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틸라 카타콤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틸라 카타콤베는 로마에 있는 고대 지하 묘지 중 하나로, 플라비아 도미틸라가 소유한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2세기에서 4세기에 걸쳐 확장되었다. 이 카타콤베는 초기 기독교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로, 암플리아토의 큐비클, 플라비 아우렐리, 플라비 가문의 지하묘소 등 여러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4세기에는 바실리카와 남쪽 및 남서쪽 지역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카타콤베 내부에는 다양한 성경적, 이교적 인물과 장면을 묘사한 프레스코화가 있으며, 현재는 성언회가 관리하며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복원 작업을 통해 이교와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프레스코화가 드러나 초기 기독교 시대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건축물 - 스타디오 올림피코
스타디오 올림피코는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60년 하계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AS 로마와 SS 라치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와 문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로마의 건축물 - 인술라
인술라는 고대 로마 시대 도시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다층 임대 주택으로, 하층에는 상점, 상층에는 주거 공간이 마련되었으나, 건축 한계로 화재와 붕괴에 취약하고 사회 문제도 야기했다. - 로마의 관광지 -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원주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원정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 기둥으로, 나선형 부조로 그의 업적을 묘사하며 내부 계단을 통해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 로마의 관광지 - 팔라티노 언덕
팔라티노 언덕은 로마 신화에서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자란 곳으로 묘사되며 로마 건국과 관련이 깊고, 로마 제국 시대에는 황궁이 위치했던 이탈리아 로마의 언덕이다.
도미틸라 카타콤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도미틸라 카타콤베 |
위치 | 이탈리아 로마 |
설명 | 로마의 카타콤베 중 하나 |
역사 | |
기원 | 로마 기독교인들이 묻힌 곳 |
특징 | |
벽화 | 선한 목자 그림 등 다양한 벽화 존재 |
구조 | 지하 묘지 |
기타 | |
관련 링크 | 로마 박물관 카타콤베 정보 도미틸라 카타콤베 안내 책자 |
2. 역사
도미틸라 카타콤베는 로마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카타콤베 중 하나로, 베스파시아누스 황가의 플라비아 도미틸라(클레멘스의 아내)가 소유한 부지에 건설되었다. 로마 주변 지역은 투파(tufa)라 불리는 연질 석회암 지형으로 카타콤베 건설에 적합했다. 화산 지형 덕분에 지하 갤러리 건설과 지하묘소(Hypogeum) 확장이 용이했다.[3]
이 지하 묘지는 2세기와 3세기 사이에 조성되었으며, 세 개의 주요 지역으로 구성된다.[3]
2. 1. 초기 역사
로마 주변 지역은 투파(tufa)라 불리는, 다양한 경도를 가진 연질 석회암의 일종으로 다공성 지형을 이루고 있어 카타콤베 건설에 적합했다. 화산 지형 덕분에 지하에 갤러리를 파고 기존 지하묘소(Hypogeum)를 확장하기가 용이했다.[3]베스파시아누스 황가의 플라비아 도미틸라(클레멘스의 아내)가 소유한 부지에 건설된 이 카타콤베는 로마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카타콤베 중 하나이다. 거대한 지하 묘지의 핵심부터 구성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단계와 발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4]
2세기와 3세기 사이에 조성된 이 지하 묘지는 세 개의 주요 지역으로 구성된다.[3] 첫 번째 지역에는 암플리아토의 큐비클(Cubicle of Ampliato)이 있는데, 이는 지하묘소(hypogeum)를 판 황제의 해방 노예(Freedman) 가족에게 속한 것이었다. 이 광대한 공간은 산사태를 지탱하는 아치(Vault (architecture))로 두 부분으로 나뉜다.[3] 큐비클의 장식은 가족 구성원 각자가 안치되면서 여러 차례 덧칠되었다. 두 번째 지역에는 플라비 아우렐리(Flavi Aureli)가 있는데, 그 입구 계단은 4세기에 바실리카 건설로 인해 파괴되었다.[3] 플라비 아우렐리는 "행복한 안니오(Happy Annio)"를 언급하는 비문과 온전한 묘지를 갖춘 이중 큐비클이다.[4] 세 번째 지역에는 플라비 가문의 호화로운 지하묘소(hypogeum)와 순교자 무덤이 있는 또 다른 지역이 있다.[3]
