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비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비테는 필리핀 카비테주에 위치한 도시로, 마닐라만으로 뻗어 있는 카비테 반도 대부분을 차지한다. 초기에는 타갈로그족이 거주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카비테 누에보(새 카비테)로 불리며 중요한 항구 도시로 발전했다.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1940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5개의 구역과 84개의 바랑가이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로마 가톨릭교가 주요 종교이다. 카비테는 레가다 축제와 같은 문화 행사와, 차바카노어를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상글리 포인트 공항이 국내선 공항으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카비테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비테 시 문장
카비테 시 문장
공식 명칭카비테 시
다른 이름역사적인 바닷가 도시
카비테 국제 운송 허브
별칭역사적인 바닷가 도시
카비테 국제 운송 허브
표어Para Dios y Patria (신과 조국을 위하여)
토지 면적 순위145개 중 143위
지리
고도169m (최고), 0m (최저)
기후열대 몬순 기후
행정 구역
국가필리핀
지방칼라바르손 지방
카비테 주
행정 구역바랑가이(84개)
선거구카비테 주 제1선거구
인구 통계
총 인구101,120명 (2010년)
인구 밀도9,603명/km²
가구 수21,541 가구
언어타갈로그어, 차바카노어, 영어
정치
정치 체제지방 정부 단위
시장Denver Christopher R. Chua
부시장Benzen Raleigh G. Rusit
하원 의원Ramon Jolo Revilla
시의회Maureen E. Lu
Aeign Zackrey Nash V. Aguas
Edmund C. Tirona
Renan L. Montoya
Marrian M. Pinzon
Eduardo G. Novero Jr.
Franklin A. Nuguid
Jesus Jet S. Barrera II
Marc Lawrence D. Serrano
Mark Anthony A. Amparo
유권자 수69,784 명 (2019년)
경제
소득 등급1등급 도시
빈곤율4.7% (2018년)
수입₱1,399,246,000 (2020년)
자산₱2,941,820,000 (2020년)
지출₱1,261,493,000 (2020년)
부채₱244,101,000 (2020년)
역사 및 문화
건설1571년 5월 6일
시 승격일1940년 9월 7일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개신교
이슬람교
하나님의 교회
축제일해당 없음
가톨릭 교구이무스 교구
수호 성인성 로쿠스
외로움의 성모 마리아
식별 코드
우편 번호4100
지역 번호46
PSGC042105000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카비테 시 공식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자
전기메랄코
수도해당 없음
통신해당 없음
케이블 TV해당 없음

2. 역사

카비테는 초기에 부족 형태 정부인 다투의 지배를 받는 타갈로그족이 거주하던 지역이었다. 1571년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이 지역을 왕실 토지 증여지로 선언하면서 스페인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었다. 스페인인들은 카비테를 요새화하고 항구 도시로 발전시켰으며, 이곳은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898년 파리 조약 이후 미국이 카비테를 인수하면서 필리핀 주둔 미국 해군 기지가 되었다. 1940년에는 시로 승격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전후 복구 과정에서 1954년 주도가 트레세 마르티레스로 이전되었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 시절에는 인권 침해와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토지 매립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상글레이 포인트 국제공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초기 주민들은 다투의 캄필란과 소뿔의 지배를 받는 타갈로그족이었다. 민간 전승에 따르면 최초의 정착민들은 보르네오에서 온 가트 히니기우와 그의 아내 다양 칼리와나그였으며, 이들은 일곱 명의 자녀를 낳았다. 해안 지역의 고고학적 증거는 선사 시대 정착지를 보여준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Carta Hydrographica y Chorographica de las Yslas Filipinas (1734)의 카비테 항구 삽화


카비테의 스페인 조선소와 병기창 (1899).


카비테 구 항구 도시의 해군 기지에 있는 총독 궁전 (1899).


1571년 5월 16일,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이 지역을 왕실 토지 증여지로 선언했다.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은 카비테 반도 끝에 있는 ''탕웨이''를 "카비테 곶" (카비테 포인트)라는 의미의 ''카비테 라 푼타''라고 불렀고,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현재의 카윗)에 정착하여 카비테라고 불렀다. 깊은 수심으로 인해 카비테 라 푼타가 스페인 갤리온의 수리 및 건설에 적합한 장소임을 발견한 스페인인들은 그곳으로 정착지를 옮겨 ''카비테 누에보''(새 카비테)라고 불렀다. 최초의 정착지는 "카비테 비에호"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옛 이름을 되찾아 카윗이 되었다.[4]

1590년, 스페인인들은 카비테 누에보를 서쪽, 북쪽, 동쪽에 ''무랄라스''(높고 두꺼운 커튼월)로 요새화했고, 바코르 만은 남쪽으로 열려 있었다. 과달루페 요새가 같은 시기에 동쪽 끝에 건설되었고, 이 도시는 ''푸에르토 데 카비테''(카비테 항구)가 되었다. 산 펠리페 네리 요새와 포르타 바가 게이트는 1595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602년에 완공되었다. 푸에르타 바가는 서쪽의 산 로케에서 유일한 주요 입구였던 항구 도시의 바비칸이었다. 벽과 게이트는 해자로 본토와 분리되어 도시를 섬과 같이 만들었다.[11]

