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등포역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정차한다.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민자역사로 롯데백화점, 롯데시네마 등이 입점해 있다. KTX는 2010년 11월부터 경부선 계통 열차가 정차하며, 수원 경유 KTX는 필수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및 특급, 광명 셔틀도 운행하며, 주변에 다양한 상업 시설과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서울 영등포구의 전철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영등포구의 전철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영등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영등포역 |
로마자 표기 | Yeongdeungpo-yeok |
한자 표기 | 永登浦驛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618-49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46) |
개업일 | 1899년 9월 18일 (국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
역 등급 | 1급 |
관리역 | 한국철도공사 영등포관리역 |
노선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승강장 | 5면 9선 |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 | |
연혁 | |
경인선 개업일 | 1900년 9월 5일 |
경부선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KTX 개통일 | 2010년 11월 1일 |
ITX-새마을 개통일 | 2014년 5월 12일 |
새마을호 개통일 | 1986년 11월 5일 |
S-train 개통일 | 2014년 10월 1일 |
서해금빛열차 개통일 | 2015년 2월 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
철도 노선 정보 | |
경부선 | 서울 기점 9.1km |
경부선 이전 역 | 신길 |
경부선 이전 역 거리 | 1.0 km |
경부선 다음 역 | 신도림 |
경부선 다음 역 거리 | 1.5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번호 | 139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전 역 | 138 신길 |
수도권 전철 1호선 다음 역 | 140 신도림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전 역 거리 | 1.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다음 역 거리 | 1.5 km |
열차 운행 정보 | |
경부선 KTX | 서울 출발 부산 방면 |
경부선 ITX-새마을 | 서울 출발 부산 · 신해운대 방면 |
경부선 무궁화호 | 서울 출발 부산 방면 |
경전선 ITX-새마을 | 서울 출발 진주 방면 |
호남선 ITX-새마을 | 용산 출발 목포 · 광주 방면 |
호남선 무궁화호 | 용산 출발 목포 · 광주 방면 |
전라선 ITX-새마을 | 용산 출발 여수엑스포 방면 |
전라선 무궁화호 | 용산 출발 여수엑스포 방면 |
전라선 S-train | 서울 출발 여수엑스포 방면 |
장항선 새마을호&서해금빛열차 | 용산 출발 익산 방면 |
충북선 무궁화호 | 서울 출발 제천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 소요산 출발 인천 · 서동탄 · 신창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 용산 출발 동인천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특급 | 용산 출발 동인천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 청량리 출발 신창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 서울 출발 천안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 셔틀 | 신도림 출발 광명 방면 |
이용객 현황 | |
2012년 일평균 이용객 (국철) | 28,229명 |
2012년 일평균 이용객 (수도권 전철 1호선) | 113,606명 |
2009년 일평균 승차 인원 | 60,790명 |
2009년 일평균 승강 인원 | 124,523명 |
2. 역 정보
일부 KTX와 모든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가 정차하며,[13] 광명 셔틀 또한, 첫차 시간대에 운행되는 인천행 열차 2개 편성[14]은 이 역에서 출발한다.[15] KTX는 2010년 11월 1일부터 영등포역에 정차하며, 경부선 계통만 운행한다. 이외에는 서울역 인근에 문제가 생길 때 영등포역에 비상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16] 수원 경유 KTX는 2018년 7월 1일부터 필수 정차한다.
대한민국 최초의 민자역사로, 롯데백화점과 롯데시네마가 입점해 있다. 안내소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스탬프는 국회의사당 도안과 제물포역-영등포역 기념 도안 2개를 날인할 수 있다. 서울~신창 간 B급행 열차의 경우 서울행 차량만 영등포역에 정차한다.
2008년 12월 1일부터 철도 시간표 전면 개정에 의하여 광명행 전동 열차의 시·종착역이 되었다. 현재 5번 승강장을 제외한 모든 전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3. 연혁
4. 역 구조
1987년 9월 1일에 착공하여 1990년 7월 21일에 완공된 민자역사로, 롯데건설이 건설하였다. 서울특별시 최초의 민자역사이며, 롯데백화점 영등포점과 롯데시네마 영등포가 함께 있다.[4] 승강장은 5면 9선 구조이다.[6]
4. 1. 승강장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은 2면 5선, 일반열차 승강장은 3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1 | -- 경부전철선 | 완행 청량리・광운대・창동・의정부・양주・동두천・소요산 방면 |
---|---|---|
2 | -- 경부전철선 | 완행 구로・부평・인천・병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
3 | -- 경부전철선 | 용산급행 신길・노량진・용산 방면 |
4 | -- 경부전철선 | 동인천・천안급행 부평・동인천・병점・천안 방면 |
5 | -- 경부전철선 | 광명셔틀 구로・가산디지털단지・금천구청・광명 방면 |
6 | 경부선 | 용산・서울 방면 |
7 | 경부선 | 용산・서울 방면 |
8 | 경부선 | 부산・마산・광주・목포・여수엑스포・장항 방면 |
9 | 경부선 | 부산・마산・광주・목포・여수엑스포・장항 방면 |
5. 이용객 변동
영등포역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일반열차와 수도권 전철의 상세한 이용객 변동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2013년 자료만 간략하게 제시한다.
