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갑질은 사회적 지위나 권력을 이용하여 우월한 지위에 있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 부당하게 가하는 횡포를 의미한다. 한국 사회의 갑질 문제는 개인의 도덕성 문제뿐 아니라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수직적인 한국 문화와 권력 관계에서 기인한다. 갑질은 오너형, 밀어내기형, 열정페이, 텃세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사회적 불매운동, 피해 신고 및 지원, 정부의 공정거래위원회 대책 및 법적 대응 등 다양한 사회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대한항공 회항 사건 등을 통해 한국의 갑질 문화는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롭힘 - 성희롱
성희롱은 원치 않는 성적 언동으로, 불쾌감, 굴욕감, 위협감을 주는 행위이며,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법적 개념으로 등장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성차별 및 인권 침해 문제로 인식되어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 괴롭힘 - 스토킹
스토킹은 특정 개인에게 반복적으로 원치 않는 침입과 의사소통을 가하는 행위로, 피해자에게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치며,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불법으로 간주된다. - 계급 차별 - 권력간격
권력간격은 사회 구성원들이 권력 불평등을 수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권력 격차가 높은 사회는 권위주의적이고 불평등을 당연시하는 반면, 낮은 사회는 평등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사회심리학자 호프스테더의 연구에서 처음 제시되었고 권력 간격 지수는 국가 간 문화적 차이 비교에 활용되며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회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계급 차별 - 검은 삼각형
검은 삼각형은 나치 강제 수용소의 레즈비언 표식에서 비롯되어 억압에 저항하는 상징으로 쓰이며, 치과, 공중 보건,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으로 활용된다. - 공격성 - 집단 따돌림
집단 따돌림은 특정 집단에서 구성원들이 다른 구성원에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심리적, 언어적, 신체적 폭력이나 따돌림을 가하는 행위로, 사이버불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므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필요한 문제이다. - 공격성 - 희생양
희생양은 본래 구약성서에 나오는 죄를 짊어진 염소를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잘못을 다른 대상에게 전가하여 희생시키는 현상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등이 필요하다.
갑질 | |
---|---|
갑질 | |
로마자 표기 | gapjil |
한글 표기 | 갑질 |
한자 표기 | 甲질 |
발음 | /kap̚.t͡ɕ͈il/ |
뜻 | 사회적 관계에서 우위에 있는 자가 자신의 권력을 남용하여 상대방에게 행하는 부당한 행위 |
관련 용어 | 갑을관계 |
관련 기사 | 끊이지 않는 '갑질'의 역사, 유형을 진단해 보면 - 이코노믹리뷰 |
출처 | 우리말샘 - 갑질 |
2. 원인
갑질은 개인의 도덕성 문제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한다.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송재룡 교수는 한국 사회의 '존비(尊卑)' 문화와 수직적 위계질서가 갑질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34]
2. 1. 사회 구조적 문제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송재룡 교수는 한국의 갑질 문제에 대해 단순히 갑질을 행한 개인의 도덕성 문제가 아니라, 개개인이 한국 사회의 갑과 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뿐이라고 지적했다. 즉 갑질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이며, 존비로 대변되는 한국 사회의 문화 정서적 경향이 갑질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사회의 기저에 갑의 강압적인 역할과 을의 저자세가 깔려있기 때문에 개개인은 그런 문화를 답습한다. 이는 한 관계에서 을이었던 개인이 또 다른 관계에서 갑이 됐을 때 같은 행동을 하는 이유이다.[34] 송 교수는 갑질 문제 해결 방안으로 사회적 지위나 직책 또한 다름의 일부이며, 이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고, 사회의 가장 작은 단위인 가족에서부터 이러한 인식을 키워나가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34]2. 2. 한국 사회의 특수성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송재룡 교수는 한국의 갑질 문제에 대해, 갑질을 행한 개인의 도덕성 문제라기보다는 개개인이 한국 사회의 갑과 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뿐이라고 지적했다. 즉 갑질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이며, 존비로 대변되는 한국 사회의 문화 정서적 경향이 갑질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사회의 기저에 갑의 강압적인 역할과 을의 저자세가 깔려있기 때문에 개개인은 그런 문화를 답습한다는 것이다. 이는 한 관계에서 을이었던 개인이 다른 관계에서 갑이 됐을 때 같은 행동을 하는 이유이다.[34] 송 교수는 갑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각 개인이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으로 다른 사회적 위치를 인정해야 하며, 이러한 인식을 조성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말한다.[4]3. 유형
한국의 신문사 이코노믹 리뷰에 따르면 갑질은 그 내용에 따라 명백한 유형이 존재한다.[35] 이코노믹 리뷰에서는 사장 갑질, 밀어내기식 유통 갑질, 그리고 열정페이를 대표적인 갑질 유형으로 꼽았다.[2]
- '''오너형 갑질''': 기업 소유주나 경영진 일가가 직원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는 행위이다.
