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할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할린주는 사할린섬과 쿠릴 열도로 구성된 러시아의 행정 구역이다. 극동 연방관구에 속하며, 일본 홋카이도와 해협을 통해 인접해 있다. 사할린섬은 일본에서 가라후토 섬으로 불렸으며, 소야 해협을 사이에 두고 홋카이도와 마주하고 있다.

사할린주는 19세기부터 러시아와 일본의 영토 분쟁 지역이었으며, 러일 전쟁 이후 남사할린이 일본에 귀속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편입되었다. 현재 일본은 남쿠릴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사할린주는 러시아의 지배하에 있다.

사할린주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도시로는 유즈노사할린스크가 있으며,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 자원 개발이 활발하다. 교통은 철도와 도로, 해상 교통을 이용하며,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할린주 - 시코탄섬
    시코탄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섬으로, 러시아와 일본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이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사할린주 - 하보마이 군도
    하보마이 군도는 홋카이도 네무로반도 근처의 섬들로, 일본은 북방 영토라 주장하며 반환을 요구하지만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 러시아 극동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 극동 -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광대한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하천,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러시아인과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다.
  • 아이누 - 도호쿠 지방
    도호쿠 지방은 일본 혼슈 북동부에 위치하며 6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고, 산악 지형과 화산, 온천이 풍부하며, 쌀 생산이 활발했으나 현재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지진의 영향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과제인 지역이다.
  • 아이누 - 사할린섬
    사할린섬은 러시아 최대의 섬이자 세계에서 29번째로 큰 섬으로,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러시아와 일본 간 영토 분쟁과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다양한 민족 거주, 그리고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겪은 복잡한 역사를 지닌 섬이다.
사할린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러시아 지도 (2014–2022) - 사할린 주의 위치
러시아 내 사할린 주의 위치 (2014-2022)
러시아어 명칭Сахали́нская о́бласть
로마자 표기Sahalinskaya oblast'
약칭사할린 주
위치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정치적 지위
연방 관구극동 연방관구
경제 지구극동 경제 지구
주도유즈노사할린스크
면적87,101 km²
면적 순위37위
설립일1932년 10월 20일
자동차 번호판65
ISO 3166-2RU-SAK
웹사이트사할린 주 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총 인구 (2021년)466,609명
인구 순위75위
도시 인구 비율 (2021년)82.4%
농촌 인구 비율 (2021년)17.6%
정치
주지사발레리 리마렌코
의회사할린 주 두마
상징
사할린 주의 문장
사할린 주의 문장
사할린 주의 깃발
사할린 주의 깃발
기타
시간대마가단 시간 (UTC+11)

2. 상징

사할린주에는 주기와 문장이 있다.

3. 지리

사할린섬쿠릴 열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극동 연방관구에 속해 있다. 소야 해협(러시아어: Пролив Лаперуза|라 페루즈 해협ru), 오호츠크해를 통해 일본홋카이도와 접해 있으며, 일본(특히 홋카이도)과의 경제적 연관성이 강하다. 주요 부속 도서로는 해마도(러시아어: 모네론 섬)가 있으며, 1983년 9월 1일에 발생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의 무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사할린 섬 남부(남사할린) 및 쿠릴 열도 전체는 일본 영토였다 (자세한 내용은 러일 화친 조약, 가라후토-지시마 교환 조약, 포츠머스 조약 참조).

3. 1. 섬

1990년대 중반부터 여러 러시아, 프랑스, 대한민국, 영국, 캐나다 및 미국의 석유 및 천연 가스 회사가 사할린 섬에서 석유 및 가스 시추 또는 탐사를 진행해 왔다.[13] 1920년대부터 소련 당국에 의해 석탄과 일부 망간이 채굴되었다.

3. 1. 1. 사할린 (가라후토)


  • 사할린 섬 - 일본명은 가라후토 섬이다. 소야 해협(러시아어: Пролив Лаперуза|라 페루즈 해협ru)으로 구분되며, 홋카이도의 소야 곶과 가라후토(사할린)의 크릴리온 곶(니시노토로 곶) 사이는 불과 약 42km이다. 소야 해협의 러시아어 해협명 "라 페루즈 해협"(영어: La Pérouse Strait|라 페루즈 해협영어)은 1787년에 이곳을 통과한 프랑스의 탐험가 라 페루즈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
  • 카메니아 파스나스치 섬 - 일본명은 니조이와이다.[1]
  • 모네론 섬 - 일본명은 가이바 섬이다.[1]
  • 튜레니 섬 - 일본명은 해표 섬이다.[1]

3. 1. 2. 소 쿠릴 열도

러시아어로는 Малая Курильская гряда|말라야 쿠릴스카야 그리다ru라고 표기한다.

