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센카셀 방백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센카셀 방백국은 1567년 필립 1세의 사망으로 헤센 방백국이 분할되면서 건국되었다. 1604년 영토 확장을 이루었으나, 30년 전쟁 중 스웨덴 편에 서서 가톨릭 황제군에 대항했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군대를 용병으로 대여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한 헤센군은 "헤시안"으로 불렸다. 1803년 헤센 선제후국으로 승격되었으며, 1866년 프로이센에 병합되었다. 1968년 헤센-다름슈타트 가문이 단절된 후에는 헤센카셀 가문이 헤센 가문 전체의 가주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왕가 - 메클렌부르크가
    메클렌부르크가는 독일 북부 메클렌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한 가문으로, 오보트리테스 공작 프리비슬라프에 의해 세워졌으며 영토 분할과 재통합을 거쳐 메클렌부르크 대공의 칭호를 사용하고 스웨덴과 노르웨이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 독일의 근세사 - 질풍노도
    《질풍노도》는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으로, 자연적 개성을 존중하고 감정적 극단과 주관성을 강조하며,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등의 작가들이 반귀족적 경향의 작품을 발표했다.
  • 독일의 근세사 - 개신교 제후동맹
    개신교 제후동맹은 1608년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의 주도로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의 불안정과 가톨릭 세력 확장에 대응하여 결성된 신성 로마 제국 내 개신교 제후들의 연합체였으나, 내부 갈등과 30년 전쟁 초기 중립 선언으로 1621년 해산되었다.
헤센카셀 방백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헤센-카셀 방백령 깃발
깃발
헤센-카셀 가문의 문장 (1736-1803)
문장 (1736–1804)
일반 명칭헤센-카셀
공식 명칭de: Landgrafschaft Hessen-Kassel
de: Hessischen Pfalz (헤센 팔츠)
통용되는 긴 명칭헤센-카셀 방백령
헤센 팔츠
1618년 신성 로마 제국 내 헤센-카셀 위치
1618년 신성 로마 제국 내 헤센-카셀 위치
수도카셀
공용어독일어
헤센어
종교루터교
칼뱅주의 (1605년부터)
정치
정치 체제절대 군주제
작위방백
역사
시작1567년
종료1803년
주요 사건선제후령으로 승격
이전 국가헤센 방백국
이후 국가헤센 선제후국
현재 국가독일
인구
1775년300,000명
지도자
방백빌헬름 4세: 1567–1592년
프레데리크 1세: 1730–1751년
빌헬름 8세: 1751–1760년
프리드리히 2세: 1760–1785년
빌헬름 9세 (1821년까지 헤센 선제후): 1785–1803년

2. 역사

1567년 헤센 방백국이 필립 1세 헤센 방백의 사망으로 분할되면서, 그의 장남 빌헬름 4세가 북쪽 영토와 수도 카셀을 물려받아 헤센카셀 방백국이 성립되었다. 1604년 모리츠 폰 헤센카셀이 루이스 4세 폰 헤센마르부르크로부터 헤센마르부르크 방백국을 상속받아 영토가 확장되었다.

1605년 칼뱅파 신도가 된 모리츠는 30년 전쟁에서 개신교 측으로 참전했다. 헤센다름슈타트 방백국에 영토 일부를 할양한 후 1627년 아들 빌헬름 5세에게 양위했다. 빌헬름 5세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 프랑스 왕국과 동맹을 맺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군 침공으로 헤센카셀 대부분을 잃고 1637년 망명 중 사망했다. 아말리에 엘리자베스 폰 하나우뮌젠부르크가 빌헬름 6세의 섭정을 맡았다.

아말리에 엘리자베스는 황제군을 축출하고 마르부르크를 되찾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샤움부르크 백국과 헤스펠트 주교령을 획득했다. 이후 장자상속제를 도입했으나, 1651년 사망했다.

