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Dorothea Erxleben)은 1754년 독일 최초의 여성 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이다. 1715년 크베들린부르크에서 태어난 그녀는 아버지로부터 의학을 배우고, 1742년에는 여성의 교육 기회 부족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남편과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양육하면서도 의학 공부를 지속했고, 의료 소송을 겪은 후 프리드리히 2세의 지원을 받아 할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고향에서 의사로 활동하다가 1762년 유방암으로 사망했으며, 그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베들린부르크 출신 - 카를 리터
    카를 리터는 독일의 지리학자로, 베를린 대학교 최초의 지리학 교수로서 지리학을 학문으로 발전시키고, 《지리학》을 통해 지표면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근대 지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크베들린부르크 출신 -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는 18세기 독일의 시인이자 작가로, 서사시 《메시아》를 통해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언어 및 문헌학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프랑스 혁명에도 관심을 가진 인물이다.
  • 여자 의사 - 잔나 베레타 몰라
    이탈리아의 소아과 의사이자 가톨릭 성인인 잔나 베레타 몰라는 넷째 아이를 임신 중 자궁의 섬유종 제거 수술에서 자신의 생명보다 아이의 생명을 선택하여 숭고한 모성애를 보여주었다.
  • 여자 의사 - 파멜라 렌디바그너
    파멜라 렌디바그너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감염 역학 및 백신 예방 분야에서 전문 의학자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보건여성부 장관과 사회민주당 대표를 역임했다.
  • 1762년 사망 -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는 표트르 1세의 딸로, 쿠데타를 통해 러시아 여제가 되어 총신들의 영향력 아래 화려한 궁정 생활과 예술 발전을 추구하며 러시아의 위상을 높였으나 재정 악화와 농노제 심화라는 문제점을 남기고 표트르 3세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 1762년 사망 -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프랑스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남반구 별 목록 작성, 14개 별자리 정의, 프랑스 자오선 호 재측정 참여, 달 위치 계산표 작성 등 천문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광행차와 장동을 고려한 별 목록을 저술했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자 여러 학회 명예 회원이었다.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로테아 엘크슬레벤 초상
출생명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레포린
출생일1715년 11월 13일
출생지프로이센 왕국 퀘들린부르크
사망일1762년 6월 13일
사망지프로이센 왕국 퀘들린부르크
국적프로이센
학력할레 대학교
분야의학
영향라우라 바시

2. 생애

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에르크슬레벤(Dorothea Christiane Erxleben, 결혼 전 성 레포린(Leporin))은 독일 최초의 여성 의학 박사이다.[7][18] 1715년 11월 13일 프로이센 왕국 크베들린부르크에서 의사인 아버지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레포린과 어머니 안나 조피아 레포린 사이에서 태어났다.[14][1][2] 진보적인 사상을 가진 아버지 덕분에 남동생과 함께 라틴어, 자연과학, 의학 등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7][15]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의 직장이자 거주지인 크베들린부르크의 카플라나이 10호


어릴 때부터 뛰어난 지적 능력을 보인 도로테아는 의학 공부를 계속하여 학위를 얻기를 열망했다. 당시 여성의 대학 진학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었으나, 이탈리아의 여성학자 라우라 바시의 사례에 용기를 얻어[7][3] 프로이센 왕국프리드리히 2세 국왕에게 직접 청원하여 1741년 할레 대학교 입학 및 박사 학위 취득을 특별히 허가받았다.[28][7]

1742년, 도로테아는 여성의 교육받을 권리를 주장하는 책 ''Gründliche Untersuchung der Ursachen, die das weibliche Geschlecht vom Studiren abhalten''(여성이 공부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출판하여 사회적 편견에 맞섰다.[17] 같은 해, 네 명의 자녀를 둔 과부이자 부제였던 요한 크리스티안 에르크슬레벤과 결혼하여[27][29] 네 명의 자녀를 더 낳고 대가족을 돌보느라 한동안 학업을 이어가지 못했다.