  • 시코탄섬: 2016년 러시아 통계에 따르면 인구는 2,917명이다.
  • 하보마이 군도: 모든 섬은 현재 일반인이 거주하지 않는 무인도이지만, 시보츠섬에는 여름에 소수의 러시아 어민이 이주한다. 또한 주요 각 섬에는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200명 정도 배치되어 있다.
  • * 다이라 섬: 현재는 무인도이며,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상주한다.
  • * 시보츠 섬: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상주한다. 무인도이지만, 여름이 되면 다시마를 채취하러 오는 어민이 계절 이주하며, 계절 영업 식당도 운영되어 활기를 띤다.
  • * 유리 섬
  • * 아키유리 섬
  • * 크라스노 섬: 노삽 곶에서 고요마이 해협(러시아어: Пролив Советский|프랄리프 사볘츠키ru)을 사이에 두고 불과 7km 거리에 있으며,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상주하고 있다.
  • * 스코리 섬: 고요마이 해협(러시아어: Пролив Советский|프랄리프 사볘츠키ru)의 거의 중간 지점에 있다. 1957년 당시 소련 KGB의 한 기관이었던 소련 국경경비대가 실력으로 점거했다. 당시 일본은 미일 안보 조약에 의해 미국에 의해 방위될 예정이었지만, 미군은 일절 출동하지 않았다. 이 섬의 등대는 오랫동안 점등되지 않았지만, 최근 러시아 당국에 의해 수리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고 있다. 이 섬과 노삽 곶 중간에는 러시아 측이 주장하는 국경선이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부이가 설치되어 있다.

3. 1. 3. 대 쿠릴 열도


  • 시코탄섬. Шикотанru 인구 2,917명(2016년 현재, 러시아 통계).[1]
  • 하보마이 군도. 모든 섬은 현재 일반인의 정주가 없는 무인도이지만, 시보츠섬에는 여름에 소수의 러시아 어민이 이주한다.[1] 또한 주요 각 섬에는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200명 정도 배치되어 있다.[1]
  • * 다이라 섬. 현재는 무인도이며,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상주한다.[1]
  • * 시보츠 섬.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상주한다.[1] 무인도이지만, 여름이 되면 다시마를 채취하러 오는 어민이 계절 이주하며, 계절 영업 식당도 있어 활기를 띤다.[1]
  • * 유리 섬.[1]
  • * 아키유리 섬.[1]
  • * 크라스노 섬. 노사ప్ప 곶에서 고요마이 해협(Пролив Советскийru)을 사이에 두고 불과 7km 거리.[1] 러시아 연안경비대가 상주하고 있다.[1]
  • * 스코리 섬. 고요마이 해협(Пролив Советскийru)의 거의 중간 지점.[1] 1957년에 당시 소련 소련 국가보안위원회의 한 기관이었던 소련 국경경비대가 실력으로 점거했다.[1] 그 당시 일본은 미일 안보 조약에 의해 미국에 의해 방위될 예정이었지만, 미군은 일절 출동하지 않았다.[1] 이 섬의 등대는 오랫동안 점등되지 않았지만, 최근 러시아 당국에 의해 수리되었다.[1] 그러나 그 후에도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고 있다.[1] 이 섬과 노사ప్ప 곶의 중간에 러시아 측이 주장하는 "국경선"이 있으며, 그것을 나타내는 부이가 설치되어 있다.[1]

3. 2. 기타 지형

사할린주의 기타 지형으로는 다음이 있다.

  • 크릴리온 반도: 일본명은 노토로 반도이다. 남쪽의 소야 해협에 대해 서쪽에 위치한다.
  • 토니노아니프스키 반도: 일본명은 나카시레토코 반도이다. 남쪽의 소야 해협에 대해 동쪽에 위치한다.
  • 테르페니아 반도: 일본명은 키타시레토코 반도이다.
  • 슈미트 반도

3. 2. 1. 산


  • 체호프 산(피크 체호바ru) - 사할린섬에 있는 산이다. 일본명은 스즈야 산이다.
  • 마트로소보 산 - 사할린섬에 있는 산이다. 일본명은 호로노보 산이다. 가장 가까운 역은 마트로소보 역(하츠토이 역)이다.

