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자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조자(디아코노스)는 기독교에서 사도들을 돕기 위해 임명된 직책으로, 집사라고도 불린다. 신약성서 사도행전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 교회 자선 사업을 돕는 역할을 했다. 가톨릭, 성공회, 동방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부제의 역할과 서임 방법이 다르며, 성공회에서는 부제 고시를 통과해야 하고, 가톨릭에서는 성직 부제와 종신 부제로 나뉜다. 부제의 결혼 여부, 여성 부제의 존재 여부 등도 교파별로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예배 및 전례 - 아가페 연회
아가페 연회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신도 간의 친교와 사랑을 나누기 위해 가졌던 공동 식사로, 성경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교파에서 여러 형태로 실천되고 있다. - 개신교 예배 및 전례 - 개신교의 예배
개신교 예배는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 예배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성경 봉독, 찬송, 기도, 설교, 성찬, 헌금 등으로 구성되며, 교파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신앙 교육, 공동체 형성, 사회적 책임 수행에 기여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성직자
성직자는 종교 의식을 집행하고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각 종교마다 명칭, 역할, 자격 요건이 다르며, 역사적으로 종교적·정치적 권위를 가지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건강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사제
사제는 신과 신도 사이를 중재하고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종교 지도자로, 다양한 종교에서 예배 집전, 공동체 지도, 종교 건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복장을 갖는다.
보조자 (기독교) | |
---|---|
기독교 직분 | |
![]() | |
직무 종류 | 교회 운영 지원, 봉사, 심방, 교육 등 |
관련 성경 구절 | 사도행전 6:1-7, 디모데전서 3:8-13 |
임명 방식 | 교회 공동체의 추천 및 안수 |
자격 요건 | 성령 충만, 지혜, 믿음, 존경받는 인격 |
역할 | 목회자와 함께 교회 운영, 봉사 활동 주도, 교인 심방 및 교육 담당 |
어원 및 역사 | |
어원 | 그리스어 "디아코노스" (διάκονος, diakonos, 섬기는 자, 조력자) |
로마자 표기 | diakonos |
한자 표기 | 執事 (집사) |
일본어 표기 | 執事 (しつじ, shitsuji) |
영어 표기 | deacon |
기원 | 사도 시대 (초대 교회) |
역사적 역할 | 가난한 자 구제, 병자 간호, 과부 돌봄 등 |
교파별 특징 | |
개신교 | 봉사 직분, 교회 운영 참여, 여성 안수 가능 (교단에 따라 다름) |
천주교 | 성직, 남성만 가능, 사제 서품 전 단계 (부제) 또는 종신 부제 |
정교회 | 성직, 남성만 가능, 부제 |
직무 | |
일반적인 역할 | 교회 내 다양한 봉사 활동, 목회 지원, 교인 심방, 교육 |
세부 역할 (교회마다 다름) | 예배 준비 및 안내 헌금 관리 교회 재정 관리 구제 사역 새 신자 돌봄 교회 학교 지원 지역 사회 봉사 |
자격 | |
일반적인 자격 요건 | 신앙심, 봉사 정신, 성령 충만, 지혜, 인격 |
구체적인 자격 요건 (교단 및 교회마다 다름) | 일정 기간 이상의 세례 교인 일정한 연령 이상 신학 교육 이수 (일부 교단) 가정 생활의 모범 |
임명 | |
임명 절차 | 교회 공동체의 추천 또는 선출 목회자의 추천 안수 (按手) |
임기 | 교회 규정에 따름 (종신, 연임, 순환 등) |
2. 보조자의 유래
"집사"라는 단어는 "하인", "시중꾼", "사역자", 또는 "전령"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고대 그리스어 단어인 그리스어 (διάκονοςgrc)에서 유래되었다.[1][2] 최근 연구에서는 집사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협력자"이자 "중개인"으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강조한다.[3]
일반적으로 집사의 직무는 사도행전 6장에 기록된 바와 같이, 초기 교회의 자선 사업을 돕기 위해 사도들이 스테파노를 포함한 일곱 명의 남자를 선택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4][5][6] 그러나 새로운 연구에서는 집사의 역할이 돕는 것이었지만, 순수한 자선 사업보다는 전례, 가르침 및 지도자적 기능을 더 많이 포함했다는 점을 강조한다.[7]
로마서 16장 1–2절[8]에는 뵈뵈라는 여성이 겐그레아 교회에서 집사 또는 여집사()로 언급된다. 여집사는 로마 작가 대 플리니우스가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언급된다. 이것은 여성 집사를 기독교 사역의 별개의 범주로 언급하는 것으로 보이는 가장 초기의 라틴어 텍스트이다.[9]
집사에게 요구되는 자질에 대한 성경적 설명은 디모데전서 3장 1–13절에 나와 있다.[10][11] 314년 아를 공의회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예외적인 경우에도 집사가 성찬례를 주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2]
역사상 가장 두드러진 집사들은 다음과 같다.