3. 건축
도미틸라 카타콤은 로마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카타콤 중 하나로, 베스파시아누스 황가의 플라비아 도미틸라가 소유한 부지에 건설되었다.[4] 로마 주변은 투파(tufa)라 불리는 연질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카타콤 건설에 적합했으며, 화산 지형 덕분에 지하 갤러리를 파고 기존 지하묘소(Hypogeum)를 확장하기 용이했다.[3]
2세기와 3세기 사이에 조성된 이 지하 묘지는 세 개의 주요 지역으로 구성된다.[3]
- 첫 번째 지역은 암플리아토의 큐비클(Cubicle of Ampliato)로, 지하묘소를 판 황제의 해방 노예(Freedman) 가족에게 속한 것이었다. 이 광대한 공간은 아치(Vault (architecture))로 두 부분으로 나뉜다.[3]
- 두 번째 지역은 플라비 아우렐리(Flavi Aureli)인데, 4세기에 바실리카 건설로 입구 계단이 파괴되었다.[3] 플라비 아우렐리는 "행복한 안니오(Happy Annio)"를 언급하는 비문과 온전한 묘지를 갖춘 이중 큐비클이다.[4]
- 세 번째 지역은 플라비 가문의 호화로운 지하묘소(hypogeum)와 순교자 무덤이 있는 곳이다.[3]
4세기에 바실리카와 남쪽 및 남서쪽 지역 두 곳이 추가 건설되었다. 남쪽 지역에는 다각형 큐비클에 안치된 여섯 명의 성인 묘소가 있는데, 그중 하나에는 성인의 대관식 장면을 묘사한 프레스코화가 있다.[3] 남서쪽 지역은 규칙적인 갤러리와 "위대한 사도들(great apostles)"의 큐비클로 구성된다.[3] 4세기 말에는 "빵 굽는 사람의" 칸막이(Cubicle dei fornai)가 발견되었는데, 빵 굽는 사람 또는 식량 공급 감독 고위 관리의 무덤일 가능성이 높다.[13] 2세기 말, 이 유적지의 가장 오래된 중심부에 해당하는 플라비우스 지하묘(Hypogeum of Flavi)는 가족 중 가장 중요한 구성원들의 석관을 보관하는 네 개의 벽감이 있는 큰 통로로 이루어져 있다.[16]
도미틸라 카타콤 내부에는 복원 작업을 통해 제빵사의 삶을 반영하는 이미지,[7] 포도나무, 사도들과 함께 있는 예수, 노아의 방주, 사자들과 함께 있는 다니엘이 있다.[7] 큐비쿨라에는 아기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8] 아담과 이브, 요나, 착한 목자, 베드로와 바울과 함께 있는 추기경 복장을 한 젊은이가 있다.[9] 비성경적 또는 이교도적 인물로는 날개 달린 여성 형태의 봄과 여름의 표현이 있는데, 모두 시중드는 사람들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9] 오르페우스[10]가 새, 짐승, 양들에 둘러싸여 있는 장면도 있다.[11]
3. 1. 대성당 (Basilica)

4세기 말 다마수스 1세 교황 재위 시절 이 단지에 성 네레우스와 아킬레우스에게 봉헌된 반지하 대성당이 추가되었다.[4] 이 교회는 초기 중세 시대에 사실상 소실되었다가 1870년대에 고고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데 로시에 의해 재발견되었다.[5]
이 대성당은 현관, 세 개의 신랑, 앱스로 구성되며 두 줄의 네 개의 기둥으로 구분된다.[4] 제단에는 아킬레우스의 참수 장면으로 장식된 기둥 하나만 남아 있다.[4] 제단 뒤에는 아르코솔리움이 있는 쿠비쿨룸이 있는데, 그곳에는 성 페트로닐라의 프레스코화가 있다.[6] 일반적으로 역사가들은 페트로닐라를 로마의 성녀 또는 순교자로 간주하며, 사도 베드로의 딸로 여겨지고 프랑크족에게 존경받았다.[6] 그녀의 유해는 도미틸라에서 옮겨져 프랑크 왕의 주장에 따라 바티칸으로 옮겨졌지만, 페트로닐라의 신앙은 네레우스와 아킬레우스의 지하 대성당에서 기념되었고, 그녀의 전기는 그들의 수난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6]
3. 2. 큐비클과 갤러리 (Cubicles/Galleries)
로마 주변 지역은 투파(tufa)라 불리는 연질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카타콤베 건설에 적합했다. 화산 지형 덕분에 지하 갤러리를 파고 기존 지하묘소(Hypogeum)를 확장하기가 용이했다.[3]베스파시아누스 황가의 플라비아 도미틸라(클레멘스의 아내)가 소유한 부지에 건설된 이 카타콤베는 로마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카타콤베 중 하나이다. 거대한 지하 묘지의 핵심부터 구성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단계와 발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4]
2세기와 3세기 사이에 조성된 이 지하 묘지는 세 개의 주요 지역으로 구성된다.[3]
- 첫 번째 지역에는 암플리아토의 큐비클(Cubicle of Ampliato)이 있는데, 이는 지하묘소(hypogeum)를 판 황제의 해방 노예(Freedman) 가족에게 속한 것이었다. 이 광대한 공간은 아치(Vault (architecture))로 두 부분으로 나뉜다.[3] 큐비클의 장식은 가족 구성원 각자가 안치되면서 여러 차례 덧칠되었다.