3. 2. 2. 반도


  • 크릴리온 반도 - 일본명은 노토로 반도이다. 남쪽의 소야 해협에 대해 서쪽에 위치한다.
  • 토니노아니프스키 반도 - 일본명은 나카시레토코 반도이다. 남쪽의 소야 해협에 대해 동쪽에 위치한다.
  • 테르페니아 반도 - 일본명은 키타시레토코 반도이다.
  • 슈미트 반도

3. 2. 3. 곶

크릴리온 곶, 아니바 곶, 테르페니아 곶, 엘리자베스 곶 등이 있다.

3. 2. 4. 만

아니바만(Залив Аниваru), 텔페니아만(Залив Терпенияru), 사할린만

3. 2. 5. 호수

사할린주에는 여러 호수가 있지만, 투나이차 호와 네프스코예 호가 대표적이다.

4. 역사

17세기 중반부터 이반 모스크비틴, 마르틴 헤리츠 데 브리스 등 유럽인들이 사할린섬 주변 해역을 탐험하기 시작했다.[4] 에도 시대부터 일본인이 사할린에 정착하기 시작했는데, 마쓰마에 번은 1679년에 오토마리를 세우고 사할린을 "기타-에조"라고 명명했다.[4] 명나라청나라 시대 동안 중국은 사할린을 자국 영토로 간주했지만, 제국군이 섬에 주둔하지는 않았다.[4] 1845년, 일본은 사할린섬 전체에 대한 주권을 일방적으로 선포했지만, 러시아 정착민들은 이를 무시했다.[4]

1855년, 러시아와 일본은 시모다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국민이 사할린에 거주할 수 있도록 했다.[4]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러시아는 청나라에게 아이훈 조약베이징 조약을 체결하도록 강요하여 사할린을 포함한 영토를 획득했다.[4]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사할린섬 전체가 러시아 영토로 인정되었고, 1905년 포츠머스 조약으로 남사할린이 일본에 넘어가 가라후토 (樺太廳)으로 통치되었다.[4]

러시아 혁명 이후, 북사할린은 러시아 SFSR에 의해 통치되었다.[4] 1932년 10월 20일, 사할린주가 극동 지방의 일부로 설립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5년 8월 소련이 사할린섬 전체와 쿠릴 열도를 장악했다.[4] 1946년 2월 2일, 소련은 남사할린주를 선포했고, 1947년 1월 2일, 남사할린주는 사할린주에 통합되었으며, 사할린주는 하바롭스크 지방에서 분리되었다.[6][7]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1952)으로 일본은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지만, 남쿠릴 열도의 지위는 분쟁 중이다.[8] 일본은 공식적으로 사할린 남부와 북쿠릴 열도를 소유권이 결정되지 않은 영토로 간주한다.[9]

1995년, 네프테고르스크 지진이 발생했다.[4] 1996년 4월 24일, 사할린주는 연방 정부와 권력 분담 협정을 체결하여 자치권을 부여받았으나, 2002년 3월 4일에 폐지되었다.[10][11]

4. 1. 대한민국과의 관계

1983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으로 대한민국과 소련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1] 소련 붕괴 이후, 대한민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사할린 한인 사회 지원 및 경제 협력이 확대되었다.[1] 대한민국은 사할린주와의 관계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평화적인 문제 해결을 지지한다.[1]

5. 주민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할린주에는 466,609명이 거주하고 있다.[46]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사할린 한인, 우크라이나인, 타타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니브흐족, 윌타족, 에벤키족, 나나이족, 오로치족 등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민족1959년[43]1970년[44]1979년[45]1989년[46]2002년[46]2010년[35]
러시아인77.7%80.4%81.7%81.6%84.3%86.5%
사할린 한인6.5%5.7%5.3%5.0%5.4%5.3%
우크라이나인7.4%6.3%6.1%6.5%4.0%2.6%
타타르족1.8%1.8%1.7%1.5%1.25%1.0%
벨라루스인2.1%1.9%1.7%1.6%1.0%0.6%
모르도바인1.7%1.3%1.0%



사할린 한인은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 일제강점기일본에 의해 강제로 이주해 온 사람들의 후손이다.

