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오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 문자는 크메르 문자를 거쳐 수코타이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로, 라오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15세기 말에 메콩강 유역에 도달하여 태국어와 라오어의 표기 차이를 낳았으며, 1960년대에는 표기의 음소 단순화가 이루어졌다. 라오 문자에는 27개의 자음과 9개의 모음이 있으며, 성조, 자음군, 구두점, 숫자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에서는 윈도우, 리눅스 등에서 지원하며, 유니코드 블록(U+0E80–U+0EFF)을 가지고 있다. 라오어 외에도 소수 민족 언어와 빨리어, 산스크리트어 표기에도 사용되며, 과거에는 타이 노이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라오 문자
개요
라오 문자 견본
라오 문자 견본
종류아부기다
사용 언어라오어
이사안어
타이어
기타
사용 시기기원후 1497년경 – 현재
ISO 15924Laoo
유니코드https://www.unicode.org/charts/PDF/U0E80.pdf
원래 이름ອັກສອນລາວ
로마자 표기Akson Lao
계통
조상이집트 상형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타밀-브라흐미
팔라바 문자
크메르 문자
수코타이 문자
파캄 문자
타이 노이 문자
구성
자음ພະຍັນຊະນະ
자음 결합ພະຍັນຊະນະປະສົມ
모음ສະຫລະ
ສະຫຼະ
성조 부호ວັນນະຍຸດ

2. 역사

라오 문자는 크메르 문자의 변형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수코타이 문자를 거쳐 크메르 제국의 앙코르에서 유래했다. 15세기 말 무렵, 수코타이 문자의 한 형태가 메콩강 유역에 도달했으며, 이후 태국어와 라오어 변형 간에 차이가 생겼다. 1960년대에 라오 인민혁명당은 표기를 음소적으로 단순화하고 팔리어-산스크리트어 기원의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던 추가적인 문자를 생략했다.[2][3]

1930년대에 불교 학자인 마하 실라 비라봉은 비엔티안의 불교 연구소와 불교 학술 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를 지원하기 위해 라오 문자 세트를 추가하여 기존 문자의 누락된 부분을 채웠다.[4] 불교 연구소는 이러한 확장된 인도 문자를 사용한 책을 출판했지만 널리 사용되지 않았고, 1975년까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4] 2019년, 확장된 인도 문자는 유니코드 12에 추가되었다.[5]

라오 문자의 변천


비엔티안 탓 루앙 사원의 표지판에 있는 라오 문자.


오늘날의 문자 체계가 완성된 것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라오어 표준화가 진행된 이후이다. 근대적인 교육 제도의 정비와 함께 라오어 교과서 편찬이 추진되면서 문자 체계가 완성되었다.[34]

라오 문자의 특성 자체는 매우 표음적이며, 타이어처럼 발음하지 않는 문자를 쓰지 않기 때문에, 일본인도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다. 하지만 산스크리트어=팔리어 차용어에서 발음하지 않는 부분을 쓰지 않기 때문에, 그 단어의 명확한 의미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다.

라오 문자와 타이어의 특징적인 차이를 알파벳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알파벳의 이탤릭체는 타이어에서 발음하지 않지만 표기하는 자음), 타이어로 "찬"이라고 발음하는 단어는 chan''tr'' (จันท|짠thร์|th) , chan''tn'' (จันท|짠thน์|th) 등이 있으며, 무발음 자음이 있기 때문에 전자는 "달", 후자는 "백단"으로 알 수 있지만, 라오어에서는 단순히 can으로 표기된다.

또한, 예전에 존재했던 L (ລ|lo) 과 R (ຣ|lo) 의 차이가 현재 라오어에서는 L로 통일되었으며, 외래어를 표기하는 경우에만 R 문자가 사용된다.

3. 자음

ອ(어 오)는 자음이지만 소릿값이 없어 모음 소리만 표기할 때나 자체로 모음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오/ 소리는 모음 ໂ와 결합해 'ໂອ'로 쓴다.

자음 ຣ(러)는 비교적 최근에 라오 문자에 다시 추가되었다. 본래 /h/로 발음하게끔 만들어졌지만, 대부분 /l/로 발음해 수십 년간 같은 발음 자음에 밀려 모호한 위치에 있었다. 언어 개혁으로 삭제되기도 했으나, 1999년부터 외래어 표기(특히 국가 이름)에 사용되었고, 외래어 유입이 늘면서 필요성이 커졌다. ຣ은 보통 음절 첫소리나 자음군 두 번째 자음으로 쓰이고, 받침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라오 문자는 타이어와 달리 발음하지 않는 문자를 쓰지 않아 표음적이며, 일본인이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산스크리트어팔리어 차용어에서 발음하지 않는 부분을 쓰지 않아 의미 파악이 어려울 때도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로 '찬'은 'chan''tr''(จันทth''ร์th'')', 'chan''tn''(จันทth''น์th'')' 등으로 쓰여 무발음 자음으로 '달', '백단'을 구분하지만, 라오어는 'can'으로만 표기한다.