- 두 번째 지역에는 플라비 아우렐리(Flavi Aureli)가 있는데, 그 입구 계단은 4세기에 바실리카 건설로 인해 파괴되었다.[3] 플라비 아우렐리는 "행복한 안니오(Happy Annio)"를 언급하는 비문과 온전한 묘지를 갖춘 이중 큐비클이다.[4]
- 세 번째 지역에는 플라비 가문의 호화로운 지하묘소(hypogeum)와 순교자 무덤이 있는 또 다른 지역이 있다.[3]
4세기에 바실리카와 남쪽 및 남서쪽 지역 두 곳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 남쪽 지역에는 다각형 큐비클에 안치된 여섯 명의 성인의 묘소가 있는데, 그중 하나에는 성인의 대관식 장면을 묘사한 프레스코화가 있다.[3]
- 남서쪽 지역은 규칙적인 갤러리와 "위대한 사도들(great apostles)"의 큐비클로 구성된다.[3]

도미틸라 카타콤 내부에는 복원 작업을 통해 드러난 제빵사의 삶을 반영하는 이미지,[7] 포도나무, 사도들과 함께 있는 예수, 노아의 방주, 사자들과 함께 있는 다니엘이 있다.[7] 다양한 큐비쿨라에 있는 다른 성경 인물로는 아기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8] 아담과 이브, 요나, 착한 목자, 사도 베드로와 바울과 함께 있는 추기경 복장을 한 젊은이가 있다.[9] 비성경적 또는 이교도적 인물로는 날개 달린 여성 형태의 봄과 여름의 표현이 있는데, 모두 시중드는 사람들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9] 오르페우스[10]가 새, 짐승, 그리고 그를 항상 따라다니는 양들에 둘러싸여 있는 장면도 있다.[11] 오르페우스의 묘사 외에도 신화적이고 야생 또는 길들여진 짐승들의 다른 이미지들도 있다.[10]
3. 2. 1. 이교도 이미지의 기독교적 맥락
오르페우스는 초기 기독교 미술에서 등장하는 가장 잘 알려진 이교 신화 인물 중 하나이며, 그가 짐승들을 매혹하는 모습은 기독교적 배경에서 가장 분명하게 이교적인 장면들을 포함하고 있다.[12] 대부분 오르페우스와 관련된 상징은 변함없다. 그는 일반적으로 바위 위에 묘사되며, 리라가 왼쪽 무릎에 놓여 있고 오른손에는 플렉트럼을 들고 있다.[12] 그러나 변화는 오르페우스와 함께 묘사된 동물의 종류에서 발견된다. 전통적인 이교 이미지는 오르페우스를 "야생의 짐승 같은 생물"과 함께 묘사하는 반면, 후대의 기독교적 해석은 그를 양이나 비둘기와 같은 온순한 동물과 함께 묘사한다.[12] 야생 동물에서 온순한 동물로의 전환은 초기 기독교 장례 관습과 관련된 의도적인 수정을 제안한다.[12] 도미틸라 카타콤의 오르페우스 장면에서, 오르페우스는 짐승들과 함께 하는 이교 전통에 따라 묘사되어 있다. 기독교 카타콤에서 이교 이미지의 사용은 구원을 향한 한 단계로서 인간의 욕망을 다스리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다.[12] 이교 이미지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이유는 모든 존재들 사이에서 평화를 찾을 수 있는 메시아 왕국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12]3. 2. 2. 빵 굽는 사람의 칸막이 (Cubicle dei fornai)
4세기 후반, 발굴된 새로운 지역에서 "빵 굽는 사람의" 칸막이(Cubicle dei fornai)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빵 굽는 사람 또는 식량 공급을 감독하는 고위 관리의 무덤일 가능성이 높다.[13] 칸막이의 복도는 우물천장과 내부 장식으로 꾸며져 있었으며, 네 개의 아르코솔리움 내부 곡선의 발굽 부분에는 오푸스 섹틸레의 복제 시리즈가 있었고, 요나 예언자를 묘사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13] 콘스탄티누스 이전의 기독교인들은 바다에 던져진 요나, 요나와 큰 물고기, 그리고 안식하는 요나의 세 단계로 구성된 요나 순환을 소중히 여겼다.[14] 기독교 예술가들은 세 번째인 "안식하는 요나"를 강조하여 엔디미온의 시각적 전통으로 그를 표현했다.[14] 엔디미온의 시각적 표현은 모자이크와 무덤에서 3세기에서 5세기 기독교 카타콤베의 요나를 표현하는 데까지 이어졌다.