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일 (필리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독립기념일은 필리핀의 독립을 기념하는 날로, 역사적 배경에 따라 기념일이 여러 번 변경되었다. 1898년 6월 12일,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카비테 엘 비에호에서 필리핀 독립을 선포했지만, 미국은 필리핀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다. 1946년 7월 4일, 미국은 필리핀의 독립을 인정했으나,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독립기념일을 6월 12일로 변경했다. 현재는 6월 12일을 필리핀 독립기념일로 기념하며, 5월 28일부터 6월 12일까지를 국기 게양 기간으로 정하고 있다. 매년 카비테 주 카위트의 아기날도 기념관에서 기념 행사가 열리고, 전 세계 필리핀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 행사에 참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공휴일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필리핀의 공휴일 - 성목요일
성목요일은 예수의 최후의 만찬을 기념하고 파스카 성삼일의 시작을 알리는 기독교 기념일로, 만찬 기념, 세족례, 성유 축성 미사 등의 전례와 의식이 거행되며, 나눔, 봉사, 희생의 가치를 되새기는 날이다. - 독립기념일 - 3·1절
3·1절은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탄압에 맞서 한국의 독립을 선포하고 전국적으로 일어난 3·1 운동을 기념하는 대한민국의 국경일로, 민족의 자주독립 염원을 기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기념행사가 개최되지만 젊은 세대의 인식 저조가 문제되고 있다. - 독립기념일 - 라트비아 공화국 선포일
라트비아 공화국 선포일은 1918년 라트비아 독립을 기념하는 날로, 횃불 행렬, 콘서트, 불꽃놀이 등 다채로운 행사와 더불어 독립 전쟁 전사자 추모 및 국가 안보 다짐의 의미를 가진다. - 6월의 기념일 - 포르투갈의 날
포르투갈의 날은 포르투갈 국민 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사망일인 6월 10일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며, 《루지아다스》를 저술한 카몽이스를 기리고 전 세계 포르투갈 이민자들을 포함하여 기념한다. - 6월의 기념일 - 현충일
현충일은 대한민국에서 매년 6월 6일에 국가를 위해 희생한 군인과 민간인을 추모하는 국가기념일로, 한국 전쟁 전사자 추모를 위해 제정된 '현충 기념일'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운동 희생자 등 국가 유공자까지 추모 대상을 확대하여 전국적으로 묵념과 추모식을 거행한다.
| 독립기념일 (필리핀) | |
|---|---|
| 개요 | |
![]() | |
| 별칭 | (자유의 날) |
| 기념일 | 6월 12일 |
| 종류 | 국경일 |
| 중요성 | 스페인으로부터 필리핀 독립 선언 |
| 관련 기념일 | 공화국의 날 |
| 기념 | |
| 기념 방법 | 공휴일 지정 기념 행사 개최 |
| 역사적 배경 | |
| 독립 선언 |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함 |
| 관련 법령 | |
| 법적 근거 | 대통령령 제459호 (2013년 공휴일 선포) |
| 기타 | |
| 구글 두들 | 2019년 필리핀 독립 기념일 구글 두들 |
2. 역사
필리핀의 독립 기념일은 역사적으로 여러 날짜가 거론되었다.