- '''밀어내기형 갑질''': 주로 상품을 납품하거나 납품을 받는 기업이 소규모 사업자들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유형이다.[35]
- '''열정페이''': 취업이 어려운 시대, 일자리가 아쉬운 청년들의 입장을 악용해 기업들이 무급 또는 최저시급에도 미치지 못하는 적은 급여를 주면서 노동력을 착취하는 갑질이다.[35]
- '''텃세''': 특정 집단 내에서 기득권을 가진 자들이 신규 구성원을 배척하거나 괴롭히는 행위이다.
3. 1. 오너형 갑질
기업의 소유주나 경영진 일가가 직원들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는 행위이다. 극단적인 수직적 관계와 권위주의적 문화에 기반한다.[35]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엔씨소프트 부당해고 사건'''
엔씨소프트는 창립 시점부터 지금까지 리처드 게리엇과 엔트리브소프트 관련 직원들을 해고하고 관련 게임들을 서비스 종료시켰다. 리처드 게리엇은 이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고 승소하였다.
2015년 12월 23일 김만식 몽고식품 명예회장이 개인 운전기사 B씨에게 욕설과 폭행을 했다는 폭로가 터졌다. 운전기사 B씨는 "김회장은 기분이 나쁘거나 하면 거의 습관처럼 폭행과 욕설을 했다."라고 말했다. 몽고식품은 12월 23일에 홈페이지를 통해 사과문을 게재했고, 12월 28일에는 김만식 명예회장과 김현승 대표이사가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과 당사자에게 사과했다.
- '''대한항공 086편 회항 사건'''
2014년 12월 5일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여객기 내에서 대한항공 조현아 당시 부사장이 객실승무원의 마카다미아 제공 서비스를 문제삼아 항공기를 램프 유턴시킨 뒤 사무장을 강제로 내리게 할 것을 요구하고, 기장이 이에 따름으로써 항공편이 46분이나 지연된 사건이다. '''대한항공 이륙 지연 사건, 땅콩 리턴, 땅콩 유턴, 땅콩 회항''' 사건 등으로 불린다.
- '''대한항공 조현민 물컵 갑질 사건'''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가 광고회사 직원에게 물을 뿌린 이른바 '물컵 갑질'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외신들도 이를 관심 있게 보도하면서 이번 사건이 '국제적인 이슈'로 확산되었다. 조 전무는 2018년 3월 광고대행사 직원에게 소리를 지르고 물을 뿌렸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다. 조현민 전무의 갑질 논란이 일자 대한항공 측은 회의 중 언성이 높아졌고 물이 든 컵을 바닥으로 던질 때 물이 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직원에게 물을 뿌린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조 전무는 자신의 SNS에 어리석고 경솔한 제 행동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드린다며 그 어떠한 상황에서도 해서는 안 될 행동을 보여 할 말이 없다고 사과했으나, 욕설을 하는 녹취록이 공개되며 더 큰 난관에 봉착했다.[36]
- '''M&M 최철원 대표 노동자 폭행 사건'''
최철원은 2010년 10월 SK 본사 앞에서 시위를 해오던 탱크로리 운전기사를 자신의 사무실로 불러내 알루미늄 야구 방망이 등으로 폭행하여 전치 2주의 부상을 입혔다. 이 사실이 2010년 11월 28일에 방영된 MBC의 《시사매거진 2580》에서 보도되었는데, 특히 맞은 대가를 2만원으로 받겠다는 각서를 쓰게 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큰 비난 여론이 일었다. 이 사건의 담당 검사는 집행유예가 확정된 후에 SK 전무로 입사한다. 11월 30일 경찰에 고발된 뒤로, 경찰은 수사를 시작하면서 출국 중인 최철원에게 입국 통보를 하였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2011년 2월 8일 그에게 1년 6월 징역을 선고하였다. 항소심 재판부(재판장 양현주)는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3년, 사회봉사 120시간으로 형량을 줄여 판결하였다. “사회적 지탄을 받은 점”이 감형 이유라는 재판부의 판단은 논란을 일으켰다.
