둠스데이 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둠스데이 북》은 1086년 잉글랜드의 토지 소유와 자산 현황을 기록한 역사적 문서이다. 윌리엄 1세의 명으로 제작되었으며, '리틀 둠스데이 북'과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으로 구성된다. 이 문서는 잉글랜드의 세금 징수와 왕실 재산 관리를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토지 소유자, 토지 가치, 인구, 가축 등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 둠스데이 북은 중세 시대의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영국 국립 공문서관에 보관되어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1986년에는 BBC에서 둠스데이 북 900주년을 기념하여 BBC 둠스데이 프로젝트를 제작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둠스데이 북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그레이트 서베이 Liber de Wintonia (윈체스터 책) |
유형 | 기록물 |
날짜 | 1086년 |
제작 장소 | 잉글랜드 왕국 |
언어 | 중세 라틴어 |
보관 위치 | 영국 국립 기록 보관소, 큐, 런던 |
상세 정보 | |
크기 | 다양함 |
형식 | 책 |
상태 | 양호 |
내용 | 토지 소유 현황 조사 |
추가 정보 | 이름의 유래: 최후의 심판의 날 (Doomsday) 작성 목적: 과세 및 토지 소유권 확정 기록 대상: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 (일부 지역 제외) |
역사적 배경 | |
편찬 시기 | 1086년 |
편찬 목적 |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 후 토지 소유 현황 파악 및 세금 부과 목적 |
기록 범위 |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 (북부 일부, 런던, 윈체스터 등 제외) |
중요성 | 중세 잉글랜드 사회, 경제, 토지 소유 연구의 중요한 자료 |
내용 구성 | |
주요 내용 | 토지 소유주, 토지 면적, 토지 가치, 경작지, 인구, 가축 등 |
기록 단위 | 행정 구역 (주, 백호, 마을 등) |
특징 | 상세하고 체계적인 기록, 지역별 차이 존재 |
명칭 유래 | |
어원 | "Doomsday" (최후의 심판)에서 유래, 최종적이고 권위 있는 기록이라는 의미 |
법적 효력 | |
효력 | 토지 소유권 분쟁 해결, 과세 기준 확정 등 |
중요성 | 잉글랜드 법률 및 행정 체계 확립에 기여 |
기타 정보 | |
중요성 | 잉글랜드 역사 및 문화 연구의 필수 자료 |
보존 상태 | 영국 국립 기록 보관소에 보존, 디지털화 작업 진행 |
관련 자료 | Dialogus de Scaccario (대화록), 1873년 토지 소유주 명단 등 |
2. 구성
《둠스데이 북》은 노퍽, 서퍽, 에식스 지역을 다룬 《리틀 둠스데이 북》과 나머지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을 다룬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 이렇게 두 권으로 나뉘어 편찬되었다. 《리틀 둠스데이 북》은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보다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영주들의 자가 농장(데메스네) 가축 수는 포함했지만 소작농의 가축 수는 포함하지 않았다. [12]
두 책 모두 각 지역의 봉읍이나 식읍, 기사 봉토나 장원 같은 형태의 영지를 망라하여 수록하고 있다. 수록된 영주의 대부분은 노르만인이었고, 앵글로색슨인 테인(thegn)은 극소수였다. 《둠스데이 북》 작성 당시 앵글로색슨 귀족 가운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은 둘 밖에 없었고, 이전의 4천명 이상의 테인은 토지를 빼앗기고 200명이 채 안되는 배런[58]이 이들의 땅을 차지하였다. 새로운 지주 가운데 압도적인 다수는 노르만인이었다.[59]
중세 시기 잉글랜드의 토지는 국왕 직할지와 봉지로 나뉘며, 봉지는 다시 교회 봉헌 주교 영지와 대귀족 영지로 나뉘었다. 이들 영지는 다시 크고 작은 봉읍과 식읍으로 분할되어 하위 귀족에게 재분배되었다. 노르망디의 귀족이었던 발드윈 피츠길버트가 주장관으로 있었던 데번셔의 경우, 전체 176개의 봉읍 가운데 몇 곳만이 주장관의 직할지로 운영되었고 대다수는 수하의 기사들에게 봉읍으로 수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봉읍 재분할은 지리적 구분이 아니라 인위적 분할에 의한 것이어서 실제 봉지는 여기저기 산재되는 경우가 많았고, 각 토지마다 소출에도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세금 징수에 한계가 있었다.[61]
