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팬덤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팬덤 문화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대중음악 아이돌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1990년대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으로 아이돌 팬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대 이후에는 팬클럽의 증가와 함께 청소년 문화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K팝 팬덤은 소셜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팬들은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적극적으로 팬슈머 활동에 참여한다. 이러한 팬덤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사회 및 정치적 활동에도 참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인숭배 - 주체사상
주체사상은 자주, 자립, 자위를 핵심 원칙으로 하는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북한식 해석으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이어지며 김씨 일가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념적 성격과 적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와 비판이 존재한다. - 개인숭배 - 트럼프주의
트럼프주의는 도널드 트럼프의 포퓰리즘 정치 운동으로, 민족주의적 해결책, 반이민, 외국인 혐오, 토착주의, 인종차별적 공격 등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 정치 질서에 대한 불신과 소외된 백인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기반으로 한다. - 대한민국의 문화 - 한류월드
한류월드는 경기도 고양시 장항동 일대에 조성될 계획인 대규모 한류 콘텐츠 복합단지이지만, 명칭 변경과 사업 지연으로 K팝 공연장, 상업시설 등 일부 시설 건설에만 진척을 보이며, 자금 조달 문제 등으로 대부분의 초기 계획이 실현되지 못하고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문화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의 팬덤 문화 | |
---|---|
개요 | |
유형 | 스타 팬덤 스포츠 팬덤 정치 팬덤 |
주요 특징 | 조직화 정보 공유 친목 도모 사회적 영향력 행사 |
역사 | |
형성 배경 | 1980년대: 대중문화 성장 및 팬클럽 등장 1990년대: 아이돌 그룹 팬덤 본격화 (H.O.T., 젝스키스 등) 2000년대 이후: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발전으로 팬덤 활동 영역 확장 |
스타 팬덤 | |
특징 | 앨범 구매 콘서트 참여 팬클럽 활동 스타 이미지 관리 및 홍보 |
긍정적 영향 | 스타의 성장 및 활동 지원 팬덤 문화 형성 사회 기여 활동 (기부, 봉사 등) |
부정적 영향 | 사생팬 문제 지나친 경쟁 및 팬덤 간 갈등 스타 사생활 침해 |
스포츠 팬덤 | |
특징 | 경기 응원 선수 및 팀 지지 관련 상품 구매 팬 커뮤니티 활동 |
긍정적 영향 | 스포츠 산업 발전 기여 선수 동기 부여 지역 사회 연대감 강화 |
부정적 영향 | 과도한 경쟁 의식 폭력 사태 발생 가능성 선수 사생활 침해 |
정치 팬덤 | |
특징 | 정치인 지지 정치적 의견 공유 및 홍보 선거 운동 참여 정치 후원 활동 |
긍정적 영향 | 정치 참여 확대 정치적 관심 증가 정책 홍보 효과 |
부정적 영향 | 극단적 지지 및 비방 허위 정보 유포 정치적 양극화 심화 |
팬덤 문화의 변화 | |
온라인 팬덤 | 인터넷 커뮤니티, 소셜 미디어 활용 증가 정보 공유 및 소통 활발 글로벌 팬덤 형성 |
팬덤 경제 | 팬덤 활동 관련 상품 및 서비스 시장 확대 스타 마케팅 활용 팬덤 자체 생산 콘텐츠 증가 |
사회적 역할 강화 | 사회 문제 참여 및 기부 활동 증가 긍정적 이미지 구축 노력 팬덤 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 |
2. 한국 팬덤의 역사
팬덤 문화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특정 연예인이나 장르를 선택하고 모여 특정 '수용' 문화를 만드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K팝 아이돌은 순수하게 행동하고 보이도록 강요받았다. 문신, 남성 아이돌의 귀걸이, 노출이 심한 춤 스타일은 금지되었다. 이러한 아이돌의 이미지는 한국 청소년이 즐기기에 충분히 현대적이었고, 어른들의 지지를 받기에 충분히 보수적이었다.[5]
방탄소년단은 K팝 음악이 서구권에서 주류가 되도록 길을 닦았고, 전 세계 각지에서 한국 팬 문화를 홍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8] 그러나 이보다 앞서 1959년 김씨스터즈는 미국에서 명성을 얻은 최초의 한국 출신 그룹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김씨스터즈를 오늘날 K팝의 기반을 다진 음악의 최초 소개로 여긴다.[9]