초기에는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가 로드리게스의 Pamitinan Cave에서 카티푸난 단원들과 함께 동굴 벽에 "Viva la independencia Filipina!" (필리핀 독립 만세)라고 쓴 사건이 독립 선언과 관련된 기록으로 남아있다.[3] 보니파시오는 필리핀 혁명의 시작을 알린 Cry of Pugad Lawin을 이끌기도 했다.[4][5]
1896년에 시작된 필리핀 혁명은 1897년 비악나바토 조약으로 잠시 휴전을 맞았으나,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비롯한 혁명 지도자들은 홍콩으로 망명해야 했다.[7]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 후, 1898년 마닐라 만 해전에서 승리한 미국은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필리핀으로 귀국시켰다.[8][9] 아기날도는 1898년 6월 12일, 카위트에서 필리핀 독립 선언을 발표했다.[10]
그러나 미국과 스페인은 필리핀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고, 1898년 파리 조약으로 필리핀은 미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필리핀은 미국을 상대로 필리핀-미국 전쟁을 벌였다.[14][15]
1946년 7월 4일, 미국은 마닐라 조약을 통해 필리핀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16][17] 그러나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독립기념일을 6월 12일로 변경했고,[18][19][20] 1964년에는 7월 4일이 "필리핀 공화국의 날"로, 6월 12일이 "필리핀 독립 기념일"로 공식 지정되었다.[21]
2. 1. 초기 독립 운동
19세기 말, 필리핀에서는 스페인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독립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가 이끄는 비밀 결사 단체 카티푸난은 무장 투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다. 보니파시오는 Montalban(현재 로드리게스)의 Pamitinan Cave에서 에밀리오 하신토, Restituto Javier, Guillermo Masangkay, 아우렐리오 톨렌티노, Faustino Manalak, Pedro Zabala 등과 함께 동굴 벽에 "Viva la independencia Filipina!" (필리핀 독립 만세)라고 썼다.[3]1896년, 필리핀 혁명이 발발하여 스페인과의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보니파시오가 이끄는 카티푸난 회원들은 스페인의 정복에 항의하여 공동 세금 증명서(''cedulas personales'')를 찢었다.[4][5] 1897년, 비악나바토 조약으로 잠시 휴전이 성립되었으나, 에밀리오 아기날도 등 지도자들은 400000MXN를 받고 홍콩으로 망명해야 했다.[7]
2. 2. 미국의 개입과 독립 선언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자, 조지 듀이 제독은 미국 해군 아시아 함대를 이끌고 마닐라 만으로 전개하여, 1898년 5월 1일, 마닐라 만 해전에서 스페인 함대를 격파했다. 이로써 필리핀은 스페인의 식민지에서 미국의 실질적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8] 같은 달, 미국군은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필리핀으로 귀국시켰으며,[8] 아기날도는 5월 19일 카비테에 도착했다.[9]1898년 6월 5일, 아기날도는 카비테 엘 비에호(오늘날의 아기날도 기념관)에서 6월 12일을 독립일로 선포했다. 아기날도의 전쟁 고문이자 특별 대표였던 암브로시오 리안자레스 바우티스타가 작성한 독립 선언문 ''Acta de la Proclamacion de la Independencia del Pueblo Filipino''가 엄숙히 낭독되었다.[10] 이 선언문은 21페이지 분량으로, 아기날도가 임명한 필리핀인 98명과 퇴역 미군 포병 장교 L. M. 존슨 대령이 서명했다.[11] 같은 날 오후 4시 30분경, Marcha Nacional Filipina가 연주되는 가운데 필리핀 국기가 처음으로 정식 게양되었다.[12]
이 독립 선언은 1898년 8월 1일, 혁명군 지배하에 있던 16개 주 지방 대표 190명에 의해 승인되었고, 이어 9월 29일 말로로스 의회에서 추인되었다.[13]
그러나 필리핀은 미국과 스페인 등 당사국으로부터 국제적인 독립 승인을 얻지 못했다. 이후 스페인 정부는 1898년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 제도를 미국에 할양했고, 필리핀 혁명 정부는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아 양국 간의 미필 전쟁으로 이어졌다.[14][15]
2. 3. 필리핀-미국 전쟁과 미국의 식민 통치
필리핀은 미국과 스페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독립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후 스페인 정부는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 제도를 미국에 할양했다. 그러나 필리핀 혁명 정부는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고, 결국 미국과 필리핀-미국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14][15]2. 4. 독립 쟁취와 기념일 변경
필리핀의 독립기념일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1898년 6월 12일,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카위트에서 Ambrosio Rianzares Bautista가 작성한 독립 선언문을 낭독하며 필리핀의 독립을 선포했다. 이와 함께 필리핀 국기가 게양되고 필리핀 국가가 연주되었다.[10][12] 이 선언은 같은 해 8월 1일과 9월 29일에 각각 추인되었다.[13]
그러나 필리핀은 미국과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지 못했다. 스페인은 1898년 파리 조약을 통해 필리핀을 미국에 할양했고, 필리핀 혁명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아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했다.[14][15]
1946년 7월 4일, 미국은 마닐라 조약을 통해 필리핀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17] 이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포고령 2695호에 따른 것이었다.[16] 하지만 7월 4일은 미국의 독립기념일과 겹쳐, 미국의 지배를 연상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1962년 5월 12일,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대통령령 제28호를 통해 독립기념일을 6월 12일로 변경했다.[18][19][20] 이는 필리핀 국민의 자유와 독립에 대한 권리를 선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조치였다. 1964년 8월 4일, 공화국 법 제4166호는 7월 4일을 "필리핀 공화국의 날"로, 6월 12일을 "필리핀 독립 기념일"로 공식화했다.[21]
3. 국기의 날

필리핀에서는 독립기념일과 함께 국기의 날을 기념하여 국가 상징에 대한 존경심을 고취하고 있다. 1964년 이전에는 6월 12일이 국기의 날로 기념되었으나, 1965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이 5월 28일로 변경하였다. 이는 1898년 알라판 전투에서 필리핀 국기가 처음 게양된 날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1994년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기념 기간을 5월 28일부터 6월 12일 독립기념일까지 연장하고, 정부 기관 및 민간에 이르기까지 국기 게양을 장려하였다.