5. 1. 종교

러시아 정교회가 가장 큰 종교이며, 기독교, 슬라브 토착 신앙, 현지 시베리아 토착 신앙 등을 믿는 사람들도 있다. "종교는 없지만 영적인" 상태라고 답하거나 무신론을 믿는 사람들도 있다.[1]

6. 행정 구역

사할린주는 17개의 지구(Район)와 1개의 시 (유즈노사할린스크)로 구분된다[26]

#행정 구역러시아어행정 중심지구 시정촌면적인구
18유즈노사할린스크Южно-Сахалинскru유즈노사할린스크도요하라시사할린섬905.02km2180,467


6. 1. 군

사할린주는 17개의 군(Район)과 1개의 시(유즈노사할린스크)로 구성된다.[26] 각 군의 면적 단위는 제곱킬로미터(km2)[27], 인구는 2023년 추정치이다.[28]

#행정 구역러시아어행정 중심지구 시정촌면적인구
1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군Александровск-Сахалинский районru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낙석, 아항(북사할린)사할린섬4777.36km210,043
2아니바구Анивский районru아니바루다카정사할린섬2684.8km220,946
3돌린스크구Долинский районru돌린스크오치아이정사할린섬2441.56km222,155
4코르사코프구Корсаковский районru코르사코프오오토마리정사할린섬2623.58km239,913
5쿠릴 구Курильский районru쿠릴스크샤나촌이투루프섬우루프섬시코탄섬5145.9km26,916
6마카로프구Макаровский районru마카로프시토리정사할린섬2148.43km26,939
7네벨스크구Невельский районru네벨스크혼토정사할린섬1445.4km215,122
8노글리키구Ногликский районru노글리키봉강(북사할린)사할린섬11294.8km211,513
9오하 구Охинский районru오하욱단(북사할린)사할린섬14815.87km221,456
10포로나이스크구Поронайский районru포로나이스크시키카정사할린섬7284.27km220,472
11북쿠릴 구Северо-Курильский районru세베로쿠릴스크가시와바라슘슈섬 - 라스슈아섬3501.23km22,439
12스미르니흐구Смирныховский районru스미르니흐시키카정(기톤)사할린섬10457.43km211,348
13토마리구Томаринский районru토마리토마리정사할린섬3169.33km28,300
14티모프스코예구Тымовский районru티모프스코예대모(북사할린)사할린섬6312.68km214,437
15우글레고르스크구Углегорский районru우글레고르스크에스토루정사할린섬3965.55km216,434
16홀름스크구Холмский районru홀름스크마오카정사할린섬2279.04km233,148
17남쿠릴 구Южно-Курильский районru유즈노쿠릴스크후루카마프쿠나시르섬시코탄섬・하보마이군도1856.09km211,487


6. 2. 주요 도시 및 마을

사할린주에서 도시로 지정된 곳은 유즈노사할린스크뿐이며, 나머지는 군 하위에 속한 소도시들이다. 주요 도시 및 마을은 다음과 같다.

6. 2. 1. 사할린섬

도시/마을인구 (2014년 또는 2023년 기준)일본어 명칭 및 기타 특징
유즈노사할린스크180,467명 (2023년)도요하라(豊原). 사할린 최대 도시. 도요하라와 제도적 연속성 및 구역 불일치.
코르사코프39,913명 (2023년)오도마리(大泊). 사할린 인구 2위 항만 도시.
홀름스크28,979명 (2014년)마오카(真岡). 마오카와 제도적 연속성 및 구역 불일치.
돌린스크11,814명 (2014년)오치아이(落合).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당시 소련 군용기 이륙한 소콜 비행장 위치.
오졸스키 촌나가하마(長浜)
체프라노오 촌미즈호(瑞穂)
네벨스크10,722명 (2014년)혼토(本斗).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희생자 추모비 위치.
체호프노다(野田)
토마리4,033명 (2014년)도마리오루(泊居). 홋카이도 테시오 군 테시오 정과 자매 도시.
우글레고르스크9,597명 (2014년)에스토루(恵須取)
포로나이스크15,251명 (2014년)시시키카(敷香). 시시키카와 행정 구역 연속성 및 범위 불일치. 홋카이도 기타미시와 우호 도시.
레오니도보카미시키카(上敷香)
네프테고르스크1995년 지진으로 궤멸, 현재 위령비만 존재.
오하21,495명 (2014년)사할린 북부 최대 마을.
모스칼리보마스요고(増穢)
알렉산드로프스크사할린스키9,737명 (2014년)오치시(落石)
스타로두프스코예2,262명 (2013년)사카에하마(栄浜). 미야자와 겐지 방문, 은하철도의 밤 모티브.
노글리키10,127명 (2014년)
아니바9,239명 (2014년)루우타카(留多加)
샤흐툐르스크7,351명 (2014년)도로(塔路)
스미르니흐7,214명 (2014년)키톤(気屯)
마카로프 (사할린주)6,525명 (2014년)시토르(知取)
치스토보드나예(Чистоводное)시미즈(清水)
브즈모리에(Взморье)시라우라(白浦)
차이보(Чайво)차에(茶江)
포기비(Погиби)호코베(鉾部)
티모프스크(Тымовск)티모프스코예
필툰(Пильтун)필리툰, 벤렌토(弁連戸)
룬스키(Лунский)룬스코에, 료고(呂郷)
리브노프스크(Рыбновск)리브노프스크, 타무라오(田村尾)