2. 1. 1970년대: 팬덤의 태동
한국 팝 아이돌의 팬덤 문화는 1970년대 남진과 나훈아 등의 가수들로부터 시작되었다.[40] 1980년 조용필이 대중 앞에 등장하면서 여성 팬 문화가 시작되었다.[40]2. 2. 1980년대: 팬덤 문화의 성장
한국 팝 아이돌의 팬덤 문화는 1970년대 남진, 나훈아 등의 가수들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 조용필이 대중 앞에 등장하면서 여성 팬 문화가 시작되었다.[40] 팬덤은 1980년대 초에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서태지가 10대 아이돌로 등장하면서 1990년대까지 급속도로 성장했다.2. 3. 1990년대: 아이돌 팬덤의 폭발적 증가
한국 팝 아이돌의 팬덤 문화는 1970년대 남진과 나훈아 등의 가수들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 조용필이 대중 앞에 등장하면서 여성 팬 문화가 시작되었다.[40] 서태지가 10대 아이돌로 등장하면서 1990년대에 팬덤은 급속도로 성장했다. 1990년대 후반 서태지와 아이들의 은퇴 이후, 여성 팬들은 언론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냈으며, 아이돌 스타를 따라다니거나, 지켜보거나, 흠모하는 데 일상생활을 바치는 10대 소녀들로 묘사되었다.[3]"서태지와 아이들"을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아이돌" 팬덤은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그 영향력을 꾸준히 확장해 왔다. 과거에는 아이돌 팬덤 문화를 "걸 문화" 또는 "십대 문화"라고 불리며 주로 십대 소녀들을 위한 미성숙한 문화로 여겨졌다.[7]
2. 4. 2000년대 이후: 팬덤 문화의 성숙과 다변화
2000년경에는 많은 팬클럽이 등장했고, 한국의 청소년 문화는 학문적 연구 대상이 되었다.[4] 많은 전통적인 한국인들은 열성적인 팬덤을 좋지 않게 여겼고, 이 주제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4]초창기 팬덤은 소수의 열광적인 사람들을 포함하는 팬 문화로 강하게 인식되었지만, 최근에는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에 힘입어 포털 사이트에서 스타의 이름이나 관련 검색어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6]
수많은 사이버 팬덤 중에서 특히 대한민국의 "아이돌" 팬덤은 "서태지와 아이들"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그 영향력을 꾸준히 확장해 왔다. 과거에는 아이돌 팬덤 문화를 "걸 문화" 또는 "십대 문화"라고 불리며 주로 십대 소녀들을 위한 미성숙한 문화로 여겨졌지만, 최근 3세대 아이돌 팬덤은 남성, 40대 이상으로 확대되어 전 세대의 문화 소비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7]
2008년부터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와 같은 그룹들이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팬들은 트위터와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그룹에 대한 헌신을 표현하며, 서로 상호 작용하고 새로운 음악을 홍보하는 디지털 공간을 개발함으로써 대한민국의 팬 문화에 참여했다.[10]
3. K팝 팬덤의 특징
한국 팝 아이돌의 팬덤 문화는 1970년대 남진과 나훈아 등의 가수들로부터 시작되었으며, 1980년 조용필의 등장과 함께 여성 팬 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40] 1990년대 서태지의 등장으로 팬덤은 급속도로 성장했다.[3] 1990년대 후반, 아이돌 스타를 따라다니는 10대 소녀들의 모습이 언론에 자주 등장했다.[3]
2000년대에는 많은 팬클럽이 등장했고, 한국의 청소년 문화는 학문적 연구 대상이 되었다.[4] 초기에는 팬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있었으나,[4]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6] 과거에는 아이돌에게 순수한 이미지가 강요되었지만,[5] 현대에는 팬덤이 전 세대로 확대되어 문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7]
김씨스터즈는 1959년 미국에서 명성을 얻은 최초의 한국 출신 그룹으로, 오늘날 K팝의 기반을 다진 것으로 평가받는다.[9] 2008년부터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와 같은 그룹들이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며 K팝 시대가 본격화되었다.[10] 팬들은 트위터,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그룹에 대한 헌신을 표현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며 K팝 팬 문화를 발전시켰다.[10]