과거 L(ລlo)과 R(ຣlo)의 구별이 있었으나, 현재 라오어는 L로 통일되었고, R은 외래어 표기에만 쓰인다.

3. 1. 자음 목록

라오 문자의 27개 자음은 고자음(ພະຍັນຊະນະສູງ), 중자음(ພະຍັນຊະນະກາງ), 저자음(ພະຍັນຊະນະຕ່ໍາໍາ)의 3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분류는 각각의 자음이 4가지 성조 부호, 장모음과 단모음 등과 결합해 어떤 성조로 발음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6]

자음의 이름은 타이 문자와 마찬가지로 발음에 장모음 /o/를 붙인 음절과 자음을 대표하는 단어를 결합해 사용한다. 다음 표의 한국어 발음 표기에는 성조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문자이름과 단어의 의미초성종성유니코드자음 분류
IPABGN/PCGNLCRTSGIPABGN/PCGNLCRTSG
ກ ໄກ່꺼 까이, /k/k/k/kKO중자음
ຂ ໄຂ່커 카이, /kʰ/,/x/kh/k/kKHO SUNG고자음
ຄ ຄວາຍ커 콰이(커와이), 물소/kʰ/,/x/kh/k/kKHO TAM저자음
 ງູ응어 응우, /ŋ/ng/ŋ/ngNGO저자음
ຈ ຈອກ쩌 쩍, /tɕ/ch/t/tCO중자음
ສ ເສືອ써 쓰아, 호랑이/s/s/t/tSO SUNG고자음
ຊ ຊ້າງ써 쌍, 코끼리/s/xs/t/tSO TAM저자음
ຍ ຍຸງ녀 늉, 모기/ɲ/gnnyy/j/jNYO저자음
ດ ເດັກ더 덱, 아이/d/d/t/tDO중자음
ຕ ຕາ떠 따, 눈(目)/t/t/t/tTO중자음
ຖ ຖົງ터 통, 가방/tʰ/th/t/tTHO SUNG고자음
ທ ທຸງ터 퉁, 기(旗)/tʰ/th/t/tTHO TAM저자음
ນ ນົກ너 녹, /n/n/n/nenNO저자음
ບ ແບ້버 배, 염소/b/b/p/pBO중자음
ປ ປາ뻐 빠, 물고기/p/p/p/pPO중자음
ຜ ເຜິ້ງ퍼 펑, /pʰ/phPHO SUNG고자음
ຝ ຝົນ훠 훤, /f/f-FO SUNG고자음
ພ ພູ퍼 푸, /pʰ/ph/p/pPHO TAM저자음
ຟ ໄຟ훠 화이, /f/f/p/pFO TAM저자음
ມ ແມວ머 매우, 고양이/m/m/m/mMO저자음
ຢ ຢາ여 야, /j/yYO중자음
ຣ ຣົຖ러 롯, 차(車)/r/,/l/r/n/nenLO LOOT저자음
ລ ລີງ러 링, 원숭이/l/l/n/nenLO LING저자음
ວ ວີ워 위, 부채/ʋ/,/w/vv,wwvwWO저자음
ຫ ຫ່ານ허 한, 거위/h/hHO SUNG고자음
ອ ໂອ어 오, 그릇/ʔ/O중자음
ຮ ເຮືອນ허 흐안, /h/hHO TAM저자음



라오 문자는 자음 ຫ와 홀음저자음(저자음 중 같은 발음의 문자가 고자음과 중자음에 없는 문자)의 결합을 통해 자음군을 파생하며 그 자음군은 고자음으로 취급한다. 홀음저자음이 6자 있으므로 ຫ과 결합하여 파생된 자음군 또한 6가지가 있다.