1747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가족의 생계를 위해 정식 학위 없이 의술 활동을 시작했다. 뛰어난 실력에도 불구하고 여성이라는 이유와 정식 학위가 없다는 이유로 다른 남성 의사들로부터 돌팔이 의사라는 비난과 함께 고발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16][1] 이 사건을 계기로 미뤄왔던 박사 학위 취득을 결심하고, 1754년 1월 박사 논문 ''Quod nimis cito ac iucunde curare saepius fiat causa minus tutae curationis''(질병의 빠르고 쾌적하지만 그로 인해 불완전한 치료에 관하여)를 제출했다.[30] 같은 해 6월 12일,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독일 최초의 여성 의사가 되었다.[27][16]

박사 학위 취득 후에도 에르크슬레벤은 크베들린부르크에서 의사로서 활동하며, 특히 가난한 이들을 위한 진료에 힘썼다.[19] 그는 1762년 6월 13일 유방암으로 사망할 때까지[7][2][32] 여성 교육과 전문직 진출의 선구자이자 존경받는 의사로서 살았다.

2. 1. 초기 생애 (1715년 ~ 1741년)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이 태어난 집인 크베들린부르크의 슈타인베크 51호


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레포린(Dorothea Christiane Leporin)은 1715년 11월 13일 프로이센 왕국크베들린부르크에서 태어났다.[14] 그의 아버지는 아셔슬레벤 출신의 의사이자 로렌츠 하이스터의 전기 작가였던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레포린(Christian Polycarp Leporin Senior, 1689년 ~ 1747년)이었고,[25][1] 어머니는 알베르트 마이네케 추기경의 딸인 안나 조피아 레포린(Anna Sophia Leporin, 결혼 전 성 메이네케(Meinecke), 1681년 ~ 1757년)이었다.[2] 도로테아가 태어난 집(슈타인베크 51호)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도로테아는 어릴 적부터 몸이 약했지만 뛰어난 지적 능력과 과학 탐구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계몽주의 시대의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인 아버지는 딸에게도 아들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믿었으며,[7] 도로테아가 남동생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레포린(Christian Polycarp Leporin Junior, 1717년 ~ 1791년)과 함께 최고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직접 가르쳤다. 도로테아는 아버지로부터 자연과학, 실용 의학, 이론 의학을 배웠고,[15] 크베들린부르크 라츠슐레(Ratsgymnasium, 시립 김나지움)의 학장과 교감으로부터 개인적으로 라틴어 수업을 받기도 했다. 이를 통해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미하엘 알베르티, 요한 융커, 로렌츠 하이스터 등 당대 주요 의학자들의 저술을 접할 수 있었다.[26] 아버지는 16세가 된 도로테아를 환자 진료에 참여시켰고, 점차 자신의 진료를 대신하게 할 정도로 신뢰했다.

도로테아는 남동생과 마찬가지로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하기를 열망했다. 그는 남동생이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할 계획을 세우자 자신도 함께 공부하기를 원했다.[7] 그러나 여성이 대학에 진학하는 것은 당시 사회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남동생이 군에 징집되면서 함께 공부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생기기도 했으나, 남동생은 누나와 함께 공부하기 위해 조기 전역을 선택했다. 이 과정에서 남동생이 잠시 탈영병으로 오해받아[27] 근처 헤센카셀 방백국으로 피신하는 일도 있었다.

이탈리아의 여성 물리학자이자 학자인 라우라 바시볼로냐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세계 최초의 여성 대학 교수가 되었다는 소식은 도로테아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7][3] 그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에게 직접 할레 대학교 입학을 허가해 달라고 청원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도로테아의 재능과 의지를 인정하여 1741년 4월, 그의 대학 입학 및 박사 학위 취득을 특별히 허가했다.[28][7][15] 이는 당시 여성의 고등 교육 기회가 극히 제한적이었던 상황에서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다.