3. 2. 밀어내기형 갑질
주로 상품을 납품하거나 납품을 받는 기업이 소규모 사업자들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유형이다.[35] '밀어내기식 유통 갑질'은 대기업이 중소기업(가맹점)에 납품(또는 공급)을 압박하는 갑질의 한 유형이다.[2]2013년 5월, 남양유업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지역대리점에 물건을 밀어내기(강매)를 했다는 고발과 함께 막말 녹취록이 공개되어 사회에 물의를 일으켰다.[15] 남양유업은 최소 7년간 상품 강매와 판촉사원 임금 전가 등의 불법행위를 통해 최대 2조원이 넘는 피해를 입혔다. 그럼에도 공정위는 고작 123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데 그쳐 이 또한 논란이 되었다. 2014년 1월에는 법원에서 남양유업의 밀어내기가 모두 유죄 인정되었다.[16] 이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 사회에서 고질적인 문제라고 지적받던 갑을관계가 사회 이슈화되었고, 남양유업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17]
- 현대모비스 물량 밀어내기 사건
2017년 9월, 현대모비스는 2010년 1월~2013년 11월 국내 정비용 부품 대리점 1600여 곳에 매출 목표를 할당한 뒤 강제로 부품을 떠넘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 대리점 직원들은 본사가 제시한 목표를 맞추기 위해 ‘임의매출’, ‘협의매출’이라는 항목을 만들어 필요 없는 자동차 부품까지 떠안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모비스는 밀어내기 혐의를 인정하고 자체 시정방안을 구상하는 중이다.[37][18]
3. 3. 열정페이
열정페이는 취업이 어려운 시대, 일자리 하나가 아쉬운 청년들의 입장을 악용해 기업들이 무급 또는 최저시급에도 미치지 못하는 적은 급여를 주면서 노동력을 착취하는 갑질이다.[35]- '''이상봉 디자인실 열정페이 논란'''

2015년 1월, 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 이상봉이 운영하는 이상봉 디자인실에서 야근수당을 포함해 견습 10만원, 인턴 30만원, 정직원 110만원의 급여를 제공하고, 패션쇼를 앞둔 성수기에는 토요일 출근에 밤 10시까지 의무 야근을 지시하지만 추가 수당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지며 열정페이 논란이 확산됐다.[38] 이에 이상봉 디자이너는 SNS를 통해 "근로 환경과 처우 문제로 상처받은 패션업계 젊은이들에게 깊이 사과하고, 이번 기회에 패션업계 전반의 문제점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38],[19]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사 열정페이 논란'''

서울대학교병원 측이 2012년부터 5년간, 신임 간호사들에게 '수습교육 기간'임을 내세워 열정페이를 강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식 발령을 내리기 전, 교육 기간(24일) 동안 간호사 1212명에게 최저임금에 훨씬 못 미치는 수당(36만원)만을 지급했다고 밝혀졌다. 8시간 근무 기준 시급으로 계산하면 24일간 받은 수당 36만원은 일당 1.5만원, 시급 1800KRW꼴로 최저시급 6470KRW에 훨씬 못 미친다.[39] 이에 병원 측은 교육기간에 정식 임금을 다 줘야하는 지 몰랐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최근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기간인 3년차 미만 간호사들을 상대로 소급지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39],[21]
- '''tvN 조연출 자살 사건'''
2016년 10월 26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의 한 호텔에서 발생한 tvN 혼술남녀 조연출 이한빛 PD의 자살 사건의 원인 중에는 근무 시간 중 제대로 된 휴식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도 제기되었다. 그는 프로그램 촬영기간 중 촬영 55일에 딱 이틀 쉬었다.[40] 이한빛 조연출은 "(혼술남녀) 촬영에 들어간 후 새벽에 들어와 2시간 뒤에 다시 출근[41]"했다. 또한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모욕과 과도한 노동에 시달렸다[42]"는 진술도 있었다.