6. 2. 2. 남쿠릴 관구


  • 마로쿠릴리스크(Малокурильск|작은 쿠릴 섬의 마을ru)와 크라바자보츠크(Крабозаводск|게 공장의 마을ru) - 시코탄섬(Остров Шикотанru). 일본명은 샤코탄과 아나마로, 시코탄섬의 2대 집락이다. 중심지는 마로쿠릴리스크이다. "작은 쿠릴 섬"은 네무로반도에 이어진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섬의 열도를 러시아 측에서 "작은 쿠릴 열도"(Малая Курильская грядаru)라고 부르는 데서 유래한다. 아나마에는 일본 나포 어선 선원의 수용소가 있다. 1945년 8월,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점령되었고, 연방 붕괴 후 이를 계승한 러시아 연방이 점령·실효 지배하고 있다. 면적은 255.12km2이다. 2014년 시점 인구는 마로쿠릴리스크 1,873명, 크라바자보츠크 947명이다.
  • 고로브니노(Головниноru) - 쿠나시르섬. 일본명은 도마리. 러시아 연방에 의한 점령·실효 지배가 계속되고 있다. 2014년 시점 인구는 102명이다. 고로브니노는 "고로브닌의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고로브닌은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골로브닌"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자세한 내용은 골로브닌 사건을 참조하라.
  • 유즈노쿠릴스크(Южно-Курильск|남쿠릴 섬의 마을ru) - 종전 후 소련에 의해 새로운 중심 도시가 소련군 침공 전 어촌이었던 후루카맛푸를 바라보는 거의 무인이었던 고지대에 건설되었다. 2014년 시점 인구는 7,048명이다. 현재는 중심지인 후루카맛푸를 제외하고는 폐촌 상태이다.

6. 2. 3. 쿠릴 관구


  • 부레베스니크(이투루프섬) - 일본명은 텐닌이다. 2014년 기준 5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한때 중심지였던 루베츠 등 다른 집락은 폐촌 상태이다. 섬 유일의 군민 겸용 공항인 부레베스니크 공항(구 텐닌 비행장)이 있고,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과 주 3~4편의 정기편이 운행되지만, 시계 비행이 전제이기 때문에 결항이 잦다.
  • 쿠릴스크(이투루프섬) - 일본명은 샤나이다. 2014년 기준 1,757명이 거주한다. 어업 자원이 풍부한 이 해역의 어업 활동 중심지이며, 나요카 만에는 외국 배를 포함한 대형 어선이 보급을 위해 방문한다. 중심지 샤나에서 북동쪽으로 약 14km 떨어진 베츠비(레이도보)에는 기데로스트로이사의 대규모 수산 가공 공장이 있어 산업 중심지가 되고 있다. 인접한 루베츠, 시베토루(슬라브노예)와는 비포장 자갈길로 연결되어 있다. 사할린의 코르사코프 항과는 주 2편의 배가 연결되어 있지만, 2006년 현재 섬 측의 항만 정비가 미비하여 바지선을 이용해 하역 및 이동한다. 2006년부터 시작된 "쿠릴 개발 계획"으로 쿠릴스크 근교에 이투루프 공항이 2014년에 개항하여, 섬 주민의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행 정기편 결항률 감소와 물자 및 관광객 수송 편의성 향상이 기대된다.
  • 슬라브노예(이투루프섬) - 일본명은 시베토루이다. 현재 마을 영역 대부분이 러시아 당국에 의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현지 러시아인조차도 출입을 제한받는 지역이다. Google Earth 분석[29]에 따르면, 샤나에서 시베토루까지 일본이 만든 도로가 남아있으며, 주행하는 자동차도 확인된다. 또한 시베토루에는 어업 시설로 보이는 건물이 여러 채 확인된다.