2. 1. 1. 여성 교육에 대한 옹호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결혼 전 성: 레포린)은 어릴 적부터 아버지에게 남동생과 동등한 교육을 받으며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이탈리아의 여성 과학자 라우라 바시볼로냐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는 소식은 그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7][3] 당시 여성의 고등 교육은 매우 드문 일이었으며, 사회적으로도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여성에게 가해지는 교육적 제약에 문제의식을 느낀 에르크슬레벤은 여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했다. 1742년, 그는 결혼 전 성인 레포린(Leporin)이라는 이름으로 ''Gründliche Untersuchung der Ursachen, die das weibliche Geschlecht vom Studiren abhaltende''(여성이 학문을 배우는 것을 방해하는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라는 책을 출판했다.[4][5] 이 책은 독일 초기 페미니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책에서 에르크슬레벤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교육 기회를 박탈당하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교육에 대한 경멸은 특히 여성의 성별이 공부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사실에서 명백합니다. 만약 어떤 것이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고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인류에게서 빼앗긴다면 그것은 일반적인 이익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학식으로부터 제외되는 것은 그들을 경멸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부정은 이 영광스럽고 귀중한 물건을 빼앗긴 여성들에게 일어나는 것만큼 큽니다."라고 지적하며, 여성의 재능이 가정이라는 울타리에 갇혀 낭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독일 사회가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의 잠재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4] 그는 여성이 교육받지 못하는 이유로 제시되는 가사 노동 등의 변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으며, 교육을 받으려는 여성 자신의 의지 부족도 지적했다.

에르크슬레벤의 아버지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레포린 역시 딸의 주장을 지지하며 책의 서문을 통해 독일 대학의 개혁 필요성과 여성 입학 허용이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를 강조했다.[5] 에르크슬레벤은 경건주의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의 의학 이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를 정당화하는 당시의 신학적, 철학적 기반에 깊은 회의를 느꼈다. 그는 책을 통해 남성과 여성 독자 모두를 설득하고자 노력했으며, 특히 남성 독자들을 향해서는 겸손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여성 교육의 당위성을 논리적으로 펼쳐나갔다.

그의 대학 입학 시도와 저서 출판은 팜플렛 제작자 요한 레티우스(Johann Rhetius)와 같은 보수적인 인물들로부터 "여성은 법적으로 의술을 행할 수 없으므로 학위 취득은 시간 낭비"라는 비난에 직면하기도 했다.[4] 하지만 에르크슬레벤은 이러한 사회적 편견과 제도적 장벽에 굴하지 않고 여성 교육의 정당성을 꾸준히 주장하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2. 2. 결혼과 가정생활 (1742년 ~ 1753년)

1741년 할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허가를 받았지만, 도로테아 레포린은 바로 학업을 시작하지 않았다. 1742년, 26세의 나이에 그녀는 과부이자 부제였던 요한 크리스티안 에르크슬레벤(Johann Christian Erxleben, 1697년 ~ 1759년)과 결혼했다.[27][29] 그는 도로테아의 사촌의 남편이었으며, 이미 다섯 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다.[4] 결혼 후 도로테아는 의붓자녀들을 돌봐야 했기 때문에(맏이가 9살이었다[27]), 한동안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프로이센 국왕의 특권을 사용하지 않았다.[27]

같은 해(1742년), 도로테아는 '레포린'이라는 이름으로 《여성이 공부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Gründliche Untersuchung der Ursachen, die das weibliche Geschlecht vom Studiren abhaltende)라는 책을 출판했다.[4][5] 이 책에서 그녀는 여성 교육을 가로막는 사회적 편견과 구조적 문제들을 비판하며, 여성이 학문 연구에 참여해야 할 필요성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는 당시 독일 사회에 만연했던 여성에 대한 교육 차별에 맞선 중요한 목소리였다. 그녀는 독일이 인구 절반의 잠재력을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으며[4], 이는 초기 페미니즘 사상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 책의 서문에서 독일 대학 개혁의 필요성과 여성 입학이 가져올 긍정적 변화를 강조했다.[4]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은 남편 요한과의 사이에서 네 명의 자녀를 더 낳아 총 아홉 명의 자녀를 둔 대가족의 어머니이자 주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4] 결혼 생활은 대체로 행복했던 것으로 전해진다.[4] 그녀는 많은 가사 노동에도 불구하고 틈틈이 의학 공부를 이어 나갔다.[4]