당초 신입 PD 조연출은 4명이 있는데 2명씩 2교대로 근무했다.[40] 그런데 계약직 직원들을 해고한 뒤에도 혼자, 소수의 인원이서 나머지 분량을 촬영, 제작, 검토하는 작업과 계속된 밤샘 근무, 그리고 단기간에 처리해야 하는 환경에 처해졌다. 첫 방송 직전에 계약직 촬영 2명, 장비팀이 대량 교체되었다.[40] 당시 <혼술남녀> 제작팀은 방송 작품의 완성도가 낮다는 것을 이유로 첫 방송 직전 계약직 다수를 정리해고 했고[42], 해고를 담당했던 그는 이것을 괴로워했다. 이한빛 조연출은 해고 업무와 이미 기지급한 월급, 계약금 반환업무도 맡았다. 그런데 이 업무를 잘 못한다고 일을 못하는 것처럼 몰고 가거나, 그에게 남들의 몫까지 하도록 강요당했다.
그러나 계약직 및 스탭 등의 대량 해고와 장비팀 해고 등으로 그는 현장보조뿐만 아니라 영수증 처리, 딜리버리 등 없어진 소품팀의 대부분의 일들까지 맡게 되고 거기에 현장 준비랑 기획까지 맡게 되었다.[40] 계약직 직원들의 정리해고로 촬영 기간이 짧아져 70분짜리 드라마 2편을 1주일 동안 생방송처럼 제작하였다.[42] 특정 시점 이후, 이한빛 피디는 딜리버리 촬영준비, 영수증정리, 현장준비 등 팀이 사라질 경우 그 업무를 모두 일임하는 구조에서 도맡아 일했다.[43] 업무가 과중될 수밖에 없어서 촬영 55일 동안 쉬었던 날이 딱 이틀로 확인되었다.[40] 그는 주말에도 쉬지 못했고, 현장에 이미 해고된 직원의 몫까지 처리해야 되었다. 그의 어머니의 목격담에 의하면 그는 퇴근하여 집에 도착한 뒤에 2시간 후에 다시 출근하기도 했다.[42]
녹취록, 대화 내용 중에는 갑질, 폭언, 욕설, 비방 이외에도 노오력, 열정페이와 비슷한 주문도 있었다.
그는 업무 스트레스를 호소할 곳이 없었고, 계약직 직원 해고 업무, 급여 환수 업무, 용역 업무 외에도 도리어 열정페이 비슷한 요구를 강요당했다.
