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 스트롱기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스트롱기스트는 1908년 창단된 볼리비아의 축구 클럽이다. 1911년 첫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1930년에는 볼리비아 리그 챔피언십에서 무실점 우승을 기록했다. 1950년 볼리비아 최초의 프로 리그 창립 멤버였으며, 1952년 첫 프로 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1964년 코파 시몬 볼리바르에서 우승하며 대륙 대회에 진출했고, 1967년부터 1980년까지 라파엘 멘도사 회장 시기에 클럽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기를 맞이했다. 1969년 빌로코 비극으로 선수단을 포함한 74명이 사망하는 사건을 겪었다. 1977년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 초대 우승을 차지했고, 2013년에는 볼리비아 축구 역사상 최초의 "트리캄페폰"을 달성했다. 201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34년 만에 원정 첫 승을 거두었고, 2017년에는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더 스트롱기스트는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 유니폼을 사용하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28회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 스트롱기스트 -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는 볼리비아 라파스에 위치한 해발 3,637m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주요 클럽과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며 남미 선수권 대회와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등 주요 경기를 개최하여 볼리비아 축구의 상징적인 장소가 되었다.
  •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클루브 볼리바르
    클루브 볼리바르는 1925년 창단된 볼리비아의 축구 클럽으로, 시몬 볼리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에서 30번 우승하고 더 스트롱기스트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1년 시티 풋볼 그룹의 파트너 클럽이 되었다.
  •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클루브 산호세
    클루브 산호세는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회 우승한 축구 클럽으로, 흰색-파란색 홈 유니폼을 입고 에스타디오 헤수스 베르무데스에서 경기하며, CONMEBOL 주관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 볼리비아 축구에 관한 - 클루브 볼리바르
    클루브 볼리바르는 1925년 창단된 볼리비아의 축구 클럽으로, 시몬 볼리바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에서 30번 우승하고 더 스트롱기스트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1년 시티 풋볼 그룹의 파트너 클럽이 되었다.
  • 볼리비아 축구에 관한 - 클루브 산호세
    클루브 산호세는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회 우승한 축구 클럽으로, 흰색-파란색 홈 유니폼을 입고 에스타디오 헤수스 베르무데스에서 경기하며, CONMEBOL 주관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더 스트롱기스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명칭더 스트롱기스트
원어 명칭Club The Strongest
별칭티그레, 아우리네그로, 괄디네그로, 데카노
창단1908년 4월 8일
홈 구장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에스타디오 라파엘 멘도사
수용 인원41,143명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14,000명 (에스타디오 라파엘 멘도사)
회장로날드 크레스포
감독이스마엘 레스칼보
리그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
2023 시즌디비시온 프로페시오날, 1위 (17팀 중, 챔피언)
웹사이트더 스트롱기스트 공식 웹사이트
더 스트롱기스트 엠블럼
엠블럼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소매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원정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주황색
양말: 주황색
세 번째 유니폼상의: 자주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2. 역사

볼리비아의 축구 클럽 더 스트롱기스트는 1908년 창단되어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2] 초기에는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명성을 쌓았고, 차코 전쟁 (1932년 ~ 1935년) 당시에는 선수와 회원들이 참전하여 '카냐다 스트롱기스트'라는 전투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3]

1950년 볼리비아 최초의 프로 리그 창립 멤버로 참여했으며, 1952년 첫 프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60년대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전신 격인 대회에 진출하여 볼리비아 클럽 최초의 국제 대회 승리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1969년에는 '빌로코 비극'으로 알려진 비행기 사고로 선수단 대부분을 잃는 큰 아픔을 겪었다.[4][5][6]

이후 팀을 재건하여 1977년 출범한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의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 2003년에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모두 우승하는 '비캄페온'(Bicampeón,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으며, 2011-12 시즌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2012-13 시즌 아페르투라에서 연속 우승하며 볼리비아 최초의 '트리캄페온'(Tricampeón, 3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7]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남미 클럽 대항전에도 꾸준히 참가하며 201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16강에 진출하는 등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11]

2. 1. 초기 역사 (1908년 ~ 1960년대)

더 스트롱기스트는 1908년 4월 8일[2] 12명의 학생들에 의해 창단되었다. 처음 이름은 "더 스트롱 풋볼 클럽"이었으나 나중에 "더 스트롱기스트 풋볼 클럽"(스페인어: ''El Club Mas Fuerte'')으로 변경되었다. 초대 회장이자 창립자는 호세 레온 로페스 비야밀이었다. 클럽은 1911년에 첫 번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현재의 많은 볼리비아 팀들이 창단되기 훨씬 전의 일이었다.