1747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남편의 건강마저 나빠지면서[4] 가족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했다.[4]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에르크슬레벤은 정식 학위 없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크베들린부르크에서 의술을 펼치기 시작했다.[4] 그녀는 뛰어난 실력으로 곧 마을 사람들의 신망을 얻었다.[4]

그러나 1753년, 네 번째 아이를 임신했을 당시 그녀가 치료하던 환자 중 한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 이를 빌미로 크베들린부르크의 다른 세 명의 남성 의사들은 에르크슬레벤을 정식 학위 없이 의료 행위를 하는 돌팔이라고 비난하며 고소했다.[1] 이는 여성 의사의 등장으로 자신들의 기득권이 위협받는다고 느낀 기존 의사들의 견제[6] 성격이 짙었다. 증거는 불충분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그녀는 잠시 의료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1] 이 사건은 결국 그녀가 미뤄왔던 박사 학위 취득을 결심하게 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30]

2. 3. 의료 활동과 박사 학위 취득 (1754년 ~ 1762년)

1754년 1월,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은 박사 논문 "Quod nimis cito ac iucunde curare saepius fiat causa minus tutae curationisla"를 발표했다.[30] 이후 프리드리히 2세 국왕의 특례와 할레 대학교의 승인을 받아 필요한 시험을 통과했고, 1754년 6월 12일 요한 융커 교수로부터 의학 박사 학위를 공식적으로 수여받았다.[27][16] 이는 독일 역사상 여성이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사례였다.[7][18]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에도 에르크슬레벤은 고향 크베들린부르크에서 의사로서 활동을 계속했으며, 특히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진료에 힘썼다.[19] 그는 1762년 6월 13일 유방암으로 사망할 때까지[7][2] 존경받는 의사로 활동했다.[32]

2. 3. 1. 박사 논문

1747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남편의 건강이 나빠지면서 에르크슬레벤 가족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 이러한 빚을 갚기 위해 에르크슬레벤은 정식 학위 없이 크베들린부르크에서 의술을 시작했고, 마을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의사가 되었다. 그러나 1753년, 네 번째 아이를 임신했을 때 그가 치료하던 환자 중 한 명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지역 의사 세 명은 에르크슬레벤을 의료 돌팔이라며 고발하고 소송을 제기했다.[1] 이들은 자신들의 독점적인 의료 행위 권한이 위협받는다고 느꼈기 때문이다.[6] 증거는 부족했지만, 에르크슬레벤은 결국 진료 행위를 금지당했다.[1]

이 사건은 법적 절차를 거쳐 1754년 1월, 프로이센 왕국프리드리히 대왕에게까지 알려졌다. 국왕은 에르크슬레벤이 할레 대학교에서 시험을 통과하고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대학교 총장의 지원을 받아 에르크슬레벤은 1754년에 논문을 제출했다. 그의 의학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Quod nimis cito ac iucunde curare saepius fiat causa minus tutae curationis|질병의 빠르고 쾌적하지만 그로 인해 불완전한 치료에 관하여la였다.[30] 이 논문에서 그는 당시 의사들이 불필요한 치료법을 너무 성급하게 처방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필요하지 않은 질병에 아편제와 같은 약물을 너무 빨리 처방하는 경향이 있으며, 설사약 사용, 월경 및 배뇨 촉진을 위한 최선의 방법, 그리고 아편제의 올바른 사용법과 복용량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시했다. 에르크슬레벤의 논문은 독일 전역, 특히 건강 문제로 고민하는 여성들 사이에서 빠르게 알려졌다. 그는 더 많은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논문을 라틴어에서 독일어로 직접 번역하기도 했다.

1754년 6월 12일,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은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공식적으로 수여받았다.[27] 이로써 그는 독일 역사상 최초의 여성 의학 박사가 되었다.[7]

2. 3. 2. 말년

1747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남편의 건강이 나빠지면서,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의 가족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했다. 빚을 갚기 위해 에르크슬레벤은 정식 학위 없이 크베들린부르크에서 의술을 시작했으며, 곧 마을 사람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1753년, 네 번째 아이를 임신 중이던 시기에 그가 치료하던 환자 중 한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빌미로 지역의 다른 세 명의 의사들은 그의 의술 행위에 대한 독점권을 지키려는 의도에서[6] 에르크슬레벤을 의료 돌팔이로 고발하고 소송을 제기했다.[1] 증거는 부족했지만, 그는 결국 진료를 계속하는 것이 금지되었다.[1]