빌헬름 6세는 1663년까지, 그의 아들 빌헬름 7세는 어린 나이에 사망, 카를이 방백이 되었다. 프레드리크 1세스웨덴 왕으로, 1730년~1751년 동군연합이었다. 1751년 빌헬름 8세, 1760년 프레드리크 2세가 방백이 되었다. 프레드리크 2세는 미국 독립 전쟁 때 헤센군을 파견했다.

1803년 독일 중재화로 헤센 선제후국으로 승격, 빌헬름 1세 칭호를 받았다.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프로이센 왕국 지지를 명분으로 퇴위, 카셀은 베스트팔렌 왕국 수도가 되었다. 1813년 복위, 비엔나 회의 이후 선제후 칭호를 유지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 편이었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패전, 프로이센에 병합되었다. 나사우 공국, 프랑크푸르트 자유시와 헤센나사우 주를 구성했다.

1918년 빌헬름 2세 처남 프리드리히 카를핀란드 왕 추대, 즉위는 못했다. 같은 해 프로이센 자유주 일부, 1944년~1945년 쿠어헤센 주, 1946년부터 독일 연방 공화국 헤센 주 일부가 되었다. 1968년 헤센다름슈타트 가문 단절, 헤센카셀 가문이 헤센 가문 전체 가주 지위 승계했다.

2. 1. 헤센카셀 방백국 성립 (1567년)

필립 1세가 1567년에 사망하면서 헤센 방백국은 그의 네 아들에게 분할되었다. 장남인 빌헬름 4세는 헤센 방백국의 북쪽 영토와 수도 카셀을 물려받아 헤센카셀 방백국을 건국했다. 헤센 가문은 종교개혁 초기부터 독실한 프로테스탄트 가문이었다.[2]

2. 2. 영토 확장 (1604년)

1604년, 모리츠 폰 헤센카셀은 후사가 없이 사망한 숙부 루트비히 4세로부터 헤센-마르부르크 방백령을 상속받아 헤센-카셀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1] 그러나 이러한 강압적인 영토 상속에 사촌 헤센-다름슈타트 방백 루트비히 5세가 반감을 품으면서 분쟁이 시작되었다.[1] 1627년에 모리츠가 퇴위하고 영토의 일부를 할양하면서 일단락되었다.[1]

2. 3. 30년 전쟁 시기 (1618년 ~ 1648년)

1604년 모리츠 폰 헤센카셀은 후사 없이 사망한 숙부 루트비히 4세로부터 헤센-마르부르크를 상속받아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그러나 이 상속은 사촌 루트비히 5세의 반발을 샀고, 이는 분쟁의 시작이었다. 1605년 칼뱅파 신도가 된 모리츠는 30년 전쟁이 발발하자 개신교 진영에 가담했다.[1] 영토 일부를 헤센-다름슈타트에게 할양해야 했던 모리츠는 1627년 아들 빌헬름 5세에게 양위했다.[2]

빌헬름 5세는 스웨덴구스타브 2세 아돌프프랑스 왕국과 동맹을 맺었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군이 침략하면서 헤센카셀의 대부분을 잃었다.[3] 그는 1637년 망명 중 사망했고, 부인 아말리에 엘리자베스 폰 하나우뮌젠부르크가 여덟 살 된 아들 빌헬름 6세를 대신해 섭정을 맡았다.[4]

아말리에 엘리자베스는 헤센카셀의 이익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헤센카셀에서 황제군을 몰아낸 후, 시아버지가 헤센다름슈타트 친척에게 잃었던 마르부르크를 되찾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5]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헤센카셀은 샤움부르크 백국의 대부분과 헤르스펠트 수도원을 보상받았다.[6] 아말리에 엘리자베스는 또한 헤센카셀의 분할을 막기 위해 장자상속제를 도입했으나, 1651년 건강 악화로 사망했다.[7]