한류는 2010년대 초반부터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대한민국 경제에 큰 역할을 했다.[2] 특히 2011년과 2012년 사이에는 한류 관련 정부 예산이 250% 이상 증가했다.[14]
3. 1. 팬과 아이돌의 관계
한국 팝 아이돌은 팬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도록 훈련받으며, 이러한 관계는 준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이어진다.[12] 팬과 아이돌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K팝 팬 문화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13] 아이돌은 소비 및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대상, 즉 가족 구성원이나 친구와 같은 "준사회적 친족"이 되며, 이는 팬들이 가족 구성원을 대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정의된다.[13]2015년, 네이버는 V LIVE라는 스트리밍 웹사이트/앱을 만들었다. 이는 대한민국 아이돌이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은 국제적인 앱 외에도 라이브 비디오 또는 음성 녹음을 스트리밍하며 팬들의 댓글에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구권 아이돌과 차별화되는 지점이었다. 2022년, V LIVE는 위버스와 합병되었으며, 위버스는 아이돌이 전 세계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하고 팬들과 상호작용하며 상품을 홍보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16]
몬스타엑스와 같이 널리 알려진 아이돌들은 "하이 터치" 행사에 참여한다. "하이 터치"는 팬들이 아이돌을 직접 만나 하이파이브를 하고 짧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로, 콘서트 전후에 아이돌을 배웅할 때 제공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대면 콘서트가 불가능해지자, 많은 K팝 그룹이 온라인 콘서트를 개최하여 팬들과 소통을 이어갔다. KCON과 같은 K팝 컨벤션은 온라인으로 개최되어 아이돌과 팬들이 상호작용하고, 팬들은 콘테스트를 통해 공연자 뒤에 자신의 사진을 스트리밍할 기회를 얻는 등 한국 팬 문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했다.
K팝 팬들은 아이돌과 독점적인 콘텐츠를 통해 상호작용할 기회를 가지며, 이는 양측 모두에게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3. 2. 팬슈머 (Fansumer)
팬슈머(Fansumer)는 팬(fan)과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로, 상품이나 연예인의 생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팬슈머 활동의 원동력은 '내가 만들었다'는 자부심, 즉 '바이 미 신드롬(Byme Syndrome)'이다.[19]K팝 아이돌은 준사회적 관계를 통해 팬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다.[12] 2015년 네이버는 V LIVE라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고, 2022년에는 위버스와 합병하여 아이돌과 팬 간의 소통을 더욱 강화했다.[16]
3. 2. 1. 팬슈머 활동
"팬슈머"는 "팬(fan)"과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이다. 이는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의미하며, 다시 말해 생산적인 소비자를 뜻한다.[17] 기존의 팬덤으로 분류되던 팬층은, 단순한 일방적인 애정과 구매를 넘어 제품이나 연예인을 위한 기획, 투자, 검토 등 전반적인 생산 및 제작 과정에 참여하며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매우 적극적인 팬으로 변모했다.[17]팬덤 | 팬슈머 | |
---|---|---|
대상 | 연예인, 브랜드 | 기업 제품, 브랜드, 인플루언서 |
관계 | 동경 | 상호 보완 및 검토 |
역할 | 지지자 | 파트너 |
핵심 가치 | 지원 | 참여 |
파급 효과 | 브랜드 파워 증대 | 제조 시스템 프로세스 변화 |
팬슈머의 활동 영역은 매우 넓다. 스타트업 아이디어 상품에 투자하고, 기업 제품 개발에 참여하며, 지지자로서 마케팅 활동에 참여하고, 심지어 데뷔 전 연예인을 육성하는 것은 물론,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를 지지하거나 비판하기도 한다. 이러한 팬슈머 활동의 원동력은 '내가 만들었다'는 자부심이다. 이는 '바이 미 신드롬(Byme Syndrome)'이라고 불리며, 내가 만들어 참여한다는 것의 효능을 의미한다.[19]
3. 2. 2. 팬슈머 활동의 영향