카비테는 1614년에 기록된 최초의 ''고베르나도르실로''(지사)인 토마스 살라자르와 함께 법적으로 설립되었다.[11] 같은 해, 카비테는 카비테 정치-군사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5] 1614년에 별도의 도시로 설립된 산 로케는 1663년, 스페인이 테르나테, 인도네시아에서 철수하면서 테르나테 (카비테 주), 에르미타, 마닐라, 산 로케 (카비테 주)의 도시로 이주한 기독교화된 테르나테 술탄국 출신의 200가구의 혼혈 멕시코-필리핀-스페인, 파푸아-인도네시아-포르투갈계 주민들과 함께 정착했다.[6][7] 이후 수년간, 멕시코에서 온 라틴 아메리카 군인들이 카비테에 배치되었다. (1636년 70명, 1654년 89명, 1670년 225명, 1672년 211명).[8]

산 로케는 1720년에 별도의 독립된 자치구로 승인받았다. 라 카리다드는 산 로케의 옛 이름인 라 에스탄주엘라로, 1868년에 분리되어 법적으로 도시로 설립되었다. 1700년대 말까지 카비테는 마닐라의 주요 항구였으며, 5,724가구의 원주민과 859가구의 스페인계 필리핀인이 거주하는 주였다.[9][10]

도시가 성장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다양한 수도회들이 요새화된 도시 중심부에 교회, 수도원, 병원을 설립했다. 1591년에는 프란치스코회의 '산 호세 병원'(성 요셉 병원)이 선원과 군인을 위해 지어졌다. 1608년에는 산 디에고 데 알칼라 수도원이 세워졌고, 뒤이어 포르타 바가(라 에르미타) 수도원, 로레토의 성모(예수회), 산 후안 데 디오스(성 요한), 산토 도밍고(도미니코회), 산타 모니카(고행 수도회), 그리고 항구의 본당인 산 페드로 수도원이 세워졌다.[11] 이 기간 동안, 이 도시는 마리아 숭배가 인기를 끌면서 "티에라 데 마리아 산티시마"(지극히 거룩한 마리아의 땅)라고 불렸다.

카비테 항구는 세계 무역의 역사와 연결되어 있었다. 스페인 갤리온선은 매년 7월마다 아카풀코 (멕시코)와 카비테 사이를 왕복했다. 갤리온선과 다른 대형 원양선은 가벼운 선박만 강-항구에 접근할 수 있는 모래톱 때문에 파시그 강을 따라 마닐라 항구에 들어갈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카비테 항구는 수도의 주요 항구인 마닐라 항구로 여겨졌다.[12] [18]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이 절정에 달했을 때, 카비테 항구는 스페인 갤리온선의 도착 및 출발 항구였으며, 많은 외국 여행자(대부분 스페인인과 라틴 아메리카인)가 이곳을 찾았다.[13][14] 카비테 항구는 "황금 도시"를 의미하는 ''Ciudad de Oro Macizo''로 불렸다. 1609년에서 1616년 사이에는 갤리온선 ''Espiritu Santo''와 ''San Miguel''이 ''Astillero de Rivera''(카비테의 리베라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18]

좁은 산 로케 지협 또는 둑길 (현재 M. 발렌티노 거리)은 카비테 푸에르토를 유일한 접경 마을인 산 로케와 연결했다. 17세기 지도에는 이 좁은 지협이 한때 마을 자체만큼 넓었던 것으로 나타난다.[19]

2. 3. 미국 식민 시대

1898년 파리 조약으로 스페인은 항구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미국 시대가 시작되면서 카비테 푸에르토는 필리핀 주둔 미국 해군 기지가 되었고, 현대적인 선박과 무기를 수용하기 위해 재설계되었다. 과달루페 요새와 같은 역사적 구조물은 대부분의 산 펠리페 요새와 함께 철거되었다.[11]

지방 정부는 미국 육군 장교(첫 번째는 메이드 대령)의 직접적인 감독하에 ''시장 대통령''으로 재편되었다. 카비테 푸에르토의 돈 자카리아 포르티치, 산 로케의 돈 프란시스코 바사, 카리다드의 돈 페드로 라케뇨 바우티스타가 첫 필리핀 ''시장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1900년, 카비테인들은 미국 통치 하에서 첫 선거를 치렀고, 각 푸에블로(마을)는 ''시장 대통령'', ''부시장 대통령'', ''Consejales''(의원)로 구성된 ''Consejo''(의회) 등 지방 관리를 선출했다. 돈 그레고리오 바사는 현재의 카비테 시의 ''시장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01년, 필리핀 위원회는 지방 자치법을 승인했고, 1903년 시행에서 카비테 푸에르토, 산 로케, 라 카리다드는 하나의 지방 자치 단체로 병합되어 카비테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다. 제1 필리핀 의회 법률에 따라 카비테는 다시 주의 수도가 되었고, 그 영토는 산 안토니오 지구와 코레히도르 섬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카비테 지방 자치 단체는 시장 대통령, 부시장 대통령 및 1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민간 정부로 기능했다.

1909년, W. 캐머런 포브스 총독의 행정 명령으로 코레히도르 등이 카비테 지방 자치 단체에 병합되었다.

필리핀 연방 하에서, 하원 의원 마누엘 S. 록사스는 카비테의 지위를 시로 승격시키는 연방 법령 547호를 발의했다. 1940년 9월 7일, 시의 행정 기능은 필리핀 연방 대통령이 임명한 시장에게 위임되었다. 카비테 시의 입법 기관은 선출직 3명, 임명직 2명, 당연직 시의원 2명으로 구성된 시 의회에 위임되었으며, 시장이 의장을 맡았다.

