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뚜껑은 용기의 입구를 막아 내용물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덮개이다. 뚜껑은 내용물의 유통 기한 보장, 외부 물질 차단, 제품 안전 유지, 재사용 가능성 제공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뚜껑의 종류는 스레드, 러그, 경첩, 잠금 장치, 접착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에 부착되며, 재질에 따라 코르크, 고무,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뚜껑의 역사는 고대 도기에서 시작하여 크라운 코르크, 나사 덮개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어린이 안전 포장과 같은 특수한 기능이 추가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관 - 호스
호스는 내관, 보강체, 외피로 이루어진 유연한 관으로, 내부 매체를 보호하고 압력과 힘에 저항하며, 자동차, 건설 기계, 정원, 소방 등 다양한 기계 및 용도에 사용되는 필수 부품이다. - 배관 -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는 냉매, 발포제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규제되어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수소불화탄소(HFC) 등의 대체 물질이 개발되었다. - 병 (용기) - 물통
물통은 액체를 휴대하기 위한 용기로, 고대부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플라스틱 물통이 널리 사용되나 위생 관리와 다회용 물통 사용이 권장된다. - 병 (용기) - 젖병
젖병은 유아가 모유나 분유를 섭취하도록 만들어진 용기로, 안전성과 편리성을 고려한 다양한 재료와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올바른 사용법과 관리가 중요하다. - 수문학 - 밸브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작동 방식을 가지며,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문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뚜껑 | |
---|---|
일반 정보 | |
명칭 | 뚜껑 |
영어 명칭 | Closure |
설명 | 용기 입구를 막는 데 사용되는 장치 |
종류 | |
재료 | 금속 플라스틱 유리 종이 코르크 |
기능 | 내용물 보호 밀봉 개폐 용이성 제공 위조 방지 |
형태 | 스크류 캡 크라운 캡 링 풀 탭 트위스트 캡 힌지 캡 펌프 디스펜서 스프레이 필 오프 리드 코르크 마개 |
재질별 특징 | |
플라스틱 뚜껑 | 가볍고 저렴 다양한 디자인 가능 재활용 가능 |
금속 뚜껑 | 강한 내구성 밀폐성 우수 녹 발생 가능성 |
유리 뚜껑 | 고급스러운 외관 위생적 파손 위험 |
코르크 뚜껑 | 와인 병에 주로 사용 자연 친화적 탄성 및 밀폐성 우수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병마개 캡 마개 밀봉재 |
사용 예시 | 음료 병 식품 용기 화장품 용기 의약품 용기 |
2. 막음의 목적
뚜껑은 내용물과 용기에 따라 여러 기능을 한다.
- 개봉 시까지 지정된 유통 기한 동안 용기를 닫고 내용물을 보존한다.
- 먼지, 산소, 습기 등에 대한 차단막을 제공한다. 투과 제어는 식품, 화학 물질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제품에 중요하다.
- 원치 않는 조기 개봉으로부터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 용기를 다시 닫거나 재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 제품의 분배 및 사용을 돕는다.
- 의도된 사용자가 용기를 비교적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열기 어려운 용기는 포장 분노를 유발할 수 있다. 뚜껑을 여는 데 필요한 힘 또는 토크는 포장 엔지니어에게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3][4]
밥그릇이나 컵에는 뚜껑이 없는 반면, 사발이나 도시락에는 뚜껑이 있는데, 이는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증기가 새지 않도록 하며, 보온 효과를 얻고, 외부를 차단하여 쓰레기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 뚜껑의 종류
뚜껑은 내용물과 용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 기본 기능:
- 뚜껑은 개봉 전까지 지정된 유효기간 동안 용기를 닫고 내용물을 보존한다.
- 먼지, 산소, 습기 등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다.
- 원치 않는 조기 개봉으로부터 제품을 안전하게 유지한다.
- 용기를 다시 닫거나 재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 제품의 조제 및 사용을 돕는다.
- 사용자가 용기를 쉽게 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특수 기능:
- 2차 밀봉: 민감한 제품이나 추가 보안이 필요한 경우 외부 수축 밴드, 라벨, 테이프 등을 사용한다.
- 통풍 기능: 처리 또는 저장 중 불균등한 압력으로 인한 팽창, 붕괴,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PTFE, PP 등의 재료를 활용한 통풍 기능을 갖춘 뚜껑도 있다.

일반적인 뚜껑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뚜껑의 역할을 하는 것들도 있다.
- 떨어뜨림 뚜껑: 냄비 안에 넣어 내용물을 조릴 때 사용한다.
- 배양 마개: 미생물이나 조직 배양 시 사용된다.