준사회적 관계는 연예인이 보여주는 미디어 페르소나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일방적인 관계로, 팬들이 친밀한 관계나 우정의 환상을 갖게 한다.[11] K팝 아이돌은 일반적으로 팬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형성하도록 훈련받으며, 이러한 긴밀한 관계는 준사회적 관계로 이어진다. K팝 아이돌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12] 이러한 아이돌과 팬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K팝 팬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다.2015년, 대한민국 아이돌은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은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네이버가 V LIVE라는 스트리밍 웹사이트/앱을 만들면서 서구권의 많은 아이돌들과 차별화되었다. 2022년 현재, V LIVE는 위버스라는 또 다른 소통 플랫폼과 합병되었으며, 위버스는 아이돌이 전 세계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하고, 전 세계 팬들과 상호 작용하며, 상품을 홍보할 수 있는 회사이다.[16]
"팬슈머"는 "팬(fan)"과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이다. 이는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의미하며, 다시 말해 생산적인 소비자를 뜻한다. 기존의 팬덤으로 분류되던 팬층은, 단순한 일방적인 애정과 구매를 넘어 제품이나 연예인을 위한 기획, 투자, 검토 등 전반적인 생산 및 제작 과정에 참여하며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매우 적극적인 팬으로 변모했다.[17]
팬덤 | 팬슈머 | |
---|---|---|
대상 | 연예인, 브랜드 | 기업 제품, 브랜드, 인플루언서 |
관계 | 동경 | 상호 보완 및 검토 |
역할 | 지지자 | 파트너 |
핵심 가치 | 지원 | 참여 |
파급 효과 | 브랜드 파워 증대 | 제조 시스템 프로세스 변화 |
팬슈머의 활동 영역은 매우 넓다. 스타트업 아이디어 상품에 투자하고, 기업 제품 개발에 참여하며, 지지자로서 마케팅 활동에 참여하고, 심지어 데뷔 전 연예인을 육성하는 것은 물론,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를 지지하거나 비판하기도 한다. 이러한 팬슈머 활동의 원동력은 '내가 만들었다'는 자부심이며, 이는 '바이 미 신드롬(Byme Syndrome)'이라고 불린다.[19]
3. 3. 글로벌 팬덤
한류는 2010년대 초반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으며, 특히 2011년과 2012년 사이에는 관련 정부 예산이 250% 이상 증가했다.[14] 이는 대한민국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의 정체성을 세계와 상업적으로 경쟁하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홍보하는 수단이 되었다.[2]K팝의 많은 팬덤은 대한민국 외부에 존재하며, 이는 한류 2.0 현상의 일부이다. 한류 2.0은 한류가 서구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팬과 K팝 소비자들이 소셜 미디어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26] 트위터와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팬들은 그룹에 대한 헌신을 표현하고 서로 상호 작용하며 새로운 음악을 홍보하는 디지털 공간을 개발했다.[10] 지리적 장벽으로 인해, 글로벌 팬덤에 속한 팬들은 K팝을 소비하고, 다른 팬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댄스 커버 영상, 팬픽션, K팝 제품 구매를 위한 공동 구매 등 팬 활동과 제품을 조직하고 배포하는 플랫폼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다.[26] K팝 팬 사이트와 같은 소셜 미디어 기술은 해외 팬들이 K팝 아이돌과 깊은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돕는다.[27]
K팝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는 인스타그램, 트위터, 텀블러와 같은 다양한 공간에서 등장했다. 이러한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 대다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가 팬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28]
일본 팬들은 "능동적 청중"으로 묘사되어 왔다. 능동적 청중은 종종 콘서트에 참석하고, 정보를 수집하며, 편지와 악수 연습을 통해 아이돌과 상호 작용할 방법을 찾으려고 하는 팬으로 정의될 수 있다.[30] 필리핀에서는 팬들이 필리핀 K팝 컨벤션(Philippine Kpop Convention, Inc., PKCI)에 참석하여 K팝과 한국 문화를 정치적으로 홍보하는 활동에 참여한다.[31] 유럽에서는 K팝 아이돌이 젊은 팬들이 한국어와 문화를 배우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그 결과, 유튜브와 같은 주요 미디어와 학술 기관들이 한국 문화를 확산시키기 시작했다.[32]
