후: 정기악
타이완포정사이전: 심응규
이후: 고조희
타이완순무이전: 소우렴
이후: 폐지

2. 생애

1895년 4월 17일,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여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타이완을 일본에 할양하기로 결정하자, 당시 타이완 순무였던 당경숭은 타이완 내 할양 반대 움직임에 동참하였다. 5월 23일 대만민주국 독립선언을 발표하고 5월 25일에는 초대 총통으로 취임하였다. 그러나 대만민주국은 내부 분열로 혼란을 겪었고, 국회의장 임유원이 취임 다음 날 샤먼으로 도피하는 등 지도부의 동요가 심했다. 6월 3일, 일본군이 지룽을 점령하자 위기를 느낀 당경숭은 다음 날인 6월 4일 변장한 채 독일 상선 아르투르(Arthur) 호를 타고 샤먼으로 도주하였다. 이후 1903년 광시성 구이린에서 사망하였다.

2. 1. 관직 진출

1865년에 진사시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1] 1882년, 프랑스베트남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하자 베트남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유영복이 이끄는 흑기군을 동원하여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다.[1] 이듬해인 1883년에는 4품 관직에 임명되었고, 1884년 청불 전쟁에서는 경자군(景字軍)을 지휘하여 다시 군공을 세워 2품으로 승진했다.[1] 이후 1891년에는 타이완 포정사에 임명되었으며, 1894년에는 소우렴의 뒤를 이어 타이완 순무가 되었다.[1]

3. 청불 전쟁과 베트남에서의 활약

당경숭은 청불 전쟁 전후 베트남 북부(통킹)에서 벌어진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82년, 그는 청나라 조정의 명을 받아 베트남으로 파견되어 프랑스의 팽창에 맞서는 현지 상황을 파악하고, 흑기군의 지도자 유영복을 설득하여 프랑스군에 대항하도록 이끌었다. 이는 1883년 까우자이 전투에서 프랑스군 지휘관 앙리 리비에르가 전사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 이 공로 등으로 그는 이듬해 4품 관직에 임명되었다.

1884년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당경숭은 경자군(景字軍)을 이끌고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그 결과 2품으로 승진했다. 그는 1883년 말 선떠이 원정에 참여한 유일한 청나라 고위 지휘관이었으며, 비록 전투에서는 패배했지만 유영복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884년 9월에는 운남군을 이끌고 투옌꽝 포위전을 지휘했으며, 이때 유영복이 그의 휘하에서 싸웠다. 비록 투옌꽝 점령에는 실패했으나, 그의 지휘 능력은 장지동 등 동료 관료들과 프랑스군 장교에게도 인정받았다.[2][3]

3. 1. 베트남 파견과 흑기군 지원

청불 전쟁과 그 이전의 선전포고 없는 적대 행위 기간 동안 당경숭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82년, 그는 청나라 정부의 명령으로 베트남에 파견되어 통킹 지역에서 프랑스의 세력 확장에 저항하는 베트남 정부의 역량을 평가하는 임무를 맡았다. 베트남에 머무는 동안, 당경숭은 흑기군의 지도자 유영복을 설득하여 프랑스에 맞서 싸우도록 이끌었다. 유영복과 흑기군의 참전은 1883년 5월 19일 까우자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 최고 지휘관이었던 앙리 리비에르가 전사했다. 이 패배 소식에 쥘 페리가 이끄는 프랑스 정부는 통킹 지역에 대규모 군대와 해군 병력을 파견하게 된다.[1]

3. 2. 청불 전쟁 참전

1882년, 프랑스베트남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을 때, 당경숭은 청나라 정부의 명을 받아 베트남으로 파견되었다. 그의 임무는 통킹 지역에서 프랑스의 세력 확장에 맞서는 베트남 정부의 저항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베트남에 머무는 동안 그는 흑기군의 지도자 유영복을 설득하여 프랑스군에 대항하도록 이끌었다. 유영복의 참전은 1883년 5월 19일 벌어진 까우자이 전투에서 프랑스군 ''최고 지휘관'' 앙리 리비에르가 전사하는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쥘 페리 정부는 통킹 지역에 대규모 군대와 해군을 파병하게 되었다.[1]