자음군초자음유니코드자음 분류
IPABGN/PCGNLCRTSG
ຫງ/ŋ/ngng고자음
ຫຍ/ɲ/gnjnyny고자음
ໜ 혹은 ຫນ/n/nn고자음
ໝ 혹은 ຫມ/m/mm고자음
ຫຼ 혹은 ຫລ/l/ll고자음
ຫວ/ʋ/,/w/vv,ww고자음



글자 ຣ (r)은 라오어 알파벳에 비교적 최근에 다시 추가되었다. 대부분의 화자가 이를 "l"로 발음했기 때문에 언어 개혁의 일환으로 삭제되었으며, 수십 년 동안 모호한 지위를 유지했다. 1999년 사전은 전체 알파벳을 나열할 때 이 글자를 포함하지 않았지만, 많은 국가 이름을 표기하는 데 사용했다.[6] 그러나 라오어 어휘가 유럽, 호주, 아메리카와 같은 더 많은 외국 이름을 포함하기 시작하면서 필요성이 채워졌고,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8]

3. 2. 자음군

라오 문자는 자음 ຫ (허)와 홀음 저자음(같은 발음의 고자음, 중자음이 없는 저자음)을 합쳐 자음군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음군은 고자음으로 취급된다. 고자음으로만 낼 수 있는 성조가 있어, 외래어를 표기하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성조 습관에 따라 저자음을 고자음 성조로 발음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음군은 초성 위치에서만 쓰인다.

홀음 저자음은 6개가 있으므로, ຫ와 결합하는 자음군도 6가지이다.

자음군초자음 IPA초자음 BGN/PCGN초자음 LC초자음 RTSG유니코드자음 분류
ຫງ/ŋ/ngng고자음
ຫຍ/ɲ/gnjnyny고자음
ໜ 혹은 ຫນ/n/nn고자음
ໝ 혹은 ຫມ/m/mm고자음
ຫຼ 혹은 ຫລ/l/ll고자음
ຫວ/ʋ/, /w/vv, ww고자음



라오어는 무음 ຫ (허)와 특정 자음을 조합한 이중 자음도 사용하며, 일부는 선택적으로 쓰이는 합자 형태도 있다.

타이 문자에서는 특정 자음 앞에 성조 변환자가 붙는다. 높은 자음이나 낮은 자음만으로는 타이 문자 5개 성조를 모두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조 변환자 '''ห'''는 낮은 자음을 높은 자음으로 바꾼다. 라오 문자에서 같은 소리를 가진 자음(예: ຂ와 ຄ /kʰ/, ສ와 ຊ /s/)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라오어의 5개(또는 6개) 성조를 모두 표현하려면 높은 자음과 낮은 자음이 모두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은 라오어에도 있다. 자음 ງ, ຍ, ນ, ມ, ລ, ວ는 원래 낮은 자음이지만, ຫ가 앞에 오면 높은 자음이 된다.

과거에는 ພ (pʰ) + ຍ (ɲ), ສ (s) + ນ (n), ມ (m) + ລ (l) 조합을 위한 특수 형태도 있었다. 또한 ຣ (r) 또는 ລ (l)을 두 번째 요소로 갖는 자음군은 자음 아래에 ◌ຼ 형태로 표기했다.[10][11] 그러나 이들은 라오어에서 발음되지 않아 철자법 개혁 과정에서 사라졌고, 이 기호는 합자 ຫຼ에서만 나타난다.[12]

4. 모음

라오 문자의 모음 체계는 몇 가지 간단한 기호를 기본으로 하며, 이 기호들이 단독으로 쓰이거나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모음 소리를 나타낸다. 라오어에서 모음은 홀로 쓰일 수 없기 때문에, 모음 소리만 표기할 때는 음가가 없는 자음 'ອ'(어 오)를 함께 사용한다. 각 모음의 이름은 'ສະຫລະ(싸라)'라는 단어를 모음의 소리 앞에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아' 소리를 내는 모음은 '싸라 아'라고 부른다.

몇몇 모음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 'ໃ-' (ໄມ້ມ້ວນ, 아이 마이무안)
  • 'ໄ-' (ໄມ້ມາຽ, 아이 마이마이)
  • '-ົ' (ໄມ້ກົງ, 아 마이꽁)
  • '-ັ' (ໄມ້ກັນ, 아 마이깐)
  • '-ຽ' (ວິຣາມ, 이 위람)
  • '-ໍ' (ນິກຄະຫິດ, 닉카힛)


전통적으로 라오 문자에서는 자음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작은 가위표(x) 모양의 기호를 사용했지만, 유니코드에는 이 기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점선 원형(◌) 기호를 대신 사용한다.

