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자보는 중국에서 황제 시대부터 사용된 정치적 도구로, 특히 신해혁명 이후 문해율 증가와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1942년 옌안 시대에는 중국 공산당의 선전 수단이자 당 내부 비판의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1950년대 백화제방 운동과 대약진 운동 시기에는 대중 동원과 당내 문제 해결에 사용되었다. 특히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의 지시에 따라 류사오치 등을 비판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1980년대 민주주의 요구를 표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으나, 1980년 헌법에서 삭제되며 점차 제한되었다. 대자보는 마오쩌둥을 찬양하고, 계급의 적을 비난하며, 폭력을 선동하는 내용과 형식을 갖추었으며, 정치적 투쟁, 사회 문제 제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터 - 지명수배
지명수배는 범죄 용의자의 신원과 범죄 내용을 공개하여 대중의 협조를 얻어 체포하는 제도로, 정보 공유 방식과 기술 발전에 따라 발전하고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 투명성 확보, 인권 보호 등의 과제를 안고 국가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 포스터 -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는 영화 홍보를 위해 제작되는 시각 매체로, 초기 극장 사용에서 시작하여 배포 방식과 디자인이 다양화되었으며, 현대에는 영화 스튜디오가 제작 및 배포를 관리하고 수집 가치가 높은 물품으로 여겨진다. - 선전 - 민족 신화
민족 신화는 국가나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국가 통합을 강화하지만, 국가 간 갈등을 야기할 위험성도 내포하며, 다양한 국가의 사례에서 그 역할과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선전 - 선전 모델
선전 모델은 미디어가 권력 구조의 영향으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고 여론을 조작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다섯 가지 필터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가 기업 이익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편향된다고 주장하지만, 미디어의 다양성과 기업 부패 보도 사례 등 비판도 존재한다. - 문화 대혁명 - 동방홍
동방홍은 중국 섬서성 북부 민요 가락에 리유위안이 가사를 붙여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노래로, 마오쩌둥 시대에 사실상 국가 역할을 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 개인 숭배에 이용되었고, 덩샤오핑 시대 이후 공식적인 사용은 줄었으나 중국인들에게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 뮤지컬, 기관차, 역, 광장 등의 명칭에 사용되었다. - 문화 대혁명 - 붉은 8월
붉은 8월은 1966년 중국 문화대혁명 초기에 마오쩌둥의 지지를 받은 홍위병들이 베이징에서 일으킨 대규모 학살 사태로, 수천 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잔혹한 방법으로 지식인과 시민들을 박해하고 영유아까지 희생시킨 끔찍한 사건이다.
대자보 | |
---|---|
개요 | |
유형 | 게시판 |
목적 | 항의, 선전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역사 | |
기원 | 중국 |
문화 대혁명 시기 | 급진적인 의사소통 및 비판의 도구로 사용됨 |
1979년 | 민주화 운동 당시 민주의 벽에 게시 금지 |
현대 | 여전히 중국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됨, 한국 대학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자보와 유사 |
특징 | |
형식 | 큰 글자로 작성된 게시물 |
내용 | 정치적 주장, 개인적인 의견, 사회 비판 등 |
게시 장소 | 공공장소, 학교, 공장 등 |
영향 | 대중의 의견 형성에 기여, 사회적 이슈 제기 |
관련 용어 | |
홍위병 | 문화 대혁명 시기 대자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학생 조직 |
민주의 벽 | 베이징에 있던 대자보 게시 장소 |
대자보 (신문) | 대한민국의 신문 |
같이 보기 | |
벽보 | 유사한 형태의 게시물 |
선전 | 특정 사상이나 주장을 널리 알리는 행위 |
검열 | 정보의 유통을 통제하는 행위 |
2. 중국에서의 역사
2. 1. 1949년 이전의 원형
대자보는 중국에서 황제 시대부터 사용되었지만, 신해혁명 이후 문해율이 높아지면서 더욱 흔해졌다.[1] 제한적인 유통 신문, 발췌된 언론 기사, 그리고 공개 게시를 위한 소책자도 포함되었다. 대자보는 정보를 전달하고 대중에게 불만을 표출하는 글쓰기를 사용하는 오랜 전통의 일부이다. 벽보는 최소한 주나라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771년)부터 황제의 칙령, 포고, 그리고 다양한 명령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당시 포스터는 황제와 그의 백성 사이의 유일한 의사 소통 수단이었다.[1] 지방 정부 또한 이러한 포스터를 사용하여 소식을 알리거나 수배범의 인상착의를 묘사하기도 했다.[1][2] 정치적 반대를 표명하기 위해 사용된 포스터에 대한 기록은 한나라 때부터 찾아볼 수 있다. 약 172년경, 강력한 환관을 비판하는 포스터가 황궁 문에 나타났다.[3]중화민국 (1912-1949) 시대에는 대중의 문해율이 높아지면서 대중 포스터를 정치 선전의 한 형태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포스터와 기타 형태의 대중 글쓰기는 민족주의적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4] 1919년 5·4 운동 당시, 베이징 대학 학생들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제1차 세계 대전 후 중국의 독일이 점령했던 영토가 일본에 넘어가자 분노하여 항의 시위를 열기로 결정했다. 교내 게시판에 "선동적인 고지"가 그들의 계획을 알렸다.[5] 1925년 쑨원이 사망했을 때, 베이징의 중앙 공원에서 거행된 영결식 기간 동안 사람들은 공원 주변에 수천 개의 부고를 자발적으로 걸었는데, 이 부고에는 종종 신해혁명의 지도자에 대한 슬픔과 존경을 표현하는 연구가 적혀 있었다.[6] 포스터는 1925년 5·30 운동 당시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애국 시민들에게 외국 제품 사용을 중단하도록 촉구하는 데 사용되었다.[7]
당시 중국 국민당은 정치 선전에 슬로건과 포스터를 사용했다. 일부 초기 포스터는 이후의 대자보와 시각적 미학을 공유한다.[8] 예를 들어, 국민당이 이끄는 국민 혁명군 총사령부의 정치부에서 인쇄한 포스터는 중앙에 쓰인 큰 글자가 특징이다. 문구는 다음과 같다. "농민이 밭을 갈려면 혁명군을 도와야 한다." 당시의 디자인이 종종 더 화려하고 산만했던 것에 비해, 이 포스터는 독자의 시선을 단어에 집중시키는 단순한 그로테스크 스타일의 테두리를 가지고 있다.[9] 비록 포스터가 인쇄되었지만, 글자는 즉각적인 느낌을 고조시키는 강렬한 필체로 나타난다.