2. 3. 1. 시 승격

1898년 파리 조약 이후 스페인은 항구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미국 시대가 시작되면서 카비테 푸에르토는 필리핀 주둔 미국 해군 기지가 되었다. 현대적인 선박과 무기를 수용하기 위해 재설계되었다. 과달루페 요새와 같은 역사적 구조물은 대부분의 산 펠리페 요새와 함께 철거되었다.[11]

지방 정부 행정은 미국 육군 장교(첫 번째는 메이드 대령)의 직접적인 감독하에 ''시장 대통령''으로 재편되었다. 카비테 푸에르토의 돈 자카리아 포르티치, 산 로케의 돈 프란시스코 바사, 카리다드의 돈 페드로 라케뇨 바우티스타가 첫 필리핀 ''시장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1900년, 카비테인들은 미국 통치 하에서 첫 선거를 치렀다. 각 푸에블로(마을)는 ''시장 대통령'', ''부시장 대통령'', ''Consejales''(의원)로 구성된 ''Consejo''(의회) 등 지방 관리를 선출했다. 돈 그레고리오 바사는 현재의 카비테 시의 ''시장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01년, 필리핀 위원회는 전국 모든 지방 정부의 기본법으로 지방 자치법을 승인했다. 1903년 시행에서 카비테 푸에르토, 산 로케, 라 카리다드라는 세 개의 분리된 푸에블로는 하나의 지방 자치 단체로 병합되었으며, 이는 카비테 지방 자치 단체라고 불렸다. 제1 필리핀 의회가 공포한 법률에 따라 카비테는 다시 주의 수도가 되었다. 그 후, 그 영토는 산 안토니오 지구와 코레히도르 섬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카비테 지방 자치 단체는 필리핀 지방 자치 단체의 자격을 갖춘 유권자들이 정당하게 선출한 시장 대통령, 부시장 대통령 및 1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공무원으로 구성된 민간 정부로 기능했다.

1909년, W. 캐머런 포브스 총독의 행정 명령 제124호는 코레히도르와 카발로(휴즈 요새), 라 몬하, 엘 프라이레(드럼 요새), 산타 아말리아, 카라바오(프랭크 요새) 및 림보네스 섬, 그리고 그 주변의 모든 물과 떨어져 있는 바위를 카비테 지방 자치 단체에 병합하는 법률 제1748호를 선언했다.

2. 4. 일본 점령 시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가 심하게 폭격된 후 1616년에 지어진 전 아우구스티누스 레콜렉토스 교회인 산타 모니카 교회의 스페인 시대 종탑 유적


1941년 12월 10일, 클라크 비행장에서 미국의 방공 시설을 파괴한 공격 이틀 후이자 진주만 공격 3일 후, 일본 제국군은 카비테 해군 기지를 파괴하고 카비테 시를 폭격했다.

이후 일본은 필리핀을 점령했고, 일본 지도자들은 카비테 시의 시장을 최소 두 명 임명했다.

코레히도르 섬은 필리핀 일본 침공 당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섬은 1942년 초와 1945년 1월에 일본 제국 육군과 미 육군, 그리고 그들의 소규모 부대인 필리핀 육군 사이에 두 번의 막대한 공방전과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1945년,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해방시키기 위한 전투 중 미국과 필리핀 연방군은 도시에 주둔한 일본군을 폭격하여 카비테의 오래된 역사적인 항구를 완전히 파괴했다. 옛 성벽과 포르타 바가 문이 손상되었고, 대부분의 구조물이 파괴되었지만 일부 교회 탑은 남아 있었다. 도시는 폭탄 구덩이로 뒤덮였다.[21]

전쟁 후 도시의 지방 행정부는 운영을 재개했다. 오래된 도시의 성벽, 문, 유적은 나중에 제거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레콜렉토스 산타 모니카 교회의 종탑과 산 펠리페 요새의 두 요새만 옛 도시에서 남아있다.

2. 5. 전후 시대

1954년 필리핀 의회에서 통과된 공화국 법 제981호에 따라, 주의 수도가 카비테 시에서 새롭게 설립된 트레세 마르티레스로 이전되었다. 이후 시 헌장이 개정되어 시장, 부시장 및 8명의 시의원이 주민 투표로 선출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치러진 최초의 시 공무원 선거는 1963년에 실시되었다.

사몬테 공원


산 펠리페 요새를 포함한 옛 항구 도시의 절반은 현재 카비테 해군 기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카비테의 옛 역사적 중심지는 현재 산 로케 지구의 일부이며, 오늘날에는 산 펠리페 요새 또는 포르타 바가로 불린다.[3] 포르타 바가 게이트, 서쪽 성벽 및 그 탑이 있던 자리는 현재 주지사 사몬테 공원이 차지하고 있다.