2. 4. 17세기와 18세기

빌헬름 6세는 1650년에 성년이 되어 학문과 예술을 후원한 계몽 군주로 알려져 있다.[1] 그는 1663년까지 통치했고, 그의 아들 빌헬름 7세가 뒤를 이었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1] 이후 그의 형제 카를 1세가 방백이 되었다.[1] 카를 1세는 자신의 병력을 외국에 용병으로 고용하여 영지의 재정을 개선하는 정책을 펼쳤다.[1]

프레드리크 1세는 결혼을 통해 스웨덴 국왕이 되었고, 1730년부터 1751년까지 헤센카셀은 스웨덴과 인적 동군 연합 관계에 있었다.[1][2] 프레드리크 1세는 스웨덴에 있었기 때문에, 그의 동생 빌헬름 공이 카셀에서 섭정으로 통치했다.[1]

1751년 프레드리크 1세가 사망한 후, 빌헬름 8세가 방백을 계승했다.[1] 그는 대영 제국의 동맹으로 7년 전쟁에 참전했다.[1] 그의 후임인 프레드리크 2세는 오랜 기간 개신교를 믿던 가문의 전통을 깨고 가톨릭교로 개종했다.[1]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프레드리크 2세는 헤센 병사들을 대영 제국에 임대하여 미국에서 복무하게 했다.[1]

18세기 헤센카셀 방백은 군대를 용병으로 대여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18세기 전체 인구의 7% 이상이 군무에 종사할 정도였다.[2] 헤센카셀 방백의 군대는 유럽 용병 시장의 주요 공급원이었다.[2] 특히 프레드리크 2세는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할 헤센카셀 용병군을 영국 왕 조지 3세에게 대여하여 큰 돈을 벌었다.[2] 미국인들은 영국에 고용된 독일인 용병들을 "헤시안"이라고 불렀다.[2]

2. 5. 헤센 선제후국 시대 (1803년 ~ 1866년)

독일 중재화를 통해 헤센카셀 방백국은 헤센 선제후국으로 승격되었고, 빌헬름 9세는 선제후가 되어 헤센 선제후 빌헬름 1세라는 칭호를 받았다.[9] 그러나 헤센카셀이라는 명칭은 계속 사용되었다.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프로이센 왕국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빌헬름 1세를 폐위시켰다. 카셀은 베스트팔렌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나폴레옹의 동생 제롬 보나파르트가 베스트팔렌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1813년 나폴레옹이 패배한 후 헤센 선제후의 지위는 복원되었다. 빈 회의 이후 많은 선제후국이 왕국으로 승격되었지만, 빌헬름 1세의 왕국 승격 시도는 실패했다.[4] 빌헬름 1세는 옛 헤센 대공국으로부터 영토를 지키기 위해 선제후 칭호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 편에 섰다가 패전하였고, 1866년 헤센 선제후국은 프로이센 왕국에 합병되었다.

2. 6. 프로이센 편입 이후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 편에 섰던 헤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패전하면서, 헤센 선제후국은 프로이센에 병합되었다. 헤센 선제후국은 나사우 공국, 프랑크푸르트 자유시와 함께 프로이센령 헤센나사우 주를 구성했다.

1918년,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처남이자 헤센-카셀 방백 가문의 일원인 헤센-룸펜하임 가문의 프리드리히 카를이 친독적인 핀란드 정부에 의해 핀란드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실제로 즉위하지는 못했다.

같은 해 독일이 공화정으로 전환되면서, 헤센나사우 주는 프로이센 자유주의 일부가 되었다.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 정부는 프로이센 주를 세분화하여 구 헤센-카셀 지역을 쿠어헤센 주로 만들었다. 1946년부터 헤센-카셀 지역은 독일 연방 공화국 (서독) 헤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68년 헤센다름슈타트 가문이 단절되면서, 헤센카셀 가문이 헤센 가문 전체의 가주 지위를 승계하였다. 현재 헤센 가문의 가주는 헤센카셀 가문의 분가인 헤센-룸펜하임 가문의 당주이다.