《둠스데이 북》에는 모두 13,418 곳의 토지가 수록되어 있으며[62], 이 가운데는 일반적인 농지뿐만 아니라 상업을 위한 시장, 군사 보급을 위한 둔전, 화폐를 발행하는 조폐국, 읍락과 같은 것들도 기록되어 있다. 읍락의 경우엔 꿀과 같이 상업적 가치가 큰 특산물도 기록하였다. 1086년 당시 잉글랜드 인구의 10% 정도는 노예였다.[63]
2. 1. 리틀 둠스데이 북
《리틀 둠스데이 북》은 노퍽, 서퍽, 에식스 지역을 조사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으며,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12] 특히 영주들의 자가 농장(데메스네)의 가축 수는 포함하고 있지만, 소작농의 가축 수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의 필사자가 내용을 축약하고 재정리하기 이전의 초기 조사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12]2. 2.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
노퍽, 서퍽, 에식스의 조사 내용을 수록한 《리틀 둠스데이 북》보다 잉글랜드의 나머지 지역 전체를 수록한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의 기록이 간략하다.[9]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에는 런던 시와 윈체스터에 대한 기록은 없는데, 이들은 면세 특권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런던의 다른 지역은 미들섹스, 서리, 켄트, 에식스에 속해 있었고 둠스데이 북에서 해당 카운티에 대한 내용에 포함되었다. 컴벌랜드, 웨스트모어랜드의 대부분, 더럼 자치주와 노섬벌랜드는 토지세(geld)를 납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략되었다.[10][11]
두 권 모두 각 명명된 주요 테넌트가 왕에게 직접 장원을 보유한 것을 나열하는 일련의 장(라틴어 ''caput''에서 유래)으로 구성된다. 주요 테넌트에는 주교, 수도원장과 수녀원장, 노르망디, 브르타뉴, 플랑드르 출신의 남작, 소규모 프랑스 세르장, 그리고 잉글랜드 테인이 포함되었다.

3. 조사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1085년에 조사를 위한 계획이 수립되었고, 책의 발문에는 조사가 1086년에 완료되었다고 명시되어 있다.[28]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은 한 명이 양피지에 필사했고, 리틀 둠스데이 북은 6명의 필사자가 작업한 것으로 보인다. 2000년에 데이비드 로페는 심문(조사)과 책의 제작이 별개의 작업이었으며, 후자의 작업은 잉글랜드의 윌리엄 2세가 왕위에 오른 후에 시작되지는 않았지만, 심문 결과를 토대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후에 완료되었다고 주장했다.[28]
대부분의 샤이어(Shire, 잉글랜드의 옛 행정 구역)는 왕실 관리 그룹(legati)이 방문하여 샤이어 법원이라는 공개 조사를 실시했다. 이 회의에는 모든 읍의 대표와 지역 영주가 참석했다. 조사 단위는 헌드레드(Hundred, 당시 행정 구역이었던 카운티의 하위 구역)였다. 각 헌드레드에 대한 반환은 12명의 지역 배심원(절반은 잉글랜드인, 절반은 노르만인)에 의해 선서되었다.[29]
캠브리지셔 헌드레드의 원본 반환 기록(캠브리지 심문)이 보존되어 조사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엘리 수도원의 토지 기록(엘리 심문)도 보존되어 있다.[29] 《엑세터 둠스데이》(권이 엑서터에 보관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는 콘월, 데번, 도싯, 서머싯, 윌트셔의 일부를 다루고 있으며, 원본 반환의 전체 세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어떤 세부 정보가 어떤 카운티에 기록되어 있는지 비교하여, 6개의 그레이트 둠스데이 "순회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리틀 둠스데이 샤이어의 일곱 번째 순회 구역 포함).