3. 3. 1. K팝 팬덤과 소프트 파워
한류 현상과 K팝 아이돌, 팬들 간의 강력한 연결은 소프트 파워를 발전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소프트 파워는 매력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선호도를 형성하는 능력이다.[33] K팝 아이돌은 전 세계 팬들이 한국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하여, 한국이 국제 무역에서 신뢰와 선호도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치적, 경제적 강점으로 변화하는 데 기여한다.[34] 한류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 후, 정부는 한국 대중문화 성장에 기여한 열성적인 팬들의 역할을 인정했다.[35]4. 팬덤의 사회/정치적 참여
팬덤 문화는 특정 연예인이나 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형성하는 문화를 말한다. 한국 팝 아이돌 팬덤 문화는 1970년대 남진, 나훈아 등의 가수로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 조용필의 등장과 함께 여성 팬 문화로 발전했다.[40] 1990년대 서태지의 등장으로 팬덤은 급격히 성장했다.[3]
2000년대에는 많은 팬클럽이 등장하며 청소년 문화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지만, 초기에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4] 과거에는 아이돌에게 순수한 이미지가 요구되었지만,[5] 최근에는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팬덤 문화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6] 서태지와 아이들을 시작으로 한 아이돌 팬덤은 10대 소녀 중심의 "걸 문화"에서 벗어나, 전 세대로 확대되며 문화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7] 2008년부터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등의 그룹은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고, 팬들은 트위터, 유튜브 등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팬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10]
K팝 팬덤은 점차 사회, 정치적 영역으로도 확장되고 있다.
4. 1. 정치적 참여와 행동주의
대한민국에서 K팝 팬들은 팬덤을 통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여 정치에 참여해 왔다. 2016년 말부터 2017년 초까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촛불 집회"가 촉발되었다. 일부 K팝 팬들은 촛불 대신 응원봉을 가져갔고, 시위대 사이에서 구호를 선창하도록 지시했으며, 행사에서 다른 시위자들을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6]해외 K팝 팬들 또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치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K팝 팬들과 십대 틱톡 사용자들은 무료 티켓을 예약한 후 참석하지 않는 방식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유세 행사를 방해하기 위해 협력했다.[37] 트럼프 캠페인은 백만 개 이상의 티켓 예약을 얻은 것으로 보였지만, 행사 당일에는 약 6,200장의 티켓만 스캔되었고, 19,000석 규모의 행사장의 나머지 좌석은 비어 있었다.[37]
미국 내 K팝 팬들은 Black Lives Matter 운동을 지지하며, 팬캠(콘서트 등에서 촬영한 K팝 아이돌의 짧은 영상)을 활용해 백인 우월주의 해시태그를 무력화시키기도 했다.[38] 또한 시위의 "불법 행위" 영상을 제출하도록 권장한 경찰서 앱에 팬캠을 도배하고 리뷰 폭탄을 투하하여 앱을 마비시키기도 했다.[39]
5. 팬덤 현상의 양면성
팬덤 문화는 특정 연예인이나 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형성하는 독특한 '수용' 문화를 말한다. 한국 팝 아이돌 팬덤은 1970년대 남진, 나훈아 등의 가수로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 조용필을 통해 여성 팬 문화가 본격화되었다.[40] 1990년대 서태지의 등장으로 팬덤은 급성장했으며,[3] 2000년대에는 많은 팬클럽이 등장하면서 청소년 문화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4]
초기에는 팬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으나,[4]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인식이 변화하였다.[6] 과거에는 아이돌 팬덤이 10대 소녀 중심의 미성숙한 문화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전 세대로 확장되어 문화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7]