1930년, 더 스트롱기스트는 리그 챔피언십에서 무실점으로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볼리비아 팀이 되었다. 같은 해,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개장 경기에서 당시 라이벌이었던 우니베르시타리오를 상대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이 팀은 차코 전쟁 (1932년 ~ 1935년) 당시의 활약으로 인해 팀 이름을 딴 전투가 있는 세계 유일의 축구팀으로 알려져 있다. 전쟁 중 약 600명에 달하는 선수, 스태프, 클럽 회원들이 볼리비아 육군에 입대했다. 이들 "스트롱기스타스"로 구성된 부대는 볼리비아 육군의 중요한 승리에 기여했으며, 이 전투는 볼리비아 역사에서 "바타야 데 카냐다 스트롱기스트"로 기록되었다.[3]

더 스트롱기스트는 1950년 볼리비아 최초의 프로 리그 창립 멤버 중 하나였다. 당시 리그는 라 파스 연고의 9개 클럽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1952 토르네오 인터데파르타멘탈에서 우승하며 첫 번째 프로 리그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4년에는 코파 시몬 볼리바르에서 우승하여 처음으로 대륙 대회(당시에는 각국 챔피언만 참가)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이 대회에서 에콰도르의 데포르티보 키토를 꺾고 클럽 레벨에서 볼리비아 축구 역사상 최초의 국외 승리를 기록했다. 그 해 대회에서 더 스트롱기스트는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다.

2. 2. 라파엘 멘도사 시대 (1967년 ~ 1980년)

라파엘 멘도사 카스테욘이 회장으로 재임하던 시기(1967년 ~ 1980년)는 클럽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였다. 이 기간 중인 1969년 9월 26일, 팀은 '빌로코 비극'으로 알려진 비행기 추락 사고를 겪었다.[4] 산타 크루스에서 열린 전시 경기를 마치고 돌아오던 로이드 에레오 볼리비아노 DC-6 항공기가 빌로코 지역 인근에 추락하여 선수단 대부분을 포함한 탑승객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4][5][6] 클럽은 이러한 비극과 당시 볼리비아의 어려운 정치/경제적 상황 속에서도 팀 재건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2. 2. 1. 빌로코 비극 (1969년)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2. 3. 리그 초대 챔피언 및 트리캄페오나토 (1977년 ~ 2013년)

1977년, 더 스트롱기스트는 볼리비아 프로 축구 리그의 창립 멤버 중 하나였으며, 초대 우승을 차지하며 프로 리그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1979년부터 1981년까지 3회 연속으로 리그 준우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1989년에는 다시 리그 정상에 올라 우승을 차지했고, 이를 통해 199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자격을 얻었다. 이 대회에서는 2라운드까지 진출했으나, 칠레의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에 패배하여 탈락했다.

2003년에는 아르헨티나 출신 감독 네스토르 클라우센의 지휘 아래 아페르투라(전기 리그)와 클라우수라(후기 리그) 두 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는 볼리비아 리그의 새로운 형식에서 나온 최초의 "비카메폰"(Bicampeón, 2회 연속 우승) 기록이었다.

