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량진역은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한강철교 준공 및 경인선 노량진~경성 구간 개통으로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1974년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고, 2009년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2015년 경부선(1호선)과 9호선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개통되어 환승이 편리해졌다. 주변에는 공무원 시험 학원과 고시원 등이 밀집해 학원가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으며,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노량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1동 112-1, 노량진로 151 |
좌표 | 37 (경부선) |
좌표 | 37 (9호선)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경부선: 77,070명 9호선: 56,860명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
노선 | 경부선 |
승강장 | 4면 4선 (상대식 승강장) |
선로 | 6선 |
개업일 |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1905년 1월 1일 (경부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
한국철도공사 역 정보 | |
역 번호 | |136}}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51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영등포관리역 |
종별 | 보통역 |
등급 | 2급 |
승강장 | 5면 7선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
영업 거리 | 서울 기점 5.8km |
이전 역 | 135 용산 (2.6km) 137 대방 (1.5km) |
노선 | 용산삼각선 |
이전 역 | K111 이촌 (3.4km)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서울시 메트로 9호선 역 정보 | |
![]() | |
![]() | |
역 번호 | |917}}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지하 130 |
관할 | 서울시메트로9호선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 서울9호선운영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
개업일 | 2009년 7월 24일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영업 거리 | 개화 기점 18.9km |
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이전 역 | 916 샛강 (1.2km) 918 노들 (1.1km) |
연혁 | |
1899년 9월 18일 |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05년 1월 1일 | 경부선 개통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2009년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
2. 역사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인천~노량진 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19][21] 1900년 7월 4일 한강철교가 준공되고,[22] 같은 해 7월 8일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23]
1960년 5월 27일 사무관(5급)역으로 승격되었고, 1967년 7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가[24] 1968년 9월 11일 다시 개시되었다.[12] 1968년 12월 30일 역사 신축에 착공하여 1971년 5월 15일 준공하였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운행이 개시되었으며, 1975년 9월 18일 철도시발지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1978년 11월 20일 화물 취급이 다시 중지되었고,[25] 2001년 6월 1일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전산 통일호로 전환되었다.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운행이 중단되고 무궁화호로 전환되었으며, 2005년 1월 20일부터 무궁화호 열차가 통과하게 되었다.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26]
2008년 12월 23일 민자역사 착공식이 있었고,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신논현 구간 개통과 함께 지하역 영업이 개시되었다.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0년 5월 1번 홈 승강장 개찰구 옆 리프트가 수직형 리프트로 교체되었다.[28]
2011년 10월 5일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29] 2015년 10월 31일 경부선(1호선)과 9호선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개통되었다. 2014년 5월 3일~5월 6일 용산역 선로공사 관계로 천안급행이 이 역에서 시·종착했다. 2015년 10월 18일 노량진역 앞 육교가 철거되었다.[30]
2016년 12월 26일 완행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가동되었으며, 2017년 5월 1일 ITX-청춘 (용산-대전)이 급행승강장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2017년 7월 7일 경인선 특급 운행이 개시되었으나, 2018년 3월 23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은 폐지되었다. 2020년 10월 12일 노량진역 9번 출입구가 개통되었다.