2. 2. 옌안 시대의 대자보
소련의 영향을 받아 중국 공산당(CCP)은 대중 동원에 적합한 쉬운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쉽게 제작하고 복제할 수 있는 벽보와 포스터를 선전 캠페인에 사용했다.[10] 대자보는 중일 전쟁과 그 이후 국공 내전 동안 중국 공산당 본부가 있던 옌안에서 유래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11] 이는 뉴스 및 공산주의 사상을 전파했을 뿐만 아니라 1942년 정풍 운동 동안 당 간부들을 숙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 대자보가 처음 사용될 당시 비판의 대상과 정도는 모두 중국 공산당 당 기구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었다.[12]하지만 드물게 사람들은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기 위해 대자보를 사용하기도 했다. 1942년 3월 23일, 친공산주의 언론인이자 작가인 왕스웨이는 "두 개의 반성"이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게시했다. 큰 글씨로 쓰인 이 에세이는 특정 당 지도자들이 정치적 반대를 억압한다고 비판했다.[13] 다음 주, 당을 비판하는 다른 여러 포스터가 게시되었고, 이는 당 지도부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을 촉발했다.[13] 당은 이러한 공개적인 비판을 좋게 여기지 않았고, 작가들은 처벌을 받았다. 특히 왕스웨이는 "트로츠키주의 스파이"로 기소되어 1947년에 처형되었다.[14] 1945년 중국 공산당 제7차 전국 대표 대회에서 마오쩌둥은 왕스웨이의 대자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우리는 그에게 패배했다. 우리는 우리의 패배를 인정하고 정풍 운동에 매진했다."[15] 1957년, 마오쩌둥이 백화 제방 운동 기간에 대중을 동원하기 위해 대자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최고 국가 회의에서 그는 옌안 시기를 되돌아보며 말했다. "옌안 시대에 몇 개의 대자보가 쓰여졌지만 우리는 그것을 장려하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아마도 그때 우리가 약간 어리석었기 때문일 것이다."[16]
2. 3. 1950년대: 백화제방 운동과 대약진 운동 시기의 대자보
마오쩌둥은 1956년 백화제방 운동을 시작하면서 대중을 동원하고 당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자보를 활용하기 시작했다.[17][18][19] 초기에는 건설적인 비판을 장려했으나,[19] 비판이 마오쩌둥 자신과 중국 공산당의 지도 체제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지자,[20] 1957년 반우파 투쟁을 통해 이를 탄압했다.[21][22][35][36]1957년 5월 19일 베이징 대학 식당 벽에 처음 게시된 대자보는[23]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대표 선출 방식과 간부들의 친족주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4] 이후 대자보 내용은 "3가지 악"(주관주의, 관료주의, 분파주의) 비판, 가르침의 교조주의 비판, 공동체 및 사회 결성의 자유 요구, 금서 해제 촉구 등으로 다양해졌다.[25][26] 롱잉화는 대학 벽의 일부를 민주적 토론을 위한 포럼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제안하여 베이징 대학에 민주주의의 벽이 탄생했다.[27] 류치디는 후펑에 대한 비난에 이의를 제기하며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의 판단에 의문을 제기했다.[29]
''원회보''(文匯報)는 베이징 대학의 민주주의의 벽에 대한 기사를 통해 전국적인 대자보 쓰기를 장려했고,[30] 이는 난징, 상하이, 광저우 등지의 대학으로 확산되었다.[30] 그러나 대학 당 간부들은 대자보를 환영하지 않았고, 베이징 대학 당위원회는 표현의 자유 제한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자 결국 대자보 게시를 허가했다.[31][32] 백화제방 운동에 참여한 공장 노동자들도 대자보를 통해 공장 운영의 관료주의를 비판했다.[33]
마오쩌둥은 1957년 반우파 투쟁을 시작하여 당과 정부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우파"로 낙인찍고 처벌했다.[35][36] ''인민일보''는 대자보를 우파들이 당에 대항하여 사용하는 무기로 묘사하며 비판적인 대자보를 탄압했다.[37][38][39] 그러나 마오쩌둥은 대자보의 대중 동원 효과에 주목하여 자신의 정치적 목표에 활용하기로 결정했다.[40] 반우파 운동 동안 50만 명의 우파들이 대자보를 통해 폭로되고 비난받았다.[43]
1957년 10월, 마오쩌둥은 대자보를 대중 투쟁의 한 형태로 정당화하며, ''인민일보''와 ''베이징일보'' 등 관영 매체들이 대자보를 홍보하기 시작했다.[45][46] 마오쩌둥,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등 주요 당 간부들은 베이징의 공장들을 방문하여 대자보를 읽으며 대자보 쓰기를 독려했다.[47]
1958년 대약진 운동 기간에도 대자보는 인민 공사 운영 개선과 생산 촉진을 위해 농촌 마을에서 사용되었다.[62] 관영 매체는 대자보가 농민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생산량 증가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63]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당시에는 중국의 주권을 지지하는 대자보가 제작되기도 했다.[64]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엄청난 양의 대자보가 제작되었는데, 예를 들어 상하이에서는 1958년 한 해 동안 총 10억 개의 대자보가 제작되었다고 주장했다.[67]