순회 구역 | 카운티 |
---|---|
1 | 버크셔, 햄프셔, 켄트, 서리, 서식스 |
2 | 콘월, 데번, 도싯, 서머싯, 윌트셔 |
3 | 베드퍼드셔, 버킹엄셔, 캠브리지셔, 허트퍼드셔, 미들섹스 |
4 | 레스터셔, 노샘프턴셔, 옥스퍼드셔, 스태퍼드셔, 워릭셔 |
5 | 체셔, "체셔 헌드레드"의 토지, "Inter Ripam et Mersham" ("리블과 머지 사이", 현재 랭커셔의 남부 대부분), 글로스터셔, 헤리퍼드셔, 슈롭셔, 우스터셔 - 웨일스 변경지방 |
6 | 더비셔, 헌팅던셔, 링컨셔, 노팅엄셔, 러틀랜드, 요크셔 |
4. 목적
조사의 주된 목적은 왕의 재정적 권리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이었다. 이는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3]
- 국가 토지세(''geldum'')
- 기타 부과금
- 왕실 토지 수입
노르만 정복 이후, 윌리엄 1세는 자신이 상속받은 왕실 권리가 손상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하고, 국가 전체의 재산 소유에 대한 확실한 기준점을 확립하고자 했다. 이는 왕실 소유권 분쟁 발생 시 증거로 활용하기 위함이었다.[30]
둠스데이 조사는 토지 소유자의 이름과 세금 평가액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국가 모든 토지의 연간 가치를 추정하는 전국적인 가치 평가 목록을 만들고자 했다. 둠스데이 조사는 (1) 참회왕 에드워드가 죽었을 때, (2) 새로운 소유자들이 토지를 받았을 때, (3) 조사 당시의 가치를 모두 추정하고, 잠재적인 가치까지 계산했다.
봉건적 기반으로 반환을 조직함으로써 정복자와 관료들은 남작 소유물의 범위를 파악하고, 하위 세입자 수를 파악하여 군사적 목적과 충성 맹세를 확보하는 데 활용했다. 둠스데이 북은 일반적으로 하위 세입자의 이름만 기록하므로, 노르만족 기원을 주장하는 가문의 성을 검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학자들은 외국 기독교 이름을 가진 하위 세입자들을 식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 조사는 윌리엄 1세에게 돈을 모을 필요가 있을 때 잠재적 자금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여기에는 수입원이 포함되어 있지만, 정복 전후 개인의 소유권 간의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포함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과 같은 지출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마을에서 발생했는데, 별도로 기록된 재산이 성을 만들기 위해 철거된 경우이다.
5. 법적 효력
둠스데이 북은 중세 시대 법원에서 증거로 자주 언급되었다.[42] 1960년에는 왕실 해안가 사용 권리와 정박에 대한 증거로 활용되었고,[43][44] 2010년에는 영지 증명 및 스포츠 권리(사슴 및 여우 사냥)에 대한 증거로,[45] 2019년에는 시장에 대한 증거로 사용되었다.[46]
6. 현대적 활용
1986년, BBC는 둠스데이 북 900주년을 기념하여 'BBC 둠스데이 프로젝트'를 출시했다.[41] 이 프로젝트는 영국 전역의 지도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디스크"와 1981년의 인구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내셔널 디스크"의 2장의 LD로 구성되었으며, 필립스의 플레이어로 읽어 에이콘 컴퓨터제 데스크톱 컴퓨터로 데이터 검색 및 출력을 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2006년 둠스데이 북 내용이 온라인에 공개되어, 지명 검색을 통해 영지, 마을, 도시, 촌락에 대한 색인 항목을 볼 수 있게 되었다.[41] 라틴어로 작성된 이 책의 영어 번역본도 함께 제공되었다. 웹사이트 방문자는 유료로 관련 페이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둠스데이 북은 현재 영국 국립 공문서관(The National Archives)에 보관되어 있다.[18]
7. 둠스데이 북의 의의와 영향
둠스데이 북은 기록된 시대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H. C. 다비는 이 책을 사용하는 사람은 "잉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공공 기록'이자 유럽 역사상 가장 주목할 만한 통계 문서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광대한 지역을 다룬 상세한 설명은 다른 대륙에서 찾아볼 수 없다.[47] 토지 소유 현황, 자원, 인구 등 상세한 정보를 통해 중세 잉글랜드의 사회, 경제, 지리, 정치 등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둠스데이 북은 당시 잉글랜드 사회의 계층 구조와 경제 시스템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11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둠스데이 북 관련 기사 작성자는 "지형학자에게, 그리고 계보학자에게도 이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각 읍 또는 영지의 가장 초기의 조사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경우 그 후의 계보를 추적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했다.