CJ E&M은 유족 측에게 발송한 2016년 12월 27일자 1차 회신문에서 “제작일지를 별도 작성하지 않아 고인의 정확한 출퇴근 내역을 확인할 수 없다” “촬영 준비, 촬영장 정리, 데이터 딜리버리, 정산·편집 업무 등은 고인에게만 배정된 업무는 아니었다” “연출부 구성원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고인의 근태 불량을 상급자들이 지적했고 동료들에게 피해가 발생해 그 불만과 개선 필요성을 고인에게 전달한 적은 있지만 고인을 왕따시키거나 갈등이 장기간 지속된 심각한 상황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고 대책위는 밝혔다.[44]
- '''기타 사례'''
2015년 1월, 걸그룹 쥬얼리 출신 조민아가 운영하는 "조민아의 베이커리"가 시간당 5500KRW의 임금을 제시하며 구인 광고를 게시했는데, 이는 당시 법정 최저임금 시간당 5580KRW보다 적은 금액이었다.[20]
3. 4. 텃세
특정 집단 내에서 기득권을 가진 자들이 신규 구성원을 배척하거나 괴롭히는 행위이다. 일부 폐쇄적인 조직 문화에서 주로 발생하며, 귀농 과정에서도 종종 발생한다.[1]4. 사회적 반응
갑질 문제에 대한 사회적 공분이 커지면서 다양한 대응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은 갑질 기업에 대한 항의 표시이며, 기업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46][47] 갑질 논란은 소비자 감정을 자극하여 불매운동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46] 전문가들은 기업 윤리 문제가 줄어들려면 소비자 인식이 큰 틀에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부당한 갑질에 분노하고 불매운동까지 확산하는 등 소비자 참여가 늘어야 기업이 바뀐다는 것이다.[48]
시민단체와 정부 기관들은 갑질 피해 신고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시민단체인 서민민생대책위원회는 '24시간 갑질 피해 신고 콜센터'를 운영하며 갑질 행태 예방 및 민형사상 조치를 지원한다.[50]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는 민간 및 공공부문 갑질 피해 민원을 받고 있다.[53][54] 서울특별시는 '불공정피해상담센터'를 운영하여 가맹본부로부터 불공정 피해를 입은 가맹점주를 지원하고 있다.[55]
4. 1. 불매운동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은 갑질 기업에 대한 항의 표시이며, 기업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46][47] 갑질 논란은 소비자 감정을 자극하여 불매운동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46] 소비자들은 '갑질 기업 제품을 소비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47] 기업 오너나 임직원들의 갑질 행위는 결국 기업 이익을 갉아먹는 '자해' 활동이 되어, 자신들의 목을 겨누는 칼날이 된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경우가 늘고 있다.[47]전문가들은 기업 윤리 문제가 줄어들려면 소비자 인식이 큰 틀에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8] 부당한 갑질에 분노하고 불매운동까지 확산하는 등 소비자 참여가 늘어야 기업이 바뀐다는 것이다.[48] 소비자운동단체가 불매운동을 주도하여 시민들의 호응을 얻은 적은 있으나, 대규모 조직적 불매운동은 아직 없었다.[49]
4. 2. 갑질 피해 신고 및 지원
시민단체인 서민민생대책위원회는 2016년 4월 11일, "기업인의 도덕적 해이에서 오는 비윤리적이고 부적절한 언행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어 이번 기회에 잘못된 관행을 뿌리 뽑고자 한다"라며 '24시간 갑질 피해 신고 콜센터(02-2632-0412)'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각종 갑질 행태를 예방하고 유사한 사례 검증을 통해 민형사상 조처를 취하기 위한 것"이라고 콜센터 운영 취지를 설명했다.[50]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53]는 '민원 처리에 관한 법률 및 관련 규정'에 따라 행정기관에 민원을 신청하거나 행정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각종 신고와 정책에 대한 의견 제시가 가능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민소통 창구로 2005년에 구축됐다.[54] 민간 및 공공부문 갑질 피해 민원을 받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2016년 경제민주화 도시 서울'을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선언하고 프랜차이즈 불공정 관행 근절에 나섰다. 서울시는 불공정피해상담센터를 운영해오고 있는데, 이는 가맹본부로부터 불공정 피해를 입은 가맹점주 누구나 전화(☎02-2133-5152, 5378), 이메일(fairtrade@seoul.go.kr), 눈물그만 사이트(http://economy.seoul.go.kr/tearstop)에서 신고 가능하다. 현재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 중인 경우는 물론 계약을 해지한 점주도 신고가 가능하며, 가맹점주 단체가 구성원의 불공정 사례를 모아 대표로 신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고가 접수되면 시는 먼저 신고 가맹점주와 심층 상담, 가맹점주 단체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한다. 이후 사안에 따라 가맹본부에 대해 자율 시정을 권고‧요구하거나 조정‧중재를 진행하고, 법 위반 정도에 따라 공정위나 검찰 조사 의뢰도 검토할 예정이다.[55]
5. 정부 대책
공정거래위원회는 유통, 가맹, 하도급, 대리점 등 4대 분야 갑질 사례를 우선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51] 이와 관련하여 갑질은 폭행죄나 협박죄 등으로 처벌할 수 있다.