2. 4. 문화 대혁명 시기의 대자보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대자보는 대중이 널리 사용한 정치적 도구인 "4대" 중 하나였다.[70] 나머지 셋은 의견의 자유로운 개진(大鳴, 다밍), 광범위한 자유(大放, 다팡), 그리고 격렬한 토론(大辯論, 다볜룬)을 의미했다.[70]문화 대혁명의 주요한 방아쇠 역할을 한 것은 1966년 5월 25일에 게재된 "문화 대혁명에서 쏭숴, 루핑, 펑페이윈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는 대자보였다.[76] 이 대자보는 녜위안쯔(녜위안쯔/聂元梓중국어) 등이 공동으로 작성했다. 이들은 대학이 부르주아 반혁명가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쏭숴, 루핑, 펑페이윈을 중앙위원회와 마오쩌둥에 반대하는 "크루쇼프형 수정주의자들"로 공격했다.[76]
마오쩌둥은 1966년 8월 5일, "본부를 포격하라—나의 대자보"를 작성하여 류사오치를 공격하고 문화 대혁명을 가속화했다.[103] 이 대자보는 "부르주아 독재를 시행하고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의 솟아오르는 운동을 짓밟은" "일부 지도 동지들"을 겨냥했지만, 모든 사람들은 공격 대상이 류사오치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103]
문화대혁명 초기, 대자보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966년 6월 1일부터 6월 6일까지 베이징 대학에 50,000개 이상의 대자보가 게시되었고,[89] 칭화 대학에는 65,000개의 대자보가 나타났다.[90] 지셴린에 따르면, "매일 수십만 명이 왔다...사람들 외에도 벽, 땅, 나무가 크고 작은 대자보로 뒤덮였고, 모두 같은 내용, 즉 최초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대자보를 지지했다."[94]
1974년, 리-이-저 사건이 발생했다. 광저우에서 문화 대혁명과 마오쩌둥을 비판하는 대자보가 게시되었으나, 당국에 의해 탄압받았다.[119] 이 대자보는 문화 대혁명의 몇 가지 긍정적인 측면을 표면적으로 칭찬하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곧 민주주의와 강력한 법 제도의 부재를 비판했다.[120] 광둥성 당위원회는 이 대자보를 "반혁명 대자보"로 규정하고, 작성자들을 "반혁명 파벌"의 일부라고 불렀다.[123]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일부 대자보가 사인방에 반대하여 사용되었다. 4.5 천안문 사건에서 많은 대자보가 사인방을 공격했다.[127]
2. 5. 1980년대의 대자보
덩샤오핑 집권 초기에는 대자보를 비롯한 정치적 반대 의견의 공개적인 표현을 관대하게 용인했다. 1978년 헌법에는 "대자보를 쓸 권리"가 명시되기도 했다.[129] 그러나 이 권리는 사회주의 체제와 중공의 지도력 준수에 달려있었으며, 프롤레타리아트의 지도력 하에 민주주의를 보장하기 위해 부여된 것이었다.[130]1978년부터 1979년 사이 베이징의 시단 민주주의의 벽에 게시된 대자보는 전국적인 관심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31] 문화 대혁명에 대한 비판, 사인방, 마오쩌둥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내용도 있었다.[134] 수만명의 사람들이 대자보를 게시하고 읽고 토론하였다.[133]
웨이징성은 제5의 현대화라는 대자보를 통해 민주주의를 요구했다.[135] 그는 마오쩌둥을 "자찬적인 독재자"라고 비판하고, 덩샤오핑 정권 하에서도 민주주의와 자유에 대한 이야기가 금지되었다고 주장했다.[136] 그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노동하는 대중이 권력을 쥐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현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보았다.[136] 웨이징성은 1979년 3월 25일, "우리는 민주주의를 원하는가, 아니면 새로운 독재를 원하는가"라는 대자보를 통해 덩샤오핑을 명시적으로 비판했다.[139] 그는 덩샤오핑을 대중 운동을 억압하고 민주주의 운동을 부정한 "진정한 집행자"로 묘사했다.[139] 이후 체포되어 "반혁명" 혐의와 "외국인에게 국가 기밀 판매" 혐의로 15년형을 선고받았다.[140]
덩샤오핑은 이러한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사회를 혼란으로 되돌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137] 1979년 3월 16일, 덩샤오핑은 4가지 기본 원칙을 발표하여 공개적으로 정권을 비판하는 권리를 제한했다.[139]
2. 6. 대자보의 종말
덩샤오핑은 대자보에 대해 더 제한적인 법규와 조례를 부과하기 시작했다.[141] 1976년 4월 6일, 베이징시 혁명위원회는 "지정된 장소를 제외하고는" 거리, 공공 장소 및 건물에 대자보 게시를 금지하는 조례를 통과시켰다.[141] 1979년 4월까지 중국의 모든 성도에서 유사한 조례가 통과되었다.[140] 1979년 7월 1일,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형법을 통과시켜 대자보를 이용한 타인 비방을 범죄로 규정했다.[142] 같은 해 11월 29일,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시단 민주 벽을 겨냥한 결의안을 통과시켜 대자보를 제한했다.[143] 1979년 12월 6일, 베이징시 혁명위원회는 시단 민주 벽(및 위탄 공원의 지정된 장소를 제외한 모든 장소)에 대자보 게시를 금지하고 작성자 실명, 주소, 근무 부서 등록을 의무화했다.[144] 1980년 9월 10일, 전국인민대표대회는 대자보 게시 권리를 헌법에서 삭제했다.[145]이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에도 학생들은 대자보를 이용해 정치적 의사를 표현했다.[146][147] 1986년 12월, 베이징과 다른 주요 도시의 학생들은 민주 개혁과 일당 제도의 종식을 요구하는 대자보를 게시했다.[147] 장쩌민 당시 상하이 공산당 서기가 학생 시위를 자제하도록 권고하자, 상하이 자오퉁 대학 학생들도 대자보를 게시했다.[149] 관영 언론은 대자보를 비난했고, 학생들은 항의의 표시로 관영 신문을 불태웠다.[150][151][152] 1988년 학생들은 교육 환경과 처우에 대한 불만을 대자보를 통해 제기했다.[153]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이전, 대자보는 대학 캠퍼스에서 톈안먼 광장으로 확산되었다.[154]