이 사건은 법적 공방을 거쳐 1754년 1월 프로이센프리드리히 대왕에게까지 알려졌다. 국왕은 에르크슬레벤이 할레 대학교에서 시험을 치르고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대학 총장의 지원을 받아 그는 1754년에 논문을 제출했다. 그의 의학 박사 학위 논문 "Quod nimis cito ac iucunde curare saepius fiat causa minus tutae curationis|질병의 빠르고 쾌적하지만 그로 인해 불완전한 치료에 관하여la"는 당시 의사들이 불필요한 치료법을 너무 성급하게 처방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의사들이 필요하지 않은 질병에 아편제와 같은 약물을 너무 빨리 처방한다고 지적하며, 설사약 사용, 월경 및 배뇨 촉진을 위한 적절한 개입 방법, 그리고 아편제의 올바른 사용법과 복용량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담았다. 에르크슬레벤의 논문은 독일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으며, 특히 건강 문제로 고민하는 여성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는 더 많은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논문을 라틴어에서 독일어로 직접 번역하기도 했다. 마침내 1754년 6월 12일,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은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독일 최초의 여성 의사가 되었다.[7]

박사 학위를 받은 후에도 에르크슬레벤은 이전과 같이 고향 크베들린부르크에서 환자들을 돌보고 가정을 꾸리는 삶을 이어갔다. 그는 이후 8년 동안 존경받는 의사로서 활동했으며, 1762년 6월 13일 유방암으로 사망했다.[7][2] 그의 장남 요한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에르크슬레벤의 부고에 따르면, 그의 사인은 유방암이었다.[32]

3. 가족

아버지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레폴린은 퀘틀린부르크의 의사였다.[19]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은 남동생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레폴린과 함께 아버지로부터 기초 과학, 라틴어, 의학을 배웠다.[20]

남편 요한 크리스티안 에르크슬레벤(1697년 ~ 1759년)과의 사이에서 4명의 자녀를 두었다.[27] 자녀들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비고
요한 크리스티안 폴리카르프 에르크슬레벤1744년 ~ 1777년장남, 박물학자 및 과학자[20]
크리스티안 알베르트 크리스토프 에르크슬레벤1746년 ~ 1755년차남, 9세에 사망
아나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1750년 ~ 1805년딸, 1777년 루트비히 크리스티안 안톤 비간트(식물학자 알베르트 비간트의 할아버지)와 결혼
요한 하인리히 크리스티안 에르크슬레벤1753년 ~ 1811년막내아들, 법학자


4. 유산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이 사망한 후 약 150년 동안 독일 의학 역사에서 여성 의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독일 제국에서 여성들이 의학, 치과, 약학 분야의 국가 시험에 공식적으로 합격한 것은 1899년 4월 20일이었으며, 프로이센의 대학에 여자 의대생이 입학할 수 있게 된 것은 1908년-1909년 겨울 학기부터였다.

에르크슬레벤은 여성의 고등 교육 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아편 및 의약품의 적절한 사용을 주장하며 시대를 앞서간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업적과 선구적인 정신을 기리기 위해 독일 전역의 여러 교육 기관, 의료 시설, 거리 등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졌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4. 1. 기념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 이후 약 150년 동안 독일 의학계에서 여성 의사를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여성들이 다시 독일 의과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그녀는 여성의 의학 교육 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아편 및 의약품의 적절한 사용을 주장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독일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그녀를 기념하고 있다.

