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둥샹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둥샹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과 칭하이성에서 사용되며, 세 가지 지역 방언으로 나뉜다. 음운 체계는 29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을 가지며, 몽골어와 달리 모음 조화가 존재하지 않는다. 문법적으로는 SOV 어순을 따르며, 다양한 격과 동사 활용 형태를 보인다. 둥샹족은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둥샹어를 기록해 왔으며, 몽골어 알파벳 기반의 로마자 표기법이 개발되었으나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 또한, 둥샹어의 영향을 받은 중국어 방언인 탕왕어가 존재하며, 둥샹어 문법과 관화 단어를 결합한 혼성어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둥샹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산타어 (둥샹어)
로마자 표기Dunxian kielen
다른 이름둥샹어 (东乡语)
사용 국가중국
사용 지역간쑤성 린샤 후이족 자치주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사용자 수200,000명 (2007년)
언어 계통알타이어족 (논쟁 중)
몽골어족
남부 몽골어군
시롱골어군
바오안어
문자아랍 문자 (샤오얼징)
라틴 문자 (2003년 - )
ISO 639-3sce
Glottologdong1285
Glottolog 명칭Dongxiang
언어 생존력취약 (Vulnerable)
산타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취약으로 분류됨
산타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취약으로 분류됨

2. 방언

둥샹어에는 엄밀한 의미의 방언은 존재하지 않지만, 크게 세 가지 지역 변이(土语|tǔyǔ중국어)로 나뉜다.

지역 변이비율
쑤난바 (Sūnànbā)전체 둥샹어 화자의 약 50%
왕자지 (Wángjiājí)전체 둥샹어 화자의 약 30%
쓰자지 (Sìjiājí)전체 둥샹어 화자의 약 20%


3. 음운

둥샹어는 다른 몽골어족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소수의 접미사를 제외하고는 모음 조화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현상을 지배하는 규칙은 몽골어의 규칙만큼 엄격하지 않으며, 몽골어에 존재하는 모음 조화나 모음의 장단에 따른 구분도 존재하지 않는다.[1]

3. 1. 자음

둥샹어에는 29개의 자음이 있다.[1]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파열음평음
유기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파찰음평음()
유기음()
비음
접근음
전동음



유기 파열음 /pʰ, tʰ, kʰ, qʰ/는 폐쇄 모음 앞에서 각각 [p͡ɸʰ, t͡θʰ, k͡xʰ, q͡χʰ]와 같이 파찰음화되는 경향이 있다.[2]


  • /qʰ/ → [q͡χʰ]: ghudogvosce [q͡χʰutoˈʁo] (칼)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눈에 띄는 파찰음화를 보인다.[3]
  • /pʰ/ → [p͡ɸʰ]: pixiesce [p͡ɸʰi̥ˈɕi̯ɛ] (허리띠)와 같이 파찰음화가 흔하다.[4]
  • /tʰ/ → [t͡θʰ]: 파찰음화는 두드러지지만, [ɯ]보다 [u]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tiighasce [t͡θʰɯ̥ˈqɑ] (닭)에서 볼 수 있다.
  • /kʰ/ → [k͡xʰ]: kiqiesce [k͡xʰi̥ˈt͡ɕi̯ɛ] (눕다)에서처럼 파찰음화가 가장 적다.


비폐쇄 모음 앞에서는 무기 파열음은 파찰음화를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dasce [tʰɑ] (추측하다), korolonsce [kʰoroˈlõŋ] (발자국), khalunsce [qʰɑˈlũŋ] (뜨겁다) 등이 있다.

음소 /t͡sʰ, t͡s, ʐ/는 외래어에서만 발견된다.

