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니 소리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오니 소리아노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이다. 2006년 중국 야구 리그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일본 독립 리그와 프로 야구, 대만 프로 야구, 한국 독립 야구, 멕시칸 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다. 2009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육성 선수 계약을 맺고 2010년 정식 선수로 등록, 프로 첫 승과 완봉승을 기록했으나, 2011년 부진으로 방출되었다. 최고 구속 150km/h의 강속구와 슬라이더,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선수 - 저스틴 토마스
저스틴 토마스는 미국 출신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영스타운 캠퍼스 야구 선수 시절을 거쳐 메이저리그 드래프트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에 지명된 후 여러 메이저리그 및 아시아 프로야구팀에서 활동했으며, KIA 타이거즈에서 KBO 리그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선수 - 케니 레이번
케니 레이번은 미국 출신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일본, 대만, 한국 프로 야구에서 활동하며 150km/h가 넘는 강속구를 던졌고, 2007년 SK 와이번스에서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지만, NPB와 KBO 리그에서는 기복 있는 성적을 보였다. - 고양 원더스 - 고양 원더스 (2011-2014)
고양 원더스는 프로 야구에서 방출되거나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자 2011년에 창단되어 2014년 해체될 때까지 퓨처스리그 교류전에 참가했으며, KBO 리그 진출 선수 배출과 독립 야구단 운영 모델 제시를 통해 한국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 - 고양 원더스 - 박철우 (1964년)
박철우는 해태 타이거즈와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1989년 한국시리즈 MVP 수상 및 1996년 플레이오프 포스트시즌 최초 대타 끝내기 홈런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학교 및 프로 야구팀에서 지도자 생활을 했다. - 고양 원더스 선수 - 이재율 (1986년)
이재율은 1986년 출생으로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선수 은퇴 후에는 코치와 스카우트로 활동했다. - 고양 원더스 선수 - 정영일
정영일은 투수 포지션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미국, 한국, 일본 독립야구를 거쳐 한국 프로야구 SK 와이번스, SSG 랜더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18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 디오니 소리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선수명 | 디오니 소리아노 |
| 영어 표기 | Dioni Soriano |
| 국적 | 도미니카 공화국 |
| 생년월일 | 1982년 12월 30일 (40세) |
| 신장 | 188cm |
| 체중 | 75kg |
| 수비 위치 | 투수 |
| 투구 | 좌 |
| 타석 | 우 |
| 프로 경력 | |
| 프로 입단 연도 | 2006년 |
| 첫 출장 (NPB) | 2010년 5월 26일 |
| 마지막 출장 (NPB) | 2011년 9월 30일 |
| 경력 | 센트럴 델 에스테 대학교 카프 아카데미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9 - 2011)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2012) 고양 원더스 (2013 - 2014) 오아하카 워리어스 (2015) |
| 파견 경력 | |
| 파견 경력 | 고치 파이팅독스 (2007) 나가사키 세인츠 (2008)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 (2009) |
| 국가대표 경력 | |
| 대표팀 | 도미니카 공화국 |
| 프리미어 12 | 2015년 |
2. 선수 경력
디오니 소리아노는 2006년 카프 아카데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에서 뛰었고, 2009년 7월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육성 선수 계약을 맺었다.[1]
2010년 5월 20일 지배하 선수로 등록, 등번호를 99번으로 변경하고,[1] 10월 1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프로 첫 승과 첫 완봉승을 기록했다.[2] 2011년 시즌 후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3]
2012년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와 계약했지만, 실전에 등판하지 못했다. 2013년 고양 원더스에서 뛰었고,[4] 2014년 도미니카 공화국과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에서 활동했다. 2015년 멕시칸 리그 오아하카 워리어스 소속으로 뛰었고,[5] 2015 WBSC 프리미어 12에 도미니카 공화국 대표로 출전했다.
2. 1. 중국 프로야구 시절 (2006)
2006년에 카프 아카데미의 육성을 받아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제휴하는 중국 야구 리그의 광둥 레오파스에 입단했으며, 2007년 1월에는 연습생 신분으로 에스마일린 카리다드, 파체코와 함께 일본을 방문하였다.2. 2. 일본 독립 야구 시코쿠 시절 (2007-2009)
2007년 4월부터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에 파견 선수로 활동하였다. 2007년에는 고치 파이팅 독스, 2008년에는 나가사키 세인츠, 2009년 전반기에는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에서 뛰었다.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 소속 당시 기록은 0승 7패, 평균자책점은 3.83이었다. 시코쿠 리그 통산 성적은 87경기 등판, 7승 18패이다.[1]2. 3. 일본 프로야구 시절 (2009-2011)
2009년 7월 28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육성 선수 계약을 체결하고,[1] 2군 선발 로테이션을 맡았다.2010년 5월 20일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었고,[1] 등번호는 "125"에서 "99"로 변경되었다. 10월 1일 한신 타이거스가 패배하면 매직 1이었던 주니치 드래건스가 우승하는 경기에서 선발 등판하여 프로 첫 승과 첫 완봉승을 거두었다.[2] 경기 후 히어로 인터뷰에서는 통역 없이 유창한 일본어를 선보였다.