국제 대회에서는 2005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당시 에두아르도 비예가스 감독이 이끌던 팀은 지역 라이벌인 볼리바르를 1, 2차전 모두 2-1로 승리하며 합계 4-2로 꺾었고, 다음 라운드에서는 에콰도르의 강호 LDU 키토를 상대로 원정에서 3-0 승리를 거두는 등 선전했다. 비록 3라운드(16강)에서 멕시코의 푸마스 UNAM에게 합계 4-3으로 아쉽게 패했지만, 이는 클럽의 주요 국제 대회 성과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당시 푸마스는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클럽 역사상 가장 빛나는 순간 중 하나는 2013년에 찾아왔다. 볼리비아 출신 감독 에두아르도 비예가스 아래 2013년 아페르투라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앞서 2012년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토너먼트 우승에 이어 3회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볼리비아 축구 역사상 최초의 "트리캄페폰"(Tricampeón, 3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이었다.[7]

2. 4. 최근 역사 (2014년 ~ 현재)

201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더 스트롱기스트는 상파울루를 상대로 파카엠부 경기장 원정 경기에서 마티아스 알론소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8] 이는 1981년 4월 테크니코 유니베르시타리오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둔 이후 34년 만에 기록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원정 경기 승리였다.[9][10] 더 스트롱기스트는 이 대회에서 최종적으로 승점 8점(2승 2무 2패)을 기록하며 조 3위로 마감했다.

201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구단 역사상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고 평가받는다. 2차 예선에서 몬테비데오 원더러스를 합계 6-0으로 꺾고, 3차 예선에서는 유니온 에스파뇰라를 상대로 홈에서 5-0 대승을 포함, 합계 6-1로 승리하며 조별 예선에 진출했다. 홈 5-0 승리는 구단 역대 최다 점수 차 국제 경기 승리 기록과 같다. 조별 예선에서는 산투스, 인디펜디엔테 산타 페, 스포르팅 크리스탈과 같은 조에 속했다. 홈에서 산타 페를 2-0으로 이기며 시작했으나, 브라질 원정에서 산투스에게 0-2로 패배했다. 이후 스포르팅 크리스탈을 홈에서 5-1로 대파하고 나머지 3경기는 무승부를 기록했다.[11]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여 아르헨티나의 라누스와 맞붙었다. 홈에서 열린 1차전은 1-1로 비겼으나, 원정 2차전에서 0-1로 패배하며 합계 1-2로 아쉽게 탈락했다.

3. 유니폼

더 스트롱기스트는 1908년 창단과 함께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 유니폼을 채택했다. 당시 적절한 유니폼을 찾던 중, 창립 멤버의 친구가 독일에서 어두운 녹색 바탕에 가로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셔츠를 보내주었다. 이를 본 다른 창립 멤버가 볼리비아 현지 새인 차이니타와 색상이 비슷하다고 언급하면서 이 색 조합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1908년부터 메인 유니폼은 줄무늬 개수는 다양하지만 항상 세로 방향의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다.

보조 유니폼은 일반적으로 흰색 바탕에 노란색과 검은색을 섞어 사용했지만, 노란색 상의와 검은색 하의, 또는 전체가 노란색인 유니폼 등 다른 조합도 사용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컵 경기용으로 전체가 검은색인 보조 유니폼을 채택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더 스트롱기스트의 유니폼이 독창성이 부족하며 우루과이 몬테비데오페냐롤 유니폼 색상을 모방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페냐롤은 1911년 시즌이 되어서야 전체 줄무늬 유니폼을 채택했고,[12] 당시에는 널리 알려진 팀이 아니었다는 점(창단 후 24년 동안 4번 우승)을 들어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는 의견도 있다.

4. CONMEBOL 대회 성적

CONMEBOL 주관 대회 출전 기록
대회출전 횟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28회
코파 수다메리카나5회
코파 CONMEBOL2회
코파 메르코노르테2회



더 스트롱기스트는 1964년 코파 시몬 볼리바르에서 우승하며 처음으로 대륙 대회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당시 대회에서는 각국의 리그 우승팀만이 참가 자격을 가졌다. 이 대회에서 더 스트롱기스트는 에콰도르의 데포르티보 키토를 꺾고, 볼리비아 클럽 역사상 최초로 국제 대회 원정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는 기록을 세웠다. 해당 시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에 이어 조 2위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더 스트롱기스트가 획득한 국제 대회 타이틀은 없다.

5. 우승 기록

더 스트롱기스트는 초기부터 국내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1930년에는 무실점으로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2] 볼리비아 프로 리그 창설에도 참여했으며, 초창기 프로 리그에서도 우승 경험이 있다. 1964년에는 국내 대회 우승을 통해 처음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같은 대륙 대회에 진출하여 볼리비아 클럽 최초의 국외 승리를 기록하기도 했다.

