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르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르바르는 '나무'를 뜻하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이다. 9세기 세르비아인이 거주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는 임산물 가공 산업으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공격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저항이 있었으며, 이후 티토의 동굴이 있는 관광지로 알려졌다. 보스니아 전쟁 이후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간의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해 있다. 인구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목재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0주 - 보산스코그라호보
보산스코그라호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위치한 도시로,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크로아티아 독립국 시기를 거쳐 보스니아 전쟁을 겪으며 인구 감소를 겪었고 현재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 제10주 - 리브노
리브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서부의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크로아티아 국경과 접하며 리바니스코 폴리에에 위치하고, 기원전 20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여러 제국을 거쳐 현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일부이고, 다양한 스포츠 클럽과 문화적 유산을 보유하고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드르바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드르바르 |
원어 명칭 | |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지리적 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행정 구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
주 | 칸톤 10 |
지역 | 보산스카 크라이나 |
면적 | 589.3 km2 |
해발 고도 | 480 m |
인구 (2013년) | 7036명 |
도시 인구 (2013년) | 373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여름 시간대 | CEST |
여름 시간 UTC 오프셋 | +2 |
시장 | 두시차 루니치 |
시장 소속 정당 | SNSD |
지역 번호 | +387 34 |
웹사이트 | 드르바르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드르바르(Drvar)'라는 이름은 '나무'를 뜻하는 슬라브어 단어 ''drvo''에서 유래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를 기리기 위해 '티토브 드르바르(Titov Drvar)'라고 불렸다.
드르바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6세기 전반(대략 1530년) 글라모치 출신의 보이노비치의 지도 하에 이 지역 주민들은 자그레브 인근(메트리카, 줌베라크 및 주변 4개 마을)으로 이주했다. 넓은 지역은 로마 시대에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의 도로 유적이 이를 증명한다.
3. 역사
1878년 드르바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지역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에 복속되었다.[2] 1893년경 독일 사업가 오토 폰 슈타인바이스|Otto von Steinbeisde는 클레코바차, 룬예바체, 스르네티차, 오세체니차 산맥의 전나무와 가문비나무 숲을 개발할 권리를 임대했다. 슈타인바이스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회사가 유고슬라비아 국가에 인수된 1918년까지 이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면서 드르바르와 도브를린에 현대식 제재소, 도로망, 400km의 협궤 철도, 전화 및 전신선 등 임산물 가공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했다.[2] 이 기간 동안 드르바르는 약 2,800명의 사람들을 고용하는 산업 도시로 성장했으며 주택, 병원, 식당, 카페 및 소매점이 건설되었다. 알폰스 시무니우스 블루머가 설립한 펄프 공장도 드르바르에 등장했다.
열악한 노동 조건으로 인해 1906년 드르바르에서 최초의 조직적인 파업이 발생했고, 1911년까지 계속되었다.[13]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멸망 후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국이 탄생했지만, 드르바르 노동자들의 곤경은 해결되지 않았다. 1921년 드르바르 노동자들은 다시 파업을 일으켰다.
1929년부터 1941년까지 드르바르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브르바스 주에 속했다. 1932년 경제 위기로 2,000명의 노동자가 해고되었다.
1941년 4월, 드르바르는 독일군에 점령되었고, 곧 이탈리아군 점령으로 넘어갔다. 같은 해 4월 10일, 나치 독일과 동맹한 우스타샤는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을 수립했고,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이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독립국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유대인, 로마인, 크로아티아인 저항 세력, 정적들은 수용소로 보내져 살해당했다. 우스타샤의 집단 학살 행위는 세르비아인들에게 드르바르 봉기를 조직하도록 강요했다.[3]
1942년 중반까지 드르바르에서는 격렬한 전투가 이어졌고, 이후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을 몰아냈다. 1943년 독일군은 다시 드르바르를 점령하고 마을을 불태웠다.
1944년 5월 25일, 독일군은 티토를 암살하기 위해 격렬한 공습을 동반한 "기사 이동 작전"을 발동했다. 파르티잔의 상급 사령관 티토는 현재 "티토의 동굴"이라고 불리는 드르바르 근처 언덕의 파르티잔 총사령부에 피신해 있었다.