5. 1. 공정거래위원회
김상조 위원장 취임 후 공정거래위원회는 유통, 가맹, 하도급, 대리점 등 4대 분야 갑질 사례를 우선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에 따라 모든 산업 본사와 대리점을 대상으로 갑질 실태조사에 나섰다.[51]2017년 8월 10일부터 국내 전 산업, 4800여 개 본사와 70여 개 대리점, 그리고 대리점 단체를 대상으로 본사와 대리점 간 거래 실태조사를 시작했다. 8월과 9월 사이에는 본사를, 9월부터 12월까지는 대리점과 대리점 단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공정위는 “본사-대리점 간 불공정 거래 행위 근절을 위한 법 집행, 정책 마련, 제도 개선 등에 활용할 기초자료 확보가 목적”이라고 밝혔다.[51]
2017년 7월 27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가맹 분야 불공정 관행 근절 대책의 하나로 불공정 행위 상시 감시 기구인 ‘옴부즈만’을 출범했다. 옴부즈만은 외식업종 중심으로 가맹거래 경험이 풍부한 전·현직 가맹점주와 공정거래조정원 직원 1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앞으로 도소매와 서비스업종을 포함해 30명 규모로 늘릴 계획이었다. 옴부즈만은 가맹 분야의 거래 관행을 상시적으로 감시하여 불공정거래 징후가 포착되면 공정위에 제보하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제도 개선 등 각종 정책을 추진할 때 의견을 제시하고, 현장의 문제점을 모아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건의하는 역할도 한다.[52]
5. 2. 법적 대응
오너형 갑질은 폭행죄로, 밀어내기형 갑질은 협박죄 등으로 처벌할 수 있다.2015년 12월 23일, 몽고푸드 명예회장 김만식이 자신의 운전기사에게 폭언과 폭행을 저질렀다는 보도가 있었다. 피해 운전기사는 "김 회장은 기분이 나쁘면 폭력을 행사하고 폭언을 하는 것을 거의 습관처럼 한다"고 증언했다. 몽고푸드는 사과문을 게시했고, 김만식과 김현승 대표는 피해자와 대중에게 사과했다. 최종적으로는 원만하게 합의를 이루었다.[6] 2016년 4월 19일,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은 김만식에게 상습폭행, 폭력, 노동기준법 위반 등과 관련하여 700만원의 벌금형 약식명령을 청구했다.[7]
2010년 10월, M&M 최철원 대표는 SK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였던 탱크로리 운전기사를 자신의 사무실로 불러 야구방망이 등으로 폭행하였다. 이로 인해 운전기사는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부상을 입었다. 이 사건은 2010년 11월 28일 MBC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통해 보도되었다. 특히 운전기사에게 폭행에 대한 합의금으로 2000만원을 지급했다는 내용의 각서가 공개되면서 엄청난 여론의 비난을 받았다.[8] 최철원 대표는 기소되었고, 경찰은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하였다.[9] 2011년 2월 8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그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하였고, 항소심에서는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 사회봉사 120시간을 선고받았다. "사회적 비난 여론이 형량에 반영되었다"는 법원 판결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10]
6. 해외 반응
대한항공 086편 회항 사건은 다양한 해외 매체를 통해 보도됐으며, 한국의 갑질문화가 세계적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56] 로이터는 대한항공 086편 회항 사건 재판 소식을 전하며 한국의 갑질 문화를 소개했다. 기사에 따르면, 한국의 갑질 문화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수직적 역할 분담이 직장에서 발현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56] 인디펜던트는 김무성의 노룩패스 논란에 대해서 다루며 한국의 갑질 문제에 대해서 언급하며 한국 성인 남성, 특히 중년 남성의 갑질 행태에 대해서 지적했다.[57]
참조
[1]
웹사이트
우리말샘 - 내용 보기
https://opendict.kor[...]
opendict.korean.go.kr
2017-11-05
[2]
뉴스
끊이지 않는 '갑질'의 역사, 유형을 진단해 보면 - 이코노믹리뷰
http://www.econovill[...]