  • /t͡sʰ/: caisce /t͡sʰɑj/ (채소; 중국어 菜중국어 에서 유래)와 같이 중국어에서 유래된 단어에서만 발견된다. 토착어 [s]로 자주 파찰음화가 해소된다.
  • /t͡s/: 중국어와 페르시아어 차용어에서 발견되며, 페르시아어 زمینfa (땅)은 zeminsce /t͡səˈmi(ŋ)/으로 표현된다.
  • /ʐ/: 중국어와 아랍어에서 유래된 단어에서 볼 수 있으며, renshensce /ʐəŋˈʂəŋ/ (인삼; 중국어 人參중국어 )이 그 예이다.


비음 /n, ŋ/은 순음 앞에서 [m]으로 동화되며, unbasce /unˈpɑ/ → [ũmˈpɑ] (수영하다)와 banbansce /pɑŋˈpɑŋ/ → [pɑ̃mˈpɑ̃ŋ] (몽둥이)가 그 예이다. /ŋ/는 또한 구개수 앞에서 다른 변이음 [ɴ]을 가지며, zhanghasce /t͡ʂɑŋˈqɑ/ → [t͡ʂɑ̃ɴˈqɑ] (호두)를 참조할 수 있다.

비음은 일반적으로 삭제되는데, 이는 간쑤성칭하이성 사이의 경계 지역의 특징이다. 단어의 마지막이 아닌 상황에서도 제한되지 않지만, 후행 자음 시작이 어떤 식으로든 비음을 강화하기 때문에 삭제가 더 드물다. 또한 비음 자음에 선행하는 모음도 비음화된다.

중설 접근음 /j, w/는 음절 초두에서 주로 폐쇄 모음 앞에서 마찰음화 [ʝ, v]된다. /w/는 전설 모음 앞, 심지어 저모음 앞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각각의 마찰음화의 예는 yibaisce [ˈʝipɛi̯] (백)와 weilasce [və̝i̯ˈlɑ] (울다)이다. 이 현상은 둥간어몽골어를 포함한 인접 언어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ʁ/는 보통 마찰음으로 실현되지만, 빠른 발음에서는 접근음 [ʁ̞]으로 발음될 수 있다.

/r/은 보통 전동음이며, 길이는 발음 속도에 따라 다르며, 마찬가지로 빠른 발음에서는 탄음 [ɾ]이 될 수 있다.

3. 2. 모음

둥샹어는 7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음 길이의 구분이 없다.

rowspan="2" |전설중설후설
단모음r-화비원순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는 권설 자음 뒤에서는 후설 변이음 를, 치경 파찰음과 마찰음 뒤에서는 약간 열린 변이음 를 갖는다.
  • 고모음은 비강세 초성 음절과 무성 자음 사이에서 무성음화된다. 중국어 차용어에서는 무성음화가 선택적이다.
  • 는 항상 자체적으로 음절화된다.
  • 는 종종 상당한 정도의 순음화 로 발음된다.
  • 강세가 있는 경우, 는 일반적으로 전설 중모음 로 실현된다.
  • 는 일반적으로 개방 후설 모음이지만, 치경 비음 앞에서는 전설 모음 로 전설화된다.

3. 2. 1. 활음

둥샹어에는 진정한 이중 모음 시퀀스(즉, 복합 모음 조합)는 없지만, /u, ə, ɑ/ 모음과 활음 /j, w/의 조합은 존재한다. 활음은 음성적으로 비음절 모음 [i̯, u̯]로 실현되며, 이음 규칙에 관계없이 모음은 다음과 같은 음성적 실현을 갖는다.

활음/모음 조합
colspan="2" rowspan="2" |모음 + 활음활음 + 모음추가
/j//w/
/u//j//ju/
/w/
/ə//j//əj//jə/
/w//əw//wəj/
/ɑ//j//ɑj//jɑ//jɑw/
/w//ɑw//wɑ//wɑj/



구별되는 음성 모음 실현(다른 환경의 모음은 기본 형태를 취한다):