2011년 9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야노 겐지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하는 등[3] 1군에서 부진하여, 10월 22일 구단으로부터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2. 4. 대만 프로야구 시절 (2012)
2012년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와 계약하였으나, 1군과 2군 모두 출장 기록이 없었다.[4]2. 5. 대한민국 독립 야구 시절 (2013-2014)
2013년 대한민국 최초의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에 영입되어 독립 야구단 선수로 활동했다.[4] 고양 원더스는 김성근 감독이 이끌던 팀이었다.2. 6. 그 외 경력
2014년 10월에는 모국 도미니카 공화국의 윈터 리그에서 뛰었다. 12월부터는 베네수엘라의 윈터 리그에서 뛰었다.[5]2015년에는 멕시칸 리그의 오아하카 워리어스에서 뛰었다.[5] 11월에는 제1회 WBSC 프리미어 12에 도미니카 공화국 대표로 출전했지만, 팀은 전패로 대회를 마감했다.
3. 투구 스타일
4. 상세 정보
디오니 소리아노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일본 프로야구 첫 기록'''
- 첫 등판: 2010년 5월 26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1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초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1]
- 첫 탈삼진: 상동, 8회초에 하야사카 케이스케로부터[1]
- 첫 선발: 2010년 6월 6일, 오릭스 버팔로스와의 3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4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1]
- 첫 승리·첫 완투·첫 완봉: 2010년 10월 1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22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9이닝 무실점[1]
'''등번호'''
- (2006년, 중국 프로야구)
- 99일본어 (2006년 - 2009년 중도, 2010년 중도 - 2012년, 일본 프로 야구)
- 124일본어 (2009년 7월 28일 - 같은 해 종료, 일본 프로 야구)
- 125일본어 (2010년 - 2010년 중도, 일본 프로 야구)
- 76한국어 (2013년 - 2014년, 대한민국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
'''일본 독립 리그(파견) 연도별 투수 성적'''
| 연 도 | 구단 | 방어율 | 등판 | 승리 | 패전 | 세이브 | 완투 | 완봉 | 무사사구 | 투구 이닝 | 타자 | 피안타 | 피홈런 | 탈삼진 | 사사구 | 사구 | 실점 | 자책점 | 폭투 | 보크 |
|---|---|---|---|---|---|---|---|---|---|---|---|---|---|---|---|---|---|---|---|---|
| 2007 | 고치 | 3.43 | 38 | 5 | 4 | 2 | 0 | 0 | 0 | 76.0 | 335 | 67 | 5 | 49 | 41 | 1 | 37 | 29 | ||
| 2008 | 나가사키 | 3.57 | 30 | 2 | 7 | 2 | 2 | 0 | 0 | 93.1 | 408 | 82 | 3 | 66 | 51 | 4 | 49 | 37 | ||
| 2009 | 도쿠시마 | 3.83 | 19 | 0 | 7 | 0 | 0 | 0 | 0 | 54.0 | 239 | 51 | 4 | 52 | 29 | 0 | 32 | 23 | ||
| 통산: 3년 | 3.59 | 87 | 7 | 18 | 4 | 2 | 0 | 0 | 223.1 | 982 | 200 | 12 | 167 | 121 | 5 | 118 | 89 | |||
4. 1. 일본 프로야구 연도별 투수 성적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고의4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10년 | 히로시마 | 10 | 8 | 1 | 1 | 0 | 2 | 3 | 0 | 0 | .400 | 199 | 46.0 | 45 | 8 | 18 | 1 | 27 | 3 | 0 | 23 | 22 | 4.30 | 1.37 |
| 2011년 | 8 | 3 | 0 | 0 | 0 | 1 | 1 | 0 | 0 | .500 | 101 | 24.2 | 15 | 3 | 10 | 0 | 12 | 1 | 1 | 11 | 10 | 3.65 | 1.01 | |
| 통산: 2년 | 18 | 11 | 1 | 1 | 0 | 3 | 4 | 0 | 0 | .429 | 300 | 70.2 | 60 | 11 | 28 | 1 | 39 | 4 | 1 | 34 | 32 | 4.08 | 1.25 | |
4. 2. 일본 프로야구 첫 기록
- 첫 등판: 2010년 5월 26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1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초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1]
- 첫 탈삼진: 상동, 8회초에 하야사카 케이스케로부터[1]
- 첫 선발: 2010년 6월 6일, 오릭스 버팔로스와의 3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4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1]
- 첫 승리·첫 완투·첫 완봉: 2010년 10월 1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22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9이닝 무실점[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