다비는 또한 "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당혹감과 어려움이 발생한다."라고 말하며 일관성이 없음을 지적했다.[48] 한 가지 문제는 이 문서를 편집한 서기들이 "결코 완벽하지 않았고, 종종 잊거나 혼란스러워했다."는 것이다. 로마 숫자의 사용 또한 수많은 실수를 낳았다. 다비는 "로마 숫자로 산술 문제를 시도하는 사람은 서기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곧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48]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수많은 명백한 누락과 제시 방식의 모호함이다. 다비는 먼저 둠스데이 북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표를 작성한 F. W. 메이틀랜드의 다음과 같은 논평을 인용했다. "현재 상황에서 둠스데이에 능숙한 두 사람이 한 카운티의 토지 면적 단위를 합산하고 매우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왜냐하면 흔히 사용되는 특정 공식의 의미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49] 다비는 "'잉글랜드의 둠스데이 지리'가 아니라 '둠스데이 북의 지리'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이 둘은 완전히 같지 않을 수 있으며, 기록이 현실에 얼마나 가까웠는지는 절대 알 수 없다."라고 말한다.[48]
원래 둠스데이 북(Doomsday)은 기독교에서의 "최후의 심판"을 의미하며, 모든 사람들의 행위를 밝히고 죄를 결정하는 데서 유래하여, 12세기경부터 이 대장을 둠스데이 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철자가 바뀐 이유는 ''dome''이 "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내용은 단순히 토지의 대장뿐만 아니라, 가축이나 재산 등 세밀하게 조사하여 과세의 기초로 삼았으며,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다. 현재에도 영국 정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당시를 아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984년부터 1986년에는 이 책의 출판 900주년을 기념하여 영국 방송 협회가 중심이 되어 레이저 디스크를 사용한 교육용 프로그램 "둠스데이 프로젝트"(BBC Domesday Project)를 개발했다. 영국 전역의 지도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디스크"와 1981년의 인구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내셔널 디스크"의 2장의 LD로 구성되었으며, 필립스의 플레이어로 읽어 에이콘 컴퓨터제 데스크톱 컴퓨터로 데이터의 검색 및 출력을 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8. 한계점
둠스데이 북은 그 내용의 방대함과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우선, 둠스데이 북을 작성한 서기들이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기록하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은 때때로 내용을 잊거나 혼란스러워했으며, 이는 기록의 누락이나 오류로 이어졌다.[48]
또한, 당시 사용된 로마 숫자 표기 방식은 잦은 오류를 유발했다. 다비는 "로마 숫자로 산술 문제를 시도하는 사람은 서기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곧 알게 될 것이다."라고 언급하며, 로마 숫자 사용의 어려움을 지적했다.[48]
둠스데이 북에는 수많은 누락과 모호한 제시 방식이 존재한다. F. W. 메이틀랜드는 "현재 상황에서 둠스데이에 능숙한 두 사람이 한 카운티의 토지 면적 단위를 합산하고 매우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왜냐하면 흔히 사용되는 특정 공식의 의미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하며, 둠스데이 북의 해석이 주관적일 수 있음을 지적했다.[49]
이러한 한계점들 때문에, 다비는 " '잉글랜드의 둠스데이 지리'가 아니라 '둠스데이 북의 지리'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이 둘은 완전히 같지 않을 수 있으며, 기록이 현실에 얼마나 가까웠는지는 절대 알 수 없다."라고 결론 내렸다.[48]
마지막으로, 11세기 영어 철자법이 프랑스어의 영향을 크게 받아, 현대 영어와 차이가 있다는 점도 둠스데이 북 해석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둠스데이 북에서 서기들의 철자법은 프랑스어에 크게 맞춰져 있었고, 대부분 k와 w가 없었으며, 와 소리에 대한 규제된 형태가 없었고, 당시 프랑스어의 대부분의 방언에서 그랬던 것처럼 많은 경자음 단어를 e로 끝냈다.
참조
[1]
웹사이트
Domesday Book
http://www.merriam-w[...]
2011-10-13
[2]
encyclopedia
Domesday Book
http://dictionary.re[...]
[3]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6-11-06
[4]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Ralph Waldo Emerson: English Trait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5]
서적
Dialogus de Scaccario, the Course of the Exchequer, and Constitutio Domus Regis, the King's Household
[6]
뉴스
Domesday Reloaded project: The 1086 version
https://www.bbc.co.u[...]