2. 1. 한국철도공사 (1호선)
경부전철선이 운행하며 선로 명칭상 경부선이지만, 이 역에는 경부전철선 전철만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에는 역 번호가 도입되어 있으며, 경부전철선은 "'''136'''"의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1]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단선 승강장 3면 3선, 총 5면 7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1~5번선은 경부전철선이 사용하고, 6·7번선은 경부선 (일반 열차) 용 승강장이지만 2005년1월 20일 이후 정차하는 열차가 없어 폐쇄되었다. 3번선은 병점-천안 간 전철화 및 복복선화 이후 정기 열차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1번선은 계단을 올라가지 않고 개찰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보통역이며, 역 등급은 2급이다.[1]
한국철도공사 출구는 1번과 2번, 2곳이 있다.[1]
2. 2. 서울시메트로9호선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운영하는 9호선이 운행한다. 수도권 전철에는 역 번호가 도입되어 있으며, 9호선은 "'''917'''"의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개찰구는 샛강 측과 노들 측 2곳에 있다. 9호선 출구는 3번부터 8번과 3-1번의 7곳이 있으며, 샛강 측 개찰구는 4 - 7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고, 노들 측 개찰구가 3·3-1·8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화장실은 양쪽 개찰구 밖에 각각 1곳씩 있다.[4]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2. 3. 민자역사
2002년 철도청은 지하철 1호선 노량진역 철도용 부지 38650m2에 역무시설과 함께 백화점, 대형할인점, 복합영화관 등 지하 2층~지상 17층 규모의 판매·문화·업무시설을 짓는 사업을 위해 노량진역사㈜를 설립하고, 2002년 12월 공모를 통해 진흥기업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그러나 주식 양도를 통해 사업주관자 지위를 포기하고 1대 주주가 된 개인사업자가 노량진역사㈜의 대표이사가 되었다.[31]2002년 철도청 로비 명목으로 사업 파트너인 진흥기업에서 2.5억원을 받고 불법으로 사전분양을 하여 50억원여 원의 분양계약금을 챙긴 김모씨는 횡령, 배임, 알선수재 혐의로 2006년 법원에서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2007년 김모씨가 단독 사업주관자로 바뀐 이후, 벽산건설과 시공 약정을 맺었지만 바로 약정을 해지하고 정우개발과 시공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정우개발이 공사실적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 이후에도 여러 업체로 시공사가 바뀌는 과정 끝에 사업은 중단되었다.[31]
2003년부터 2010년 1월까지 노량진역사㈜는 상가 계약금 150억원보다 많은 약 200억원을 지출했다. 8~9명의 근무자 급여가 60억원이었고, 1인당 연간 8000만원이 넘는 정식 급여와 함께 '업무추진비 25만 원, 체력단련비 30만 원'에 연간 100만 원 안팎의 법인카드를 사용했다. 결국 최종적으로 부도가 났고, 130명의 상가 수분양자와 수백 명의 사기 분양 피해자가 발생했다.[31]
2009년 1월, 노량진민자역사 공사 대금 50억원의 약속어음 지급 기일을 변조해 행사한 혐의(유가증권변조) 등으로 서울동작경찰서, 노량진민자역사 내 상가 사기 분양 등과 관련해 서울중앙지검과 서울강북경찰서에서 수배를 받은 대표이사 김모씨가 서대문경찰서에 체포되었다. 김모씨는 경기도 일산구에서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거주지를 옮겼다는 첩보를 받고 추적한 결과였다.[32]
2011년 노량진 민자역사가 법원에서 파산 선고를 받은 것에 대한 불복 재판과 분양 피해자 66명이 코레일을 상대로 "민자역사 상가 불법 분양으로 입은 손해 60억원여 원을 배상하라"며 제기된 집단소송이 진행 중이었다.[33] 2012년 노량진 민자역사의 사업 시행자 지위 확인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원고 패소했다.[34]
2008년 4월 3일 동작구에서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를 받아 한국철도공사와 노량진민자역사(주)가 업무협약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2008년 1월 업무협약을 취소하고 서울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에 각각 건축허가취소, 점용허가취소를 요청하여 2014년 12월 18일 실시계획이 실효되면서 사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35]
3. 역 구조
한국철도공사 소속 1호선 승강장과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 9호선 승강장이 있다. 1호선은 지상에, 9호선은 지하에 위치한다.
1호선 승강장은 5면 7선 구조이며, 이 중 6, 7번 승강장은 경부선 열차용이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9호선 승강장은 2면 2선 구조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출구는 1번과 2번, 총 2개가 있으며, 서울시메트로9호선의 출구는 3번부터 8번까지, 그리고 3-1번을 포함하여 총 7개가 있다.
3. 1. 한국철도공사 (1호선)
승강장은 지상 1층에, 대합실 등 주요 역무 시설은 지상 2층에 있다. 1~5번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사용되는 고상 승강장이며, 6, 7번 승강장은 경부선 여객열차에 사용되던 저상 승강장이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1번 승강장에는 역 외부와 바로 연결되는 개찰구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1곳이다. 3, 6, 7번 승강장을 제외한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과거 화물을 취급하던 저상홈 옆 공간에 콘크리트제 화물취급장이 2014년경에 설립되어 화물 열차로 공사용 철강재 등을 운반 보관하는 등의 일종의 화물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단선 승강장 3면 3선의 총 5면 7선의 지상역이다. 1~5번 선을 경부전철선이 사용하고 있다. 6·7번 선은 경부선 (일반 열차) 용 승강장이지만, 2005년 1월 20일 이후 정차하는 열차가 없어 폐쇄되어 있다. 또한, 3번 선은 같은 날 병점-천안 간 전철화 및 복복선화 이후 정기 열차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1번 선은 계단을 올라가지 않고 개찰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보통역이며, 역 등급은 2급이다.