2. 5. 1. 마르코스 독재 시절 (1965-198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재선 캠페인을 위한 차관 자금 정부 지출 증가는 1969년 필리핀 국제 수지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22][23][24][25][26][27] 1972년, 마르코스는 헌법상 허용된 마지막 임기가 끝나기 1년 전에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했다.[28] 이로 인해 마르코스는 14년 더 권력을 유지했고, 카비테는 많은 사회적, 경제적 난관을 겪었다.[1] 1972년 계엄령 선포 당시, 마누엘 S. 로하스 시장은 카비테 인근 바코르 마을에서 암살되었다.[29]

마르코스 가족의 과도한 행위[1]는 체포와 고문 위험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시민들의 반대를 촉발했다.[30] 이 시기 인권 침해 피해자 중에는 카비테 시 거주자이자 필리핀 대학교 학생 지도자인 엠마누엘 알바레즈가 있었다. 카티푸난 장군 파스쿠알 알바레즈의 후손인 엠마누엘 알바레즈는 1976년 1월 6일 카비테 시 자택에서 통근하던 중 군인으로 추정되는 두 남자에게 붙잡혀 실종되었으며,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치하의 계엄령의 '데사파레시도스(실종자)' 중 한 명이 되었다.[31] 그는 필리핀 민주주의의 영웅으로 공식 칭송받았으며, 그의 이름은 필리핀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의 추모 벽에 새겨져 있다.[31]

1986년 조기 총선에서 마르코스는 공식적인 COMELEC 결과에 따르면 제4지역(당시 MIMAROPA주 포함)에서 코라손 아키노에게 승리했지만, 이는 NAMFREL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다. 미국 선거 감시단이 실시한 출구 조사에 따르면 카비테 시 유권자들은 마르코스보다 아키노를 더 선호했다.[32]

2. 5. 2. 토지 매립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산 로케 지협에 인접한 토지가 매립되었다. 이 새로운 토지에는 현재 산 세바스티안 칼리지 – 레콜레토스 데 카비테와 일부 주택이 들어서 있다. 현재의 카비테 시청은 1945년까지 이미 부분적으로 매립된 옛 서쪽 성벽의 북쪽 탑이 있던 자리에 세워졌다.[21]

2. 6. 현대

다닐로 아티엔자 공군 기지의 일부가 2020년에 상글레이 포인트 공항이라는 국내선 공항으로 전환되었다.[33] 이 공항은 국가 정부의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선 공항으로 전환될 계획이다. 원래 제안자 지위(OPS) 계약은 처음에는 마크로아시아 공사와 중국교통건설공사의 컨소시엄에 수여되었으나,[34] 2021년에 지방 정부에 의해 취소되었다.[35] 다른 입찰 과정을 거쳐 2022년에는 유청코가 이끄는 상글레이 포인트 국제공항 컨소시엄에 계약이 수여되었다.[36]

3. 지리

카비테시는 마닐라만으로 돌출된 갈고리 모양의 카비테 반도 대부분을 차지한다. 반도는 남동쪽으로 바코르만과 접해 있다. 반도는 상글리 포인트와 카비테 포인트, 두 개의 팁으로 끝난다. 카냐카오만은 두 지점 사이에 형성된 수역이다. 카비테 포인트는 옛 역사적인 카비테 항구의 위치였다. 바코르만과 카냐카오만은 모두 더 큰 마닐라만 내에 있는 내륙만이다. 이 도시의 유일한 육상 경계는 남쪽의 노벨레타와 접해 있다.

이 도시는 마닐라에서 남서쪽으로 직선 거리 약 11km 떨어져 있지만 육로로는 약 35km 거리인 카비테주 최북단에 위치한다. 이전 미국 상글리 포인트 해군 기지가 있던 상글리 포인트는 도시, 반도 및 주의 최북단 지점이다. 이전 미국 군 해군 기지는 이후 필리핀군 기지로 전환되었다.

코레히도르섬, 카바요섬, 포트 프랭크, 엘 프레일 및 라 몬하섬 등 역사적인 섬들은 마닐라만 입구에 위치하며 이 도시의 영토 관할권에 속한다.

3. 1. 기후

카비테 시는 열대 우기 및 건기 기후(쾨펜 기후 구분 Aw)로, 12월부터 4월까지 뚜렷한 건기가 나타나고, 5월부터 11월까지는 강우량이 많은 우기가 길게 이어져 도시에 많은 비를 내립니다.[71][72]

다음은 PAGASA에서 관측한 카비테 시(다닐로 아티엔자 공군 기지)의 기후 자료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34.835.236.637.838.538.436.436.535.635.836.434.038.5
평균 최고 기온 (°C)30.0
30.3
30.8
31.1
32.7
32.5
34.4
34.3
34.1
34.1
32.8
33.1
31.7
31.8
31.3
31.4
31.4
31.6
31.4
31.8
31.1
31.5
30.0
30.5
31.8
32.0
평균 기온 (°C)26.6
27.3
27.2
27.8
28.6
29.0
30.1
30.5
30.1
30.7
29.3
29.9
28.5
28.9
28.3
28.7
28.3
28.7
28.4
29.0
28.1
28.7
27.0
27.7
28.4
28.9
평균 최저 기온 (°C)23.3
24.3
23.6
24.5
24.6
25.5
25.9
26.8
26.1
27.2
25.8
26.7
25.3
26.1
25.2
25.9
25.2
25.9
25.3
26.1
25.0
25.8
23.9
25.0
24.9
25.8
최저 기온 기록 (°C)19.018.019.121.522.022.021.222.021.021.021.520.018.0
평균 강우량 (mm)16.9
19.9
11.1
20.4
9.4
19.1
18.5
17.7
139.1
149.9
264.5
260.4
422.4
456.5
457.2
514.3
341.8
385.5
224.3
196.9
110.5
109.1
62.7
91.6
2078.4
2241.3
평균 강우 일수 (≥ 0.1 mm/≥ 1 mm)4/32/32/32/29/815/1320/1821/1919/1715/1211/97/7127/114
평균 상대 습도 (%)79/7976/7774/7571/7374/7678/8081/8383/8482/8481/8180/8079/8078/79


  • 1981~2010년 평균값 및 1974~2012년 극값[71][72]
  • 1991~2020년 평균값 및 1974~2023년 극값[37][38]

3. 2. 행정 구역

카비테 시는 5개의 구역(달라히칸, 산타 크루즈, 카리다드, 산 안토니오, 산 로케)으로 나뉘며, 이 구역들은 다시 8개의 구역과 총 84개의 바랑가이로 세분된다.[39] 각 바랑가이는 푸로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

카비테 시를 구성하는 바랑가이 지도.