[14]서쪽 구역에는 목자와 네 마리 양이 있는 전원 풍경과 계절을 천사의 모습으로 표현한 것이 묘사되어 있으며, 동쪽 구역에는 두 그룹의 사도들이 측면에 있고 베드로와 바울의 모습이 앞쪽에 앉아 있는 가운데 옥좌에 앉은 그리스도가 묘사되어 있다.[13] 복도 벽에는 이삭의 희생과 노아의 방주를 포함한 네 가지 성경 장면과 떡의 기적과 반석에서 나온 기적의 물을 행하는 예수의 모습이 프레스코화로 묘사되어 있다.[15] 복도 끝에는 빵 굽는 사람의 칸막이가 있는데, 입구에는 큰 밀 용기 뒤에 서 있는 인물이 빵 굽는 사람의 주제와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13] 빵집의 장면은 오스티아 항구에 밀이 도착하고, 자루를 운반하고, 도시 전체에 배포하는 것을 묘사한 연속적인 프리즈에 묘사되어 있다.[13]
3. 2. 3. 플라비 가문의 지하묘소 (Hypogeum of Flavi)
로마 주변 지역은 투파(tufa)라 불리는 연질 석회암의 일종으로 구성되어 있어 카타콤베 건설에 적합했다. 화산 지형 덕분에 지하 갤러리를 파고 기존 지하묘소(Hypogeum)를 확장하기가 용이했다.[3]베스파시아누스 황가의 플라비아 도미틸라(클레멘스의 아내)가 소유한 부지에 건설된 이 카타콤베는 로마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카타콤베 중 하나이다. 거대한 지하 묘지의 핵심부터 구성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단계와 발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4]
2세기와 3세기 사이에 조성된 이 지하 묘지는 세 개의 주요 지역으로 구성된다.[3] 첫 번째 지역에는 암플리아토의 큐비클(Cubicle of Ampliato)이 있는데, 이는 지하묘소(hypogeum)를 판 황제의 해방 노예(Freedman) 가족에게 속한 것이었다. 이 광대한 공간은 산사태를 지탱하는 아치(Vault (architecture))로 두 부분으로 나뉜다.[3] 큐비클의 장식은 가족 구성원 각자가 안치되면서 여러 차례 덧칠되었다. 두 번째 지역에는 플라비 아우렐리(Flavi Aureli)가 있는데, 그 입구 계단은 4세기에 바실리카 건설로 인해 파괴되었다.[3] 플라비 아우렐리는 "행복한 안니오(Happy Annio)"를 언급하는 비문과 온전한 묘지를 갖춘 이중 큐비클이다.[4] 세 번째 지역에는 플라비 가문의 호화로운 지하묘소(hypogeum)와 순교자 무덤이 있는 또 다른 지역이 있다.[3]
2세기 말, 이 유적지의 가장 오래된 중심부에 해당하는 플라비우스 지하묘(Hypogeum of Flavi)는 가족 중 가장 중요한 구성원들의 석관을 보관하는 네 개의 벽감이 있는 큰 통로로 이루어져 있다.[16]
4. 현재의 활용
도미틸라 카타콤베는 현재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안내 투어가 제공되고 있다.[17]
4. 1. 소유권 및 관리
2009년 1월부터 도미틸라 카타콤베는 성언회(SVD)에 위탁되었다.[17] 성언회는 이 성지의 관리와 역사적 의미 전달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카타콤베는 일반인에게 안내 투어로 공개되며, 성언회 사제들과 형제들은 방문객들에게 그리스도교 카타콤베의 문화적, 영적 복잡성을 전달하고자 한다.[17] 또한 카타콤베는 성체 미사 거행, 예배, 또는 바실리카나 매장실에서의 에큐메니컬 예배를 위해 요청할 수 있다.[17] 성언회는 이 역사적 장소를 방문하여 프레스코화 조각들을 통해 고대의 증언을 보는 것이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삶,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부활과 영생에 대한 소망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믿는다.[18]4. 2. 복원 작업

약 70개의 방 중 현재까지 12개의 방만 복원되었다.[19] 복원 과정에서 이교도와 기독교 양쪽에서 영감을 받은 프레스코화가 드러났다.[20] 7년간의 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레이저 장비를 사용하여 백악질 침전물, 조류, 기름 램프의 잔여 연기를 제거함으로써 도시 초기 기독교의 뿌리를 기념하는 두 점의 프레스코화가 드러났다.[21] 약 1600년 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구약과 신약 인물을 묘사한 장면들이 잔해와 오염 속에서 드러나면서 이교도에서 기독교로의 과도기 시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The Catacombs of Rome