  • /ə/:
  • /j/ 앞에서, 모음은 [ə̝]로 올라가며, khighei|[q͡χʰɯ̥ˈqə̝i̯]sce (돼지)와 같이 [ə]와 [i] 사이 어딘가에 속한다.
  • /w/ 뒤에 오는 경우, 모음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으며, ghuilu|[qu̯(ə̝)i̯ˈlu]sce (되다)와 같다.
  • /j/ 뒤에서, 강조된 [ɛ]처럼 발음된다. 예를 들어 nie|[ni̯ɛ]sce (하나) 또는 bierei|[pi̯ɛˈri]sce (아내)와 같다.
  • /w/ 앞에서, 후설성이 종종 적용되어 [ə~ɤ] 사이에서 변동한다. hotou|[xʷoˈtəu̯~xʷoˈtɤu̯]sce (구더기)와 같다.

  • /ɑ/:
  • /j/ 앞에서, 올라갈 수 있으며, [ɑ~ɛ]에서 변동한다. 예를 들어 bai|[pɑi̯~pɛi̯]sce (멈추다), kuaisun|[kʰu̯ɑi̯ˈsũŋ~kʰu̯ɛi̯ˈsũŋ]sce (배꼽)과 같다.
  • /w/ 앞에서, 모음은 종종 올라가고 후설화되며, nao|[nɑu̯~nou̯]sce (정확히 맞다), oqiao|[ʷoˈt͡ɕʰi̯ɑu̯~ʷoˈt͡ɕʰi̯ou̯]sce (늙은)에서 [ɑ~o]에서 변동한다.

3. 3. 음운 배열

둥샹어의 일반적인 음절 구조는 (C)(G)V(G/N)이다. 여기서 괄호는 선택적인 음소를 나타낸다. C는 /ŋ/ 또는 활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을, G는 활음 /j, w/ 중 하나를, V는 모음을, G/N은 활음 또는 비음 /n, ŋ/(때로는 /r/도)을 나타낸다.[1] 그러나 이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제약이 있다.

  • 몽골어에서 유래된 단어의 파열음 /pʰ, qʰ, f, x, h/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2]
  • /ɕ/는 음절의 시작 위치 어디에서든 나타날 수 있지만, 비음이나 활음 뒤에는 나타날 수 없다.[3]
  • /r, ʁ/은 모음 뒤에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공명음 규칙으로 인해 /r/은 비음 뒤에 나타날 수 없지만, /ʁ/은 나타날 수 있다.[4]
  • /ʂ, ɕ, t͡ɕ, m/은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음절 사이에서는 모음 뒤에만 나타날 수 있다.
  • 몽골어에서 유래된 합성어가 아닌 단어에서는, 음절 경계 뒤에 비음이 오고 그 뒤에 공명음(활음 /i̯/ 제외)이 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manlou|만러우sce (이마), danlei|단레이sce (구개), chanlie|찬례sce (듣다)와 같은 세 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만다린 중국어에서 차용된 단어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으며, rinmin|린민sce (사람, 人民|rénmín중국어에서 유래)에서 볼 수 있다.

3. 4. 강세

둥샹어의 대부분의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다. 예를 들어 yawu|/jɑˈwu/sce(걷다), funiegvan|/funjəˈʁɑŋ/sce(여우), agven|/ɑˈʁəŋ/sce(마을) 등이 있다. 단어에 접미사가 추가될 때 강세는 접미사로 이동하기도 한다. funiegvan-ni|/funjəʁɑŋˈni/sce(여우, 소유격), agven-de|/ɑʁəŋˈdə/sce(마을, 처격) 등이 그 예시이다.[1]

그러나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 특정 접미사 구두점은 강세가 마지막 음절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어, yawu=ne|/jɑˈwunə/sce(걸어라!, 명령형), tomo=ghala|/tʰoˈmoqɑlɑ/sce(망치, 도구격) 등이 있다. 하지만 모든 구두점이 이 규칙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1]
  • 접미사 +jiwosce와 +senusce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 jawu+jiwo|/jɑwuˈt͡ʂiwo/sce(걷다, 진행형)와 ire+senu|/irəˈsənu/sce(오자마자)가 그 예이다.[2]
  • 마찬가지로, basi|/ˈpɑsi/sce(호랑이)와 bosi|/ˈposi/sce(천)는 첫 번째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 bosisce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는 경우(/poˈsi/) '깨어나다'를 의미하는 최소 대립쌍이 존재한다.[2]
  • 차용어도 마지막 강세 규칙을 위반할 수 있다.[2]