6. 2. 4. 북쿠릴 관구


  • 세베로쿠릴스크(Северо-Курильск|세베로쿠릴스크ru, "북쿠릴 열도의 마을"이라는 뜻)는 파라무시르섬에 위치하며, 일본명은 가시와바라이다. 2014년 기준 인구는 2,487명이다. 사할린주 북쿠릴스키 군의 중심지이며, 북쿠릴 열도에서 유일하게 민간인이 거주하는 곳이다. NHK 라디오 제2방송의 "기상 통보"를 청취하는 사람들에게 친숙한 지명이기도 하다. 세베로쿠릴스크로 가려면 캄차카반도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항공편으로 섬수섬으로 이동한 다음, 부선이나 헬리콥터로 환승하거나, 사할린주의 코르사코프 항에서 출발하는 선편을 이용해야 한다.
  • 바이코보( Байково|바이코보ru )는 섬수섬에 위치하며, 일본명은 가타오카이다. 현재는 이 부락만 있으며, 정주자는 없다.

7. 교통

사할린은 과거 철도를 주요 교통 수단으로 이용했으나, 최근 도로 정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대 후반부터 자가용차 보급이 늘면서 도로 정비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2012년에는 사할린 섬 남북을 잇는 총 연장 약 800km의 간선도로(Р487|P487ru호선) 중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포로나이스크까지 약 300km 구간의 포장이 완료되었다.[36] 주 정부는 2014년까지 스미르니흐까지 포장을 완료할 계획을 세웠다.[36]

사할린 섬 서쪽 해안과 북방 영토를 포함한 쿠릴 열도에는 아직 포장 도로가 부족한 실정이다. 주 정부는 간선 도로를 중심으로 포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36]

7. 1. 철도

사할린 철도가 주요 철도 노선이다. 전쟁 전, 남사할린에는 일본이 건설한 철도가 있었지만, 1945년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실효 지배에 따라 소련 운수 통신성에 편입되었다. 이후 러시아 연방 운수 통신성 사할린 철도국, 러시아 철도 사할린 철도 지사 등을 거쳐 현재는 러시아 철도 극동 철도 지사가 관할하고 있다.[1]

전 노선은 비전철이며, 궤간은 러시아 철도와 같은 광궤(1520mm)이다. 2012년 현재 노선 총 연장은 804.9km이다. 1973년 바니노-홀름스크 철도 연락선 취항으로 바이칼-아무르 철도(밤 철도)의 바니노역과 연결되었다.[1]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1990년대 경제 혼란기에는 보수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0년 이후 재정비를 시작하여 2003년부터 광궤(1520mm)로 궤간 변경 공사를 시작했다. 2019년 본선 구간 광궤화가 완료되었고, 본토와 같은 광궤 차량 운행을 시작했다.[1]

2006년 전 노선에 광섬유 통신망 정비가 완료되었고, 2012년에는 일부 구간 디젤 여객 열차 내에서 공중 무선 LAN Wi-Fi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열차는 화물 운송이 주를 이루며, 여객 열차 운행은 적은 편이다.[1]

250px

7. 2. 도로

사할린에서는 오랫동안 철도가 주요 교통 수단이었고, 도로 포장률이 낮았지만, 자가용차 보급과 함께 2000년대 후반부터 정비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2012년에는 사할린 섬을 남북으로 종단하는 간선도로인 연방 정부 도로 Р487|P487ru호선(유즈노사할린스크—알렉산드로프사할린스키, 총 연장 약 800km) 중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포로나이스크까지 약 300km 구간의 포장이 완료되었다.[36] 주 정부는 Р487|P487ru호선에 대해 2014년까지 스미르니흐까지의 포장 공사를 완료할 방침이다.[36]

한편 사할린 섬 서안에는 포장 도로가 적고, 북방 영토를 포함한 쿠릴 열도에는 포장 도로가 아직 없는 실정이며, 주 정부는 주 내 포장 공사 사업자를 총동원하여 간선 도로를 중심으로 포장화를 촉진할 예정이다.[36]

7. 3. 해상 교통

사할린 섬에서는 일본 통치 시대의 오토마리(코르사코프)를 대신하여, 전전에는 어항이었던 서쪽 해안의 홀름스크(마오카)가 본토 연락의 기지가 되어 대규모 항만 설비가 정비되었다.

