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정은 쌀의 겉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도정 수준에 따라 현미, 3분도미, 5분도미, 7분도미, 백미 등으로 분류되며, 백도는 쌀의 정미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도정 기술이 발전해 왔으며, 초기에는 절구나 맷돌을 사용하다가 근대 정미 기술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쌀 - 현미
    현미는 벼에서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와 쌀눈을 남겨둔 쌀로, 백미보다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등지에서 섭취되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쌀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 농업 - 비료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토양을 개선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물질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며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로 나뉘지만 과도한 사용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농업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도정
개요
정의현미에서 쌀겨층과 배아를 제거하는 과정
관련 용어현미
쌀겨
배아
참고도정 (곡물) (다른 곡물에 적용되는 유사 공정)
목적
주된 목적식용 쌀의 품질 향상
세부 목적쌀의 소화 용이성 증가
쌀의 외관 개선
쌀의 보관성 향상
과정
1단계현미 준비 (선별, 세척)
2단계쌀겨층 제거
3단계배아 제거
4단계백미 정제 (표면 연마)
5단계선별 및 포장
도정 정도
도정 정도쌀겨층 제거 비율에 따라 결정
종류5분도미
7분도미
완전 백미
도정 부산물
부산물쌀겨, 배아
활용사료
비료
식용유
화장품 원료
품질 관리
중요 요소도정 과정의 위생 관리
적절한 도정 기술 사용
도정 정도의 균일성 유지
관련 법규미곡의 품질관리 및 쌀 가공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등
영양 변화
변화도정 정도에 따라 영양소 함량 변화
감소 성분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보관 방법
중요 사항습기 방지
직사광선 차단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
기타 정보
관련 기술쌀 도정기
관련 산업식품 산업, 농업

2. 도정 수준별 쌀 분류

쌀은 도정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크게 현미백미로 나눌 수 있다. 현미는 쌀겨층을 거의 벗기지 않은 것이고, 백미는 쌀겨층을 대부분 제거한 것이다.

2. 1. 현미

현미는 쌀겨층을 거의 제거하지 않은 쌀이다. 도정 정도에 따라 0분도미(순수현미), 3분도미, 5분도미, 7분도미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현미는 백미보다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식감이 거칠고 소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2. 2. 백미

쌀겨층을 대부분 제거한 상태의 쌀이다. 도정 정도에 따라 10분도미, 12분도미 등으로 나뉜다. 백미는 현미보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지만, 영양소는 적다.

3. 백도

백도는 쌀의 정미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2] 산화 마그네슘을 100%로 했을 때의 흰 정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현미는 백도 20도 정도이고, 백미는 품종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2]

쌀겨층을 남기는 정도에 따라 "3분도", "5분도"와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2] 이는 현미를 0, 백미를 10할의 정미율로 하여, 몇 할을 정미했는지를 나타낸다.

4. 역사와 기술

일본에서는 고대부터 절구맷돌을 사용한 정미가 이루어졌다.[2] 에도 시대 겐로쿠 시대에 청나라에서 손으로 돌려 정미하는 "흙 절구"가 도입되었으며, 발로 밟는 작업으로 시소의 원리에 의해 쌀을 찧는 「당구」가 이용되었다.[2]일본서기스이코 18년(610년) 기록에는 고구려에서 온 승려 담징이 물레방아로 움직이는 회전식 맷돌의 원리를 전했다는 내용이 있다. 수력을 이용한 회전 맷돌은 서기 600년대에 존재했지만, 강가에 있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제약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2]

1890년대에 영국에서 엥겔버그식 정미기가 수입되었고, 1920년에는 일본 독자적인 연삭식 정미기가 개발되었다.[2] 일본 국내 현미 및 정미의 품질 표시에 대해 정한 「현미 및 정미 품질 표시 기준」(헤이세이 12년 3월 31일 농림수산성 고시 제515호) 제2조에서는, 「정미」를 「현미의 쌀겨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정백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3]

동남아시아의 재래식 정미 기술은 손으로 찧는 방식이었으며, 벼 훑기를 갈돌로 하고, 절구와 절구공이 또는 발로 밟는 식의 도정기(확이라고도 함)로 정미를 했다.[4] 근대 정미 기술 도입 이전에는 재래 기술로 가공한 반쯤 찧은 쌀에, 수송 시 품질 유지를 위해 벼를 섞은 카고 라이스(Cargo rice)가 수출품이었다.[4] 유럽에서 근대 정미 기술이 전해져, 미얀마에서는 종주국 영국과의 쌀 무역이 이루어졌으며, 1850년경에는 더글라스-그랜트사가 개발한 수직형 연삭식 정미기가 도입되었다.[4]

4. 1. 일본

가쓰시카 호쿠사이후가쿠 36경』 「은전의 물레방아」. 에도의 온덴강에 걸려 있던 물레방아를 그린 것. 『후가쿠 36경』은 에도 시대 후기(1830년대)의 명소 그림집이지만, 당시 온덴강에는 몇 개의 물레방아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현재의 진구마에 주변에 해당). 물레방아의 수력으로 절구를 상하로 움직여 현미를 정백한다.


일본에서는 고대부터 절구맷돌을 사용한 정미가 이루어졌다.[2] 에도 시대 겐로쿠 시대에 청나라에서 손으로 돌려 정미하는 "흙 절구"가 도입되었으며, 발로 밟는 작업으로 시소의 원리에 의해 쌀을 찧는 「당구」가 이용되었다.[2]일본서기스이코 18년(610년)의 기록에 따르면, 한반도의 고구려에서 온 승려 담징이 물레방아로 움직이는 회전식 맷돌의 원리를 전했다고 한다. 수력을 이용한 회전 맷돌은 서기 600년대에 존재했지만, 강가에 있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제약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2]

1890년대에 영국에서 엥겔버그식 정미기가 수입되었고, 1920년에는 일본 독자적인 연삭식 정미기가 개발되었다.[2]

일본 국내의 현미 및 정미의 품질 표시에 대해 정한 「현미 및 정미 품질 표시 기준」(헤이세이 12년 3월 31일 농림수산성 고시 제515호) 제2조에서는, 「정미」를 「현미의 쌀겨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정백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3]

4. 2.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재래식 정미 기술은 손으로 찧는 방식이었으며, 벼 훑기를 갈돌로 하고, 절구와 절구공이 또는 발로 밟는 식의 도정기(확이라고도 함)로 정미를 했다.[4]

근대 정미 기술 도입 이전에는 재래 기술로 가공한 반쯤 찧은 쌀에, 수송 시 품질 유지를 위해 벼를 섞은 카고 라이스(Cargo rice)가 수출품이었다.[4]

유럽에서 근대 정미 기술이 전해져, 미얀마에서는 종주국 영국과의 쌀 무역이 이루어졌으며, 1850년경에는 더글라스-그랜트사가 개발한 수직형 연삭식 정미기가 도입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玄米及び精米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10-28
[2] 간행물 今日から精米工学会~美味しいお米と精米技術~ https://doi.org/10.2[...] 公益社団法人 精密工学会
[3] 문서 「玄米及び精米品質表示基準」(平成12年3月31日農林水産省告示第515号)第2条
[4] 간행물 近代精米技術の発展と華僑の役割 : アジアにおける精米業の発展要因再考 https://www.u-tokai.[...] 東海大学政治経済学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