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슈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슈바는 "전갈의 이마"를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전갈자리에 위치한 별이다. 2000년 6월 밝기가 변화하기 시작하여 최대 1.7등급까지 밝아졌으며, 항성 적도에서 가스를 방출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드슈바는 최소 두 개의 반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반성의 근접 통과가 밝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빠르게 회전하는 B형 준거성이며,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연관성의 상부 전갈자리 하위 그룹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 - 황소자리 제타
황소자리 제타는 황소자리에 있는 단선 분광 쌍성계로, 주성 황소자리 제타 A는 태양 질량의 11배가 넘는 거성이며 빠른 자전 속도, 특이한 화학적 특징, 방출선을 보이고 예로부터 중국 천문학에서 천관으로 불렸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 - 고메이사
고메이사는 지구에서 약 162광년 떨어진 작은개자리의 B8 분광형 주계열성으로, 맨눈으로 관측 가능하며 빠른 자전 속도와 가스 원반을 가진 Be 별이자 밝기가 변하는 SPBe 별이고, 170일 주기의 쌍성일 가능성이 있다. - Be형 항성 - 아케르나르
아케르나르는 에리다누스자리에서 가장 밝고 지구에서 아홉 번째로 밝게 보이는 청색 항성으로, 빠른 자전으로 편구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적도면에 가스 원반을 가지고 있고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다. - Be형 항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B형 준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준거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드슈바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전갈자리 |
명칭 | 주바 드슈바 알 자바 이클라크라우 |
플램스티드 명칭 | 7 전갈자리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겉보기 등급 | 1.59 - 2.32 |
변광성 유형 | γ Cas |
특징 | |
분광형 | B0.3 IV + B1-3V |
B-V 색지수 | -0.124 |
U-B 색지수 | -0.920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7 km/s |
고유 운동 (적경) | -10.21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35.41 밀리초/년 |
시차 | 6.64 |
거리 | 136.0 파섹 |
절대 등급 | -3.8 |
궤도 정보 | |
주기 | 10.8092 일 |
긴반지름 | 0.09874 각초 (13.5 AU) |
이심률 | 0.936 |
궤도 경사 | 36 도 |
승교점 경도 | 174.0 도 |
근성점 통과 시기 | 2011년 7월 3일 |
근일점 인수 | -2.3 도 |
K1 | 23.9 |
물리적 특성 | |
질량 | 13 태양 질량 |
반지름 | 8.5 태양 반지름 |
광도 | 38,000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27,400 K |
표면 중력 | 3.92 |
자전 속도 | 180 km/s |
질량 | 8.2 태양 질량 |
표면 온도 | 20,000 - 24,000 K |
나이 | 9-10 백만 년 |
식별 정보 | |
기타 명칭 | 7 Scorpii BD -22°4068 HD 143275 HIP 78401 HR 5953 FK5 594 SAO 184014 CCDM 16003-2237 |
SIMBAD | http://simbad.u-strasbg.fr/simbad/sim-id?Ident=Delta+Scorpii |
2. 밝기 변화
2000년 6월, 세바스티안 오테로는 드슈바의 밝기가 평상시보다 0.1 등급 밝아진 것을 처음 발견했다. 이후 드슈바는 밝기가 크게 증가하여 한때 1.6 ~ 1.7 등급까지 밝아지는 등, 전갈자리의 외관을 바꿀 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밝기 변화는 드슈바가 항성 적도 부근에서 가스를 방출하는 현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감마 카시오페이아 변광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밝기 변화는 2000년대 들어서도 계속되었으며, 밝기에 변동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과거보다 밝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11년 7월에는 동반성과의 근접 통과로 인해 밝기가 다시 1.65 등급까지 최고조에 달하기도 했다.
2. 1. 광도 곡선

2000년 6월, 세바스티안 오테로(Sebastian Otero)는 델타 전갈자리의 밝기가 평상시보다 0.1 등급 밝아진 것을 발견했다. 이후 델타 전갈자리의 밝기는 계속 증가하여 1.6 ~ 1.7 등급까지 밝아졌으며, 이로 인해 전갈자리의 모습이 달라 보일 정도였다.
갑작스러운 밝기 증가 이후 델타 전갈자리의 스펙트럼을 관측한 결과, 항성의 적도 부근에서 밝은 가스를 방출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통상적인 B형 별로 여겨졌던 델타 전갈자리가 Be 별의 특징을 보이게 된 원인으로 추정된다. Be 별 중에서도 폭발형 변광성의 일종인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05년 기준으로도 이러한 광도 증가는 계속되었으며, 밝기에 변동은 있었지만 과거 기록된 겉보기 등급보다는 밝은 상태를 유지했다. 이후에도 밝기 변화는 계속되어 2011년에는 다시 1.6 등급까지 밝아졌다. 2016년 1월에는 0.8 등급까지 밝아졌다는 관측 보고도 있었으나, 다른 천문대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관측 오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3. 동반성
드슈바는 최소 두 개의 반성을 가지고 있으며, 세 개일 가능성도 있다. 첫 번째 반성은 분광형 B형으로, 태양과 수성 사이의 거리 정도만큼 떨어져서 주성 드슈바를 20일 주기로 공전한다.