  • 교육 및 의료 기관:
  • 1955년부터 1990년까지 존재했던 크베들린부르크 의과대학은 '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에르크슬레벤'이라는 이름을 가졌다. 1962년부터 이 대학은 "젊은 민족 국가의 외국 시민들"을 위한 훈련소로 알려졌으며, 동독 내에서 독특하게 30개 이상의 국가와 4개 대륙 출신 의료진을 양성했다.[33]
  • 할레의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의학부에는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 학습 센터'가 있다.[36]
  • 크베들린부르크의 '도로테아 크리스티안 에르크슬레벤 수지병원', 괴를리츠의 독일 적십자사 노인 요양원, 크베들린부르크 응용과학대학 및 병원, 베르니게로데 병원 등 여러 의료 및 관련 기관이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4]

  • 군사 시설:
  • 1990년 이후 독일 연방방위군 제13구호업무군이 주둔했던 할레 북쪽의 병영은 2007년 여름 할레 수비대가 해산될 때까지 '도로테아 에르슬레벤 병영'으로 불렸다.

  • 예술 작품:
  • 1970년 할레 출신 화가 하네스 바그너가 도로테아 에르슬레벤의 생애를 묘사한 벽화를 그렸다. 이 벽화는 2007년 빌레펠트 호르네만 연구소의 슈테파니 다넨펠트가 복원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35]
  • 1994년 마리안 트라우프가 제작한 청동 흉상이 할레 대학교 병원에 세워져 그녀를 기념하고 있다.[37][38][39]
  • 크베들린부르크 코른마르크트의 분수 조각상 모음에는 베른트 괴벨이 1986년부터 1989년 사이에 만든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 조각상이 포함되어 있다.[40][41][42][43]
  • 카트린 쉰쾨트하세가 주연을 맡은 독일 뮤지컬 Kein Ort. Erxleben|카인 오르트. 에르크슬레벤de은 그녀의 삶에 대한 예술적 헌사이다.[45]

  • 프로그램:
  • 니더작센주에서는 여성 예술가들이 대학 및 기술 대학 교수 자격을 얻도록 지원하는 '도로테아 에르크슬레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44]

  • 기타:
  • 1987년 9월 17일, 독일 연방 우체국은 '독일 역사 속의 여성 시리즈' 우표 시리즈의 일환으로 그녀를 기리는 60 페니히 우표를 발행했다.
  • 구글은 그녀의 탄생 300주년인 2015년 11월 13일에 이를 기념하는 구글 두들을 공개했다.[47][22]