1990년 1월 20일, 국가 교육위원회는 대학 캠퍼스에서 대자보 사용을 금지했다.[149]
3. 대자보의 내용 및 형식
문화 대혁명 시기 대자보는 녜위안쯔 등이 작성한 최초의 포스터를 모방하여 일정한 수사적 공식을 공유했으며, 복사 및 재인쇄되어 구조가 더욱 표준화되었다.[162]
대자보는 대개 마오쩌둥과 현 정권을 칭송하고 문화 대혁명의 성공과 정당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했다.[163] 거의 모든 포스터는 처음에 마오쩌둥의 어록을 인용했는데, 이는 이후의 비난의 기초가 되는 일반적인 도덕적 원칙을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164] 이는 정치와 무관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불만을 해결하려는 내용에 대한 정치적 위장을 제공했다.[164] 또한 마오쩌둥의 사상과 정신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165] 가장 흔히 사용된 어록 중 하나는 "혁명은 죄가 아니며, 반항은 정당하다"였다.[166]
대자보는 고발 대상의 이름과 그들의 죄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대자보는 대상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공격했다. 때때로 대상을 굴욕 주기 위해, 이름을 의도적으로 거꾸로 쓰거나 강한 부정적 의미를 가진 동음이의 글자로 대체하기도 했다.[167] 계급의 적을 묘사할 때, 우귀사신(소 귀신과 뱀 귀신), ''구자이''(개 자식/하인의 사생아), ''요마 귀괴''(괴물과 악마, 유령과 도깨비), ''소파충''(작은 파충류), ''주구''(걸어 다니는 개/하인), ''사묘 랑구''(죽은 고양이와 썩은 개) 등의 동물 비유를 사용하여 그들을 더욱 비하했다.[168] 이러한 표현들은 계급의 적을 비인간화하고, 이후의 비난과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했다.[169] 대부분의 대상은 5대 흑색분자(지주, 부농, 반혁명 분자, 불량배, 우파)에 속했다. 그러나 특히 후자 세 범주는 모호하게 정의되어 더 광범위한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었다.[168]
자신의 가족, 친구, 가까운 동료를 대자보를 통해 비난하여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증명하고 스스로를 구제하는 행위가 흔했다.[170] 이러한 행위는 널리 장려되었는데, 이는 이러한 작가들이 대상의 "진정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67년 장칭의 사주를 받아 류타오와 류윈전은 아버지 류사오치를 비판하는 대자보를 내걸었다.[171] 사람들은 또한 대자보를 통해 자신을 비판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했다.[172]
국가 관리들을 겨냥한 대자보는 당 중앙위원회의 면밀한 감시와 통제를 받았다. 예를 들어, 1971년에는 프롤레타리아는 린뱌오 문제에 대해 서로 논의할 수 있지만, 대자보를 게시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되었다.[173]
대자보는 대상의 습관, 행동, 과거 발언 등을 근거로 비난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어머니를 위해 높은 수준의 장례를 치르는 것은 봉건주의자로,[175] 개인 재산을 소유하거나 평균보다 나은 삶을 사는 것은 평등주의 위반으로 간주되어 부르주아로 비판받았다.[176] 또한, 중립적인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로 대체하여 비방 효과를 높였다. 예를 들어 "합류하다" 대신 "몰래 하다", "다른 관점" 대신 "이단"과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178]
대자보는 대상의 동기를 왜곡, 과장, 조작하여 비난하기도 했다.[180] 과거의 캠페인에서는 개인의 성관계는 대자보에서 논의되지 않았으나,[182] 문화 대혁명 동안에는 "불법적인 성관계", "도덕적 타락"과 같은 내용이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데 사용되었다.[184][186]
이러한 모든 비난은 "개과천선하지 않는 자본주의 길을 걷는 자", "숨겨진 스파이와 배신자", "반혁명가", "음모가", "수정주의자" 등과 같은 더 큰 반당 또는 반마오쩌둥 범죄와 연결되었다.[187]
대자보가 일단 피고를 유죄로 판결하면, 대상에 대한 폭력적인 투쟁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작성자는 종종 "적들을 산산조각 내고", "그들의 몸을 밟아 천 길 아래로 떨어뜨려 그들이 평생 다시는 일어설 수 없도록 하겠다"고 맹세했다.[188] 1967년 베이징의 홍위병은 덩샤오핑에 대해 "정말로 칼 수천 개로 베어 불태우고 기름에 튀겨야 한다"고 썼다.[189] 홍위병은 스스로를 "마오를 보호하는 투사로서, 펜을 칼과 소총처럼 휘두르는 자"라고 묘사했다.[190]
1967년, 베이징 공장 노동자들은 모든 증오를 "가장 집중된 총알과 가장 뜨거운 불꽃으로 응축하여, 펑전이 이끌고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이 지원하는 반혁명 수정주의 분파에 쏘아 재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191] 그들은 아마도 1957년에 이미 대자보를 "소총, 권총, 기관총과 같은 소형 무기"라고 묘사한 마오 자신에게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192] 이러한 폭력적인 말들은 종종 실제 폭력으로 이어졌다. 대자보에서 한 번 비난을 받으면, 그 사람은 가택 수색과 강도질까지 당했다.[176] 톈진의 한 중학교 학생들은 대자보를 선생님의 등에 못 박기도 했다.[193]