2016-01-12
[3]
웹사이트
갑을관계
http://terms.naver.c[...]
2017-12-03
[4]
웹사이트
[기획] "돈이면 다냐?" 갑갑한 대한민국… 갑(甲)질 공통점 살펴보니…
http://news.kukinews[...]
news.kukinews.com
2017-11-05
[5]
웹사이트
Workplace violence by superiors a serious problem
https://www.koreatim[...]
2018-11-11
[6]
뉴스
몽고식품 '긴박했던 4박5일' 풀스토리 - 일요시사
http://www.ilyosisa.[...]
2015-12-31
[7]
뉴스
'회장님 갑질' 몽고식품 김만식 전 회장 벌금형
http://www.sisafocus[...]
[8]
뉴스
SK 최태원 회장 사촌동생, 야구방망이로 노동자 폭행
http://www.nocutnews[...]
[9]
뉴스
경찰 '맷값 폭행' 최철원 입국 통보 요청
http://mbn.mk.co.kr/[...]
mbn.mk.co.kr
[10]
뉴스
'맷값 폭행'최철원 징역 1년6월
http://www.fnnews.co[...]
2011-02-08
[11]
뉴스
Korean Air heiress returns home amid probe into violent tantrum
http://english.yonha[...]
[12]
뉴스
Sister of Korean 'Nut Rage' Heiress Accused of Throwing Her Own Tantrum
https://www.nytimes.[...]
2018-04-13
[13]
웹사이트
Plane Insider: do pilots have to abstain from alcohol before flying
https://www.lonelypl[...]
[14]
웹사이트
Korean Air shrugs off pilot's attempt to drink alcohol during flight
https://www.koreatim[...]
2019-07-09
[15]
웹사이트
'밀어내기' 전방위 조사···남양유업 '사과'
http://www.ktv.go.kr[...]
ktv.go.kr
[16]
뉴스
법원 "남양유업 '밀어내기' 모두 유죄 인정"
http://news.khan.co.[...]
[17]
웹사이트
남양유업 사과, 진정성이 없다 [YTN FM]
http://www.ytn.co.kr[...]
YTN
2013-05-10
[18]
뉴스
현대모비스 '물량 밀어내기' 혐의 인정… 공정위 "미흡하다"
http://news.donga.co[...]
2017-09-12
[19]
웹사이트
'열정페이' 논란 이상봉 결국 사과
http://www.ytn.co.kr[...]
YTN
2015-01-15
[20]
웹사이트
조민아 베이커리 '시급 대신 밥' vs 이상봉 '월급 10만원'…'열정페이' 언제까지?
http://www.wowtv.co.[...]
2015-01-09
[21]
웹사이트
서울대병원 첫 월급 36만원…용돈보다 적은 간호사 열정페이
http://news.kmib.co.[...]
Kukmin Ilbo
2017-10-08
[22]
웹사이트
불매운동
http://terms.naver.c[...]
[23]
뉴스
갑질과 불매는 비례하지 않는다? - 더피알
http://www.the-pr.co[...]
2017-10-02
[24]
뉴스
소비자 불매운동 불러온 대한민국 '갑질' 7
http://www.insight.c[...]
[25]
웹사이트
[뉴투기획] 똘똘 뭉친 소비자들, 갑질기업에 불매운동으로 응징
http://www.news2day.[...]
News2day.co.kr
[26]
뉴스
"잘못된 갑질 신고하세요"시민단체 24시간 콜센터
http://www.hani.co.k[...]
2016-04-11
[27]
웹사이트
공정위, '갑질' 정조준...70만개 대리점 전수조사
http://www.pressian.[...]
Pressian
2017-08-09
[28]
뉴스
프랜차이즈 갑질, 공정위가 상시 감시한다
http://www.hani.co.k[...]