4년 1개월에 걸친 전쟁 동안, 드르바르가 점령된 것은 단 390일이었다. 767명의 시민이 살해되었고, 전쟁 전 건물은 단 13채만 남았다. 마을 인프라의 약 93%가 파괴되었고, 인구는 80% 감소했다.
전쟁 이후 드르바르는 재건되었고, 목재 산업이 복구되었으며, 새로운 금속, 가공, 카펫 산업이 발전했다. 마침내 변두리 마을에 전기가 공급되었다. 드르바르는 연간 약 2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관광지가 되었으며, 주로 티토 동굴을 방문했다.[1] 1981년 11월 24일, 드르바르는 티토브 드르바르(Titov Drvar)로 변경되었다.[1]
보스니아 전쟁시기인 1995년 9월, 드르바르는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세르비아인들은 도망쳤다. 많은 이들이 바냐 루카로 이주했다. 1992년과 1995년 사이 드르바르는 현재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불리는 지역에 의해 통제되었다.
1995년 8월 3일, 크로아티아군은 크로아티아 방위 협의회(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의 도움을 받아 샤토르 산에서 드르바르에 포격을 가했다. 드르바르 시민 2명이 사망했고, 노인들은 페트로바츠로 피난했다. 하루 뒤, 크로아티아 정부군은 "폭풍 작전"을 시작했고, 수십만 명의 난민들이 드르바르를 통과했다. 크로아티아 정부군의 드르바르 외곽 지역에 대한 포격은 며칠 동안 계속되었다.
데이턴 평화 협정 체결 후, 드르바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크로아티아 정치인들은 일자리와 비어 있는 집 열쇠 등을 약속하며 최대 6,000명의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을 드르바르로 유인했다. 2,500명의 HVO 군인과 그 가족들이 그곳에 주둔하며 이주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시민들의 집을 점거했다.[7] 이로 인해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인구는 주로 크로아티아인이었다.
1996년, 소수의 세르비아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크로아티아인들의 괴롭힘과 차별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지속된 약탈과 방화에도 불구하고 귀향을 시도했다.[8]
1998년, 이주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시민들의 귀환에 대한 크로아티아인들의 반대는 폭동과 살인으로 이어졌다. 건물과 집이 불탔고, 유엔 국제 경찰 태스크 포스 요원, SFOR 요원, 세르비아 난민의 투표로 선출된 시장 마일레 마르체타가 공격받았으며, 드르바르로 최근 귀환한 두 명의 노령 세르비아인이 살해되었다.[7][9]
드르바르 마을 피해의 대부분은 전쟁 중이 아니라, 크로아티아 민간인과 군인이 점령한 후 이주한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이 돌아가려 할 때 집과 사업체가 약탈당하고 불태워지면서 발생했다. 지역 정부와 기업은 크로아티아인들이 지배하고 있으며, 세르비아인들은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3. 1. 초기 역사
드르바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6세기 전반(대략 1530년)에 이 지역 주민들은 글라모치 출신의 보이노비치의 지도 하에 자그레브 인근(메트리카, 줌베라크 및 주변 4개 마을)으로 이주했다. 넓은 지역은 로마 시대에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의 도로 유적이 이를 증명한다.
3.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1878년 드르바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지역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에 복속되었다.[2] 1893년경 독일 사업가 오토 폰 슈타인바이스|Otto von Steinbeisde는 클레코바차, 룬예바체, 스르네티차, 오세체니차 산맥의 전나무와 가문비나무 숲을 개발할 권리를 임대했다. 슈타인바이스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회사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국가에 인수된 1918년까지 이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했다. 슈타인바이스가 이 지역에서 25년 동안 사업을 운영하는 동안 그는 드르바르와 도브를린에 현대식 제재소 건설, 도로망 건설, 400km의 협궤 철도, 전화 및 전신선 등 임산물 가공을 위한 완벽한 인프라를 구축했다.[2] 이 기간 동안 드르바르는 약 2,800명의 사람들을 고용하는 산업 도시로 성장했으며 주택, 병원, 식당, 카페 및 소매점이 건설되었다. 알폰스 시무니우스 블루머가 설립한 펄프 공장을 포함한 추가 공장이 드르바르에 등장했다.
결국 열악한 노동 조건으로 인해 1906년 드르바르에서 최초의 조직적인 파업이 발생했다. 이러한 파업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그러한 활동을 금지한 1911년까지 계속되었다.[13]
3. 3.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멸망하고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국이 탄생했지만, 이는 드르바르 노동자들의 곤경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드르바르 노동자들은 더 잘 조직되어 1921년에 다시 파업을 일으켰다.