김씨스터즈는 1959년 미국에서 명성을 얻은 최초의 한국 출신 그룹으로, 오늘날 K팝의 기반을 다진 것으로 평가받는다.[9] 2008년부터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등의 그룹이 국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팬들은 트위터,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팬덤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10]
하지만, 팬덤 문화에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5. 1. 긍정적 측면
팬덤 구성원들은 숭배하는 대상에 대한 열정을 쫓는 과정에서 자기 계발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과 같은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공부하거나, 아이돌의 해외 활동을 따라가기 위해 외국어를 배우거나, 아이돌의 사진을 편집하기 위해 이미지 처리 기술을 배우는 식이다.[40] 팬덤은 또한 다른 관심사로 이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이돌 그룹 JYJ의 팬들은 김준수의 뮤지컬 출연으로 인해 뮤지컬을 좋아하게 된다.[40]한국 팬 문화는 팬들의 정신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팬들은 온라인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여 특정 그룹이나 아이돌에 대한 동일한 관심을 가진 다른 팬들과 교류하고 팬덤 밖에서도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팬들이 서로의 외모를 수용하도록 격려하면서 한국 팬 문화에 참여함으로써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41]
5. 2. 부정적 측면
한국 팝 아이돌의 팬덤 문화는 1970년대 남진과 나훈아 등의 가수들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조용필이 대중 앞에 등장하면서 여성 팬 문화가 시작되었다.[40] 1990년대 후반 서태지와 아이들의 은퇴 이후, 아이돌 스타를 따라다니는 10대 소녀들의 모습이 언론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3] 2000년대에는 많은 팬클럽이 등장했고, 청소년 문화는 학문적 연구 대상이 되었으나, 열성적인 팬덤은 종종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4]최근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팬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지만,[6] 여전히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문제점은 스토커 팬[42], 일명 사생 팬이다. 이들은 공인에게 과도하게 집착하여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동을 일삼는다.[43] 예를 들어, 무대 스태프나 매니저로 위장하거나, 기자를 사칭하여 연예인에게 접근을 시도한다.[44] 또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아이돌의 위치를 추적하기도 한다.[44]
사생팬들은 좋아하는 아이돌과의 친밀감을 얻기 위해 극단적인 행동을 하며, 이는 K팝 팬덤 내에서 가상 사회 관계의 결과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44] 소셜 미디어에 사생팬들이 존재하면서 K팝 팬덤 전체가 사생팬과 같은 스토커 행동을 보인다는 오해와 함께 K팝 팬들에 대한 선입견이 생겨났다.[44]
6. 애니메이션 팬덤
서울 코믹월드는 대규모 애니메이션 팬덤 축제이며, 세계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컨벤션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일부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의 코스프레(의상 착용)를 하여 대중에게 선보인다. 아마추어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으며, 참가자들은 성우 및 작가들과 만날 수 있다.[45] 한국 애니메이션 팬덤의 상당 부분은 일본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팬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45]
7. 팬 상품 (Memorabilia)
팬 상품은 팬들이 좋아하는 아이돌이나 그룹의 사진, 로고 등이 새겨진 상품이다. 팬들은 이러한 상품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좋아하는 대상을 기념하기 위해 수집한다. H.O.T., 젝스키스 등 1세대 아이돌 그룹의 기획사에서 처음 제작했으며, 당시 팬들은 그룹 상징색의 풍선, 우비 등을 구매했다.[47]