중국어 차용어에서 강세는 예측할 수 없는데, 이는 원래 발음의 성조의 영향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성조는 표준 중국어가 아닌 후이족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비말 강세의 예로는 hushi|/ˈxuʂi/sce(간호사, 护士|hùshì중국어에서 유래), daozi|/ˈdɑwt͡si/sce(논, 稻子|dàozi중국어에서 유래), dadou|/ˈdɑdəw/sce(대두, 大豆|dàdòu중국어에서 유래)가 있다. 최소 대립쌍은 흔하지 않지만 존재한다. 한 예로 shizi|/ˈʂit͡si/sce(감, 柿子|shìzi중국어에서 유래)와 shizi|/ʂiˈt͡si/sce(사자, 狮子|shīzi중국어에서 유래)가 있다.

궁극 강세를 위반하는 아랍어 차용어도 있는데, 여기에는 aghili|/ˈɑqili/sce(지혜, عَقِيْل|ʿaqīlar에서 유래), mehheri|/ˈməhəri/sce(지참금, مَهْر⁩|mahrar에서 유래), ghalebu|/qɑˈləbu/sce(몸, 형태, قَالَب⁩|qālabar에서 유래) 등이 있다.

기원이 알려지지 않은 일부 단어는 다른 음절에 강세를 둘 수도 있는데, 여기에는 tonghori|/ˈtʰoŋqori/sce(기러기), dawala|/ˈtɑwɑlɑ/sce(방광), bawa|/ˈpɑwɑ/sce(증조할아버지)가 포함된다.

4. 문법

둥샹어는 다른 몽골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SOV 어순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린샤 지역에서는 인접한 후이족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의 영향을 받아 SVO 어순도 나타난다.

4. 1. 형태론

4. 1. 1. 복수 표시

둥샹어의 복수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접미사적용 대상예시
-la나머지 명사oni|오니mns (양), oni-la|오니라mns (양들)
-sla/-sila특정 명사 및 대명사o~in|오인mns (소녀), o~in-sla|오인슬라mns (소녀들)
-pi친족gajieiau|가지에아우mns (형제), gajieiau-pi|가지에아우피mns (형제들)


4. 1. 2. 격

둥샹어는 6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1]

표지예시의미
주격-∅morei holuwe|머레이 훠루워sce말이 달렸다
속격-대격-nisce (-yisce)bula-ni usu|부라니 우수sce샘의 물
여격-처격-수혜격-desceula-de khirei|우라더 키레이sce산을 오르다
탈격-비교격-sesceudani hon-se gaowe|우다니 헌서 가오워sce작년보다 더 좋다
공동격(연대격)-lescechi ibura-le hhantu echi|치 이부라러 한투 어치sce너는 이부라와 함께 간다
공동격(양상격)-rescebi chima-re sanane|비 치마러 사나너sce나는 너와 결산하고 싶다
사교격-도구격-gh(u)alascekhidei-ghala kielie|키더이 가라 키엘리sce중국어로 말하다
처격-진행격-gvunscemoronghizha-gvun nie uzhe|머룽기자군 니에 우저sce강을 따라 보아라


4. 2. 소유격

둥샹어에는 소유격과 관련된 내용이 존재하지 않아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4. 2. 1. 대명사

둥샹어의 소유격 대명사
단어비고의미
morei-minisce(또는 -miyi, -miy)내 말
morei-matannisce(또는 -matayi, -matay)우리(화자 포함) 말
morei-bijiennisce(또는 -bijieyi, -bijiey)우리(화자 제외) 말
morei-chinisce(또는 -chiyis, -chiy)당신의 말
morei-tanisce(또는 -tayi, -tay)당신들의 말
morei-nisce그/그녀/그들의 (3인칭 대명사) 말