국내 리그와 지역 대회에서는 다수의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제 대회 우승 경험은 아직 없다. 상세한 우승 기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국내 대회

더 스트롱기스트는 1911년에 첫 번째 챔피언십을 차지했으며, 이는 현재의 다른 볼리비아 팀들이 창단되기 훨씬 전의 일이다.[2] 1930년에는 무실점으로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이는 볼리비아 축구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기록으로 남아있다. 또한 같은 해, 라이벌이었던 우니베르시타리오를 4-1로 꺾으며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의 개장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이 클럽은 1950년 볼리비아 최초의 프로 리그 창립 멤버 중 하나였으며, 1952년 토르네오 인터데파르타멘탈에서 첫 프로 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1964년에는 코파 시몬 볼리바르에서 우승하여 처음으로 대륙 대회 진출 자격을 얻었다.

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161952, 1964, 1974, 1977, 1986, 1989, 1993, 2003-A, 2003-C, 2004-C, 2011-A, 2012-C, 2012-A, 2013-A, 2016-A, 2023
코파 레푸블리카 FBF11958


5. 2. 지역 대회


  • '''캄페오나토 파세뇨'''
  • * '''우승 (19회):''' 1914, 1916, 1917, 1922, 1923, 1924, 1925, 1930, 1935, 1938, 1943, 1945, 1946, 1952, 1963, 1964, 1970, 1971, 1974

  • '''코파 20 데 옥투브레 AFLP'''
  • * '''우승 (1회):''' 1916

  • '''캄페오나토 데 2.ª 카테고리아'''
  • * '''우승 (1회):''' 1914

6. 기타 업적

7. 선수 명단 (2024년 7월 27일 기준)

다음은 2024년 7월 27일 기준 더 스트롱기스트의 선수 명단이다. 이 명단은 한국어영어 위키백과 자료를 참고하여 통합 및 최신화되었으며, 임대 중인 선수는 제외되었다. 포지션별 상세 명단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른다.

7. 1. 골키퍼 (GK)

wikitext

등번호이름국적
1루이스 바네가스볼리비아
13기예르모 비스카라볼리비아
33헤수스 카레아가볼리비아


7. 2. 수비수 (DF)

wikitext

등번호이름국적
3다리오 아이마르에콰도르
4다니엘 리노볼리비아
5아드리안 후시노볼리비아
15막시밀리아노 카이레아르헨티나
19카를로스 로카볼리비아
24에머슨 벨라스케스볼리비아
27디에고 코르푸스볼리비아
31로날드 부스토스볼리비아
36세바스티안 알타미라노볼리비아


7. 3. 미드필더 (MF)

wikitext

등번호국적선수명
2볼리비아다니엘 로하스
6볼리비아알바로 키로가
7아르헨티나호엘 아모로소
8볼리비아루시아노 우르시노
10콜롬비아마이클 오르테가
14볼리비아디에고 와야르
17볼리비아로드리고 라마요
20볼리비아아드리엘 페르난데스
23볼리비아예이손 추라
25볼리비아마르셀로 소모야
29볼리비아빅토르 쿠에야르
30볼리비아하이메 아라스카이타
?파나마압디엘 아야르사


7. 4. 공격수 (FW)