7. 1. 팬 상품 공유 및 판매
카카오톡,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대부분의 한국 팬 상품이 홍보된다.[46]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시장은 약 1조원 규모로 확장되었다. 10대들은 유행을 선도하며, 소비자뿐만 아니라 판매자 및 제작자로서도 활동한다.[46] 팬 상품은 수집품으로서의 감성적 가치와 매력 때문에 상품의 명목 가치보다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연예 기획사를 통해 제작 및 판매되는 공식 상품 외에도 팬들이 직접 많은 상품을 제작한다.[47] 팬들이 품질이 좋지 않은 공식 상품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더 나은 품질의 제품을 제작하기도 하는데, 이는 종종 더 저렴하다. 공식 상품은 상품으로서 이점이 있는 반면, 팬이 제작한 상품은 특정 밴드 멤버에 초점을 맞춘 팬 메이드 포토북과 같이 더 전문적인 취향에 부합할 수 있다. 팬이 만든 상품의 제작자와 판매자는 "홈마스터"로 알려져 있다.[47]
대한민국에서는 유명인의 사진을 허가 없이 사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불법이지만, 대부분의 연예 미디어 채널은 초상권 사용 허가를 옹호하지 않는다. 일부에서는 비공식 상품 팬덤을 규제할 수 없다고 믿는다.[48]
참조
[1]
논문
K-pop in Korea: How the Pop Music Industry Is Changing a Post-Developmental Society
https://muse.jhu.edu[...]
2014
[2]
논문
The Influences of K-Pop Fandom on the Localization of K-Pop in the Philippines - The Case Study of Philippine K-Pop Convention, Inc. -
http://www.dbpia.co.[...]
2015-09-30
[3]
서적
The impact of media reporting on the celebrity to Fandom 연예인들 팬덤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력
http://www.riss.kr/l[...]
Inha University
[4]
웹사이트
Everything about Korean fandom culture 한국 팬덤 문화에 대한 모든 것
http://www.sportswor[...]
2017-11-09
[5]
논문
The Korean Wave: Cultural Export and Implications
2014
[6]
웹사이트
김현지, 박동숙. (2004). 온라인 팬덤. 미디어, 젠더 & 문화, (2), 41-69.
http://www.dbpia.co.[...]
[7]
웹사이트
김현지, 박동숙. (2004). 온라인 팬덤. 미디어, 젠더 & 문화, (2), 41-69.
http://www.dbpia.co.[...]
[8]
웹사이트
K-pop fandom's rise in America
https://www.theshort[...]
2023-10-31
[9]
웹사이트
Ladies and Gentlemen, It's The Kim Sisters
https://daily.jstor.[...]
2023-10-31
[10]
웹사이트
KPOP Fan Spending: The Value of the Fandom Culture
https://www.delivere[...]
2023-10-31
[11]
논문
Fostering Parasocial Relationships with Celebrities on Social Media: Implications for Celebrity Endorsement
https://ink.library.[...]
2017-04
[12]
논문
Development of parasocial interaction relationships
1987-06
[13]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elebrity Studies
[14]
논문
Celebrity fan involvement and destination perceptions
2008-07
[15]
논문
K-pop in Korea: How the Pop Music Industry Is Changing a Post-Developmental Society
2014
[16]
웹사이트
Big Hit Entertainment And Naver To Combine Weverse And V LIVE Into New Platform
https://www.soompi.c[...]
2023-10-31
[17]
웹사이트
김기원(Kim Kiwon), 변정민(Byun Jungmin). (2020). 한국 대중문화산업에 나타난 '팬슈머' 현상 연구. 문화와 융합, 42(2): 57-83
http://scholar.dkyob[...]
[18]
웹사이트
김기원(Kim Kiwon), 변정민(Byun Jungmin). (2020). 한국 대중문화산업에 나타난 '팬슈머' 현상 연구. 문화와 융합, 42(2): 57-83
http://scholar.dkyob[...]
[19]
웹사이트
김기원(Kim Kiwon), 변정민(Byun Jungmin). (2020). 한국 대중문화산업에 나타난 '팬슈머' 현상 연구. 문화와 융합, 42(2): 57-83
http://scholar.dkyob[...]