라오 문자의 모음 'ະ'는 태국 문자의 'ະ'와 마찬가지로, 단어 끝에 올 때 성문 폐쇄음(소리를 멈추는 현상)을 나타낸다.[13]

과거에는 라오 문자가 아부기다의 특성을 완전히 갖추고 있어, 자음 글자 안에 이미 특정 모음 소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라오 인민 혁명당이 철자법을 개혁하면서 표기 방식이 단순해졌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오스 외부의 많은 라오인들과 라오스 내부의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이전 철자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의식을 거행하다' 또는 '축하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는 예전 철자법으로는 'ສເຫຼີມ'[14]으로 썼지만, 새로운 철자법으로는 'ສະເຫລີມ/ສະເຫຼີມ'[15]으로 쓴다.

오늘날의 문자 체계가 완성된 것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라오어 표준화가 진행된 이후이다. 근대적인 교육 제도의 정비와 함께 라오어 교과서 편찬이 추진되면서 문자 체계가 완성되었다.[34]

라오 문자와 타이어의 특징적인 차이를 설명하자면, 타이어로 "찬"이라고 발음하는 단어는 'chan''tr'' (จันทth''ร์th'')', 'chan''tn'' (จันทth''น์th'')' 등과 같이 발음하지 않는 자음이 표기되어, 전자는 "달", 후자는 "백단"으로 구분되지만, 라오어에서는 단순히 'can'으로 표기하여 의미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과거에 존재했던 'L (ລlo)'과 'R (ຣlo)'의 구분은 현재 라오어에서 'L'로 통일되었으며, 외래어 표기에만 'R' 문자가 사용된다.

4. 1. 모음 목록

라오 문자의 모음은 몇 가지 종류로 구성되며, 단독으로 쓰이거나 결합하여 음소를 나타낸다. 모음은 홀로 쓰일 수 없으므로, 음가가 없는 자음 ອ(어 오)를 사용하여 모음 소리만 표기한다. 모음의 이름은 'ສະຫລະ(싸라)'를 모음 음가 앞에 붙여 부른다.

다음 6개 모음은 단독으로 이름을 갖는다.

  • ໃ- ໄມ້ມ້ວນ (아이 마이무안)
  • ໄ- ໄມ້ມາຽ (아이 마이마이)
  • -ົ ໄມ້ກົງ (아 마이꽁)
  • -ັ ໄມ້ກັນ (아 마이깐)
  • -ຽ ວິຣາມ (이 위람)
  • -ໍ ນິກຄະຫິດ (닉카힛)


모음 표기 시 자음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점선 원형(◌) 기호를 사용하지만, 전통적으로는 작은 가위표(x) 모양 표시를 사용했다.

라오 문자의 모음 ະ는 인접한 태국 문자의 ະ와 유사하게 성문 폐쇄음을 포함한다.[13]

초기 라오 문자는 아부기다였으며, 자음 문자 안에 '내재 모음'이 있었다. 라오 인민 혁명당의 철자법 개혁으로 표기법이 단순화되었지만, 라오스 밖의 많은 라오인과 라오스 내부의 일부는 이전 철자법을 사용한다.[14] 예를 들어, '의식을 거행하다, 축하하다'라는 뜻의 옛 철자법은 ສເຫຼີມ[14]이고, 새로운 철자법은 ສະເຫລີມ/ສະເຫຼີມ이다.[15]

모음은 몇 가지 기본 기호로 구성되지만, 다른 모음 형태 및 반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과 삼중 모음을 나타낼 수 있다. 모음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음절을 시작할 수 없으므로, 무성 자음 ອ가 모음 소리로 시작하는 단어를 표기할 때 사용된다.

모음의 이름은 모음 기호 앞에 사-라(ສະຫຼະ, sā.lāʔ|사-라lo)를 붙인다. 일부 모음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는데, ໃ◌ (ໄມ້ມ້ວນ, mâj mûan|마이 무안lo, '말린 줄기'), ໄ◌ (ໄມ້ມາຍ, mâj máːj|마이 마-이lo, '풀린 줄기'), ◌ົ (ໄມ້ກົງ, mâj kòŋ|마이 꽁lo, '곧은 줄기'), ◌ັ (ໄມ້ກັນ, mâj kàn|마이 깐lo, '귀 줄기'), ◌ຽ (ວິລາມ, wīʔ láːm|위- 람lo), ◌ໍ (ນິກຄະຫິດ, nīk kʰāʔ hǐt|닉 카- 힛lo)가 있다.[16]

자음을 나타내기 위해 점이 찍힌 원 ◌이 사용되지만, 표준 라오어 표기법에서는 작은 x 기호가 사용된다.[8]

일부 모음은 마지막 또는 중간 위치에 따라 형태가 변경된다.