- 스테파노, 최초의 기독교 순교자
- 빌립, 에티오피아 내시의 세례에 대한 이야기가 사도행전 8:26–40에 기록되어 있다.[13]
- 뵈뵈, 로마서에 언급됨
- 로렌스, 초기 로마 순교자
- 사라고사의 빈센트, 스페인의 원 순교자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프란치스코회 창시자
- 에프렘 시리아인
- 로마노스 멜로두스, 초기 찬송가 작가
집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더 높은 직책으로 진출한 주요 역사적 인물로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토마스 베켓, 레지날드 폴 등이 있다. 536년 6월 8일, 로마의 집사였던 실베리오가 교황 실베리오로 추대되었다.
『신약성경』에 수록된 『빌립보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1장 1절 등에 나타나는 '''"디아코노스"'''(그리스어: διακονοςel)의 번역어이다.[57] 이는 전통적으로 『사도행전』 6장에 등장하는 일곱 사람에게 부여된 공동체의 일상적인 식량 분배 등을 담당하는 직책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58][59][60]
2. 1. 신약성서
신약성서의 사도행전에 따르면 사도들은 자신들을 도울 7명의 보조자(디아코노스)를 임명했는데, 그들을 보조자라고 한다. 실례로 보조자를 의미하는 Deacon은 일꾼, 행정가를 의미하는 헬라어 디아코노스에서 나온 말이다. "집사"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διάκονοςgrc)에서 유래되었으며,[1] 이는 "하인", "시중꾼", "사역자", 또는 "전령"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고대 그리스어 단어이다.[2]일반적으로 집사의 직무는 사도행전 6장에 기록된 바와 같이, 초기 교회의 자선 사업을 돕기 위해 사도들이 스테파노를 포함한 일곱 명의 남자를 선택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4][5][6]
그리스어 (διακόνισσαgrc), 즉 여집사를 의미하는 단어는 성경에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로마서 16장 1–2절[8]에는 뵈뵈라는 여성이 겐그레아 교회에서 집사 또는 여집사()로 언급된다.
『신약성경』에 수록된 『빌립보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1장 1절 등에 나타나는 '''"디아코노스"'''(그리스어: διακονοςel)의 번역어이다.[57] 이는 전통적으로 『사도행전』 6장에 등장하는 일곱 사람에게 부여된 공동체의 일상적인 식량 분배 등을 담당하는 직책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58][59][60] 공동번역 성서에서는 "'''봉사자'''"로 번역되었다. 이는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16장 1절에 등장하는 뵈뵈의 신분에 대해, 여성이 성직에 오르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가톨릭교회 측 번역 위원들의 의향이 작용한 결과로 여겨진다.[61]
2. 2. 교회사
1세기 이후, 교황 클레멘스 1세 시대에 보조자는 주교를 보좌하며 여러 광범위한 일을 하였다. 그 이후 보조자는 각 교구의 7명으로 국한되었으며, 이 전통이 이어져 교황을 직접 보좌하는 7개 교구의 교구장이 주교급 추기경으로 인정되었다.[27]3. 교파별 역할