2011-05-13
[7]
서적
A New Survey of England
1954
[8]
서적
Return of Owners of Land, 1873, Wales, Scotland, Ireland
https://web.archive.[...]
1873
[9]
웹사이트
Hull Domesday Project: Wales
http://www.domesdayb[...]
[10]
서적
Domesday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1]
서적
Anglo-Saxon England
Clarendon Press
1971
[12]
웹사이트
Domesday Book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Archives
2022-07-27
[13]
서적
The Making of Europe: Conquest, Colonization, and Cultural Change, 950-135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08-23
[14]
간행물
The Domesday Book
http://www.history-m[...]
Moorshead Magazines
2001-10
[15]
서적
Cathedral, Forge, and Waterwheel: Technology and Invention in the Middle Ages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1994
[16]
서적
England and its Rulers: 1066–1307
Blackwell
[17]
학술지
Additional Work on the ''Catalogus Baronum''
[18]
문서
1986
[19]
문서
2014
[20]
문서
2014
[21]
문서
2014
[22]
서적
Dialogus de Scaccario: the Dialogue of the Exchequer; Constitutio Domus Regis: Disposition of the King's Household
Clarendon Press
[23]
문서
1986
[24]
문서
1986
[25]
문서
2014
[26]
문서
1986
[27]
웹사이트
The Domesday Book Online
http://www.domesdayb[...]
[28]
서적
Domesday; The Inquest and The 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9]
웹사이트
Inquisitio Eliensis
https://web.archive.[...]
[30]
학술지
Extraordinary privilege: The trial of Penenden Heath and the Domesday inquest
[31]
문서
William the Conqueror
[32]
문서
William the Conqueror
[33]
문서
1986
[34]
문서
1986
[35]
문서
1986
[36]
문서
Hallam 1986
[37]
문서
Hallam 1986
[38]
문서
Hallam 1986
[39]
서적
The Public Record Office, 1838–1958
HMSO
[40]
문서
Hallam 1986
[41]
서적
Domesday Preserved
Public Record Office
[42]
문서
Hallam 1986
[43]
웹사이트
Early census-taking in England and Wales
http://webarchive.na[...]
2017-01-10
[44]
문서
"Iveagh v Martin [and another] [1961] 1 Q.B. 232; [1960] 3 WLR 210; [1960] 2 All ER 668; 1 Lloyd's Rep. 692 QDB (1960)"
[45]
문서
"Mellestrom v Badgworthy Land Company (adverse possession over continued common) [2010] EWLandRA 2008_1498 (21 July 2010)"
https://www.bailii.o[...]
[46]
문서
"Harvey, R (on the application of) v Leighton Linslade Town Council [2019] EWHC 760 (Admin) (15 February 2019)"
http://www.bailii.or[...]
[47]
문서
Domesday England
University Press
1977
[48]
문서
Domesday England
[49]
문서
Domesday Book and Beyond
1897
[50]
웹인용
Domesday Book
http://www.merriam-w[...]
[51]
웹인용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6-11-06
[52]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Ralph Waldo Emerson: English Trait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53]
뉴스
Domesday Reloaded project: The 1086 version
https://www.bbc.co.u[...]
2011-05-13
[54]
서적
A New Survey of England
1954
[55]
서적
Return of Owners of Land, 1873, Wales, Scotland, Ireland
http://www.cefnpenna[...]
2013-04-15
[56]
웹인용
Hull Domesday Project: Wales
http://www.domesdayb[...]
2019-02-14
[57]
문서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1833-1874
1996
[58]
문서
당시 배런은 훗날의 [[남작]]과 달리 왕으로부터 직점 봉토를 하사 받은 대귀족을 의미했다.
[59]
서적
옥스퍼드 영국사
한울
[60]
서적
(개정판)하룻밤에읽는유럽사
https://books.google[...]
알에이치코리아(rhk)
[61]
서적
Kings and Queens of England
https://archive.org/[...]
Octopus Books Limited
1976
[62]
잡지
The Domesday Book
http://www.history-m[...]
Moorshead Magazines
2019-09-10
[63]
서적
The Problem of Slavery in Western Culture
Pelica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