- 클로쉬: 요리를 낼 때 접시에 덮는 돔 모양의 은제 뚜껑.
- 맨홀 뚜껑: 맨홀 (하수도 · 정화조) 추락 방지용.
- 그레이팅: 도로 옆, 부지 배수로나 논 주변 용수로 등에 설치하는 홈통 뚜껑.
- 귀마개: 귀에 꽂아 소음을 차단한다.
- 말린 조개류의 껍데기 구멍을 막는 판 모양 구조, 관 모양 껍데기나 굴에 사는 동물의 뚜껑, 외항동물이나 호주덧거미 둥지의 일부, 깃털갯지렁이나 소라게 몸의 일부 등 생물체의 뚜껑.
- 노린재류 알의 윗면, 풀솜나방 고치의 한쪽 끝 등 뚜껑처럼 보이는 것.
- 키누가사(가이): 신사나 황실 의식에서 사용되는 자루가 긴 우산 모양 제구.[15]
병의 뚜껑은 보통 마개라고 불리며, 코르크 마개, 병뚜껑, 플라스틱 마개, 캡 등은 수집하는 사람도 많다. 코르크 스크류는 코르크 마개를 따는 도구이며, 병따개는 병뚜껑을 따는 도구이다.
3. 1. 결합 방식에 따른 분류
마개는 용기를 안정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다양한 결합 방식을 사용한다. 나사산, 러그, 경첩, 잠금 장치, 접착제 등이 사용되며, 많은 플라스틱 마개는 사출 성형으로 만들어진다.[5]
- 스크류 캡: 용기의 나사산에 돌려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메이슨 병처럼 뚜껑과 별도의 나사산 링으로 구성된 경우도 있다.
- 크라운 캡: 음료수 병에 주로 사용되며, 병 입구 주변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얕은 금속 캡이다.
- 스냅 방식: 뚜껑을 비틀거나 떼어내거나, 내장된 디스펜서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방식이다.
- 끼워 맞춤 (마찰 맞춤): 페인트 통처럼 약간의 힘을 주어 닫고 여는 방식이다.
- 접지 유리 이음: 실험실 유리 제품에 사용되며, 조각들을 쉽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개폐 형태: 한쪽 면이 경첩 등으로 용기나 본체와 연결되어 문처럼 열고 닫는 접이식 형태이다.
- 나사 조임 형태: 뚜껑과 용기 입구에 나사산이 있어 돌려서 조이는 방식이다. 일본에는 전국 시대 조총 전래 시기에 전해졌다고 한다. 다네가시마 도키타카의 명으로 일본산 조총을 만들던 장인 야이타 킨베에는 남만인에게서 나사의 원리를 배워 최초의 일본산 조총인 다네가시마 총을 완성했다.[5]
다음은 일본 전통 뚜껑의 명칭과 구조이다.[12]
3. 2. 재질에 따른 분류

뚜껑은 용기의 밀폐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밀폐성이 요구되는 경우, 용기 본체의 밀폐성은 물론이고 뚜껑의 재질, 패킹 재질, 구조에 주의해야 한다.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에 대한 밀폐도 고려해야 한다.
많은 플라스틱 마개는 사출 성형으로 만들어진다.[5] 코르크, 고무, 플라스틱 폼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만들기도 한다. O-링이나 마개 라이너(펄프 또는 폼 캡 라이너로 만들어진 개스킷)를 사용하기도 한다. 라이너가 없는 마개는 밀봉을 위해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림이나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병 뚜껑은 보통 마개라고 부른다. 코르크 마개, 플라스틱 마개, 캡 등은 수집하는 사람도 많다.
생물학에서는 미생물이나 조직 등을 배양할 때 용기 입구에 특수한 마개를 사용하는데, 이를 배양 마개라고 한다.
3. 3. 기능에 따른 분류
뚜껑은 내용물과 용기에 따라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용기를 닫고, 정해진 유통 기한 동안 내용물을 보존한다.[3]
- 먼지, 산소, 습기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는 차단막 역할을 한다. 특히 식품이나 화학 물질의 경우 투과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3]
-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변질을 막아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한다.[3]
- 용기를 다시 닫거나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3]
- 제품을 따르거나 분사하는 등, 사용을 편리하게 돕는다.[3]
- 사용자가 용기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뚜껑을 열기 어려우면 포장 분노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여는 데 필요한 힘이나 토크는 포장 엔지니어에게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3][4]
이러한 뚜껑의 기능과 관련된 여러 사항은 강도, 안전, 보안, 통신, 재활용, 환경 요구 사항 등 다양한 규제의 대상이 된다.