스칸디나비아 루터교에서는 감독, 사제, 집사의 세 직무가 있다.[27] 1960년대까지 스웨덴 교회의 집사는 독신이어야 했다.[27] 집사는 서품 시 육체적 또는 영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고, 모든 사람의 권리를 옹호하며, 억압받는 자 곁에 서서, 하나님의 백성에게 모든 선행을 권하여 하나님의 사랑이 세상에 드러나도록 하는 서약을 맺는다.[27] 또한 서품받은 집사는 육체적 또는 영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방문하고 지원하며, 신앙 안에서 기독교적 양육과 가르침을 제공하고, 교구와 사회 전반에 걸쳐 자비의 표식이 되며, 모든 일에서 이웃 안에서 그리스도를 섬기는 은사를 받는다.[27]
일본어에서 집사에 해당하는 번역어는 교파에 따라 다르다. 가톨릭교회와 정교회에서는 '''부제'''(각각 부제, 호사이)라고 칭한다.[58]
『신약성경』의 "집사"는 공동번역 성경에서 채택된 번역어이며, 공동번역 성서에서는 "'''봉사자'''"로 번역되었다. 이는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16장 1절에 등장하는 ""의 신분에 대해, 여성이 성직에 오르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가톨릭교회 측 번역 위원들의 의향이 작용한 결과로 여겨진다.[61]
3. 1.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보조자는 주교와 사제의 권한인 미사 집전, 견진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조병성사), 성품성사(신품성사) 집전을 할 수 없다. 성공회와 완전한 상통 관계에 있는 유럽의 올드 가톨릭(Old Catholic), 북유럽 루터교회도 마찬가지이다.[27]성공회 부제는 세례를 집전할 수 있으며, 일부 교구에서는 교구 사제와 주교의 지시에 따라 결혼을 주례할 수 있는 면허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성찬례를 주례할 수는 없으며(이미 축성된 성찬 요소를 분배하는 예배는 허용될 수 있음), 죄의 용서를 선언하거나 삼위일체 축복을 선언할 수도 없다.[30]
성공회 부제는 성가대 복(choir dress)을 착용하는데, 칼라, 설플리스, 티핏(tippet), 학위 후드 등은 사제와 동일하다. 다만 전례 시에는 왼쪽 어깨에 영대(stole)를 착용하고 허리 오른쪽에서 묶는다는 점이 다르다. 달마티카를 착용하기도 한다.[29]


3. 1. 1.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보조자는 영성체, 미사에 참석하지 못한 병자들을 위한 영성체(봉성체), 성경 낭독(독서), 강론, 본당 행정 보조, 평신도 사도직 수행, 혼배, 장례 예절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한다.[14] 5세기경부터 라틴 교회에서 부제의 영구적인 직분으로서 역할이 점차 쇠퇴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권고와 요셉회의 주도로, 1967년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령을 발표하여 사제 서품을 받지 않는 남성에게 부제 서품을 주는 관행을 부활시켰다.영구 부제직에 대한 형성 기간은 지역 관할권자에 의해 결정되며 교구마다 다르지만, 보통 기도의 준비 기간과 수년간의 학업을 수반한다.[16] 미사 동안 부제의 책임은 사제를 돕고, 복음을 선포하며, 보편 지향 기도를 선포하고, 성체를 분배하는 것이다. 또한 강론을 설교할 수도 있다.[20] 부제는 사제 및 주교와 마찬가지로 세례 성사의 통상적인 집전자이며, 미사 밖에서 혼인 성사에도 증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미사 밖에서 장례 예식을 인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묘지에서 마지막 권고를 하거나 장례식장에서 시신을 맞이할 수 있고, 진혼 미사에서 사제를 도울 수 있다. 성체 강복과 같은 다양한 예식을 주례할 수 있으며, 특정 축복을 줄 수도 있다.