바랑가이
바랑가이 1 (Hen. M. 알바레즈)
바랑가이 2 (Hen. C. 티로나)
바랑가이 3 (Hen. E. 아기날도)
바랑가이 4 (Hen. M. 트리아스)
바랑가이 5 (Hen. E. 에반젤리스타)
바랑가이 6 (디에고 실랑)
바랑가이 7 (카피탄 콩)
바랑가이 8 (마누엘 S. 로하스)
바랑가이 9 (카나와이)
바랑가이 10-M (킹피셔)
바랑가이 10-A (킹피셔 A)
바랑가이 10-B (킹피셔 B)
바랑가이 11 (라윈)
바랑가이 12 (러브 버드)
바랑가이 13 (아길라)
바랑가이 14 (로로)
바랑가이 15 (킬리야완)
바랑가이 16 (마르티네스)
바랑가이 17 (칼라파티)
바랑가이 18 (마야/물고기자리)
바랑가이 19 (쌍둥이자리)
바랑가이 20 (처녀자리)
바랑가이 21 (전갈자리)
바랑가이 22 (사자자리)
바랑가이 22-A (사자자리 A)
바랑가이 23 (물병자리)
바랑가이 24 (천칭자리)
바랑가이 25 (염소자리)
바랑가이 26 (게자리)
바랑가이 27 (궁수자리)
바랑가이 28 (황소자리)
바랑가이 29 (라오-라오/양자리)
바랑가이 29-A (라오-라오 A/양자리 A)
바랑가이 30 (비드-비드)
바랑가이 31 (마야-마야)
바랑가이 32 (살레이-살레이)
바랑가이 33 (부안-부안)
바랑가이 34 (라푸-라푸)
바랑가이 35 (하사-하사)
바랑가이 36 (삽-삽)
바랑가이 36-A (삽-삽 A)
바랑가이 37-M (카데나 데 아모르)
바랑가이 37-A (카데나 데 아모르 A)
바랑가이 38 (삼파기타)
바랑가이 38-A (삼파기타 A)
바랑가이 39 (자스민)
바랑가이 40 (구마멜라)
바랑가이 41 (로살)
바랑가이 42 (피나그불로드)
바랑가이 42-A (피나그불로드 A)
바랑가이 42-B (피나그불로드 B)
바랑가이 42-C (피나그불로드 C)
바랑가이 43 (피나그팔라)
바랑가이 44 (말리가야)
바랑가이 45 (카운라란)
바랑가이 45-A (카운라란 A)
바랑가이 46 (시나탈라)
바랑가이 47 (파그카이사)
바랑가이 47-A (파그카이사 A)
바랑가이 47-B (파그카이사 B)
바랑가이 48 (나라)
바랑가이 48-A (나라 A)
바랑가이 49 (아카시아)
바랑가이 49-A (아카시아 A)
바랑가이 50 (카발리에로)
바랑가이 51 (카마공)
바랑가이 52 (이필)
바랑가이 53 (야칼)
바랑가이 53-A (야칼 A)
바랑가이 53-B (야칼 B)
바랑가이 54-A (페체이 A)
바랑가이 54-M (페체이)
바랑가이 55 (암팔라야)
바랑가이 56 (라바노스)
바랑가이 57 (레폴료)
바랑가이 58 (파톨라)
바랑가이 58-A (파톨라 A)
바랑가이 59 (시타우)
바랑가이 60 (레추가스)
바랑가이 61 (탈롱;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61-A (탈롱 A;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62 (캉콩;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62-A (캉콩 A;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62-B (캉콩 B; 포블라시온)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비테 시의 인구는 100,674명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9200PD이다.[40]

카비테 시 인구 조사
연도인구
1903
1918
1939
1948
1960
1970
1975
1980
1990
1995
2000
2007
2010
2015
2020
출처: 필리핀 통계청



4. 1. 종교

포르타 바가 고독의 성모, 카비테 시의 수호성인


'에르미타 데 포르타 바가' (포르타 바가 교회), 카비테 푸에르토의 교회 중 하나로, 고독의 우리 부인이 안치되어 있으며, 건물의 왼쪽에 서쪽 벽이 보인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비테 시에서는 기독교가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대다수의 카비테뇨스(Caviteños)는 로마 가톨릭교를 믿는다. 그 외에도 아글리파야 교회,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I.N.C), 여호와의 증인,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 교회(UCCP), 예수는 주 교회(JIL), 연합 감리교, 장로교, 침례교 및 성경 근본주의 교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하나님의 국제 구성원 교회 (앙 다팅 다안),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등 다양한 기독교 종파와 소수의 무슬림이 거주하고 있다.[40]

도시가 성장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자, 프란치스코회, 예수회, 성 요한, 도미니코회, 고행 수도회 등 다양한 수도회들이 요새화된 도시 중심부에 교회, 수도원, 병원을 설립하기 시작했다. 1591년에는 선원과 군인을 위한 프란치스코회의 '산 호세 병원'(성 요셉 병원)이 세워졌고, 1608년에는 산 디에고 데 알칼라 수도원이, 이후 포르타 바가(라 에르미타) 수도원, 로레토의 성모 수도원, 산 후안 데 디오스 수도원, 산토 도밍고 수도원, 산타 모니카 수도원, 그리고 항구의 본당인 산 페드로 수도원이 차례로 건립되었다.[11]

이 시기 카비테 시는 마리아 숭배가 성행하여 "티에라 데 마리아 산티시마"(Tierra de Maria Santisima, 지극히 거룩한 마리아의 땅)라고 불렸다.