연도 | 구분 | KTX | 산천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청춘 | 합계 |
---|---|---|---|---|---|---|---|---|
2013년 | 승차 | 73,810 | 0 | 858,297 | 4,028,072 | 382,324 | 1,183 | 5,343,686 |
2013년 | 하차 | 62,208 | 0 | 776,231 | 3,943,723 | 479,194 | 816 | 5,262,172 |
5. 1. 일반열차
연도 및 승하차 방향 | 이용객 수[7] | |||||
---|---|---|---|---|---|---|
경부선 |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1,256,300 | 6,196,782 | 82,843 |
하차 | 317 | 3,681 | 64 | |||
상행 | 승차 | 45 | 2,357 | 9 | ||
하차 | 1,190,751 | 5,177,016 | 90,630 | |||
2002년 | 하행 | 승차 | 1,290,841 | 6,003,625 | 94,899 | |
하차 | 185 | 4,597 | 989 | |||
상행 | 승차 | 38 | 3,975 | 902 | ||
하차 | 1,200,982 | 5,051,834 | 106,311 | |||
2003년 | 하행 | 승차 | 1,306,868 | 5,821,898 | 87,644 | |
하차 | 242 | 11,682 | 107 | |||
상행 | 승차 | 37 | 16,985 | 23 | ||
하차 | 1,200,226 | 5,052,869 | 95,928 | |||
2004년 | 하행 | 승차 | 1,154,633 | 5,051,113 | 20,261 | |
하차 | 174 | 3,684 | 31 | |||
상행 | 승차 | 747 | 5,085 | 2 | ||
하차 | 1,132,820 | 4,679,139 | 23,354 | |||
2005년 | 하행 | 승차 | 990,199 | 3,743,994 | 2004년 4월 1일 폐지 | |
하차 | 209 | 18,764 | ||||
상행 | 승차 | 1,713 | 20,239 | |||
하차 | 946,673 | 3,442,406 | ||||
2011년[8] | 하행 | 승차 | 72,174 | 911,814 | 3,727,280 | |
하차 | 106 | 1,019 | 10,109 | |||
상행 | 승차 | 135 | 1,291 | 9,896 | ||
하차 | 57,450 | 830,064 | 3,684,099 |
5. 2. 수도권 전철
연도 | 1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승차 | 하차 | |
2000년 | 54,193 | 48,186 |
2001년 | 62,829 | 62,937 |
2002년 | 66,940 | 66,743 |
2003년 | 71,506 | 74,196 |
2004년 | 50,331 | 53,300 |
2005년 | 48,257 | 51,934 |
2006년 | 47,898 | 51,664 |
2007년 | 46,862 | 50,425 |
2008년 | 47,545 | 50,519 |
2009년 | 48,727 | 52,130 |
2010년 | 54,335 | 59,083 |
2011년 | 55,060 | 58,666 |
2012년 | 54,931 | 58,675 |
2013년 | 54,260 | 57,931 |
2014년 | 52,829 | 56,486 |
2015년 | 51,453 | 54,763 |
2016년 | 51,374 | 54,821 |
2017년 | 49,578 | 52,644 |
2018년 | 49,001 | 51,638 |
2019년 | 50,014 | 52,377 |
2020년 | 33,648 | 35,015 |
2021년 | 32,618 | 33,513 |
6. KTX 정차 논란과 현황
2004년 10월 KTX 영등포역 정차 여론이 처음 알려지자 광명시는 크게 반발하였다.[26] 2010년 11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수원 경유 KTX가 하루 왕복 2회 정차하기 시작했다.[28] 2018년부터 수원 경유 KTX는 영등포역에 필수 정차한다.
2021년 기준 경부선 수원 경유 KTX 상행 4대, 하행 4대, 총 8대가 정차한다. (열차번호: 상행 #122, #124, #126, #128, 하행 #121, #123, #125, #127)
7. 역 주변
기타: 광야교회, 김안과병원, 씨랄라 워터파크 & 찜질방, 아쟈쇼핑몰, 영등포 롯데역사, 영등포세무서, 영등포시장, 영등포역광장, 영등포 우체국, 영등포 소방서, KRA 플라자 영등포지점, 타임스퀘어 (신세계 영등포점, 이마트 영등포점, 일렉트로마트 영등포점, 교보문고 영등포점, CGV 영등포, 토이킹덤 영등포점, 시코르 타임스퀘어 영등포점), 영등포로터리 지하상가,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CM충무병원, 영등포공원, 페어필드 바이 마리오트 서울, 동횡인 서울 영등포
서울역과 마찬가지로 영등포역 주변은 서울의 노숙자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이며, 노숙자들을 위한 임시 숙박 시설과 지원 시설이 많다.[10]
8. 인접한 역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호남선, 광주선, 전라선
장항선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경부선, 호남선, 장항선, 전라선, 충북선
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