부제는 신학생, 수도자, 주교, 사제와 마찬가지로 시간 전례를 바치지만, 보통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만 바치도록 요구된다.[25]
3. 1. 2. 성공회
성공회에서 부제는 주교와 사제의 감사성찬례(미사)를 보조한다. 감사성찬례 집전시 보조자는 복음서 낭독, 대도(교회와 사회를 위한 기도), 설교를 할 수 있다. 성공회에서 부제는 감사성찬례를 보조할 때, 예복 위에 걸치는 띠인 영대를 교차하여 맨다.[27]잉글랜드 교회와 잉글랜드 자유 교회 같은 성공회 교회에서 부제는 성공회 사제와 마찬가지로 서품 전후에 자유롭게 결혼할 수 있다. 대부분의 부제는 "과도기적 부제"로, 사제직을 준비하고 있으며 보통 부제 서품 후 약 1년 후에 사제로 서품된다. 그러나 사제 서품을 받지 않고 부제로 남을 소명을 인식하는 부제도 있다.[28][29]
성공회 부제는 세례를 집전할 수 있으며, 일부 교구에서는 교구 사제와 주교의 지시에 따라 결혼을 주례할 수 있는 면허를 받는다. 부제는 성찬례를 주례할 수 없으며(이미 축성된 성찬 요소를 분배하는 예배는 허용될 수 있음), 죄의 용서를 선언하거나 삼위일체 축복을 선언할 수도 없다.[30]
성공회 부제는 성공회 사제와 동일한 성가대 복(choir dress)을 착용한다. 칼라, 설플리스, 티핏(tippet), 학위 후드를 착용한다. 그러나 전례적으로 부제는 보통 왼쪽 어깨에 영대(stole)를 착용하고 허리 오른쪽에서 묶는다. 이는 설플리스와 알바 위에 모두 착용한다. 부제는 또한 달마티카를 착용할 수 있다.[29]
3. 2. 개신교회
개신교에서는 만인제사장 설에 따라 집사의 지위가 평신도의 직분으로 바뀌면서 교회의 일상적인 운영에 참여하는 형태로 그 성격이 바뀌었다.[69]스코틀랜드 교회에는 훈련받고 봉급을 받는 목회자와 영구적인 집사 직분(1988년부터 남성도 임명), 두 가지 뚜렷한 집사 직분이 있다. 집사 직분과 목사 직분은 현재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열려 있으며, 집사들은 안수를 받는다.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1843–1900)에 속했던 회중에는 "집사 법정"이 있어 회중의 재정 및 행정 감독을 담당했다. 소수의 회중만이 이 헌법 모델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모델 헌법"(교회 회의와 회중 위원회) 또는 "단일 회중"(교회 회의만 있음)을 채택했다.
100개 이상의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1900년 이후) 잔존 회중은 스코틀랜드 자유 장로교회, 연합 장로교회[37] 및 스코틀랜드 개혁 장로교회의 회중과 함께 장로와 집사 모두를 안수하며, 집사는 회중의 재정 및 재산, 자비 사역에 참여한다.[38] 장로와 집사 모두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에 서명해야 한다.[39]
장로교회에서의 집사는 칼뱅이 제창한 교회의 4직(목사, 신학 교사, 장로, 집사) 중 하나이다. 교회 회계, 성찬 준비 봉사 및 상호 부조·복지 등의 분배를 담당하며 평신도 직분이다.
회중교회에서 집사는 교회(하나님과 교인)를 섬기는 자를 의미하는 평신도 직분이다. 만인 제사장주의에 따라, 임원도 어디까지나 직책일 뿐 특별한 직책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교파에서 말하는 감독이나 장로와 같은 직책도 모두 포함하여 교회를 섬기는 자, 즉 집사로 한다.
3. 3.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
부제는 성찬예배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한다.[63] 복음서를 선포하고 성찬을 분배하는 것을 돕는 것 외에도, 향로로 성상과 사람들에게 분향하고, 사람들을 기도에 부르며, 간구를 인도하고, 아나포라의 대화에 참여한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동방 교회에서는 부제가 결혼 예식을 주례할 수 없는데, 이는 동방 신학에서 성사가 사제의 축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부제는 성찬예배에서 스태하리, 오라리, 포루치를 착용한다.

수석 부제(교회 그리스어: πρωτοδιάκονοςgrc , "첫 번째 부제")는 일반적으로 교구 주교의 참모로 봉사하는 고참 부제에게 수여되는 명예 직위이다.
3. 4. 스칸디나비아 루터교
스칸디나비아 루터교에서는 "감독, 사제, 집사"의 삼중 직무가 있다.[27] 집사의 경우, 서품 시 맺는 서약에는 육체적 또는 영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을 찾고 돕는 것, 모든 사람의 권리를 옹호하며 억압받는 자 곁에 서는 것, 하나님의 백성에게 모든 선행을 권하여 하나님의 사랑이 세상에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27]4. 교파별 서임 방법
보조자(Deacon)는 주교의 성직 서임을 통해 직위가 부여된다. 성찬례를 집행할 수는 없지만, 주교의 허가가 있으면 분찬을 행할 수 있다.