포르타 바가의 우리 부인(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솔레다드 데 포르타 바가)은 카비테 시의 수호 성인으로, 필리핀에 도착한 이래로 카비테주의 천상 수호신이자 보호자로 존경받고 있다. 국립 박물관은 포르타 바가 성모의 이미지를 국가 문화 보물[41]로 지정했으며, 이는 필리핀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마리아 그림이다.

성모상은 캔버스에 그려져 있으며, 검은색과 흰색 옷을 입고 슬픔에 잠긴 채 아들의 수난을 묵상하며 무릎을 꿇고 있는 마리아의 모습을 묘사한다. 그녀 앞에는 가시 면류관과 십자가형 때 사용된 못이 놓여 있다. 그림 뒷면에는 "1692년 4월 12일 후안 올리바가 이 성스러운 이미지를 여기에 놓다"라는 뜻의 "A doze de Abril 1692 años Juan Oliba puso esta Stma. Ymagen Haqui"라는 비문이 있다. 이 성상은 카비테와 멕시코 아카풀코 사이를 항해하는 갤리온 선을 축복하는 공식 출항식에 사용되었으며, 갤리온 선의 수호성인으로도 불렸다.

이 이미지는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된 포르타 바가 게이트 근처의 작은 교회인 '에르미타 데 포르타 바가'에 안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카비테 시의 세 교구 중 하나인 산 로케 본당에 보관되어 있다.

4. 2. 언어

이 도시는 최소 두 개의 타갈로그어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는 타갈로그족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붙인 이름인 ''탕와이''(Tangway)로, "반도"를 의미한다. 두 번째는 ''카윗''(Kawit) 또는 "갈고리"로, 바코르만 해안을 따라 있는 갈고리 모양의 지형을 가리키며,[3] 여기서 중국어 ''Keit''와 스페인어 ''Cavite''가 파생되었다.[15]

차바카노어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은 크리올어로, 한때 카비테 시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했다. 차바카노어는 16세기 후반 최초의 스페인인과 멕시코인들이 도착한 후 생겨났다. 이 시기에 카비테 시의 군사 아스날 근처에 살던 사람들은 스페인인 및 멕시코인과 소통하면서 스페인어 단어를 그들의 방언에 포함시키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대다수의 주민들이 타갈로그어를 사용한다.

오늘날 차바카노어는 일반적으로 소멸되어 가는 언어로 여겨지며, 대부분 노인층을 중심으로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이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차바카노어의 문법에 관한 논문을 쓴 필리핀의 알프레도 B. 게르만 교수에 따르면, 현재 상황은 사람들이 이 방언을 배우도록 장려하지 않는다. 타갈로그어를 사용하는 이주민의 유입과 혼인 등 차바카노어 쇠퇴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필리핀 작가이자 시인인 헤수스 발모리는 차바카노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으며, 여러 구절을 차바카노어로 썼다. 작가이자 유명한 필리핀 역사가인 돈 하이메 데 베이라도는 "나는 한편으로는 '타갈로그의 침략'과 다른 한편으로는 '영어의 침략'에 의해 불가피하게 흡수되면서, 다음 세대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마지막 사람들이 남겨진 채 이 유산인 카스티야어가 사라지거나 소멸될까 두렵다."라고 썼다. 차바카노어로 책을 쓴 게르바시오 미란다 교수는 서문에서 "이 책을 쓴 유일한 목적은 카비테의 차바카노어를 후세를 위해 글로 보존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이 방언의 소멸을 두려워했다.

5. 경제

'''카비테의 빈곤율'''

연도200620092012201520182021
빈곤율



'''출처:''' 필리핀 통계청[42] [45] [46] [47] [48] [49]

6. 문화

카비테 시에서는 레가다 축제, 포르타 바가의 고독의 성모 축제, 훌리안 펠리페 생일 (1월 28일) 기념 행사, 카비테 시의 날 (9월 7일) 등 다양한 축제와 기념 행사가 열린다. 카비테 시의 음식은 스페인 문화와 필리핀 전통의 영향을 받았으며, 바칼라오(볶은 대구)와 비빙캉 사말라 등이 대표적이다.[50][51][52][53][54][55][56][57]

6. 1. 축제

산 후안 바티스타 데 카비테의 연례 레가다 축제의 진정한 중심지인 존경받는 원본 이미지


카비테 시에서는 매년 6월 17일부터 24일까지 연례 카비테 시 물 축제(레가다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세례자 요한 축일을 기념하는 종교적인 행사이다. 레가다는 1996년에 시작되었으며, 참가자들이 물을 뿌리며 춤을 추는 거리 축제인 ''폴란''(바사야완)이 특징이다.[50][51] 또 다른 축제는 매년 11월 둘째 주 일요일에 지역 가톨릭 신자들이 기념하는 포르타 바가의 고독의 성모 축제이다.[52]

필리핀 국가를 작곡한 훌리안 펠리페의 생일(1월 28일) 기념 행사도 주목할 만하다. 펠리페는 카비테 시에서 태어나 자랐다.[53][54] 1940년에 시 헌장이 서명된 것을 기념하는 카비테 시의 헌장 기념일은 매년 9월 7일에 열린다.[55][56]