참조

[1] 웹사이트 Deutschlands erste Ärztin: Wer war Dorothea Christiana Erxleben? https://www.national[...] 2022-03-07
[2] 학위논문 Dorothea Christiana Erxleben (1715 – 1762): Die erste promovierte Ärztin Deutschlands. Eine Analyse ihrer lateinischen Promotionsschrift sowie der ersten deutschen Übersetzung https://opendata.uni[...] Martin Luther University of Halle-Wittenberg 2006
[3] 학술지 Science as a Career in Enlightenment Italy: The Strategies of Laura Bassi https://www.journals[...] 1993
[4] 웹사이트 Erxleben, Dorothea (1715–1762) https://www.encyclop[...]
[5] 웹사이트 Dorothea Leporin-Erxleben https://www.brooklyn[...]
[6] 웹사이트 Women in Natural Sciences https://beam.uni-hal[...]
[7] 웹사이트 Dorothea Erxleben: Deutschlands erste Ärztin https://www.deutschl[...] 2015-11-13
[8] 뉴스 Germany's first female doctor: Dorothea Erxleben, 1715-1762 https://blogs.bl.uk/[...] British Library 2015-11-13
[9] 학술지 Dorothea Leporin Erxleben: German doctor of the Enlightenment https://doi.org/10.1[...] 2024-04
[10] 웹사이트 About Us https://harzklinikum[...] Harz Dorothea Christiane Erxleben website
[11] 웹사이트 Die Dauerserie "Frauen der deutschen Geschichte" http://www.thommyn.d[...]
[12] 웹사이트 Dorothea Christiane Erxleben's 300th Birthday Doodle - Google Doodles https://doodles.goog[...] 2024-05-28
[13] 서적 The Anatomy of Difference: Race and Sex in Eighteenth-Century Science 1990
[14] 서적 Erxleben, Dorothea Duncker & Humblot 1959
[15] 서적 Women Who Teach in Universities Trentham Books 1985
[16]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7] 서적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18] 서적 The mind has no sex?: Women in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19] 웹사이트 Erxleben, [née Leporin] Dorothea (Christiana) - The Palgrave Macmillan Dictionary of Women's Biography http://search.credor[...] 2021-04-06
[20] 웹사이트 Erxleben, Dorothea (1715–1762) Encyclopedia.com. HighBeam Research 2014-11-24
[21] 간행물 Gender, Religion, and Medicine in Enlightenment Germany: Dorothea Christiane Leporin’s Treatise on the Education of Women JSTOR 2008
[22] 웹사이트 Dorothea Christiane Erxleben's 300th Birthday https://www.google.c[...] 2015-11-13
[23] 웹사이트 MDZ-Reader - Band - Gründliche Untersuchung der Ursachen, die das weibliche Geschlecht vom Studieren abhalten / Erxleben, Dorothea - Gründliche Untersuchung der Ursachen, die das weibliche Geschlecht vom Studieren abhalten / Erxleben, Dorothea http://reader.digita[...] 2021-04-06
[24] 서적 Frauen mit Elan. 30 Porträts https://archive.org/[...] Hugendubel
[25] 서적 Ausführlicher Bericht vom Leben und Schrifften des durch gantz Europam berühmten Herrn D. Laurentii Heisteri, allen, die von wahrer Gelehrsamkeit Profession machen, sonderlich denen Herren Medicis zum Dienst publiciret
[26] 서적 Enzyklopädie Medizingeschichte De Gruyter
[27] 웹인용 Dorothea Christiana Erxleben (1715–1762): Die erste promovierte Ärztin Deutschlands. Eine Analyse ihrer lateinischen Promotionsschrift sowie der ersten deutschen Übersetzung http://sundoc.biblio[...] Martin-Luther Universität Halle-Wittenberg 2015-09-23
[28] 웹인용 Vor 300 Jahren geboren Deutschlands erste Ärztin http://www.deutschla[...] 2015-11-13
[29] 웹인용 Johannes Christian ERXLEBEN http://gedbas.geneal[...] 2023-04-20
[30] 서적 Ärzte Lexikon. Von der Antike bis zur Gegenwart Springer
[31] 서적 Anna Würster, die erste privilegierte Medizinerin Schlesiens (1657) Königshausen & Neumann
[32] 문서 Vgl. Erxleben, Friedrich (1789), S. 356.
[33] 서적 Für die Kranken ist das Beste gerade gut genug. Klinikum Dorothea Christinane Erxleben gGmbH, 100 Jahre Geschichte
[34] 웹인용 DRK Altenpflegeheim "Dr. Dorothea Christiane Erxleben" https://www.drk-goer[...] 2023-04-20
[35] 웹인용 Hornemann Institute - Academic thesis https://www.horneman[...] 2023-04-20
[36] 웹인용 Dorothea-Erxleben-Lernzentrum Halle (DELH) https://www.medizin.[...] 2021-07-25
[37] 웹인용 Dorothea Erxleben https://www.halle-im[...] 2023-04-20
[38] 뉴스 Bundestagspräsidentin Süssmuth weihte Erxleben-Büste in Kröllwitz ein 1994-09-26
[39] 서적 Ein Vorbild: Dorothea Christiana Erxleben (1715–1762) https://uvhw.de/file[...] 2013
[40] 웹인용 Denkmal: Persönlichkeiten der Quedlinburger Geschichte https://www.quedlinb[...] 2021-12-29
[41] 웹인용 Quedlinburg - Brunnen am Kornmarkt https://statues.vand[...] 2021-12-29
[42] 웹인용 Das Bunte Lamm http://www.quedlinbu[...] 2021-12-29
[43] 뉴스 Tafeln als Erinnerung Die erste deutsche Doktorin kam aus Quedlinburg 1994-07-21
[44] 웹인용 Dorothea-Erxleben-Programm http://www.mwk.niede[...] 2023-04-20
[45] 웹인용 Kein Ort. Erxleben http://www.keinorter[...]
[46] 웹인용 Dorothea-Erxleben-Straße https://kiel-wiki.de[...] 2021-07-21
[47] 웹인용 Dorothea Christiane Erxleben's 300th Birthday https://www.google.c[...] 2015-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