한국철도공사의 출구는 1번과 2번 2곳이 있다.
1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영등포 · 구로 · 부천 · 송내 · 동인천 방면 (급행•특급) |
---|---|---|---|
2 | 경부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용산역 방면 (급행•특급) |
3 | 수도권 전철 1호선 | 구로 · 인천 · 병점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 |
4 | 용산 · 광운대 · 의정부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
3. 2. 서울시메트로9호선 (9호선)
개찰구는 샛강 측과 노들 측 2곳에 있다. 9호선 출구는 3번부터 8번과 3-1번의 7곳이 있으며, 샛강 측 개찰구는 4 - 7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고, 노들 측 개찰구가 3·3-1·8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화장실은 양쪽 개찰구 밖에 각각 1곳씩 있다.[4]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4. 환승 문제 및 개선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건설 당시, 한국철도공사와 시공사 간의 마찰로[37] 민자역사 건설 사업 계약이 파기되어 환승 통로가 마련되지 못했다.[38] 이 때문에 2008년 12월 23일 민자역사 착공 이후[36] 9호선 개통부터 2015년까지는 운임 지역 밖을 경유하는 간접 환승 방식이었다. 선/후불 교통카드(1회용 교통카드와 정기 승차권은 환승 처리 불가) 사용 시에만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고, 환승 가능 횟수가 1회 차감되었다.[39]
서울특별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자역사 사업과 별도로 2011년 10월 5일 환승 통로 개설을 추진하여 착공하였으나,[40] 2013년 6월 완공 목표는 계속 지연되었다. 결국 2015년 10월 31일에 새 환승 통로가 개통되었다.[41]
환승 통로 완공으로 한국철도공사와 9호선의 출입구 번호가 통합되었고, 9호선 2번 출입구(현 8번 출입구) 부근과 한국철도공사 개찰구 앞을 잇는 보행자용 육교는 노후화로 철거되었다.
5. 역 주변
역 주변에는 공무원 시험 학원(ko)과 수험생을 위한 숙박 시설 (고시원) 등이 모여 학원가를 형성하고 있다.
6. 이용객 변동
노량진역한국어의 이용객 수는 2009년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이후 이용객 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2015년 환승 통로 개통으로 1호선 이용객이 9호선으로 분산되면서 1호선 이용객 감소폭이 두드러졌다.[42]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37,993 | 34,959 | 35,883 | 41,360 | 33,082 | 35,619 | 36,352 | 34,582 | 32,550 | 32,823 | [42] | ||
하차 | 33,359 | 33,915 | 38,709 | 39,428 | 33,697 | 36,679 | 37,270 | 35,142 | 33,161 | 32,843 | ||||
9호선 | 승차 | 미개통 | 14,737 | [43] | ||||||||||
하차 | 16,848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37,489 | 38,563 | 38,841 | 39,375 | 40,659 | 39,411 | 27,737 | 26,422 | 24,280 | 23,775 | 16,043 | 15,224 | [42] |
하차 | 36,978 | 37,843 | 38,230 | 38,513 | 39,884 | 38,984 | 27,565 | 26,079 | 23,746 | 23,242 | 15,763 | 14,878 | ||
9호선 | 승차 | 20,969 | 24,128 | 27,499 | 29,636 | 30,673 | 35,114 | 59,458 | 64,130 | 64,838 | [43] | |||
하차 | 23,269 | 26,256 | 29,417 | 31,512 | 32,691 | 36,838 | 60,706 | 65,320 | 65,860 | |||||
9호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 동안의 평균 이용객 수이다.[43]
7. 인접한 역
노선 | 전역 | 후역 | |
---|---|---|---|
1호선 급행 1호선 완행 | 용산역 (135) | 노량진역 (136) | 대방역 (137) |
9호선 급행 | 여의도역 (915) | 노량진역 (917) | 동작역 (920) |
9호선 일반 | 샛강역 (916) | 노량진역 (917) | 노들역 (918) |
7. 1. 1호선
경부전철선이 운행하며 선로 명칭상 경부선이지만, 이 역에는 경부전철선 전철만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에는 역 번호가 도입되어 있으며, 경부전철선은 '''136'''이 부여되어 있다.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단선 승강장 3면 3선의 총 5면 7선의 지상역이다. 1~5번선을 경부전철선이 사용하고 있다. 6·7번선은 경부선 (일반 열차) 용 승강장이지만, 2005년1월 20일 이후 정차하는 열차가 없어 폐쇄되어 있다. 3번선은 병점-천안 간 전철화 및 복복선화 이후 정기 열차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1번선은 계단을 올라가지 않고 개찰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보통역이며, 역 등급은 2급이다.