구 마오카항 지역에 설치된 '''홀름스크 해양 무역항'''(Холмский морской торговый портru)은 사할린주 최대의 항구이다. 홀름스크-솔치로보치니역(구 테이역)의 야드와 직결된 철도 잔교가 있는 부두는 대형 화물 갠트리 크레인 14기를 갖추고 있으며, 2011년의 취급 화물량은 2105100ton이다.

7. 3. 1. 홋카이도-사할린 항로

1995년 5월부터 홋카이도 와카나이 항과 사할린 코르사코프 항 사이에 "헤이세이판 치하쿠 항로"가 운항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러시아 선박을 이용하여 정기 페리가 취항했지만, 1997년과 1998년에는 여행사의 전세선으로 운항되었다. 1999년부터 일본 선적(하트랜드 페리)의 아인스 소야가 취항했다(동절기를 제외하고 주 2편 운항). 2015년에 하트랜드 페리가 철수했다. 2016년에는 8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사할린 해양 기선(SASCO)에 의해 쌍동선 "펭귄 33"이 운항되었고[37], 511명의 이용객이 있었다[38]. 2019년에는 운항되지 않았다.

7. 3. 2. 홋카이도-쿠릴 열도 항로

무비자 교류에 참가하여 전세선으로 네무로항에서 출발하여 쿠릴스크(에토로후섬)나 유즈노쿠릴스크(쿠나시르섬)에 입항한다. 무비자 교류의 경우에도 전세선이 러시아가 주장하는 영해에 들어가면 국제 항로를 통항하는 선박의 관례에 따라 러시아 국기를 돛대에 게양하며, 도착 후에는 러시아 세관 당국의 입역 심사를 받는다.[1] 이 전세선 이용은 일러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옛 섬 주민, 그 자손, 그리고 반환 단체로부터 추천받은 자 등으로 한정되어 있다.[1]

7. 3. 3. 사할린-쿠릴 열도 항로

코르사코프 항구에서 사할린해운의 화객선 "이고르 파르하토디노프"호가 주 2회 출항한다. 이 배는 3월부터 12월까지 운항하며, 운항 일정은 다음과 같다.

요일기항지
월요일코르사코프 출발
화요일이투루프 섬
수요일시코탄 섬, 쿠나시르 섬
목요일코르사코프 귀항
금요일코르사코프 출발
토요일쿠나시르 섬, 시코탄 섬
일요일이투루프 섬
월요일코르사코프 귀항


7. 4. 항공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모스크바의 셰레메체보 국제공항 등 여러 공항과 연결되어 있으며, 오하 공항, 노글리키 공항, 샤흐툐르스크 공항은 하바롭스크 공항과 연결되어 있다.[1] 오로라 항공이 삿포로/신치토세 공항 - 유즈노사할린스크 노선을 주 5회(월·수·목·토·일), 나리타 공항 노선을 주 2회(화·금) 운항하고 있다.[1] 이 외에 서일본에서는 서울발 오로라 항공 등이 편리하다.[1]

이투루프 섬 샤나 촌의 야스니 공항과 쿠나시르 섬의 멘델레예프 공항까지는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에서 오로라 항공이 매일 운항하고 있다.[1] 그러나 시계 비행이기 때문에 안개가 자주 끼는 하계에는 결항되기 쉽지만, 신공항이 된 이후 결항률은 낮아졌다.[1]

2022년 1월 현재,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과 티모프스크, 샤흐툐르스크, 포로나이스크, 스미르누이흐, 노글리키, 오하,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를 잇는 로컬선이 운항되고 있다.[1]

세베로쿠릴스크 비행장이 건설 중이며, 완공 시에는 유즈노사할린스크와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간 항공편이 운항될 예정이다.[1] 이투루프 섬·쿠나시르 섬·시코탄 섬 사이에는 헬리콥터 노선이 존재한다.[1]

8.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일본과 러시아 간의 영토 분쟁이다. 제31요시진마루 사건과 같이 어선 나포 사건이 발생하기도 한다.[1]

2006년 8월 16일, 쿠릴 열도의 수 crystal 섬 부근 해역에서 조업 중이던 일본 어선이 러시아 국경 경비국 경비정에 의해 총격 및 나포되어 선원 1명이 사망하는 제31요시진마루 사건이 발생했다.[1] 일본 정부는 러시아 당국에 항의했지만, 이 해역은 러시아의 실효 지배 해역이기 때문에 양측의 주장이 상반되어 문제가 복잡해졌다.[1]