[20]
웹사이트
류인하, "아이돌 팬덤문화 인기↑ 지하철 광고 문화 바꿨다"
http://news.khan.co.[...]
2020-04-07
[21]
웹사이트
한겨례, 한심해 보여? 아이돌 팬들 오늘도 '스밍 총공' 나선다
http://www.hani.co.k[...]
2018-11-27
[22]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크라우드 펀딩 [crowd funding]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23]
뉴스
펭수, 농가 돕기 펀딩으로 증명한 인기..."완판은 다 내덕"
https://www.mk.co.kr[...]
[24]
간행물
음악산업에 대한 정부개입의 한계와 필요성: 음원사재기 현상을 중심으로
2020
[25]
간행물
"한국 대중문화산업에 나타난 '팬슈머' 현상 연구."
2020
[26]
논문
The social mediascape of transnational Korean pop culture: Hallyu 2.0 as spreadable media practice
2016-08
[27]
뉴스
What Exactly is K-Pop, Anyway?
https://daily.jstor.[...]
2018-01-14
[28]
학위논문
K-Pop, Language, and Online Fandom: An Exploration of Korean Language Use and Performativity amongst International K-Pop Fans
https://www.proquest[...]
2019
[29]
논문
The Structure of the Appeal of Korean Wave Texts
https://scholar.kyob[...]
2012-09
[30]
논문
Soft Power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Japan: K-Pop Avid Fandom in Tokyo
http://lup.lub.lu.se[...]
2012
[31]
논문
The Influences of K-pop Fandom on Increasing Cultural Contact : With the Case of Philippine Kpop Convention, Inc
https://scholar.kyob[...]
2017-08
[32]
논문
The Global Impact of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Hallyu Unbound ed. by Valentina Marinescu
2015
[33]
서적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PublicAffairs
2004
[34]
학위논문
Hallyu and Soft Power: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https://www.academia[...]
[35]
서적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
[36]
간행물
"With the brightest light we have": K-pop fandom in candlelight movement and diversification of Korean protest culture 1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1
[37]
뉴스
TikTok Teens and K-Pop Stans Say They Sank Trump Rally
https://www.nytimes.[...]
2020-06-21
[38]
웹사이트
K-pop stans are using short videos called fancams to drown out racists online. This is how the movement started.
https://www.insider.[...]
2023-11-24
[39]
웹사이트
Dallas Police asked people to report illegal protest activity via an app. K-pop stans organized to spam it with fancams instead.
https://www.insider.[...]
2023-11-24
[40]
서적
The impact of media reporting on the celebrity to Fandom 연예인들 팬덤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력
http://www.riss.kr/l[...]
Inha University
[41]
논문
Positive Psychosocial Outcomes and Fanship in K-Pop Fans: A Social Identity Theory Perspective
http://journals.sage[...]
2021-10
[42]
웹사이트
Stalking Fans of Korea 한국의 사생팬
http://terms.naver.c[...]
2007-04-17
[43]
뉴스
"[ENTERTAINMENT] Fan Cults: Social Problem or Stress Reliever?"
http://koreajoongang[...]
2001-04-09
[44]
간행물
Every Breath You Take: Sasaeng Fans
https://brill.com/di[...]
Brill
2023-10-31
[45]
서적
A Study on Manhwa Animation Fandom Culture – Focusing on Seoul Comic World 한국의 애니메이션 팬 문화에 대한 고찰 – 서울 코믹콘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
The Korean journalism of animation
[46]
서적
Study on goods manufacturing activities of youth in fandom 한국의 20대의 굿즈 생산 활동에 대한 고찰
http://www.riss.kr/l[...]
Chung-Ang University
[47]
서적
Study on the Capitalization of Fandom focusing on the Commercialization of Idol Fan-made Products 아이돌 팬메이드 상품에 대한 광고성의 고찰
http://www.riss.kr/l[...]
Korea University
[48]
뉴스
Fan-Made unofficial goods 팬이 만든 직접적인 굿즈
http://news.joins.co[...]
2014-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