1929년부터 1941년까지 드르바르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브르바스 주에 속해 있었다. 1932년 경제 위기로 인해 2,000명의 노동자가 해고되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4월, 드르바르는 독일군에 점령되었고, 곧 이탈리아군의 점령으로 넘어갔다. 같은 해 4월 10일, 나치 독일과 동맹한 우스타샤는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의 수립을 선언했다.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이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독립국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과 유대인, 로마인, 크로아티아인 저항 세력, 정적들은 수용소로 보내져 살해당했다. 우스타샤의 집단 학살 행위는 세르비아인들에게 드르바르 봉기로 알려진 봉기를 조직하도록 강요했다.[3]
1942년 중반에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을 몰아낼 때까지, 드르바르에서는 격렬한 전투가 이어졌다. 1943년, 다시 독일군이 드르바르를 점령하고, 마을을 불태웠다.
1944년 5월 25일, 독일군은 티토를 암살하기 위해, 격렬한 공습을 동반한 "기사 이동 작전"을 발동했다. 파르티잔의 상급 사령관 티토는, 현재 "티토의 동굴"이라고 불리는 드르바르 근처 언덕의 파르티잔 총사령부에 피신해 있었다.
4년 1개월에 걸친 전쟁 동안, 드르바르가 점령된 것은 단 390일이었다. 767명의 시민이 살해되었고, 전쟁 전부터 남아있는 건물은 단 13채였다. 마을 인프라의 약 93%가 파괴되었고, 인구가 80% 감소했다.
3. 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전쟁 이후 드르바르는 재건되었고, 목재 산업이 복구되었으며, 새로운 금속, 가공, 카펫 산업이 발전했다. 마침내 변두리 마을에 전기가 공급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드르바르는 연간 약 2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관광지가 되었으며, 주로 티토 동굴(Tito's Cave)을 방문하기 위해 찾아왔다.[1] 1981년 11월 24일, 드르바르는 티토브 드르바르(Titov Drvar)로 변경되었다.[1]
3. 6. 보스니아 전쟁
1995년 9월, 드르바르는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세르비아인들은 도망쳤다. 그들 중 많은 수가 바냐 루카로 이주했다. 이 기간 동안 드르바르는 거의 텅 비었다. 1992년과 1995년 사이의 보스니아 전쟁 동안 드르바르는 현재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불리는 지역에 의해 통제되었다.
1995년 8월 3일, 크로아티아군은 크로아티아 방위 협의회(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의 도움을 받아 샤토르 산에서 드르바르에 포격을 가했다. 드르바르 시민 2명이 사망했고, 노인들은 페트로바츠로 피난하기 시작했다. 하루 뒤, 크로아티아 정부군은 유럽 연합 전 유고슬라비아 특사 칼 빌트가 "발칸 반도에서 우리가 본 가장 효율적인 민족 청소"라고 부른 "폭풍 작전"을 크로아티아의 "달마틴스카 자고라" 지역에서 시작했고, 수십만 명의 난민들이 자동차, 트랙터, 마차, 도보로 크로아티아의 집에서 도망치면서 드르바르를 통과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 정부군의 드르바르 외곽 지역에 대한 포격은 며칠 동안 계속되었다.
3. 6. 1. 전쟁 이후
1995년 말, 데이턴 평화 협정이 체결된 후, 드르바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크로아티아 정치인들은 일자리와 비어 있는 집 열쇠 등을 약속하며 주로 보스니아 중부에서 이주한 최대 6,000명의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을 드르바르로 유인했다. 또한 2,500명의 크로아티아 HVO 군인과 그 가족들이 그곳에 주둔하며 이주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시민들의 집을 점거했다.[7] 이는 인구 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켰으며,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인구는 주로 크로아티아인이었다.