4. 1. 성공회
성공회에서 부제가 되려면 부제 고시에 합격 후 부제 서품을 받아야 한다. 부제 고시에 응시하려면 성공회대학교 신학대학원 성직과정 또는 국외 성공회가 설립한 신학대학원 성직과정을 졸업해야 하며, 부제고시 과목은 성서통독, 성공회 신학과 교리, 예전학, 헌장과 법규, 선교학, 성공회사이다.[70] 성공회에는 종신부제가 있다.성공회에서의 집사는 가톨릭교회의 부제와 가깝다. 주교의 성직 서임을 통해 직위가 부여된다. 성찬례를 집행할 수 없다. 단, 주교의 허가가 있으면 분찬을 행할 수 있다. 예배 시 복장은 사제와 매우 유사하지만, 스톨(스트라)를 왼쪽 어깨에서 비스듬히 걸치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4. 2.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에서는 부제가 되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성직 부제로서 사제가 되고자 하는 신학생들이 사제가 되기 전 1년에서 2년 동안 부제 서품을 받고 부제 활동을 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종신 부제로서 사제가 되고자 함이 아니라 종신토록 부제가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수여되는 직책이다. 초기교회의 전통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부활하여 생긴 직책으로 4년간의 신학교 수업 후에 부제로 서품된다. 이 제도는 유럽과 미국에 널리 퍼져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5. 부제의 결혼
가톨릭에서 성직부제의 경우 결혼이 절대 불가능하며, 종신부제의 경우 비혼자와 기혼자 모두 부제서품을 받을 수 있다. 미혼자가 종신부제품을 받으면 결혼이 절대 불가능하며, 기혼자는 만 35세 이상이어야 하고 배우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또한 배우자가 사망한 후에는 재혼할 수 없다.[71]
동방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에서는 부제가 되기 전의 결혼만 인정한다.[71]
성공회와 북유럽 루터교회에서는 하느님께서 성직자의 결혼을 금하지 않았다는 신앙에 따라 부제의 결혼이 가능하다. 사제와 주교도 결혼할 수 있다.[71]
6. 여집사
침례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장로(목사)와 집사, 두 가지 안수된 직분을 인정한다. 그러나 여성에게 집사 또는 여집사 직분을 허용하는 침례교회도 있는데, 주로 영국과 미국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 및 신학적으로 온건한 교회에서 찾아볼 수 있다.[8] 일부 아프리카계 미국인 선교 침례교 교회와 미국 전국 침례교회 소속 교회에서는 남성과 여성 집사가 하나의 위원회로 봉사하기도 한다.[8] 한편, 집사와 여집사 위원회를 별도로 두는 교회도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deacon
http://www.bartleby.[...]
Bartleby
2008-08-17
[2]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2007-10-18
[3]
서적
Diakonia - Reinterpreting the Ancient Source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Deacons and Diakonia in Late Antiquity, The Third Century Onwards
Mohr Siebeck
2024
[4]
bibleverse
Acts
[5]
CathEncy
Deacons
2007-10-18
[6]
웹사이트
Holy Orders
http://www.oca.org/O[...]
2007-10-18
[7]
서적
Deacons and Diakonia in Late Antiquity, The Third Century Onwards
Mohr Siebeck
2024
[8]
bibleverse
Romans
[9]
서적
Ordained Women in the Early Churc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bibleverse
1 Timothy
[11]
웹사이트
Deacon, Deaconess - Bible Meaning & Definition - Baker's Dictionary
https://www.biblestu[...]
[12]
웹사이트
The Diacinate: Evolution and Prospects
https://www-vatican-[...]
[13]
bibleverse
Acts
[14]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Permanent Diaconate
https://www.rcan.org[...]
2019-07-04
[15]
웹사이트
A few additional observations
http://www.ewtn.com/[...]
2008-08-31
[16]
웹사이트
Diocese of Rochester deacons guide potential candidates
https://catholiccour[...]
2022-08-12
[17]
웹사이트
USCCB Diaconate FAQ – Section 5 'Is a Deacon ordained for the Parish or the Diocese?'
http://www.usccb.org[...]
2008-03-09
[18]
문서
Canon 281 § 3.
[19]
문서
Details about the permanent diaconate in the United States are outlined in a 2005 document of th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National Directory for the Formation, Ministry and Life of Permanent Deacons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Divine Worship
http://www.usccb.org[...]
2018-04-26
[21]
웹사이트
Sacrum Diaconatus Ordinem
https://www.vatican.[...]
Holy See
2018-04-26
[22]
문서
National Directory for the Formation, Ministry and Life of Permanent Deacons in the United States
[23]
간행물
Church of Our Lady of Sorrows
Deacon Trinidad Soc
2015-05-03
[24]
문서
The Official Catholic Directory 2013
[25]
서적
The Deacon's Ministry
https://archive.org/[...]
