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더지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더지아과는 5개의 족과 11개의 속으로 구성된 분류군이다. 이 아과에는 구대륙의 두더지인 두더지족, 중국과 미얀마에 서식하는 긴꼬리두더지족, 데스만류를 포함하는 데스만족, 일본뒤쥐족, 그리고 북미 태평양 북서부에 서식하는 아메리카뒤쥐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더지과 - 아시아두더지류
    아시아두더지류는 땃쥐와 비슷한 외형의 두더지과 포유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과거 분류 체계와 현재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두더지과 - 히메히미즈
    히메히미즈는 일본 두더지와 비슷하게 생겼고 몸통과 머리 길이가 6~8cm, 꼬리 길이가 2.5~4cm 정도이며 짙은 갈색 털과 녹색 금속 광택을 띠고, 다른 두더지류와 달리 독특한 치아 구조, 특히 앞니 형태에서 차이를 보이는 작은 두더지이다.
두더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Talpinae
명명자G. 피셔, 1814
하위 분류군11개 속 (본문 참조)
정보
참고 문헌Hutterer, R. (2005). Wilson, D. E.; Reeder, D. 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3rd ed.).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302–310. ISBN 978-0-8018-8221-0.

2. 분류

두더지아과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5개 (Tribe)으로 분류된다. 각 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대부분의 분류 체계에서는 두더지아과를 하나의 단계통군으로 간주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현재 정의된 두더지아과가 측계통군일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기도 한다.[8] 예를 들어, 분기도 분석에 따르면 데스만족이 가장 먼저 분기한 기저 그룹이며, 그 다음으로 아메리카뒤쥐족, 긴꼬리두더지족, 일본뒤쥐족이 포함된 분지군이 분기하고, 별코두더지족(Condylurini, 일반적으로는 털꼬리두더지아과로 분류됨)이 다음으로 분기하며, 마지막으로 두더지족과 털꼬리두더지족(Scalopini)이 서로 자매군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

2. 1. 데스만족 (Desmanini)

데스만족은 두더지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데스만류를 포함한다.

다음 2개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분기도 분석 결과, 데스만족이 두더지아과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기저 그룹일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

2. 2. 아메리카뒤쥐족 (Neurotrichini)

아메리카뒤쥐족(Neurotrichinilat)은 신대륙뒤쥐류로 분류되며, 두더지아과의 한 족이다. 이 족은 아래의 1속 1종으로 구성된다.

2. 3. 긴꼬리두더지족 (Scaptonychini)

긴꼬리두더지족(Scaptonychini)은 두더지아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 이 족은 아래의 단일 속과 단일 종으로만 구성된다.

2. 4. 일본뒤쥐족 (Urotrichini)

일본뒤쥐족은 두더지아과를 구성하는 족 중 하나이다. 2개 속에 각각 1종씩 총 2종을 포함하고 있다.

디메코돈속 (Dymecodon)히메히미즈 (Dymecodon pilirostris)
일본뒤쥐속 (Urotrichus)일본뒤쥐 (Urotrichus talpoides)


2. 5. 두더지족 (Talpini)

두더지족(Talpini)은 유라시아 대륙(구대륙)에 서식하는 두더지들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다음과 같은 속(Genus)과 종(Species)으로 분류된다.

  • 작은얼굴두더지속 (''Scaptochirus'') - 중국 서식
  • * 짧은얼굴두더지 (''S. moschatus'')

참조

[1] 서적 MSW3 Hutterer
[2] 논문 Systematics and macroevolution of extant and fossil scalopine moles (Mammalia, Talpidae) https://onlinelibrar[...] 2019
[3] 간행물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zenodo.org/r[...] 2021-08-10
[4] 문서 Redescription of the Malaysian Mole as to be a true species ''Euroscaptor malayana'' http://ci.nii.ac.jp/[...]
[5] 논문 A new species of mole of the genus ''Euroscaptor'' (Soricomorpha, Talpidae) from northern Vietnam
[6] 논문 Talpa aquitania sp. nov. (Talpidae, Soricomorpha), a new mole species from SW France and N Spain https://hal.sorbonne[...] 2017
[7] 서적 MSW3 Talpidae
[8] URL http://www.bioon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