3. 1. 국기의 날 제정과 변천
1964년 이전까지 필리핀의 국기의 날은 6월 12일이었다. 1965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공포령 제374호를 발표하여 국기의 날을 5월 28일로 변경했다. 이는 1898년 카비테 주 이무스에서 필리핀 군대가 승리한 알라판 전투에서 필리핀 국기가 처음 게양된 날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45][46] 1994년,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행정 명령 제179호를 발표하여 기념 기간을 5월 28일부터 필리핀 독립 기념일인 6월 12일까지 연장했다. 이 기간 동안 모든 공공 건물, 정부 기관 및 공식 거주지, 정부 소유 및 통제 기업, 주 정부 기관 및 지방 정부, 심지어 민간 기관에 이르기까지 국기를 눈에 띄게 게양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필리핀 교육부에 민간 부문, 비정부 기구 및 사회 시민 단체와 협력하여 모든 공공 광장과 가능한 경우 모든 사유 건물과 가정에서 국기 게양을 통해 국가 독립을 기념하도록 명령했다.[45][46]3. 2. 국기 게양의 의무
1964년 이전에는 6월 12일이 필리핀의 국기의 날로 기념되었다. 1965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공포령 제374호를 발표하여 국기의 날을 5월 28일로 변경했다. 이는 1898년 이무스 카비테에서 필리핀 군대가 승리한 알라판 전투에서 필리핀 국기가 처음 게양된 날이다.[45][46]1994년,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행정 명령 제179호를 발표하여 기념 기간을 5월 28일부터 필리핀 독립 기념일인 6월 12일까지 연장하고, 정부 부처, 기관, 사무소, 정부 소유 및 통제 기업, 주 정부 기관 및 지방 정부, 심지어 민간 기관에 이르기까지 이 기간 동안 모든 공공 건물, 정부 기관 및 공식 거주지에 국기를 눈에 띄게 게양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필리핀 교육부에 민간 부문, 비정부 기구 및 사회 시민 단체와 협력하여 국기 게양을 모든 공공 광장, 가능한 경우 모든 사유 건물과 가정에서 국가 독립을 기념하도록 명령했다.[45][46]
4. 기념 행사
필리핀 독립기념일에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린다. 필리핀 국기는 깃발의 날인 5월 28일 (1898년에 처음 게양된 날) 또는 필리핀 국가 역사 위원회가 지정하는 5월 특정일부터 6월 30일까지 일반 가정이나 공공 기관에서 게양하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다.[47]
4. 1. 공식 기념 행사
카비테주 카윗에서는 매년 아기날도 신전에서 국기 게양식과 필리핀 독립 선언 낭독으로 기념 행사를 연다.[24] 전 세계적으로 필리핀 사람들은 6월 12일 또는 그 전후에 모여 공공적으로 축하하며, 때로는 퍼레이드를 한다.[25] 수도 마닐라에서도 국가적인 축하 행사가 열리는데, 과거에는 제복을 입은 단체와 공공 및 민간 단체의 민관군 합동 퍼레이드가 열렸으며, 마지막 주요 퍼레이드는 2018년 국가 12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되었다.[26]필리핀 국기는 깃발의 날인 5월 28일 (1898년에 처음 게양된 날)을 시작으로, 필리핀 국가 역사 위원회가 지정하는 5월 특정일부터 30일까지 일반 가정이나 공공 기관에서 게양하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다.[47] 카비테 주 카위트의 아기날도 기념관에서 열리는 연례 기념 행사에서는 국기를 게양하고 필리핀 독립 선언을 낭독한다.[48] 전 세계의 필리핀인들은 6월 12일 또는 그 근처 날짜에 모여 공개적으로 축하하며, 때로는 Philippine Independence Day Parade|필리핀 독립 기념일 퍼레이드영어를 진행한다.[49] 과거 수도 마닐라에서의 중앙 축하 행사로 제복 기관, 군인, 자격을 갖춘 공인 및 사인이 행진했고, 지방 축하 행사도 열렸으며, 최근 주요 행진은 2018년 독립 120주년을 기념하여 실시했다.[50]
4. 2. 지역 및 해외 행사
카비테주 카윗에서는 매년 아기날도 신전에서 국기 게양식과 필리핀 독립 선언 낭독으로 기념 행사를 연다.[24] 전 세계적으로 필리핀 사람들은 6월 12일 또는 그 전후에 모여 공공적으로 축하하며, 때로는 퍼레이드를 한다.[25] 수도 마닐라에서도 국가적인 축하 행사가 열리는데, 과거에는 제복을 입은 단체와 공공 및 민간 단체의 민관군 합동 퍼레이드가 열렸으며, 마지막 주요 퍼레이드는 국가 120주년을 기념하여 2018년에 개최되었다.[26]필리핀 국기는 깃발의 날인 5월 28일 (1898년에 처음 게양된 날)을 시작으로, 또는 축하 담당 부서인 필리핀 국가 역사 위원회가 지정하는 5월 특정일부터 30일까지 일반 가정이나 공공 기관에서 게양하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다.[47]
참조
[1]
웹사이트