''훈단''(개자식)과 ''타마데''(빌어먹을)와 같은 욕설은 독자들을 선동하는 데 흔히 사용되었다. 최상급 표현과 느낌표 또한 감정적인 격렬함을 더했다.[163] 예를 들어, 마오는 종종 "우리 마음속에서 가장 붉고 붉은 태양"으로 묘사되었다.[194] 적들은 대개 "가장 숨겨진 위험", "최악의 잠재적 재앙", "가장 흉악한 반혁명 수정주의자"로 비난받았다.[195]
대자보는 마오를 찬양하고, 작성자의 무조건적인 충성과 지지를 맹세하며, 계급의 적에 대한 증오를 다시금 표명하는 구호로 끝맺었다.[196] 예를 들어, 한 홍위병 단체는 "마오 주석과 프롤레타리아 본부를 지키기 위해 죽을 때까지 싸우겠다"고 맹세했다.[197]
녜위안쯔 등은 대자보에 실명을 서명했지만, 대부분의 작성자는 소속 기관, 부서, 홍위병 단체 또는 혁명 부대의 이름만 서명했다.[198] "충성심 붉은 용기" 또는 "혁명 대중"과 같이 혁명적 의미를 담은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167] 제대로 된 서명이 없으면, 작성자는 자신이 쓴 내용에 대해 책임을 질 필요가 없었다.[162]
3. 1. 시작
대자보는 대개 마오쩌둥과 현 정권을 칭송하고 문화 대혁명의 성공과 정당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163] 거의 모든 포스터는 처음에 마오쩌둥의 어록을 인용했는데, 이는 이후의 비난의 기초가 되는 일반적인 도덕적 원칙을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164] 이는 정치와 무관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불만을 해결하려는 내용에 대한 정치적 위장을 제공했다.[164] 또한 마오쩌둥의 사상과 정신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165] 가장 흔히 사용된 어록 중 하나는 "혁명은 죄가 아니며, 반항은 정당하다"였다.[166]3. 2. 대상 지목
대자보는 고발 대상의 이름과 그들의 죄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대자보는 대상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공격했다. 때때로 대상을 굴욕 주기 위해, 이름을 의도적으로 거꾸로 쓰거나 강한 부정적 의미를 가진 동음이의 글자로 대체하기도 했다.[167] 계급의 적을 묘사할 때, 우귀사신(소 귀신과 뱀 귀신), ''구자이''(개 자식/하인의 사생아), ''요마 귀괴''(괴물과 악마, 유령과 도깨비), ''소파충''(작은 파충류), ''주구''(걸어 다니는 개/하인), ''사묘 랑구''(죽은 고양이와 썩은 개) 등의 동물 비유를 사용하여 그들을 더욱 비하했다.[168] 이러한 표현들은 계급의 적을 비인간화하고, 이후의 비난과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했다.[169] 대부분의 대상은 5대 흑색분자(지주, 부농, 반혁명 분자, 불량배, 우파)에 속했다. 그러나 특히 후자 세 범주는 모호하게 정의되어 더 광범위한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었다.[168]자신의 가족, 친구, 가까운 동료를 대자보를 통해 비난하여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증명하고 스스로를 구제하는 행위가 흔했다.[170] 이러한 행위는 널리 장려되었는데, 이는 이러한 작가들이 대상의 "진정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67년 장칭의 사주를 받아 류타오와 류윈전은 아버지 류사오치를 비판하는 대자보를 내걸었다.[171] 사람들은 또한 대자보를 통해 자신을 비판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했다.[172]
국가 관리들을 겨냥한 대자보는 당 중앙위원회의 면밀한 감시와 통제를 받았다. 예를 들어, 1971년에는 프롤레타리아는 린뱌오 문제에 대해 서로 논의할 수 있지만, 대자보를 게시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되었다.[173]
3. 3. 고발 정당화
대자보는 대상의 습관, 행동, 과거 발언 등을 근거로 비난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어머니를 위해 높은 수준의 장례를 치르는 것은 봉건주의자로,[175] 개인 재산을 소유하거나 평균보다 나은 삶을 사는 것은 평등주의 위반으로 간주되어 부르주아로 비판받았다.[176] 또한, 중립적인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로 대체하여 비방 효과를 높였다. 예를 들어 "합류하다" 대신 "몰래 하다", "다른 관점" 대신 "이단"과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178]대자보는 대상의 동기를 왜곡, 과장, 조작하여 비난하기도 했다.[180] 과거의 캠페인에서는 개인의 성관계는 대자보에서 논의되지 않았으나,[182] 문화 대혁명 동안에는 "불법적인 성관계", "도덕적 타락"과 같은 내용이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데 사용되었다.[184][186]
이러한 모든 비난은 "개과천선하지 않는 자본주의 길을 걷는 자", "숨겨진 스파이와 배신자", "반혁명가", "음모가", "수정주의자" 등과 같은 더 큰 반당 또는 반마오쩌둥 범죄와 연결되었다.[187]
3. 4. 적에 대한 투쟁 촉구
대자보가 일단 피고를 유죄로 판결하면, 대상에 대한 폭력적인 투쟁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작성자는 종종 "적들을 산산조각 내고", "그들의 몸을 밟아 천 길 아래로 떨어뜨려 그들이 평생 다시는 일어설 수 없도록 하겠다"고 맹세했다.[188] 1967년 베이징의 홍위병은 덩샤오핑에 대해 "정말로 칼 수천 개로 베어 불태우고 기름에 튀겨야 한다"고 썼다.[189] 홍위병은 스스로를 "마오를 보호하는 투사로서, 펜을 칼과 소총처럼 휘두르는 자"라고 묘사했다.[190]1967년, 베이징 공장 노동자들은 모든 증오를 "가장 집중된 총알과 가장 뜨거운 불꽃으로 응축하여, 펑전이 이끌고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이 지원하는 반혁명 수정주의 분파에 쏘아 재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191] 그들은 아마도 1957년에 이미 대자보를 "소총, 권총, 기관총과 같은 소형 무기"라고 묘사한 마오 자신에게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192] 이러한 폭력적인 말들은 종종 실제 폭력으로 이어졌다. 대자보에서 한 번 비난을 받으면, 그 사람은 가택 수색과 강도질까지 당했다.[176] 톈진의 한 중학교 학생들은 대자보를 선생님의 등에 못 박기도 했다.[193]