4. 뚜껑의 역사
초기 도기와 세라믹 용기들은 용기 본체에 비교적 꼭 맞는 뚜껑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암포라의 좁은 목 부분은 코르크 재질, 나무 또는 도기 마개로 막았고 모르타르로 밀봉했다.[10] 나무 통은 코르크나 나무 마개로 막힌 마개 구멍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초기 양철 캔 중 일부는 나사 덮개로 닫을 수 있도록 나사산이 있는 목으로 만들어졌다.
1893년, 음료 병은 허터 스토퍼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방식은 고무 와셔가 장착된 도자기 마개를 병 입구에 밀어 넣는 방식이었으며, 탄산 음료에만 적용되었다. 허터 스토퍼는 1890년대 후반/1900년대 초 맥주 병입에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1859년, 헨리 윌리엄 푸트남은 병에 부착하는 베일 클로저를 발명했다. 이는 코르크를 고정하기 위해 병목에 부착된 무거운 와이어 베일을 코르크 위로 스윙하는 방식이었다.
1890년 볼티모어에서 윌리엄 페인터는 세계 최초의 현대적인 병뚜껑인 크라운 코르크를 발명했다. 녹 방지 알루미늄을 사용한 나사 덮개는 1920년대에 처방약 병입에 처음 사용되었다. 성형된 요소 기반 병뚜껑은 1900년대 초에 처음 도입되었다.
어린이가 가정용 포장재를 열어 내용물을 섭취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미국 의회는 1970년 유해물질 예방 포장법을 통과시켰다.
5. 뚜껑의 제조
국제 음료 기술자 협회(International Society of Beverage Technologists, ISBT)는 뚜껑 제조 업체의 주요 무역 협회이다. 이 협회는 회원사가 뚜껑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자율적인 산업 표준을 개발한다.[1]
6. 뚜껑 관련 기타
뚜껑의 구조는 매우 다양하다. 원칙적으로는 용기의 입구를 막는 것이므로, 그 입구 형태의 평판이면 된다. 전용이 아닌, 일단 뚜껑을 덮을 경우에는 판이나 접시 등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용 뚜껑이 있는 경우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궁리가 되어 있다.
; 입구를 덮는 형태
: 입구보다 약간 큰 평판으로, 주변이 아래로 꺾여 있다. 이것에 의해 입구에 덮어 씌워 빗나가지 않게 되고, 밀폐도 또한 증가한다. 도시락 뚜껑 등은 이것이 전통적이었다.
; 끼워 넣는 형태
: 용기의 입구와 잘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것. 패킹을 사이에 끼우면 더욱 밀폐도가 증가한다.
:
:
; 개폐 형태
: 한쪽 면에서 용기나 본체와 경첩 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문처럼 열고 닫는 접이식 형태.
; 나사 조임 형태
: 입구와 뚜껑에 나사산이 새겨져 있어, 돌려서 조이는 것.
: 나사 조임 방식의 뚜껑은, 일본에서는 전국 시대의 조총 전래 시기에 전해졌다고 한다. 다네가시마 도키타카에게 일본산 조총을 만들도록 명령받은 장인 야이타 킨베에는, 남만인으로부터 사들인 화승총을 보면서 복제를 시도했다. 하지만 밀고 당겨도 도저히 열리지 않는 뚜껑이 있었다. 그래서 남만인에게 물어, 돌려서 열고 닫는 "나사의 원리"를 배웠다. 그 후 일본 최초의 조총, 통칭 "다네가시마 총"이 완성되었다.
: 이 형식의 뚜껑은, 유리나 금속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매우 밀폐된 환경을 만들 수 있지만, 너무 조이면 열기가 어려워진다. 열기 쉽도록 뚜껑의 가장자리에 톱니를 붙이는 등의 궁리가 이루어지지만, 좀처럼 열리지 않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종종 이것이 남자의 힘을 보여주는 곳이라는 이야기가 되기 쉽다. 더 열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뚜껑 쪽을 데우는 (열팽창으로 뚜껑이 느슨해짐) 등의 방법이 있다. 뚜껑을 여는 전용 도구도 있다.
밀폐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의 밀폐성은 당연하며, 뚜껑의 재질이나 패킹의 재질, 구조에 대해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액체 배리어뿐만 아니라 가스 배리어에 대해서도 고려하지 않는 경우, 뜻밖의 문제 (보존액 등의 외부 공기에 의한 용기 본체 및 뚜껑·패킹을 통한 오염·품질 저하나, 반대로 보존액의 발산 등)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특히 장기 보존이나 환기가 어려운 장소에서의 보존을 할 경우, 또는 반대로 환기가 잘 되는 경우, 보존 기간 중에 온도차가 발생하는 경우 등에는 주의를 요한다.