6. 2. 음식

카비테 시의 음식은 스페인 문화유산과 필리핀 전통이 결합된 영향을 받았다. 인기 있는 토속 요리 중 하나는 사순절 기간에 제공되는 바칼라오(볶은 대구 생선)이다. 지역에서 "비빙캉 사말라"로 알려진 ''비빙카''의 변형도 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별미는 찹쌀(''말라그킷''), 코코넛 밀크와 설탕으로 만든다.[57]

7. 교통

카비테 누에보(Cavite Nuevo)와 산 로케(San Roque) 마을을 연결하는 산 로케 둑길 (1899)


좁은 산 로케 지협 또는 둑길(현재 M. 발렌티노 거리)은 카비테 푸에르토(Cavite Puerto)를 유일한 접경 마을인 산 로케(San Roque)와 연결했다. 17세기 지도에는 이 좁은 지협이 한때 마을 자체만큼 넓었던 것으로 나타난다.[19] 해수면 상승과 침식하는 파도로 인해 카비테 푸에르토(Cavite Puerto)가 겪었던 문제는 아마도 땅을 좁은 지협으로 침식시켰을 것이다.[20]

다닐로 아티엔자 공군 기지의 일부가 2020년에 상글레이 포인트 공항이라는 국내선 공항으로 전환되었다.[33] 이 공항은 국가 정부의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선 공항으로 전환될 계획이다. 원래 제안자 지위(OPS) 계약은 처음에는 마크로아시아 공사와 중국교통건설공사의 컨소시엄에 수여되었으나,[34] 2021년에 지방 정부에 의해 취소되었다.[35] 다른 입찰 과정을 거쳐 2022년에는 유청코가 이끄는 상글레이 포인트 국제공항 컨소시엄에 계약이 수여되었다.[36]

카비테 시를 루손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하는 유일한 도로는 국도 62호선이며, 이 도로는 카리다드 지구의 P. 부르고스 애비뉴에서 시작하여 마닐라-카비테 로드(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와 혼동하지 말 것)로 노벨레타까지 이어진다.[58] 카위트에서 바코르 만을 거쳐 카비테 시까지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제안이 공공사업도로부(DPWH)에 제출되었다. 이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CAVITEx)와 연결될 것이다.[59][60]

카비테 시에는 상글리 포인트에 위치한 다닐로 아티엔자 공군 기지[61] 한 곳의 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필리핀 공군에서 운영한다. 이 기지는 1971년 필리핀 정부에 이관되기 전까지는 미 해군 기지였으며, 상글리 포인트 해군 기지라고 불렸다.[62] 이 기지를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의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 공항으로 전환하려는 제안이 있다.[63][64]

2019년 현재, 카비테 시에는 운행 중인 수상을 기반으로 하는 대중교통 서비스는 없었다.[65] 2007년에 운행을 시작한 메트로스타 페리는 산 로케 지구에서 파사이 시, 메트로 마닐라까지 운행했다.[66][67] 2018년 1월에 마닐라의 인트라무로스 지구에서 인근 도시인 남쪽의 노벨레타까지 새로운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이 노선이 카비테 시에서 가장 가까운 수상 교통 수단이다.

8. 출신 인물


  • 내시 아구아스
  • 에르미니아 빅토리아노 이 아마도
  • 엘리오도로 바예스테로스
  • 로만 바사
  • 엘피디아 E. 보난자
  • 푸리피카시온 보로메오
  • 라디슬라오 디와
  • 로만 파우스티노
  • 훌리안 펠리페
  • 글레이자 에라두라
  • 조엘 라마간
  • 셀레스트 레가스피
  • 모나 리자
  • 에드나 루나
  • 릴리 마르케스
  • 라켈 몬테자
  • 메르세데스 마티아스-산티아고
  • 에프렌 페냐플로리다
  • 마누엘 S. 로하스
  • 올리 데 라 페냐
  • 올리비아 살라망카
  • 레오폴도 살세도
  • 로젠도 E. 산토스 주니어
  • 페르디난드 토파시오
  • 카비테의 13명의 순교자
  • 에밀리오 아기날도 - 필리핀 제1공화국 초대 대통령
  • 윌러스 포타시오 - 미국 만화가

9. 자매 도시

카비테 시는 자매 도시로 지정된 두 개의 자매 도시가 있다.