3. 헤센군

헤센카셀 방백국은 17세기부터 18세기 사이에 군대를 임대해주는 것으로 유명했다. 당시 소국들이 군대를 빌려주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이었으며, 국제법 학자들은 이들을 용병과 보조부대로 구분했다. 용병은 개인 자격으로 외국 군대에서 복무하는 반면, 보조부대는 군주가 다른 군주를 돕기 위해 파견하는 부대였다.[10]

1730년경 헤센카셀은 인구의 5.3%가 군 복무를 할 정도로 강력한 군대를 육성했는데,[11] 이는 당시 프로이센 왕국보다도 높은 복무율이었다.[11] 헤센군은 유럽 강대국들의 예비군으로 복무하는 경우가 많았다.[12] 헤센카셀은 평시에도 인구의 5.3%에서 7.3%를 무장 상태로 유지했으며, 전쟁 시기에는 그 비율이 두 배로 증가했다. 이는 "군대를 가진 국가가 아니라, 국가를 가진 군대"라고 묘사될 정도로 군사화된 프로이센보다[6] 높은 비율이었다.

헤센군이 활약한 대표적인 전쟁은 미국 독립 전쟁으로, 영국군 육군 전체 중 25%가 독일 제후들에게서 임차한 군대였고, 이 중 절반은 헤센하나우 방백국과 헤센카셀 방백국에서 왔다. 미국인들은 영국 육군에서 복무하는 모든 독일인 부대를 헤센군"이라고 불렀다.[13] 미국 독립 전쟁 동안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은 수천 명의 독일군을 임대하여 13개 식민지에서 싸우게 했는데, 그중 절반이 헤센카셀과 인근 헤센-하나우에서 왔다. 이 때문에 식민지 미국의 식민지 주민들은 영국군과 함께 복무하는 모든 독일군을 "헤센군"으로 지칭했다.[8]

4. 역대 통치자

헤센카셀 방백국의 역대 통치자는 다음과 같다:


  • 헤센카셀 방백
  • 헤센 선제후
  • 헤센카셀 가문 가주

4. 1. 헤센카셀 방백

이름재위 기간
빌헬름 4세1568년 ~ 1592년
모리츠1592년 ~ 1627년
빌헬름 5세1627년 ~ 1637년
빌헬름 6세1637년 ~ 1663년
빌헬름 7세1663년 ~ 1670년
카를1670년 ~ 1730년
프레드리크 1세1730년 ~ 1751년
빌헬름 8세1751년 ~ 1760년
프리드리히 2세1760년 ~ 1785년
빌헬름 9세1785년 ~ 1821년


4. 2. 헤센 선제후

이름재위 기간
빌헬름 1세1803년 ~ 1821년
빌헬름 2세1821년 ~ 1847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847년 ~ 1866년


4. 3. 헤센카셀 가문 가주

이름재위 기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847년 ~ 1875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1875년 ~ 1884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884년 ~ 1888년
알렉산더 프리드리히1888년 ~ 1925년
프리드리히 카를1925년 ~ 1940년
필리프1940년 ~ 1980년
모리츠1980년 ~ 2013년
하인리히 도나투스2013년 ~ 현재


참조

[1]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The Global Struggle for National Independence Salamander
[2] 서적 House documents
[3] 서적 Wie's klingt am Rhei' mundartliche Gedichte aus der hessischen Pfalz
[4] 서적 A Guide to Diplomatic Practice https://archive.org/[...] Longmans 1932
[5] 서적 The Hessians: Mercenaries from Hessen-Kassel in the American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 서적 European Warfare, 1660-1815 Routledge 1994
[7] 서적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s https://books.google[...] Blackwell
[8] 서적 The American Pageant Cengage Learning 2012
[9] 서적 A Guide to Diplomatic Practice https://archive.org/[...] Longmans 1932
[10] 서적 The Hessians: Mercenaries from Hessen-Kassel in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1] 서적 European Warfare, 1660-1815 Routledge 1994
[12] 서적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s https://books.google[...] Blackwell
[13] 서적 The American Pageant Cengage Learning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