Gracewing Publishing
1992
[26]
웹사이트
Etiquette and Protocol
http://www.goarch.or[...]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2009-03-21
[27]
웹사이트
Ministry and Ministries
https://www.svenskak[...]
"[[Church of Sweden]]"
2021-05-12
[28]
웹사이트
Distinctive Deacons
https://www.sheffiel[...]
2022-05-31
[29]
웹사이트
What is a Distinctive Deacon? Answering some questions
https://cofedeacons.[...]
2022-05-31
[30]
웹사이트
The Christian Faith: Ch 63 – Ordination – (2) As a Sacrament
http://www.katapi.or[...]
2018-04-26
[31]
웹사이트
About the Network
https://cofedeacons.[...]
2022-05-30
[32]
웹사이트
Deacons and Diaconal Ministers
http://www.gbhem.org[...]
General Board of Higher Education and Ministry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7-02-23
[33]
문서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8
[34]
웹사이트
Deacons and Presbyters
http://methodistdiac[...]
Methodist Diaconal Order
2017-02-23
[3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DO
http://methodistdiac[...]
Methodist Diaconal Order
2017-02-23
[36]
웹사이트
The Order of Deacons
https://www.methodis[...]
The Methodist Church of Southern Africa
[37]
웹사이트
Inverness APC {{!}} Associated Presbyterian Church - Associated Presbyterian Churches
https://www.apchurch[...]
2018-04-18
[38]
웹사이트
Act 7, 1846 (VII) (Class 1) - Act anent the Duties of Elders and Deacons. 30th May 1846.
https://freechurch.o[...]
2024-12-01
[39]
웹사이트
Constitution
https://www.rpcscotl[...]
2024-12-01
[40]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Deaco
http://old.tenth.org[...]
2005
[41]
웹사이트
Book of Church Order (BCO)
http://www.pcaac.org[...]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Administrative Committee
2018-04-26
[42]
서적
Commentary on the Basis of Union
Uniting Church Press
[43]
간행물
Questions From Readers
The Watchtower
1962-06-15
[44]
간행물
Those 'Acquiring a Fine Standing'
Our Kingdom Ministry
1978-09
[45]
간행물
Congregations for Building Up in Love and Unity
Doing God's Will
1986
[46]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womendeac[...]
2011-03-02
[47]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womendeac[...]
2011-03-02
[48]
백과사전
Deaconesse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7-06-23
[49]
문서
Ministry of Women in the Early Church
[50]
서적
Deaconesses: An Historical Study
Ignatius Press
[51]
웹사이트
Francis institutes commission to study female deacons, appointing gender-balanced membership
https://www.ncronlin[...]
2018-04-26
[52]
웹사이트
Historic Ordination: Tehran Prelacy of the Armenian Church Ordains Deaconess
https://armenianweek[...]
2018-01-16
[53]
웹사이트
Breaking with tradition, Greek Orthodox Church ordains first woman deacon in Africa
https://internationa[...]
2024-05-13
[54]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Ordains Female Deacon
https://www.ncregist[...]
2024-05-09
[55]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Church ordains Zimbabwean woman as its first deaconess
https://www.christia[...]
[56]
웹사이트
執事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4-11
[57]
웹사이트
Strong's Greek: 1249. διάκονος (diakonos)
https://biblehub.com[...]
2020-04-10
[58]
웹사이트
助祭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ジャパン
2020-04-11
[59]
백과사전
カトリック百科事典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New Advent
2020-04-10
[60]
문서
助祭
[61]
서적
新約聖書の女性観
岩波書店
[62]
문서
正教会の執事は他教派の教会役員に相当する。
[63]
웹사이트
かたち-聖職者と修道士: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s://web.archive.[...]
2020-04-11
[64]
문서
プロテスタント諸教派や聖公会の「執事」、カトリック教会の「助祭」。
[65]
문서
キリスト教綱要
[66]
문서
組織神学
聖書図書刊行会
[67]
문서
岡田稔著作集
いのちのことば社
[68]
웹인용
부제, 종교학대사전
https://terms.naver.[...]
2020-04-12
[69]
저널
종교개혁과 교회직분의 개혁: 개혁파 신학을 중심으로
https://www.kci.go.k[...]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8-04
[70]
뉴스
2007년도 6차 전국성직고시 실시, 성공회 신문 2007.9.2. 1면
[71]
성경
디모데전서 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