4. 2. 2. 재귀 대명사

둥샹어의 재귀 대명사 접미사는 '-네'이다.[1]

입자단어의미
-네sce치 가가-네 우루sce당신은 당신의 형을 오라고 부른다

[1]

4. 3. 대명사 활용

둥샹어의 대명사는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구분되며, 단수와 복수 형태가 있다. 각 인칭 대명사는 격에 따라 다양한 어미가 붙는다. 1인칭과 2인칭 복수에는 배타형(우리-화자만 포함)과 포괄형(우리-청자도 포함)이 있다.[1]

4. 3. 1. 1인칭

둥샹어의 1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1]

둥샹어의 1인칭 대명사
단수복수
배타적포괄적
주격bi / orun (인용)bijienmatan / oruntan (인용)
속격-대격mi-ni / nama-ni (namiyi)bijien-nimatan-ni / ma-ni
여격-처격nama-de / ma-debijien-dematan-de
탈격-비교격nama-se / ma-sebijien-sematan-se
공통격 (공동격)nama-le / ma-lebijien-lematan-le
사회격-도구격bi-ghalabijien-ghalamatan-ghala


4. 3. 2. 2인칭

둥샹어의 2인칭 주격 단수는 'chi', 복수는 'ta' 또는 'tan'이다. 2인칭은 격에 따라 다양한 어미가 붙는다.

단수복수
주격chita / tan
속격-대격chi-nita-ni
여격-처격chima-detan-de
탈격-비교격chima-se / cha-setan-se
공동격chima-letan-le
사회격-도구격chi-ghalata-ghala


4. 3. 3. 3인칭

단수복수
주격hhetereegvenhhelaterelaegvenla
소유격-대격hhesilateresilaegvesila
여격-처격hhe-nitere-niegen-nihhela-niterela-niegvenla-ni
탈격-비교격hhe-ndetere-(n)de / ten-deegven-dehhela-deterela-deegvenla-de
공통격(공동격)hhe-nsetere-(n)seegven-sehhela-seterela-seegvenla-se
공통격-도구격hhe-nletere-leegven-lehhela-leterela-leegvenla-le
공통 도구격hhe-ghalatere-ghalaegven-ghalahhela-ghalaterela-ghalaegvenla-ghala


4. 4. 동사 접미사

둥샹어는 동사에 접미사를 붙여 다양한 의미를 표현한다. 능동 동사는 별도의 형태소 없이 동사 어간만으로 표현되며, 부사 동사는 -zhi, -n, -le, -dene(-de), -se, -tala, -senu 등의 접미사를 통해 동위, 반복, 목적, 분리, 조건, 선택/제한, 양보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상태 동사는 -san(-sen), -ku/-wu, -chin 등의 어미를 통해 과거, 미래, 현재 시제를 표현한다. 존재 동사 'bi'와 'wi'는 시제와 서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며, 추측은 'bi-mu', 회상은 'bi-lai' 입자로 나타낸다.[1]

4. 4. 1. 능동 동사

둥샹어에서 능동태는 별도의 형태소 없이 동사 어간만으로 표현된다.[1]

입자예시의미
능동태-∅


4. 4. 2. 부사 동사

부사조사예시의미
동위 부사 동사-zhishira-zhi ijie굽고 먹다
반복 부사 동사-nwila-n wila-n yawulawe울고 걷고 울고
목적 부사 동사-lebi nie uzhe-le irewe나는 보러 왔다
분리 부사 동사-dene (-de)chi ijie-dene bi ijieye너는 먼저 먹고, 나는 나중에 먹을 것이다
조건 부사 동사-seghura bao-se bi ulie irene비가 오면, 나는 오지 않을 것이다
선택, 제한 부사 동사-talakhara olu-tala wilie giewe어두워질 때까지 일하다
양보 부사 동사-senueqiemagva bosi-senu shu uzhezho아침에 일어나서 책을 읽다


4. 4. 3. 상태 동사

둥샹어의 상태 동사를 나타내는 어미는 다음과 같다.