wikitext

등번호국적이름
9브라이언 앙굴로
11엔리케 트리베리오
18파브리시오 콰글리오
22브루노 미란다
26가브리엘 소토마요르
32호세 플로레스


8. 역대 감독

wikitext

국적감독임기
볼리비아라미로 블라кут1980–81
볼리비아카를로스 아라곤스1992–93
볼리비아라미로 블라кут1994
아르헨티나마리오 켐페스1999
아르헨티나호르헤 하베거2000년 7월 1일 – 2001년 6월 30일
아르헨티나네스토르 클라우센2004년 1월 1일 – 2004년 6월 30일
볼리비아빅토르 우고 안텔로2004
볼리비아에두아르도 비예가스2005
파라과이롤란도 칠라베르트2006년 9월 6일–06
볼리비아오스카르 카르멜로 산체스2007
볼리비아펠릭스 베르데하2007 – 2007년 7월 31일
볼리비아에두아르도 비예가스2007
콜롬비아베르나르도 레딘2008
아르헨티나훌리오 세사르 토레사니2009년 1월 1일 – 2009년 5월 30일
브라질산드로 코엘료2009–10
아르헨티나네스토르 크라비오토2010년 7월 1일 – 2011년 6월 30일
아르헨티나네스토르 클라우센2011년 1월 15일 – 2011년 7월 15일
볼리비아마우리시오 소리아2011년 6월 21일 – 2012년 3월 19일
볼리비아우베르 아코스타 (임시)2012년 3월 20일 – 2012년 3월 23일
볼리비아에두아르도 비예가스2012년 3월 23일–1?
아르헨티나네스토르 크라비오토2014년 6월 5일–15
파라과이파블로 카바예로2015–16
볼리비아마우리시오 소리아2016
베네수엘라세사르 파리아스2016–2017
아르헨티나카를로스 이스키아2018년 1월 5일– 2018년 3월 26일
베네수엘라세사르 파리아스2018년 3월 26일– 2018년 12월
볼리비아파블로 에스코바르2018년 12월– 2019년 8월
볼리비아마우리시오 소리아2019년 9월 - 2020년 3월
볼리비아알베르토 일라네스2020년 4월 - 2021년 4월
파라과이구스타보 플로렌틴2021년 4월 - 2021년 8월
아르헨티나크리스티안 디아스2021년 8월– 2022년 8월
아르헨티나클라우디오 비아지오2022년 8월– 2022년 12월
스페인이스마엘 레스칼보2023
포르투갈히카르두 포르모지뉴2023
볼리비아파블로 카바닐라스2024
아르헨티나파블로 라발렌2024
스페인이스마엘 레스칼보2024


참조

[1] 서적 An Encyclopedia of Football in Bolivia – 1914 to 1998 Heart Books – Belgium 1999
[2] 웹사이트 Bolivia - Foundation Dates of Clubs https://www.rsssf.or[...] 2021-09-19
[3] 웹사이트 Historia: Cañada Strongest https://club-thestro[...] 2021-09-18
[4] 웹사이트 Aviation Safety Network Report, retrieved 3 December 2016 http://aviation-safe[...] 2016-12-03
[5] 웹사이트 The Strongest, el más fuerte ante la tragedia https://www.clarin.c[...] 2013-07-24
[6] 웹사이트 The Strongest recuerda hoy la tragedia de Viloco https://www.paginasi[...] 2013-09-25
[7] 웹사이트 The Strongest es el tricampeón en su país https://www.elcomerc[...] 2012-12-17
[8] 웹사이트 The Strongest ganó 1-0 a Sao Paulo en Brasil por Copa Libertadores https://depor.com/fu[...] 2016-02-17
[9] 웹사이트 Sao Paulo 0-1 The Strongest: Triunfo histórico en Brasil https://www.goal.com[...] 2016-02-18
[10] 웹사이트 Copa Libertadores: The Strongest da la primera gran sorpresa en la Copa https://www.marca.co[...] 2016-02-18
[11] 웹사이트 The Strongest arrasa 5-1 a Sporting Cristal https://www.livefutb[...] 2017-05-05
[12] 웹사이트 Camisetas http://girasolweb.tr[...] 2022-02-12
[13] 웹사이트 El tigre The Strongest es el campeón de la Liga del Fútbol Profesional Boliviano 2016 https://www.consulad[...] consuladodebolivia.com 2016-12-24
[14] 웹사이트 Ser del Tigre http://www.opinion.c[...]
[15] 웹사이트 ¡Superclásico aurinegro! The Strongest remonta y vence por 3-1 a Bolívar https://www.paginasi[...] 2021-07-25
[16] 웹사이트 8 clubes de la Liga y sus más de 21 apodos “con historia” https://www.opinion.[...] 2017-11-20
[17] 웹사이트 The Strongest, el decano con sed de gloria https://www.bolivia.[...] Bolivia.com 2003-02-26
[18] URL http://www.caraco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