당경숭은 1883년 12월에 있었던 선떠이 원정에 참여한 유일한 고위급 중국 지휘관이었다. 비록 유영복과 그의 베트남 및 중국 동맹군이 프랑스군으로부터 선떠이를 지켜내는 데 실패했지만, 이 과정에서 당경숭이 보여준 충성심은 유영복에게 깊은 신뢰를 주었다.

1884년 청불 전쟁이 발발하자 당경숭은 경자군(景字軍)을 이끌고 참전하여 여러 군공을 세웠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2품으로 승진했다. 같은 해 9월, 그는 운남군을 이끌고 라오까이에서 홍강을 따라 남하하여 투옌꽝에 위치한 프랑스 전초 기지를 위협하는 투옌꽝 포위전을 지휘했다. 이 전투에는 유영복이 그의 휘하 장수로 참전했다.

비록 프랑스 전초 기지를 함락시키지는 못했지만, 당경숭이 투옌꽝 포위전에서 보여준 지능적이고 체계적인 작전 지휘는 양광 총독 장지동과 운귀 총독 岑毓英|잠육영중국어(Cén Yùyīng)을 비롯한 많은 중국 동료 관리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2] 프랑스 통킹 원정군의 장교였던 Jean-François-Alphonse Lecomte|장-프랑수아-알퐁스 르콩트프랑스어 대위 또한 투옌꽝 포위 공격 당시 당경숭 군대가 보여준 전술적 역량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며 경의를 표했다.

> 만다린들은 매우 지능적인 방식으로 투옌꽝 공격을 지휘했다. 윈난의 무슬림 반란으로 인해, 거의 모든 지역을 휩쓸 뻔했고, 마 원수가 여러 차례 포위 공격 후에야 진압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이제 포위 공격 기술의 전문가였다. 그들의 군대는 훌륭했고, 소수의 영웅들에 의해 방어되고 조반넬리 여단에 의해 아슬아슬하게 구원받은 요새를 점령할 수는 없었지만, 이 포위 공격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상의 사람들에게 영광스러운 무훈이었고, 필요할 때 그들이 상황에 대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

4. 타이완 순무와 타이완 민주국

1891년 타이완 포정사(布政使)를 거쳐 1894년 소우렴의 후임으로 타이완 순무(巡撫)에 임명되었다. 청일 전쟁 패배 후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이 일본에 할양되자, 이에 반발하여 타이완 민주국을 선포하고 초대 총통에 취임했다. 그러나 일본군의 침공으로 민주국은 빠르게 와해되었고, 당경숭은 타이완을 탈출하여 청나라 본토로 도피했다. 이후 유영복이 저항을 이어갔으나 결국 민주국은 붕괴되었다.

4. 1. 타이완 순무 임명

1891년 타이완 포정사(布政使)에 임명되었고, 1894년에는 소우렴邵友濂중국어의 후임으로 타이완 순무(巡撫)에 임명되었다.

4. 2. 타이완 민주국 건국

1894년 소유렴( 邵友濂|소유렴중국어 )의 후임으로 타이완 순무(臺灣巡撫)에 임명되었다. 청일 전쟁(1894–95)이 발발하자 그는 옛 친구인 유영복을 초빙하여 남부 타이완의 청나라 군대를 지휘하도록 했다.

1895년 4월 17일,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체결된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타이완은 일본에 할양되었다. 이에 타이완의 많은 관리와 주민들은 일본 통치에 반발하며 저항하기로 결의했다. 당경숭 역시 이러한 할양 반대 움직임에 동참하여, 타이완을 독립적인 공화국으로 선포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895년 5월 23일, 타이완 민주국 독립선언이 발표되었고, 이틀 뒤인 5월 25일 당경숭은 초대 총통으로 공식 취임했다. 그러나 민주국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내부 분열로 어려움을 겪었다. 취임 다음 날인 5월 26일에는 국회의장 임유원이 샤먼으로 도주하는 등 지도부 내에서 동요가 일었다.