1996년, 소수의 세르비아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크로아티아인들의 괴롭힘과 차별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지속된 약탈과 방화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귀향을 시도했다.[8]
1998년, 이주한 보스니아 세르비아 시민들의 귀환에 대한 크로아티아인들의 반대는 폭동과 살인으로 이어졌다. 건물과 집이 불탔고, 유엔 국제 경찰 태스크 포스 요원, SFOR 요원, 그리고 세르비아 난민의 투표로 선출된 시장 마일레 마르체타가 공격을 받았으며, 드르바르로 최근 귀환한 두 명의 이주한 노령 세르비아인이 살해되었다.[7][9]
드르바르 마을에 가해진 피해의 대부분은 전쟁 중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크로아티아 민간인과 군인이 점령한 후 이주한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이 드르바르로 돌아가려 할 때 그들의 집과 사업체가 약탈당하고 불태워지면서 발생했다. 지역 정부와 기업(존재하는 몇 안 되는 기업)은 크로아티아인들이 지배하고 있으며, 세르비아인들은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현대
보스니아 전쟁이 끝난 이후 약 5,000명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주민이 드르바르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 지역의 실업률은 80%에 달하며 많은 주민들은 열악한 경제 상황에 대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정부를 비난한다.[10][11]
2019년 9월, 세르비아 대통령 알렉산다르 부치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 위원회 세르비아인 위원 밀로라드 도디크와 함께 드르바르를 공식 방문했다.[12]
드르바르는 세르비아 지방 자치 단체 연합의 회원이다.
5. 인구
1961년부터 2013년까지 드르바르 시의 정착지별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정착지 | 1961년 | 1971년 | 1981년 | 1991년 | 2013년 |
---|---|---|---|---|---|
드르바르 | 3,646 | 6,417 | 7,063 | 8,053 | 3,730 |
드르바르 셀로 | 844 | 490 | |||
모크로노게 | 646 | 298 | |||
시포블랴니 | 998 | 478 | |||
트르니니치 브리예그 | 382 | 232 | |||
브르토체 | 1,582 | 825 | |||
총계 | 18,811 | 20,064 | 17,983 | 17,126 | 7,560 |
드르바르 시의 총 인구는 1971년 20,064명에서 1991년 17,126명으로 감소했고, 2013년에는 7,560명으로 더욱 감소하였다. 특히, 드르바르 시가지의 인구는 1991년 8,053명에서 2013년 3,730명으로 크게 줄었다.[1]
5. 1. 인구 구성
드르바르의 인구 구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서는 세르비아인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으며,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유고슬라비아인은 소수에 불과했다. 1981년과 1971년 인구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다음은 드르바르 지방 자치체의 민족 구성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총 인구 | 세르비아인 | 보스니아인 | 크로아티아인 | 유고슬라비아인 | 기타 |
---|---|---|---|---|---|---|
1971년 | 20,064명 | 19,496명 (97.16%) | 213명 (1.06%) | 141명 (0.70%) | 74명 (0.369%) | 140명 (0.72%) |
1981년 | 17,983명 | 15,896명 (88.39%) | 26명 (0.14%) | 62명 (0.34%) | 1,842명 (10.24%) | 157명 (0.89%) |
1991년 | 17,126명 | 16,608명 (96.97%) | 33명 (0.19%) | 33명 (0.19%) | 384명 (2.24%) | 68명 (0.39%) |
2013년 인구 조사에서 드르바르 시의 총 인구는 3,730명이었으며, 이 중 세르비아인이 84.72%, 크로아티아인이 14.13%를 차지했다. 드르바르 지방 자치체 전체로는 총 인구가 7,560명이었고, 세르비아인이 91.25%, 크로아티아인이 7.845%를 차지했다.
6. 경제
드르바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시대부터 그 지역에서 나오는 고품질 목재로 잘 알려져 있었다. 드르바르 지역은 여전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큰 벌목 및 목재 가공 환경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이 목재 가공 산업과 관련된 광범위한 부패이다. 2004년 동안 약 110000m3의 목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목재(2급) 1m3의 평균 가격은 약 49.5EUR이다.
7. 명소
"드르바르 공격"은 독일군의 드르바르 공격을 다룬 영화이다.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에는 시간이 멈춘 듯한 장소들이 아직 남아 있다.
유명한 랜드마크로는 "티토 동굴"과 소위 "성채"가 있다. 성채 위치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묘지(상태가 매우 좋지 않음)가 있는데, 1944년 공격 이후 매장된 알 수 없는 수의 독일군 병사들이 묻혀 있을 수 있다. 또한 로마 시대의 도로 표지판(서기 100년경)이 있다. 또 다른 표지판은 보산스키 페트로바츠로 가는 길, 자글라비차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
드르바르는 또한 현지 라키야로 유명하며, 이는 세르비아에서 유래했지만 발칸 반도 전역에서 인기가 있는 자두 또는 크랜베리 브랜디의 일종이다.