한국철도공사의 출구는 1번과 2번 2곳이 있다.
7. 2. 9호선
9호선은 서울시 메트로9호선㈜에서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역 번호는 '''917'''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하역으로, 풀 스크린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샛강 측과 노들 측 2곳에 있으며, 9호선 출구는 3번부터 8번, 3-1번까지 총 7곳이다. 샛강 측 개찰구는 4 - 7번 출구, 노들 측 개찰구는 3·3-1·8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화장실은 양쪽 개찰구 밖에 각각 1곳씩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2]
웹사이트
노량진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10-05
[3]
웹사이트
노량진역
http://terms.naver.c[...]
KRIC
2015-10-05
[4]
웹사이트
http://www.metro9.co[...]
[5]
뉴스
지하철 승객 편의 높여주는 '소프트 환승'
http://www.ohmynews.[...]
オーマイニュース
2009-08-16
[6]
뉴스
'노량진 민자역 시공사 매출 과장' 회계사 기소
http://news.naver.co[...]
뉴시트
2010-07-08
[7]
뉴스
동작구, 노량진역 환승통로 건설
http://www.hg-times.[...]
한강타임즈
[8]
뉴스
노량진역 환승통로, 착공 32개월에 공정률은 겨우 7%
http://www.cnews.co.[...]
앞선 신문 건설경제
2012-07-13
[9]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10]
웹사이트
서울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11]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338호
1967-06-22
[1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57호
1968-09-09
[13]
뉴스
노량진역, 사고후 수직형리프트 교체 설치
http://www.ablenews.[...]
에이블뉴스
2010-05-31
[14]
뉴스
노량진역 1ㆍ9호선간 환승 편해진다
http://media.daum.ne[...]
[15]
문서
연천 기점 74.1km
[16]
문서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
[17]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18]
뉴스
汽車運行
https://nl.go.kr/new[...]
황성신문
2021-01-25
[19]
뉴스
十八日行
https://nl.go.kr/new[...]
황성신문
2021-01-25
[20]
서적
기차가 온다
지성사
2019
[21]
뉴스
경인 철도 리슈
https://nl.go.kr/new[...]
독립신문
2021-01-25
[22]
뉴스
架橋竣工式
https://nl.go.kr/new[...]
황성신문
2021-01-25
[23]
뉴스
滊車全通
https://nl.go.kr/new[...]
황성신문
2021-01-25
[2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38호
1967-06-22
[2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78-37호
[2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142호
[27]
웹사이트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http://event.seoul.g[...]
2008-09-18
[28]
뉴스
노량진역, 사고후 수직형리프트 교체 설치
http://www.ablenews.[...]
에이블뉴스
2010-05-31
[29]
뉴스
노량진역 1ㆍ9호선간 환승 편해진다
https://news.v.daum.[...]
연합뉴스(다음)
2011-01-17
[30]
뉴스
'노량진역 앞 육교' 18일 역사 속으로…35년 만에 철거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5-10-18
[31]
웹사이트
코레일의 민자역사 낙하산 아직도?‘비리 역사’ 노량진민자역사 낙하산 8명 급여 7년간 20억
http://m.weekly.chos[...]
[32]
웹사이트
노량진민자역사 개발사업 대표 사기혐의 검거
http://m.nocutnews.c[...]
[33]
웹사이트
노량진 민자역사 분양피해자, 코레일에 집단소송
https://www.yna.co.k[...]
[34]
웹사이트
法 "노량진역사(주), 노량진 민자역사 사업 시행자 지위 없어"
https://www.news1.kr[...]
[35]
웹사이트
서울시의회 최영수 정책연구위원장“노량진 민자역사 재추진”
http://m.seoul.co.kr[...]
[36]
뉴스
노량진민자역사 23일 착공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8-12-23
[37]
뉴스
노량진민자역사 개발·분양의혹 관련소송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4-16
[38]
뉴스
'노량진 민자역 시공사 매출 과장' 회계사 기소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7-08
[39]
뉴스
9호선 하루 동안 타보니
http://www.wishnews.[...]
희망뉴스
2009-07-24
[40]
뉴스
동작구, 노량진역 환승통로 건설
http://www.hg-times.[...]
한강타임즈
[41]
뉴스
노량진역 1·9호선 지하 환승통로 31일 개통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0-30
[42]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43]
웹인용
서울시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2017-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