''훈단''(개자식)과 ''타마데''(빌어먹을)와 같은 욕설은 독자들을 선동하는 데 흔히 사용되었다. 최상급 표현과 느낌표 또한 감정적인 격렬함을 더했다.[163] 예를 들어, 마오는 종종 "우리 마음속에서 가장 붉고 붉은 태양"으로 묘사되었다.[194] 적들은 대개 "가장 숨겨진 위험", "최악의 잠재적 재앙", "가장 흉악한 반혁명 수정주의자"로 비난받았다.[195]
3. 5. 결말
대자보는 마오를 찬양하고, 작성자의 무조건적인 충성과 지지를 맹세하며, 계급의 적에 대한 증오를 다시금 표명하는 구호로 끝맺었다.[196] 예를 들어, 한 홍위병 단체는 "마오 주석과 프롤레타리아 본부를 지키기 위해 죽을 때까지 싸우겠다"고 맹세했다.[197]녜위안쯔 등은 대자보에 실명을 서명했지만, 대부분의 작성자는 소속 기관, 부서, 홍위병 단체 또는 혁명 부대의 이름만 서명했다.[198] "충성심 붉은 용기" 또는 "혁명 대중"과 같이 혁명적 의미를 담은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167] 제대로 된 서명이 없으면, 작성자는 자신이 쓴 내용에 대해 책임을 질 필요가 없었다.[162]
4. 대자보의 기능
대자보는 마오쩌둥의 정치 투쟁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었다.[199] 정보 제공, 공론장 형성, 정치 참여 확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200][202][162] 마오쩌둥이 대자보의 작성과 읽기를 혁명적 활동으로 규정하자, 사람들은 대자보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176]
대자보는 정치 투쟁뿐만 아니라, 공장 관리 비판 등 다양한 사회 문제 제기에도 활용되었다.[205][206] 대자보를 읽고 쓰는 행위는 여러 세대의 중국인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207] 일부 학자들은 대자보가 중국인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빼앗았다고 주장한다.[208]
5. 대자보의 문체
대자보는 일반적으로 가로 세로 3피트 x 8피트 크기이며, 각 글자는 보통 3인치 x 4인치였다. 대부분 흰색 또는 빨간색 배경에 검은색 또는 빨간색 잉크로 손으로 쓰였다.[56] 대량 생산되는 현대의 선전 포스터와는 달리, 모든 대자보는 독특한 필체로 작성되었지만, 그 내용은 잡지나 저널에 다시 게재되거나 라디오로 방송될 수 있었다. 손으로 쓴 글씨는 포스터에 생생한 힘과 긴박감을 더할 뿐만 아니라, 대자보를 마오쩌둥을 비롯한 사람들이 수련한 존경받는 서예 예술과 연결시킨다.[209] 많은 사람들이 마오쩌둥의 서예를 모방했는데, 이는 그들의 포스터 상단에 쓰이곤 했다.[210]
6. 대자보의 물질성
대자보는 근대성의 산물이며, 대량의 종이 소비는 근대에 종이 생산 기술이 발전한 후에야 가능해졌다.[211]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대자보 작성에는 매달 최대 30만 장의 대형 종이가 사용될 수 있었는데, 이는 일반적인 월별 소비량의 3배가 넘는 양이었다. 대자보를 붙이는 풀은 매일 1,100 파운드 이상의 밀가루를 소비했다.[212] 과도한 작성으로 인해 때때로 공급 부족이 발생하자,[213] 사람들은 낡은 신문, 스크래치 용지, 진흙, 심지어 말똥까지 사용했다.[214] 벽 공간이 부족해지자 사람들은 밧줄이나 끈에 포스터를 걸었다.[214]
대자보는 영구적인 용도로 제작되지 않았다. 중앙위원회는 특정 포스터를 가리거나 철거하도록 지시할 수 있었고, 포스터는 또한 대립하는 파벌에 의해 자주 찢겨져 거리가 찢어진 종이로 가득 찼다.[114] 일부 베이징 주민들은 폐지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216]
7. 대자보와 젠더
문화 대혁명 당시, 절대적 평등주의의 수사에 영감을 받은 젊은 여성들은 남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하겠다고 맹세하며, 어떤 형태의 성적인 신체적 약함도 부정함으로써 강인하고, 두려움 없고, 끈기 있는 자신의 이미지를 투영하려 했다.[218] 이러한 여학생들은 종종 남학생들보다 더 공격적이고 급진적이었다. 그들은 종종 남성성과 강인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욕설을 더 많이 사용하며 혁명 정신을 과시했다.[219]
1966년 6월 18일, 베이징 대학에서 열린 공개 비판 행사에서, 무선 통신학과 남학생이 여성 간부 1명과 여학생 2명을 성적으로 공격했고, 이후 처벌을 받았다.[220] 대자보에서 한 여학생은 그 범죄를 계급 증오의 발현이자 혁명적 행위로 정당화하려 했으며, "더 해봐!"라고 외쳤다.[221]
8. 다른 국가에서의 대자보
8. 1. 알바니아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에서도 문화 혁명의 영향으로 대자보가 등장했다.[222][223] 1967년 공산 알바니아에서 중국으로부터 대자보를 수입하였다.[222] 알바니아어로 ''fletërrufe''라고 불린 이것은 알바니아 노동당이 공산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동시에 당의 노선에서 벗어나는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굴욕을 주기 위해 사용되었다.[222][223]9. 한국에서의 대자보
9. 1. 민주화 운동 시기
9. 2. 현대의 대자보
9. 3.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참조
[1]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
간행물
The Turn to the Self: From 'Big Character Posters' to YouTube Videos1
https://eprints.qut.[...]