독립 선언 직후 일본은 타이완 점령을 위한 군사 행동을 개시했다. 1895년 5월 29일, 일본군은 타이완 북부를 침공했으며, 6월 3일에는 주요 항구 도시인 지룽을 점령했다. 지룽 함락 소식이 수도 타이베이에 전해지자 민주국 지도부는 급격히 와해되었다.

6월 4일 밤, 총통 당경숭은 변장한 채 타이베이를 탈출하여 단수이로 피신했다. 그는 단수이에서의 혼란 때문에 출발이 하루 지연된 후, 6월 6일 저녁 독일 상선 '아서'(Arthur) 호를 타고 청나라 본토샤먼으로 도주했다.[4][5]

당경숭이 떠난 뒤에도 유영복이 이끄는 민주국 군대는 남부 타이완을 중심으로 일본군에 맞서 항전을 이어갔다. 하지만 압도적인 군사력 차이를 극복하지 못했고, 결국 1895년 10월 21일 타이난이 일본군에게 함락되면서 타이완 민주국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유영복 역시 당경숭과 마찬가지로 부하들을 남겨두고 체포를 피해 청나라 본토로 도피했다. 타이완 민주국은 일본의 침략 앞에 불과 5개월 남짓 존속하는 데 그쳤다.

4. 3. 타이완 민주국 붕괴와 도피

1895년 4월 17일, 청나라가 제1차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고, 그 결과 타이완이 일본에 할양되는 것이 결정되었다. 타이완 내에서는 일본의 통치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거세게 일어났으며, 당시 타이완 순무였던 당경숭도 이에 동조했다. 5월 23일, 그는 타이완 민주국 독립선언을 발표했고, 5월 25일에 초대 총통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타이완 민주국은 내부적으로 불안정했다. 취임 다음 날인 5월 26일, 국회의장 임유원이 중국 본토의 샤먼으로 도망가는 등 지도부 내에서 의견 분열과 동요가 나타났다.

일본은 타이완 점령을 위해 군사 행동에 나섰다. 1895년 5월 29일, 일본군은 타이완 북부에 상륙하여 침공을 시작했고, 6월 3일에는 주요 항구 도시인 지룽을 점령했다. 지룽 함락 소식이 수도 타이베이에 전해지자 민주국 지도부는 크게 동요했다.

결국 6월 4일 밤, 당경숭은 총통직을 버리고 변장한 채 단수이로 도주했다. 그는 그곳에서 독일 상선 아르투르(Arthur) 호를 타고 6월 6일 저녁 샤먼으로 탈출했다. 그의 출발은 단수이에서의 혼란 때문에 하루 지연되었다.[4][5]

당경숭이 도피한 후에도, 유영복이 이끄는 민주국 군대는 타이완 남부에서 일본군에 맞서 저항을 이어갔다. 하지만 일본군의 압도적인 군사력 앞에 저항은 오래가지 못했다. 결국 1895년 10월 21일, 일본군이 남부 거점인 타이난을 점령하면서 타이완 민주국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유영복 역시 당경숭과 마찬가지로 부하들을 남겨둔 채 일본군의 추격을 피해 중국 본토로 도피했다.

5. 죽음

1903년 광시성 구이린의 자택에서 향년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Conquête and Histoire militaire
[2] 서적 Lung Chang
[3] 서적 Vie militaire
[4] 서적
[5] 서적 Christian work: illustrated family newspaper, Volume 58 https://books.google[...] 2010-06-28
[6] 서적
[7] 서적 Christian work: illustrated family newspaper, Volume 58 https://books.google[...] 2010-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