도시국가
-- 멜리야
-- 샌디에이고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서적 A Pronouncing Gazetteer and Geographical Dictionary of Philippine Islands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2
[3] 웹사이트 About Cavite City http://cavitecitylib[...] 2014-10-19
[4] 문서 Jesuits In The Philippines (1581-1768) https://archive.org/[...]
[5] 서적 Census of the Philippine Islands 1918, Vol I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1920
[6] 서적 Journal, Memorials and Letters of Cornelis Matelieff de Jonge. Security, Diplomacy and Commerce in 17th-Century Southeast Asia https://www.academia[...] NUS Press 2015-08-30
[7] 문서 Zamboangueño Chavacano: Philippine Spanish Creole or Filipinized Spanish Creole?
[8] 논문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9] 서적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http://www.xeniaedit[...]
[10] 서적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https://ia601608.us.[...]
[11] 웹사이트 el puerto de cavite/ ribera de cavite • cavite city http://muog.wordpres[...] 2014-10-29
[12] 서적 The Edinburgh Encyclopædia, Vol. 15 – Philippine Islands https://books.google[...] Joseph and Edward Parker 1832
[13] 문서 Travel Accounts
[14] 서적 Forced Migration in the Spanish Pacific World
[15] 서적 Philippine Islands 1493–1803, Vol. 12, 1601–1604 https://books.google[...] Arthu H. Clark Co. 1904
[16] 논문 Cavite Chabacano Philippine Creole Spanish: Description and Typology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5
[17] 논문 The Philippines Glimpsed in the First Latin-American "Novel" https://www.jstor.or[...]
[18] 서적 The Manila-Acapulco Galleons: The Treasure Ships of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UK, Ltd 2011
[19] 웹사이트 Philippines is Not Only Manila http://www.aenet.org[...] 2014-10-30
[20] 웹사이트 http://muog.wordpres[...] 2014-10-30
[21] 웹사이트 Cavite, Luzon Island, Philippines 1945 https://www.flickr.c[...] 2014-10-20
[22] 학술지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1992-05-04
[23]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4] 학술지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25]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6]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27]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28]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98
[29] 웹사이트 THE PEOPLE OF THE PHILIPPINES vs. JACINTO REYES y RAMIREZ and OSCAR SABATER https://web.archive.[...] 2018-04-18
[30] 뉴스 Philippines martial law: The fight to remember a decade of arrests and torture https://www.bbc.com/[...] 2022-09-28
[31] 웹사이트 ALVAREZ, Emmanuel I https://bantayog.fou[...]
[32] 웹사이트 A Path to Democratic Renewal https://pdf.usaid.go[...] 2024-11-23
[33] 웹사이트 Duterte inaugurates Sangley Airport https://www.rappler.[...] 2020-02-15
[34] 웹사이트 Sole bidder awarded P208B Sangley Point airport project https://portcalls.co[...] 2020-02-14
[35] 웹사이트 Cavite drops China-backed Sangley airport deal https://newsinfo.inq[...] 2021-01-28
[36] 웹사이트 Cavitex-Yuchengco-led consortium set to bag Sangley airport project on Sept. 15 https://www.gmanetwo[...] 2024-11-22
[37] 웹사이트 Sangley Point Cavite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38] 웹사이트 Sangley Point Cavite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39] 웹사이트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listing for Cavite City http://nap.psa.gov.p[...] 2017-01-11
[40] 웹사이트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Cavite https://psa.gov.ph/s[...] 2018-11-11
[41] 뉴스 Our Lady Soledad de Porta Vaga replica image on display at Radio Veritas https://mb.com.ph/20[...] 2023-08-08
[42]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3] 웹사이트 Wikidata 2000
[44] 웹사이트 Wikidata 2003
[45] 웹사이트 Wikidata 2006
[46] 웹사이트 Wikidata 2012
[47] 웹사이트 Wikidata 2015
[48] 웹사이트 Wikidata 2018
[49] 웹사이트 Wikidata 2021
[50] 웹사이트 Regada Festival http://cavite.gov.ph[...] 2018-07-24
[51] 뉴스 Cavite folks water party on St. John the Baptist feast day http://www.pna.gov.p[...] 2018-07-24
[52] 뉴스 Asian Catholics coming to Manila for Cardinal Tagle's new evangelization confab at UST; Cavite to hold 'Soledad' fiesta http://lifestyle.inq[...] 2018-11-11
[53] 뉴스 The birth of the Philippine National Anthem https://www.philstar[...] 2018-11-11
[54] 뉴스 Julian Felipe was born in Cavite City January 28, 1861 https://kahimyang.co[...] 2018-11-11
[55] 뉴스 LIST: Duterte OKs more holidays around PH https://news.abs-cbn[...] 2018-11-15
[56] 뉴스 Palace declares Sept. 7 non-working holiday in Cavite City http://www.pna.gov.p[...] 2018-11-11
[57] 뉴스 Cavite cuisine is waiting to be discovered http://cnnphilippine[...] 2018-11-11
[58]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018-04-09
[59] 뉴스 MVP's Metro Pacific proposes Sangley-Cavitex expressway https://www.rappler.[...] 2018-07-23
[60] 웹사이트 MPIC proposes Cavitex-Sangley expressway http://thestandard.c[...] 2018-07-23
[61] 웹사이트 Manila-Sangley Point Danilo Atienza Air Base Profile {{!}} CAPA https://centreforavi[...] 2018-07-22
[62] 웹사이트 Philippine Air Force: Official Website https://www.paf.mil.[...] 2018-07-22
[63] 뉴스 Airports plan in full swing, but new international gateway uncertain https://businessmirr[...] 2018-07-22
[64] 뉴스 Cavite LGU pushes $9.3-B Sangley airport project http://business.inqu[...] 2018-07-22
[65] 뉴스 Let's use more ferryboats and trains http://opinion.inqui[...] 2018-07-22
[66] 웹사이트 SM Prime Holdings {{!}} http://www.smprime.c[...] 2018-07-22
[67] 웹사이트 The Manila Times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2018-07-22
[68] 뉴스 Maynilad offers free septic tank cleaning http://www.manilatim[...] 2018-07-22
[69] 뉴스 Leak repaired but still no water supply in southern NCR, Cavite – Maynilad http://newsinfo.inqu[...] 2018-07-22
[70] 웹사이트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listing for Cavite City http://nap.psa.gov.p[...]
[71] 웹인용 Sangley Point Cavite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72] 웹인용 Sangley Point Cavite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