시제어미예시의미
과거-san(-sen)ene baodei bolu-sanwe이 밀은 익었다
미래-ku / -wuechi-ku mo gholowe가야 할 길은 멀다
현재-chinenende sao-chin kun wainu uwe여기에 사는 사람이 있습니까?


4. 4. 4. 존재 동사 bi 와 wi

둥샹어에는 'bi'와 'wi' 두 가지 존재 동사가 있다. 이 두 동사는 시제와 서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둥샹어 존재 동사 'bi'와 'wi'의 활용
colspan="2" |biwi
능동 동사wai-newi-we
상태 동사과거 상태 동사bi-sanwi-san
미래 상태 동사bi-kuwi-ku
현재 상태 동사bi-chinwi-chin
부사 동사병렬 부사 동사bi-zhiwi-zhi
분리 부사 동사bi-denewi-dene
조건 부사 동사bi-sewi-se
선택, 제한 부사 동사bi-talawi-tala
양보 부사 동사bi-senuwi-senu



추측을 나타내는 입자로는 'bi-mu'가 있으며, "hhen-de baer bi-mu"는 "그는 부자일지도 모른다"라는 의미이다. 회상을 나타내는 입자로는 'bi-lai'가 있으며, "hhe nasun giedun bi-lai bi matawe"는 "나는 그가 몇 살인지 잊었다"라는 의미이다.

5. 표기법

둥샹족은 아랍어 지식을 바탕으로 회족이 사용했던 샤오얼징과 유사하게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둥샹어를 비공식적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3년 기준으로, 몽골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개발된 둥샹어 공식 로마자 표기법은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1]

6. 수사

둥샹어의 수사는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으나, 일부는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다.

둥샹어의 수사
숫자고전 몽골어둥샹어발음(IPA)
1nigencmg
2qoyarcmg
3ghurbancmg
4dörbencmg
5tabuncmg
6jirghughancmg
7dologhancmg
8naimancmg
9yisüncmg
10arbancmg



둥샹어의 일부 숫자는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 30()과 40()이 있다. 한편, 20에는 과 가 모두 사용된다.

7. 탕왕어

둥샹 자치현 북동부에는 약 2만 명의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은 스스로를 둥샹족이라고 하지 않지만 둥샹어의 영향을 받은 관화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후이족으로 간주된다. 언어학자 메이 W. 리-스미스는 이 언어를 탕왕어(唐汪话|탕왕화중국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이 언어가 사용되는 두 개의 가장 큰 마을(탕자, 왕자, 탕왕 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크리올어라고 주장한다.[1] 리-스미스에 따르면, 탕왕어는 주로 둥샹어 문법과 함께 관화 단어와 형태소를 사용한다. 둥샹어 차용어 외에도 탕왕어에는 상당수의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 차용어가 있다.[1]

표준 관화와 마찬가지로 탕왕어는 성조 언어이지만, 일반적으로 관화에서 차용되었지만 둥샹어 형태소가 둥샹어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문법적 조사는 성조를 가지지 않는다.[1]

예를 들어, 관화 복수 접미사 ''-men'' (们)은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지만(인칭 대명사 및 사람과 관련된 일부 명사에 사용될 수 있음), 탕왕어는 둥샹어가 복수 접미사 ''-la''를 사용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m'' 형태로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관화 대명사 ''ni'' (你)는 탕왕어에서 소유격 접미사("당신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관화와 달리 탕왕어는 둥샹어와 마찬가지로 문법적 격을 가지고 있다(단, 둥샹어의 8개와 달리 4개만).[1]

참조

[1] 서적 Santa
[2] 간행물 Santa Ethnologue
[3] 서적 Santa
[4]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Volume 2, Part 1. (Volume 13 of Trends in Linguistics, Documentation Ser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