뚜껑은 용기의 밀폐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일본의 전통적인 뚜껑의 명칭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2]
- 판 뚜껑 (이타부타) - 몸체의 크기에 맞춰 뚜껑을 만든 후, 몸체의 윗면에 맞도록 뚜껑의 뒷면 주변을 얕게 깎아낸 것. 올려 덮는 뚜껑(노세부타)이라고도 한다.[12]
- 섄 뚜껑 (산부타) - 판 뚜껑과 마찬가지로 만든 후, 섄을 두는 구조가 되도록 뒷면의 중심 쪽을 파낸 것.[12] 섄의 수에 따라 사방 섄, 이방 섄이라고도 한다.[12] 끼워 넣는 뚜껑 (사시부타)이라고도 한다.[12]
- 덮어 씌우는 뚜껑 (카부세부타) - 몸체의 외형보다 한 바퀴 큰 뚜껑을, 몸체 위에서 덮어 씌우듯이 놓는 것.[12]
- 인롱 뚜껑 (인로부타) - 몸체의 윗가장자리 안쪽에 낮은 솟음을 만들고, 뚜껑을 얹으면 측면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한 것.[12] 약롱 뚜껑 (야쿠로부타, 야로부타), 노롱 뚜껑 (야로부타)이라고도 하며, 솟음이 몸체에 있는 경우는 몸체 인롱 (본 인롱), 뚜껑에 있는 경우는 뚜껑 인롱 (뚜껑 야로)이라고 한다.[11] 합구 부분에 금속제 복륜을 붙이는 것도 있다.[12]
- 덮어씌운 인롱 뚜껑 (카부세인로부타) - 몸체의 합구 안쪽에 솟음을 만들고, 몸체의 측면보다 한 단 튀어나온 뚜껑을 얹는 것.[12]
병의 뚜껑은 보통 마개라고 불린다. 코르크 마개, 플라스틱 마개, 캡 등의 뚜껑은 수집하는 사람도 많다.
코르크 마개를 따는 도구는 "코르크 스크류", 병뚜껑을 따는 도구는 "병따개"라고 부른다.
생물학에서는 미생물이나 조직 등을 배양할 때 용기의 입구에 특수한 마개를 준비하는데, 이를 배양 마개라고 한다.
뚜껑은 신사나 황실의 의식에서 사용되는 자루가 긴 우산 모양의 제구이다. "키누가사/가이"라고 읽는 경우가 많다.[15]
7. 문화적 표현
- 연극에서 뚜껑이 열렸다는 표현은 일이 시작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 승패는 뚜껑을 열어보기 전까지 알 수 없다는 말은 실제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결과를 알 수 없다는 뜻이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라는 표현은 결과가 예상과 달랐음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겉과 속이 없는 표현은 표현이 노골적이고 함축이나 정서가 없음을 의미한다.
- 냄새나는 것에 뚜껑을 덮는다는 표현은 냄새나는 것을 제거하지 않고 뚜껑을 덮어 넘기는, 임시변통식 대응을 가리킨다.
- 깨진 냄비에 맞는 뚜껑은 어떤 사람에게든 적당한 배우자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
Wiley
[2]
서적
Food Process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
간행물
The Use of Uncertainty Analysis for Design of Container Closures
Wiley
[4]
간행물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chnique to Measure and Compare th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amper-evident Bottle Closures
Wiley
[5]
간행물
SIMULATING THE POLYPROPYLENE FILLING OF A DISPENSING CLOSURE MOLD WITH INJECTION MOLDING SOFTWARE
http://ilin.asee.org[...]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021-05-18
[6]
웹사이트
Venting Filters: Porous Venting Material & Technology by Porex
http://www.porex.com[...]
2017-04-11
[7]
특허
Closure lid and resealable closure system with tamper-evident features
https://www.google.c[...]
[8]
특허
Tamper-proof and loss-proof screw-type bottle cap
https://www.google.c[...]
[9]
특허
Tamper evident bottle cap
https://www.google.c[...]
[10]
간행물
Commercial Amphoras, the First Consumer Package
http://faculty.quinn[...]
2010-02-02
[11]
웹사이트
薬籠蓋
https://kotobank.jp/[...]
2022-05-01
[12]
서적
漆の文化 ― 受け継がれる日本の美
KADOKAWA/角川学芸出版
[13]
뉴스
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の切れ込みの存在、知ってますか?(Excite Bit コネタ)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ニュース
[14]
뉴스
やじうまミニレビュー - ideaco「BOTTLE CAP LAMP」
https://kaden.watch.[...]
家電Watch
2011-06-06
[15]
서적
『神社本庁規定類集』
神社新報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