2017-07-27
[29]
뉴스
서울시, 프랜차이즈 가맹정 '갑(甲)질 피해' 실태점검
http://www.ecomedia.[...]
[30]
뉴스
'Nut rage' prompts South Korea to consider law against high-handed conduct
https://www.reuters.[...]
2015-02-15
[31]
뉴스
Politician's suitcase incident goes viral for summing up entitled middle-aged men
https://www.independ[...]
2017-05-24
[32]
뉴스
끊이지 않는 ‘갑질’의 역사, 유형을 진단해 보면 - 이코노믹리뷰
http://www.econovill[...]
2017-10-24
[33]
웹인용
우리말샘 - 갑질
https://opendict.kor[...]
2017-10-24
[34]
웹인용
[기획] “돈이면 다냐?” 갑갑한 대한민국… 갑(甲)질 공통점 살펴보니…
http://news.kukinews[...]
2017-10-24
[35]
뉴스
끊이지 않는 ‘갑질’의 역사, 유형을 진단해 보면 - 이코노믹리뷰
http://www.econovill[...]
2017-10-24
[36]
웹사이트
외신도 조현아·조현민 자매 '갑질' 보도 시끌... 음성 파일도 파장
http://www.ytn.co.kr[...]
2018-04-16
[37]
뉴스
현대모비스 ‘물량 밀어내기’ 혐의 인정… 공정위 “미흡하다”
http://news.donga.co[...]
2017-11-01
[38]
웹인용
'열정페이' 논란 이상봉 결국 사과
http://www.ytn.co.kr[...]
2017-10-24
[39]
웹인용
서울대병원 첫 월급 36만원…용돈보다 적은 간호사 열정페이
http://news.kmib.co.[...]
2017-11-01
[40]
뉴스
인터뷰 故 이한빛PD 동생 "원하는건 돈이 아닙니다"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7-04-19
[41]
뉴스
CJ E&M 이한빛PD, 죽기 전 '여긴 미친 세상이야'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04-24
[42]
뉴스
tvN '혼술남녀' 조연출이 목숨을 끊은 이유를 동생이 밝혔다
http://www.huffingto[...]
한겨레신문
2017-04-18
[43]
뉴스
“‘혼술남녀’ 피디였던 형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7-04-18
[44]
간행물
반짝반짝했던 PD의 죽음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7
[45]
뉴스
불매운동
https://terms.naver.[...]
2017-11-01
[46]
뉴스
갑질과 불매는 비례하지 않는다? - 더피알
http://www.the-pr.co[...]
2017-11-01
[47]
웹인용
[뉴투기획] 똘똘 뭉친 소비자들, 갑질기업에 불매운동으로 응징
http://www.news2day.[...]
2017-11-01
[48]
뉴스
갑질과 불매는 비례하지 않는다? - 더피알
http://www.the-pr.co[...]
2017-11-01
[49]
뉴스
불매운동
https://terms.naver.[...]
2017-11-01
[50]
뉴스
“잘못된 갑질 신고하세요”시민단체 24시간 콜센터
http://www.hani.co.k[...]
2017-11-01
[51]
웹인용
공정위, '갑질' 정조준...70만개 대리점 전수조사
http://www.pressian.[...]
2017-10-24
[52]
뉴스
프랜차이즈 갑질, 공정위가 상시 감시한다
http://www.hani.co.k[...]
2017-10-24
[53]
뉴스
국민신문고
https://www.epeople.[...]
2017-10-24
[54]
뉴스
국민신문고, “국민이 선택한 ‘대표적 정부 소통 채널’” - 피디언
http://www.pedien.co[...]
2017-11-01
[55]
웹인용
서울시, 프랜차이즈 가맹정 '갑(甲)질 피해' 실태점검
http://www.ecomedia.[...]
환경미디어
2017-10-24
[56]
뉴스
'Nut rage' prompts South Korea to consider law against high-handed conduct
https://www.reuters.[...]
2017-11-01
[57]
뉴스
Politician's suitcase incident goes viral for summing up entitled middle-aged men
http://www.independe[...]
2017-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