8. 저명한 인물
- 사샤 아다모비치는 암호학 박사이다.
- 안드레아 아르소비치는 사격 선수이다.
- 마리야 부르사츠는 유고슬라비아 인민 영웅이다.
- 미카 보스니치는 인민 영웅이다.
- 니콜라 슈피리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前 총리이다.
- 일리야 카이테즈는 사회학자, 철학자, 교육자, 작가, 퇴역 장교이다.
- 라도미르 코바체비치는 유도 올림픽 메달리스트이다.
- 데얀 마티치와 사샤 마티치는 가수이다.
- 페타르 페차나츠는 2007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및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에베레스트 산을 등반한 최초의 인물이다.
- 밀란 로디치는 프로 축구 선수이자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 선수이다.
- 미르코 스르디치는 음악가이다.
- 라드미르 코바세비치는 유도 선수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9. 행정 구역
정착지 |
---|
아타셰바츠 |
바스타시 |
브르다 |
분체바츠 |
드르바르 셀로 |
그루보르스키 나슬론 |
카메니차 |
레스코비차 |
모크로노게 |
모티케 |
므르제 |
포디치 |
포도비 |
폴지체 |
포토치 |
프레카야 |
샤이노바츠 |
시포블랴니 |
트르니니치 브리예그 |
트루바르 |
비도보 셀로 |
브르토체 |
자글라비차 |
주파 |
주피차 |
참조
[1]
웹사이트
Naseljena Mjesta 1991/2013
http://www.statistik[...]
Statistical Office of Bosnia and Herzegovina
2021-09-12
[2]
간행물
Die Machtpolitik Österreich-Ungarns und der Eisenbahnbau in Bosnien-Herzegowina 1872–1914
http://othes.univie.[...]
Wien
2008
[3]
서적
1989
[4]
웹사이트
Rađa se novi život na mučeničkoj krvi
http://www.glas-konc[...]
2015-12-30
[5]
웹사이트
"Dan ustanka" - ubojstvo župnika iz Drvara i Bosanskog Grahova
http://www.katolicki[...]
2015-12-30
[6]
서적
At Home in the World: Collected Writings from The Wall Street Journal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2
[7]
간행물
Impunity in Drvar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1998-08-20
[8]
간행물
House Burnings: Obstruction of the Right to Return to Drvar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1997-06-16
[9]
간행물
Drvar: Bosnia's Don Quixote
http://www.unhcr.org[...]
UNHCR
1999
[10]
웹사이트
Bosnia town holds 'funeral' to protest at unemployment
https://www.bbc.co.u[...]
BBC
2013-03-04
[11]
웹사이트
Dejtonska sudbina Drvara
http://www.rts.rs/pa[...]
RTS
2013-08-03
[12]
뉴스
Vučić: Jedinstveni za opstanak; Ne mešam se u unutrašnje stvari BiH
https://www.b92.net/[...]
b92.net
2019-09-13
[13]
간행물
Die Machtpolitik Österreich-Ungarns und der Eisenbahnbau in Bosnien-Herzegowina 1872–1914
http://othes.univie.[...]
Wien
2008
[14]
웹사이트
Rađa se novi život na mučeničkoj krvi
http://www.glas-konc[...]
2015-12-30
[15]
웹사이트
"Dan ustanka" - ubojstvo župnika iz Drvara i Bosanskog Grahova
http://www.katolicki[...]
2015-12-30
[16]
서적
At Home in the World: Collected Writings from The Wall Street Journal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2
[17]
간행물
Impunity in Drvar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1-02-12
[18]
간행물
House Burnings: Obstruction of the Right to Return to Drvar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1-02-10
[19]
간행물
Drvar: Bosnia's Don Quixote
http://www.unhcr.org[...]
UNHCR
1999
[20]
웹사이트
Bosnia town holds 'funeral' to protest at unemployment
http://www.bbc.co.uk[...]
BBC
2013-03-04
[21]
웹사이트
Dejtonska sudbina Drvara
http://www.rts.rs/pa[...]
RTS
2013-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