DECLARING THE REGULAR HOLIDAYS, SPECIAL (NON-WORKING) DAYS, AND SPECIAL HOLIDAY (FOR ALL SCHOOLS) FOR THE YEAR 2013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Philippine National Government
2013-07-23
[2]
웹사이트
LOOK: Google Doodle for Philippine Independence Day
https://www.rappler.[...]
2019-06-12
[3]
서적
Philippine Revolution: The Making of a Nation : Papers from the Regional Conferences Held in Cebu City, Davao City, Baguio City, and Dapitan City
https://books.google[...]
National Centennial Commission
1999
[4]
웹사이트
An Austrian Life for the Philippines:The Cry of Balintawak
http://www.univie.ac[...]
[5]
서적
Bonifacio's bolo
https://books.google[...]
Anvil Pub.
[6]
서적
The Story of the Philippines and Our New Possessions
https://www.gutenber[...]
[7]
서적
The Story of the Philippines and Our New Possessions, Including the Ladrones, Hawaii, Cuba and Porto Rico
https://books.google[...]
[8]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https://archive.org/[...]
Garotech
2019-11-10
[9]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8th ed.)
https://archive.org/[...]
Garotech
[10]
서적
Capitalism, The American Empire,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Themes and Annotations from Selected Works of E. San Juan, J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11-11
[11]
뉴스
The mysterious Colonel Johnson
https://opinion.inqu[...]
The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9-06-12
[12]
서적
Struggle for Freedom' 2008 Ed.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13]
웹사이트
Ratification of Philippine Independence by the Municipal Presidents
http://pcdspo.gov.ph[...]
2017-08-12
[14]
웹사이트
The Spanish–American War of 1898: A Spanish View.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Hispanic Division.
2018-04-06
[15]
간행물
The Presidency of William McKinley
https://www.jstor.or[...]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2016-03-06
[16]
웹사이트
Proclamation 2695 of July 4, 1946 "In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https://www.archives[...]
2019-08-09
[17]
간행물
Treaty of General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Signed at Manila, on 4 July 1946
http://untreaty.un.o[...]
United Nations
2007-12-10
[18]
웹사이트
June 12 as Independence Day by Diosdado Macapagal Former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http://mandirigma.or[...]
[19]
보고서
The Philippines under Mavapagal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3-04-26
[20]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8, s. 1962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5-09-03
[21]
간행물
AN ACT CHANGING THE DATE OF PHILIPPINE INDEPENDENCE DAY FROM JULY FOUR TO JUNE TWELVE, AND DECLARING JULY FOUR AS PHILIPPINE REPUBLIC DAY, FURTHER AMENDING FOR THE PURPOSE SECTION TWENTY-NINE OF THE REVISED ADMINISTRATIVE CODE
http://www.chanroble[...]