[3]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Copenhagen
[4]
간행물
Big Changes, Big Characters: Public Development Discourse in Yunnan, China
[5]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6]
서적
The Making of the Republican Citizen : Political Ceremonies and Symbols in China, 1911-1929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Student Protests in Twentieth-Century China : the View from Shanghai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Visualizing the Modern Chinese Party-State: From Political Education to Propaganda Agitation in the Early Republican Period
[9]
간행물
Visualizing the Modern Chinese Party-State: From Political Education to Propaganda Agitation in the Early Republican Period
[10]
서적
Voices of the Red Giant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1]
서적
Popular Media in China: Shaping New Cultural Patterns
East-West Center, University of Hawaii
[12]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3]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4]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5]
서적
Mao Zedong ji bu juan. Bei juan : Mao Zedong zhu zuo nian biao = Supplements to Collected writings of Mao Zedong Shohan
Sōsōshe
[16]
웹사이트
在最高国务会议上的讲话
https://www.marxists[...]
[17]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18]
서적
Rethinking Mao : Explorations in Mao Zedong's Thought
Lexington Books
[19]
서적
A Social History of Maoist China : Conflict and Change, 1949-1976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A Social History of Maoist China : Conflict and Change, 1949-1976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2]
웹사이트
THINGS ARE BEGINNING TO CHANGE
https://www.marxists[...]
2024-02-11
[23]
뉴스
北京大学民主墙
1957-05-26
[24]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5]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6]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27]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8]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9]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30]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31]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32]
뉴스
Guangming Daily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33]
서적
Eight Outcasts Social and Political Marginalization in China Under Ma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Rethinking Mao : Explorations in Mao Zedong's Thought
Lexington Books
[35]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36]
간행물
"The Turn to the Self: From 'Big Character Posters' to YouTube Videos1"
Chinese Journal of Communication
2009
[37]
뉴스
文汇报在一个时间内的资产阶级方向
人民日报
1957-06-14
[38]
뉴스
文汇报的资产阶级方向应当批判
人民日报
1957-07-01
[39]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Journal of Chinese Law
1990
[40]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989
[41]
서적
建国以来毛泽东文稿
https://www.marxists[...]
[42]
웹사이트
1957年夏季的形势
https://www.marxists[...]
[43]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44]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45]
서적
Selected Readings from the Works of Mao Tsetung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67
[46]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47]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48]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Journal of Chinese Law
1990
[49]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50]
뉴스
Wenhui Daily
Wenhui Bao
1957-09-28
[51]
뉴스
Guangming Daily
Guangming Ribao
1957-09-24
[52]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53]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989
[54]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989
[55]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989
[56]
서적
Iron Fists : Branding the 20th-Century Totalitarian State
Phaidon
2008
[57]
웹사이트
介绍一个合作社(1958年4月15日)
https://www.marxists[...]
[58]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59]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0]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1]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2]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3]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4]
뉴스
滚,滚,滚,美国军队从台湾滚出去!
人民日报(People's Daily)
1958-09-08
[65]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6]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7]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8]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2001
[69]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989
[70]
서적
The unknown cultural revolution : life and change in a Chinese village
2008
[71]
서적
中国共产党组织史资料
中共党史出版社
[72]
웹사이트
The First "Big-Character Poster"
https://digital.libr[...]
[73]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75]
간행물
评《三家村》
1966-05-10
[76]
문서
宋硕、陆平、彭珮云在文化革命中究竟干些什么?
Mirror Books
[7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北京大学无产阶级文化大革命运动简介
[79]
서적
历史在这里沉思
华夏出版社
[80]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81]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82]
서적
刘少奇年谱,1898-1969
Central Literature Publishing House
[83]
서적
大动乱的年代
河南人民出版社
[84]
서적
无产阶级文化大革命资料汇编
[85]
서적
周恩来年谱, 1949-1976
Central Literature Publishing House
[86]
웹사이트
关于发表全国第一张马列主义大字报的批示 (1966年6月1日)
https://www.marxists[...]
[87]
간행물
欢呼北大的一张大字报
1966-06-02
[88]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89]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90]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91]
서적
邮电部机关文化大革命运动史料
[92]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93]
웹사이트
We just thought that this seemed to be part of the revolution, copying 'big-character posters'...
https://digital.libr[...]
[94]
서적
牛棚杂忆
中共中央党校出版社
[95]
뉴스
彻底肃清前北京市委修正主义路线的毒害
1966-06-21
[96]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97]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98]
웹사이트
重要讲话(1966年7月21日)
https://www.marxists[...]
[99]
웹사이트
在会见大区书记和中央文革小组成员的讲话(1966年7月22日)
https://www.marxists[...]
[100]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01]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102]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103]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04]
서적
Chinese Posters: Art from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105]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06]
간행물
History Writ Large: Big-Character Posters, Red Logorrhoea and the Art of Words
Portal (Sydney, N.S.W.)
[10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09]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10]
서적
刘少奇年谱,1898-1969
Central Literature Publishing House
[111]
서적
CCP Documents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1966–1967
Union Research Institute
[112]
서적
The Roles of Tatzepao in the Cultural Revolu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13]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14]
웹사이트
Big-Character Poster (大字报)
https://maoeraobject[...]
[115]
학술지
在华外国专家的文革经历
[116]
웹사이트
在中央工作会议上的讲话(1966年10月25日)
https://www.marxists[...]
[11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18]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19]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20]
학술지
关于社会主义的民主与法制
[121]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22]
서적
Mao Cult: Rhetoric and Ritual in China's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
서적
文化大革命上书集
泰德时代出版有限公司
[12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75)
http://www.e-chaupak[...]
2021-12-08
[125]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26]
서적
重庆市志
四川大学出版社
[127]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128]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2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Adopted on March 5, 1978 by the Fifth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t its First Session)
https://china.usc.ed[...]