이 해역에서는 다시마나 허가된 어종에 대해서는 허가를 받고 입어료를 지불한 어선에 한해 조업이 인정되었지만, 무허가 조업은 일본 농림수산성 및 홋카이도 당국도 금지하고 있었다.[1] 특히 게잡이는 일본 측에 일절 인정되지 않았는데, 사건 당시 해당 어선은 게잡이를 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선내에서 1.1톤의 게가 발견되었다고 러시아 측은 발표했다.[1]

무네오 하우스에 구금되었던 승무원 중 선장을 제외한 2명은 8월 30일에 석방되었고, 사망한 승무원의 유해는 8월 19일에 일본으로 인계되었다.[1] 선장은 9월 4일 러시아 측 검찰에 의해 국경 침범과 밀어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형이 확정되었고, 약 50만러시아 루블의 벌금 및 배상금을 지불한 후 10월 3일 석방되어 네무로로 귀환했다.[1]

9. 미디어

유즈노사할린스크 라디오 방송국은 과거 일본방송협회(NHK) 도요하라 방송국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2]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ЦИК от 20.10.1932 "О реорганизации системы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деления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края" http://lawru.info/do[...] 2017-09-10
[3] 웹사이트 Щербина стала исполняющим обязанности врио главы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https://ria.ru/polit[...]
[4] 간행물 ru-pop-ref
[5] 웹사이트 Валовой региональный продукт https://mrd.gks.ru/f[...]
[6] 문서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С СССР от 02.02.1946 "Об образовании Южно-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в составе Хабаровского края РСФСР"
[7] 문서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т 2 января 1947 года "О ликвидации Южно-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и включении ее территории в состав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8] 뉴스 Russia and Japan's island row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1-18
[9] 웹사이트 北方領土問題は「千島20島」の帰属問題である 択捉・国後・歯舞・色丹だけの問題ではない https://toyokeizai.n[...] 2015-02-09
[10] 웹사이트 Newsline – May 30, 1996 Rostov, Sakhalin Oblasts Sign Power-Sharing Agreements https://www.rferl.or[...] 2019-05-02
[11] 논문 The Rise and Fall of Power-Sharing Treaties Between Center and Regions in Post-Soviet Russia http://demokratizats[...]
[12] 웹사이트 В России снова появились айны – самый загадочный народ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http://www.5-tv.ru/n[...] 5-tv.ru 2012-08-13
[13] 웹사이트 ExxonMobil Announces Drilling of World-Record Well on Sakhalin Island, Eastern Russia http://www.oilvoice.[...] OilVoice 2012-08-13
[14] 웹사이트 sakhalinindependent.com http://sakhalinindep[...] 2018-03-18
[15]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16]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17] 웹사이트 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18]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2022-06-01
[19]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s://www.demoscop[...] 2024-08-11
[20]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https://65.rosstat.g[...] 2024-08-11
[21]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s://www.demoscop[...] 2024-08-11
[22]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012
[23] 웹사이트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24] 서적 世界地誌シリーズ 9 ロシア 朝倉書店
[25] 문서 ただし、現在のユジノサハリンスクは日本統治時代の豊北村と川上村の一部を含んでいる。
[26] 웹사이트 サハリン州内各自治体(市・地区)の予算(歳出)総額 (2010年) http://www.city.wakk[...] 稚内市 2018-05-25
[27] 웹사이트 Общая площадь земель муницип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ектар, значение за год http://www.gks.ru/db[...]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2018-05-25
[28]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населения в разрезе муниципальных образований по состоянию на 01.01.2018 года и среднегодовая за 2017 год http://sakhalinstat.[...] 2018-05-25
[29] 문서 2006年に新バージョンとなり、写真の半分以上が高解像度画像となっている。
[30]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31]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32]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33]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34] 웹사이트 http://www.perepis20[...]
[35]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материалы об окончательных итогах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http://www.gks.ru/fr[...]
[36] 뉴스 На Сахалине в 2012 году строится рекордное количество асфальтобетонных дорог - около 60 км http://www.biztass.r[...] イタル・タス通信 2012-09-24
[37] 뉴스 サハリン航路再開 第1便が稚内入港 https://web.archive.[...] 2016-08-02
[38] 웹사이트 <ペンギン33>―2016年の運航計画を終了(2016年9月16日) http://www.city.wakk[...] 稚内市 2016-11-17
[39] 웹사이트 https://sakhalin.inf[...]
[40] 뉴스 20年ぶりの樺太 消え去った日本色 1965-08-01
[41] 뉴스 四年ぶりにサハリンへ 1970-11-07
[42] 문서
[43]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44]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45]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46]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