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방역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호선과 신림선이 지난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22년 5월 28일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1호선은 3면 4선, 신림선은 2면 2선의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는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이 혼재되어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영등포구의 전철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영등포구의 전철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으며,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방역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00 (신길7동 1368-3) |
일일 승객 수 | (2012년 1월-12월 기준) |
승객 수 (1호선) | 32,897명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남서울경전철 |
노선 | 경부선, |
승강장 | 5면 |
선로 | 6선 |
구조 | 지상 (1호선, 경부선), 지하 (신림선) |
개업일 (1호선) | 1974년 8월 15일 |
개업일 (신림선) | 2022년 5월 28일 |
노선 정보 (1호선)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영등포관리역 |
영업 거리 | 서울 기점 7.3km |
이전 역 | 136 노량진 |
이전 역 거리 | 1.5km |
다음 역 | 138 신길 |
다음 역 거리 | 0.8km |
승강장 구조 | 3면 4선 (쌍상대식) |
노선 정보 (신림선) | |
역 번호 (신림선) | S402 |
개업일 (신림선) | 2022년 5월 28일 |
승강장 구조 (신림선) | 2면 2선 (상대식) |
영업 거리 (신림선) | 샛강 기점 0.6km |
이전 역 (신림선) | S401 샛강 |
이전 역 거리 (신림선) | 0.6km |
다음 역 (신림선) | S403 서울지방병무청 |
다음 역 거리 (신림선) | 0.9km |
인접한 역 | |
이전 역 | 노량진 |
다음 역 | 신길 |
다음 역 행선지 | 인천 |
이전 역 | 노량진 |
다음 역 | 신길 |
다음 역 행선지 | 신창 또는 서동탄 |
이전 역 행선지 | 의정부 또는 광운대학교 |
노선 | 광역 |
이전 역 | 노량진 |
다음 역 | 신길 |
노선 | 급행 |
이전 역 | 노량진 |
다음 역 | 신길 |
이전 역 | 샛강 |
다음 역 | 서울지방병무청 |
2. 역 구조
대방역은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6개이다.[8] 경부선상의 역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열차 선로는 역 아래 터널로 노량진 - 신길 간 좌우 입체 교차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용산삼각선을 경유하는 비정기 편성 일부 특별 열차를 제외하고는 무궁화호나 새마을호와 같은 일반 열차가 대방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2. 1. 1호선 승강장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이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다.[8] 대방역은 경부선상의 역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열차 선로를 찾아보기 어렵다. 일반 열차의 본선 선로는 역 아래 터널로, 노량진 - 신길 간 좌우 입체 교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대방역 자체에는 용산삼각선을 경유하는 비정기 편성 일부 특별 열차를 제외하고는 정규 운행하는 무궁화호나 새마을호와 같은 일반 열차가 지나가지 않게 된다.방면 | |
---|---|
1 | 영등포 · 구로 · 부천 · 송내 · 동인천 방면 (급행) |
2 | 용산 방면 (급행) |
3 | 구로 · 부천 ·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
4 | 용산 · 광운대 · 의정부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
2. 2. 신림선 승강장
- - 신림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대방역 주변은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이 혼재된 곳으로,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대방역의 이용객 수는 2000년대 초반까지 증가하다가 2004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 다양해지고 버스 노선이 확충되면서 승객이 분산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9] 2022년 5월 28일 신림선 개통 이후의 이용객 변화 추이는 추가적인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
3. 역 주변
주요 시설 샛강역[1] 63빌딩[1]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1] 공군호텔[1] 여의도샛강생태공원[1] 서울여성프라자[1] 서울지방병무청[1] 성애병원[1] 앙카라공원[1] 윤중중학교[1] 한국방송공사 별관[1] 해군회관[1] 이투데이 본사[1] 서울신길초등학교[1] 신길지구대[1] 스페이스 살림[1] 공군회관[1] 한국산업안전공단[1] 영등포중학교[1] 성남중학교[1] 성남고등학교[1]
특히, 샛강역과 인접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며, 63빌딩, 여의도샛강생태공원 등은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4. 역사
날짜 내용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시작[1]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2] 2011년 스크린도어 가동 시작[3] 2022년 5월 28일 서울 경전철 신림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4]
5. 이용객 변동
연도 노선 구분 일평균 인원 (명/일) 2000년 1호선 승차 19,583 하차 16,239 2001년 1호선 승차 21,289 하차 21,352 2002년 1호선 승차 22,734 하차 22,592 2003년 1호선 승차 26,223 하차 25,364 2004년 1호선 승차 18,089 하차 19,044 2005년 1호선 승차 19,524 하차 19,257 2006년 1호선 승차 19,312 하차 19,010 2007년 1호선 승차 19,729 하차 19,404 2008년 1호선 승차 19,818 하차 19,321 2009년 1호선 승차 18,472 하차 18,039 2010년 1호선 승차 17,302 하차 16,747 2011년 1호선 승차 17,075 하차 16,528 2012년 1호선 승차 16,538 하차 16,359 2013년 1호선 승차 16,116 하차 16,083 2014년 1호선 승차 15,925 하차 15,819 2015년 1호선 승차 15,830 하차 15,746 2016년 1호선 승차 15,838 하차 15,709 2017년 1호선 승차 15,354 하차 15,231 2018년 1호선 승차 14,804 하차 14,845 2019년 1호선 승차 14,609 하차 14,754 2020년 1호선 승차 10,512 하차 10,711 2021년 1호선 승차 10,300 하차 10,613
6. 인접한 역
6. 1.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 방면
용산 방면
청량리 방면신길 (138) 인천 방면
서동탄, 신창 방면
동인천 방면
신창 방면 경부선 경인선 급행 통과 경부선 급행·완행 노량진역 (136) - 대방역 (137) - 신길역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