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데카르트 부호 법칙은 0이 아닌 실수 계수를 갖는 다항식의 양의 실근과 음의 실근의 개수에 대한 규칙이다. 이 법칙에 따르면, 다항식 p(x)의 양의 실근의 개수는 p(x)의 계수 부호 변화 횟수보다 적거나 같으며, 그 차이는 짝수이다. 음의 실근의 경우, p(-x)에 데카르트 부호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이 법칙은 다항식의 실근 개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며, 다항식의 복소수 근의 개수를 추정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르네 데카르트가 처음 언급했으며, 야노시 언드라시 셰그네르가 처음으로 증명했다.
2. 데카르트 부호 법칙
데카르트 부호 법칙(데카르트의 부호 법칙)은 실수 계수를 가지는 일변수 다항식의 양의 실근과 음의 실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리이다. 다항식의 항들이 변수 지수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0이 아닌 계수들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연속하는 두 계수 사이의 부호가 바뀌는 횟수는 다항식의 양의 실근 개수의 상한이 된다. 더 정확하게는, 다항식의 양의 실근의 개수(중근은 그 중복도만큼 센다)는 이 부호 변화 횟수와 같거나, 그 횟수보다 짝수만큼 작다. 예를 들어, 부호 변화 횟수가 3번이라면 양의 실근은 3개 또는 1개 존재한다. 만약 부호 변화 횟수가 0 또는 1이라면, 양의 실근의 개수는 정확히 그 횟수와 같다.
음의 실근의 개수를 추정하려면, 원래 다항식 에서 변수 대신 를 대입하여 새로운 다항식 를 만든다. 이는 원래 다항식의 홀수 차수 항의 계수 부호만 바꾸는 것과 같다. 이렇게 얻은 다항식 의 계수 부호 변화 횟수를 센다. 원래 다항식 의 음의 실근 개수는 의 계수 부호 변화 횟수와 같거나, 그 횟수보다 짝수만큼 작다.
예를 들어, 다항식 을 생각해보자. 계수의 부호는 순서이다. 부호 변화는 두 번째 항(+)에서 세 번째 항(-)으로 넘어갈 때 한 번 일어나므로, 이 다항식은 정확히 1개의 양의 실근을 가진다. 음의 실근 개수를 알기 위해 을 본다. 계수 부호는 순서이고, 부호 변화는 첫 번째 항(-)에서 두 번째 항(+)으로, 세 번째 항(+)에서 네 번째 항(-)으로 넘어갈 때 총 2번 발생한다. 따라서 이 다항식의 음의 실근 개수는 2개이거나 0개이다. (실제로 이 다항식의 근은 과 (중근)이므로, 양의 근 1개와 음의 근 2개를 가진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에 따라 차 다항식은 복소수 범위에서 중복도를 포함하여 정확히 개의 근을 가진다. 데카르트 부호 법칙을 이용하여 양의 근의 최대 개수 와 음의 근의 최대 개수 를 구하면, 만약 다항식이 0을 근으로 갖지 않는 경우(즉, 상수항이 0이 아닌 경우), 실수가 아닌 복소수 근(허수 근)의 최소 개수는 임을 알 수 있다.
2. 1. 정의
0이 아닌 실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식
:
(여기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