https://www.rome-mus[...]
2023-04-27
[2]
웹사이트
The Catacombs of Domitilla Brochure
https://www.catacomb[...]
2024-04-27
[3]
서적
archeologia cristiana
Edipuglia srl
[4]
웹사이트
Catacombs of Domitilla
https://www.turismor[...]
2024-04-26
[5]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the Titulus Fasciolae and its connection with Pope Gregory the Great
1976-06-01
[6]
서적
Three empires, three cities Identity, material culture and legitimacy in Venice, Ravenna and Rome, 750-1000
Brepols Publishers
2015
[7]
뉴스
Domitilla catacombs unveiled after years of renovation
https://phys.org/new[...]
2018-11-21
[8]
학술지
Studies in the Iconography of the Virgin
1938
[9]
서적
The Archaeology of Rome: The Catacombs
Oxford
[10]
학술지
Some Pagan Mythological Figures and Their Significance in Early Christian Art
1974
[11]
학술지
The Symbolism of Certain Catacomb Frescoes-I
1913
[12]
학술지
Some Pagan Mythological Figures and Their Significance in Early Christian Art
https://www.jstor.or[...]
1974
[13]
학술지
Mural paintings of the cubicle "dei fornai" in Domitilla catacombs in Rome: a study via non-invasive techniques
2021-10-12
[14]
간행물
Commemorating the Dead: Texts and Artifacts in Context. Studies of Roman, Jewish and Christian Burial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08-12-10
[15]
학술지
Il cubicolo "dei fornai" nelle catacombe di Domitilla a Roma alla luce dei recenti restauri, in Pars II, pp. 1927-1942
https://www.academia[...]
2016-01-01
[16]
웹사이트
Catacombs of Domitilla
https://www.turismor[...]
2024-04-26
[17]
웹사이트
The Catacombs of Domitilla
https://www.catacomb[...]
[18]
웹사이트
The Catacombs of Domitilla
https://www.catacomb[...]
[19]
뉴스
Laser technology uncovers 1,600-year-old Christian frescoes in Rome's biggest catacomb
https://www.telegrap[...]
2018-11-21
[20]
학술지
Effects of biocide treatments on the biofilm community in Domitilla's catacombs in Rome
2016-12-01
[21]
웹사이트
New Christian frescoes revealed in Rome's biggest catacomb
https://www.archaeol[...]
2017-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