이보다 더 멀리 떨어진 곳에는 두 번째 반성이 존재한다. 이 반성은 큰 이심률을 가진 궤도를 그리며 10년 주기로 드슈바 주위를 돈다. 2000년에 이 두 번째 반성이 드슈바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면서 드슈바 표면의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드슈바 자체는 감마 카시오페이아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이런 유형의 별은 주위를 둘러싼 물질 때문에 밝기가 수백 분의 1 등급 정도 불규칙하고 느리게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2000년 6월, 천문가 세바스찬 오테로는 드슈바가 평소보다 0.1 등급 더 밝아진 것을 관측했다. 이후 드슈바의 밝기는 계속 변동하여 한때 1.6 등급까지 밝아지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 전갈자리의 모습이 눈에 띄게 변했다. 폭발이 시작된 후 관측된 스펙트럼에서는 별의 적도 부근에서 가스가 분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동반성은 2011년에도 드슈바에 근접했으며, 이 영향으로 2011년 7월 5일부터 15일 사이에 별의 밝기는 다시 1.65 등급으로 최고조에 달했다.
4. 물리적 특성
주성인 델타 전갈자리 A는 빠르게 회전하는 별에서 방출된 물질로 이루어진 원반에 둘러싸인 B형 준거성이다. 한때 B0 IV 분류의 분광 표준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너무 특이하고 변동성이 커서 표준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델타 전갈자리 A는 감마 카시오페이아 변광성으로 분류되는데, 이 유형의 별은 주변 물질의 영향으로 밝기가 불규칙하고 느리게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성인 델타 전갈자리 B는 일반적인 B형 주계열성으로 추정되며, 주성 A 주위를 약 10.5년 주기로 매우 찌그러진 타원 궤도로 공전한다. 델타 전갈자리 A 자체가 매우 가까운 분광쌍성이라는 보고도 있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00년 6월, 아마추어 천문가 세바스티안 오테로(Sebastian Otero)는 델타 전갈자리의 밝기가 평소보다 0.1 등급 밝아진 것을 발견했다. 이후 밝기는 계속 변동하여 최소 1.6 등급까지 이르렀으며, 이로 인해 전갈자리의 익숙한 모습이 변하게 되었다. 밝기 증가 이후 관측된 스펙트럼에서는 항성 적도 부근에서 빛나는 가스를 방출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Be 별의 특징이다. 2011년에는 반성 B가 주성 A에 가장 가까이 접근(근일점 통과)했으며, 이 영향으로 2011년 7월 5일부터 15일 사이에 별의 밝기가 다시 1.65 등급으로 최고조에 달했다.
델타 전갈자리는 태양에 가장 가까운 대규모 성협인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성협의 상부 전갈자리 하위 그룹에 속하는 고유 운동 구성원이다. 이 상부 전갈자리 하위 그룹은 평균 나이가 약 1,100만 년이고 평균 거리가 470 광년(ly) (145 파섹(pc))인 수천 개의 젊은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5. 명칭
델타 전갈자리(δ Scorpii, 약칭 δ Sco)는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이 항성계는 두 개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델타 전갈자리 A'''와 '''델타 전갈자리 B'''로 불린다.
델타 전갈자리는 전통적으로 '''드슈바'''(Dschubba)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이 이름은 "전갈의 이마"를 뜻하는 아랍어 جبهة العقرب|jabhat al-ʿaqrabara에서 유래했다.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별들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8월 21일, 델타 전갈자리 A의 공식 명칭으로 '드슈바'(Dschubba)를 승인했으며, 이 이름은 현재 IAU 공식 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5. 1. 중국 별자리
중국 천문학에서 房宿|팡슈zho는 방을 의미하는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는 델타 전갈자리, β1 전갈자리, β2 전갈자리, 파이 전갈자리, 그리고 로 전갈자리로 구성된다. 따라서 델타 전갈자리 자체의 중국 이름은 房宿三|팡슈산zho이며, 이는 "방의 세 번째 별"을 뜻한다.6. 위치 및 소속
델타 전갈자리는 황도에서 남쪽으로 2.0도 떨어져 있다. 1981년에는 토성의 고리에 의해 엄폐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보이저 2호 탐사선에 의해 포착되었다. 이 관측을 통해 겉보기에는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고리의 틈새에서도 별빛이 예상치 못하게 차단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토성의 주요 고리 시스템에는 빈 공간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시사했다.
δ Scorpii는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성협의 고유 운동 구성원이며, 특히 그 안의 상부 전갈자리 하위 그룹에 속한다.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성협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대규모 OB 성협 중 하나이다. 상부 전갈자리 하위 그룹은 평균 나이가 약 1,100만 년 된 수천 개의 젊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그룹의 평균 거리는 약 470 광년(145 파섹)이다. 또한, 델타 전갈자리는 이 성협 내의 산개성단인 Cr 302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