[130]
서적
Documents of the First Session of the Fifth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oreign Language Press
[131]
서적
Mao Cult: Rhetoric and Ritual in China's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2]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33]
서적
A Collection Of Mainland Underground Publications
[134]
서적
Discos and Democracy : China in the Throes of Reform
Pantheon Books
[135]
웹사이트
Chairman Mao and life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http://projects.zo.u[...]
Project Heidelberg
2019-09-05
[136]
웹사이트
THE FIFTH MODERNIZATION
http://weijingsheng.[...]
2021-12-08
[137]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38]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39]
웹사이트
要民主还是要新的独裁
http://weijingsheng.[...]
2021-12-08
[140]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41]
간행물
Beijing Review
1979-04-06
[14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刑法 (1979年)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21-12-09
[143]
뉴스
通过建国以来法律法令效力的决议
1979-11-30
[144]
간행물
Beijing Review
1979-12-14
[145]
서적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1979: A Documentary Survey
Scholarly Resources
[146]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47]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48]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49]
논문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150]
뉴스
讲民主不能离开四项基本原则
1986-12-29
[151]
뉴스
大字报不受法律保护
1986-12-29
[152]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53]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54]
웹사이트
Extracts of Reactionary Big and Small-Character Posters and Leafle
https://maoeraobject[...]
[155]
뉴스
必须旗帜鲜明地反对动乱
1989-04-26
[156]
웹사이트
How a Chinese Activist Used Blockchain to Make a #MeToo Letter Undeletable
https://www.rfa.org/[...]
2021-12-07
[157]
서적
Living in China: A contemporary narrative
[158]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W Norton & Company
[159]
서적
Modern China: A history
Routledge
[160]
논문
History Writ Large: Big-Character Posters, Red Logorrhoea and the Art of Words
[161]
논문
History Writ Large: Big-Character Posters, Red Logorrhoea and the Art of Words
[162]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63]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64]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65]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66]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67]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68]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69]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70]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71]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172]
서적
Eight Outcasts Social and Political Marginalization in China Under Ma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3]
문서
Zhonggong zhongyang wenjian
Zhongfa
[174]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75]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76]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77]
간행물
Qinghua daxue dazibao xuanbian
1966-08-16
[178]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79]
서적
墙上春秋:大字报的兴衰
福建人民出版社
[180]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81]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82]
서적
Sex in Big-Character Posters from China's Cultural Revolution: Gendering the Class Enemy
Palgrave Macmillan UK
[183]
서적
组织工作文件选编1963年
[184]
간행물
Shehuizhuyi wenhua dageming dazibao xuanbian
Municipal Party Committee Organs
1966
[185]
서적
Sex in Big-Character Posters from China's Cultural Revolution: Gendering the Class Enemy
Palgrave Macmillan UK
[186]
서적
Liangyu
Masses Publishing House
[187]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88]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89]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90]
서적
China's Cultural Revolution, 1966-1969: Not a Dinner Party
M. E. Sharpe
[191]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92]
웹사이트
在上海各界人士会议上的讲话
https://www.marxists[...]
[193]
서적
Wenhua Dageming: Shishi Yu Yanjiu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94]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95]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96]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
서적
Highlights of Da-Zi-Ba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Mirror Books
[198]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199]
서적
Mass Persuasion in Communist China
Praeger
[200]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201]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202]
간행물
History Writ Large: Big-Character Posters, Red Logorrhoea and the Art of Words
[203]
간행물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A Historical Survey
[204]
서적
China in ten words
Anchor Books
[205]
서적
Workers and Workplaces in Revolutionary China
M.E. Sharpe
[206]
서적
Eight Outcasts Social and Political Marginalization in China Under Ma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7]
서적
The Spirit of Chinese Politics
Harvard University Press
[208]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9]
학술지
Red Aesthetics, Intermediality and the Use of Posters in Chinese Cinema after 1949
[210]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211]
간행물
Big Changes, Big Characters: Public Development Discourse in Yunnan, China
[212]
서적
Zhongguo Zhi Chun
[213]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214]
서적
Going Against the Tide: On Dissent and Big Character Posters in Chin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215]
논문
History Writ Large: Big-Character Posters, Red Logorrhoea and the Art of Words
[216]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Overacting: Dynamics Between Politics and Performance
Lexington Books
[21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18]
서적
Gender Politics and Mass Dictatorship: Global Perspectives
Palgrave Macmillan UK
[219]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20]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21]
서적
Mao's Last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22]
서적
Albania: Family, Society and Culture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23]
서적
Unsere Feinde: Konstruktionen des Anderen im Sozialismus
https://books.google[...]
Leipziger Universitätsverlag
[224]
웹사이트
大字報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25]
웹사이트
だいじほう【大字報】の意味 - 国語辞書 - goo辞書
http://dictionary.go[...]
[226]
간행물
最初の革命的大字報をはった聶元梓
https://cir.nii.ac.j[...]
社団法人中国研究所
[227]
뉴스
【今日は何の日?】1966年:毛沢東、「司令部を砲撃せよ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06-08-05
[228]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憲法(1月17日採択)
http://d-arch.ide.go[...]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アジア動向データベース)
[229]
뉴스
【今日は何の日?】1979年:「民主の壁」大字報禁止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06-12-06
[230]
뉴스
韓国・文在寅政権──モンスターになってしまったモンスターハンターたち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
2020-01-16
[231]
뉴스
이것이 中共이다 〈62〉
매일경제
1971-12-17
[232]
뉴스
오늘의 大学 〈2〉 陣痛…過程이냐 過熱이냐
동아일보
1980-05-06
[233]
뉴스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 열풍 전국 각지 확산
http://t.mt.co.kr/vi[...]
머니투데이
2013-12-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성추행 교수’ 비판 대자보 썼다 고소당한 서울여대 학생들 …경찰 ‘불송치’ 결정
“윤석열, 니가 사랑을 알아?!” 대자보 붙인 연세대 81학번 ‘재학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