Chanrobles Law Library
2009-11-11
[22]
웹사이트
The Flag Days: May 28 to June 12
http://www.gov.ph/20[...]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2014-05-27
[23]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79, s. 1994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1994-05-24
[24]
뉴스
Duterte leads Independence Day rites for the first time since becoming President
http://www.gmanetwor[...]
2018-11-11
[25]
웹사이트
Manila Mail Exclusive: New York City Rejects Philippine Independence Day Parade Discrimination Claim
http://www.manilamai[...]
Manila Mail US
2018-09-20
[26]
Youtube
20180612Philippines Independence Day
https://www.youtube.[...]
2018-07-10
[27]
웹사이트
DECLARING THE REGULAR HOLIDAYS, SPECIAL (NON-WORKING) DAYS, AND SPECIAL HOLIDAY (FOR ALL SCHOOLS) FOR THE YEAR 2013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Philippine National Government
2013-07-23
[28]
웹사이트
LOOK: Google Doodle for Philippine Independence Day
https://www.rappler.[...]
2019-06-12
[29]
서적
Philippine Revolution: The Making of a Nation : Papers from the Regional Conferences Held in Cebu City, Davao City, Baguio City, and Dapitan City
https://books.google[...]
National Centennial Commission
1999
[30]
웹사이트
An Austrian Life for the Philippines: The Cry of Balintawak
http://www.univie.ac[...]
2009-08-29
[31]
서적
Bonifacio's bolo
https://books.google[...]
Anvil Pub.
[32]
서적
The Story of the Philippines and Our New Possessions, Including the Ladrones, Hawaii, Cuba and Porto Rico
https://books.google[...]
[33]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https://archive.org/[...]
Garotech
2019-11-10
[34]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8th ed.)
https://archive.org/[...]
Garotech
[35]
서적
Capitalism, The American Empire,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Themes and Annotations from Selected Works of E. San Juan, Jr.
https://books.google[...]
books.google.com
2019-11-11
[36]
뉴스
The mysterious Colonel Johnson
https://opinion.inqu[...]
2019-07-12
[37]
서적
Struggle for Freedom
https://books.google[...]
[38]
웹사이트
Ratification of Philippines Independence by the Municipal Presidents, August 1, 1898
http://pcdspo.gov.ph[...]
pcdspo.gov.ph
2017-08-12
[39]
웹사이트
The Spanish–American War of 1898: A Spanish View.
https://www.loc.gov/[...]
2018-04-06
[40]
간행물
"Koenig, Louis W. '' JSTOR/stable/27547849 The Presidency of William McKinley アーカイブ''"
https://www.jstor.or[...]
2016-03-06
[41]
웹사이트
Proclamation 2695 of July 4, 1946 "In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https://www.archives[...]
2019-08-09
[42]
웹사이트
Treaty of General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Signed at Manila, on 4 July 1946
http://untreaty.un.o[...]
国際連合
2007-12-10
[43]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8, s. 1962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5-09-03
[44]
Citation
AN ACT CHANGING THE DATE OF PHILIPPINE INDEPENDENCE DAY FROM JULY FOUR TO JUNE TWELVE, AND DECLARING JULY FOUR AS PHILIPPINE REPUBLIC DAY, FURTHER AMENDING FOR THE PURPOSE SECTION TWENTY-NINE OF THE REVISED ADMINISTRATIVE CODE
http://www.chanroble[...]
Chanrobles Law Library
1964-08-04
[45]
웹사이트
The Flag Days: May 28 to June 12
http://www.gov.ph/20[...]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2014-08-12
[46]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79, s. 1994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1994-05-24
[47]
뉴스
National Flag Day
https://news.mb.com.[...]
2018-11-11
[48]
뉴스
Duterte leads Independence Day rites for the first time since becoming President
http://www.gmanetwor[...]
2018-11-11
[49]
웹사이트
Manila Mail Exclusive: New York City Rejects Philippine Independence Day Parade Discrimination Claim
http://www.manilamai[...]
Manila Mail US
2018-11-11
[50]
Youtube
Philippines Independence Day
https://www.youtube.[...]
2021-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