단모음rowspan=15|장모음
문자IPABGN/PCGNLCRTGS유니코드문자IPABGN/PCGNLCRTGS유니코드
종성중성종성중성
◌ະ◌ັ◌,aa◌າaāaaa
◌ິii◌ີiīiii
◌ຶuưuey◌ືuư̄ueyy
◌ຸouuuu◌ູouūuuu
ເ◌ະເ◌ັ◌,éeeເ◌éēee
ແ◌ະແ◌ັ◌,èæaeແ◌èǣaeei
ໂ◌ະ◌ົ◌,ôooໂ◌ôōoo
ເ◌າະ◌ັອ◌,oǫo◌ໍ◌ອ◌oǭo
ເ◌ິeuœoeເ◌ີeuœ̄oe
ເ◌ັຍiaເ◌ຍ◌ຽ◌iaīaia
ເ◌ຶອuaưaueaເ◌ືອເ◌ືອ◌uaư̄auea
◌ົວະouauaua◌ົວ◌ວ◌ ouaūaua



문자IPABGN/PCGNLCRTGS유니코드과거 대체 문자
ໄ◌, ໃ◌*aiai 또는 ay◌ັຍ
ເ◌ົາao
◌ຳam◌ັມ



: * 라오스 북부(루앙프라방) 방언에서는 ໃ◌가 대신 로 발음되며, 라오스 북동부(후아판 주) 방언에서는 ໃ◌가 로 발음된다.

인접한 태국 문자와 마찬가지로, ◌ະ는 모음 뒤에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라오 문자의 모음은 타이어와 마찬가지로 [a], [i], [ɯ], [u], [ə]([ɤ]), [e], [ɛ], [o], [ɔ]의 9개 음으로, 장단 구분이 있다.

다음과 같이 자음자에 기호를 부가하여 표현한다.(점선 원 부분에 자음자가 들어간다.)


  •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와 종성이 후속하는 경우에 표기가 달라지는 것이 있다.
  • 장모음을 단모음으로 만들 때는 "ະ"가 사용되며, 종성이 있는 단모음으로 만들 때는 "◌ັ"(단축 기호) 등이 사용된다.
  • 복수의 모음자를 조합할 때는, 주로 "ເ"가 사용된다.


기본 모음
장모음단모음전사발음비고
종성 없음종성 있음종성 없음종성 있음
◌າ◌ະ◌ັ◌a (aa), a,
◌ີ◌ິi (ii), i,
◌ື◌ຶue, ue,입술을 옆으로 당겨서 "우(ㅡ)"
◌ູ◌ຸu (uu), u,입술을 둥글게 내밀어 "우(ㅡ)"
ເ◌ີເ◌ິoe, oe(), ()오와 에의 중간음. 애매한 "우(ㅡ)"
ເ◌ເ◌ະເ◌ັ◌e (ee), e,
ແ◌ແ◌ະແ◌ັ◌ae, ae,입을 크게 벌린 "에(ㅡ)"
ໂ◌ໂ◌ະ◌ົ◌o (oo), o,
◌ໍ◌ອ◌ເ◌າະ◌ັອ◌o, o,입을 크게 벌린 "오(ㅡ)"



이중 모음 등
장모음단모음전사발음비고
종성 없음종성 있음종성 없음종성 있음
ເ◌ັຽ, ເ◌ຍ◌ຽ◌ເ◌ັຽະ, ເ◌ັຍ◌ັຽ◌ia, ia,
ເ◌ືອເ◌ຶອuea, uea,
◌ົວ◌ວ◌◌ົວະ◌ັວ◌ua, ua,
ໄ◌/ໃ◌/◌ັຽ/◌ັຍai, ai,
colspan="2" style="font-size:150%;background: #ddd"|ເ◌ົາao
colspan="2" style="font-size:150%;background: #ddd"|◌ຳam


5. 성조

라오어의 성조는 다음 다섯 가지로 나뉜다.


  • 상승조: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급격하게 상승한다.
  • 중고조: 중간 음에서 완만하게 상승한다.
  • 중평조: 중간 음을 평탄하게 유지한다.
  • 저강조: 낮은 음에서 완만하게 하강한다.
  • 하강조: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급격하게 하강한다.


성조 부호는 타이어 문자와 마찬가지로 ‘◌່’(ໄມ້ເອກ, mai ek), ‘◌້’(ໄມ້ໂທ, mai tho), ‘◌໊’(ໄມ້ຕີ, mai ti), ‘◌໋’(ໄມ້ຈັດຕະວາ, mai cattawa) 네 가지가 있다. 단, 뒤의 두 개는 중자음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므로, 기본적으로 앞의 두 개를 숙지하면 된다.

각 음절은 다음 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 자음 종류 ('''고자음''', '''중자음''', '''저자음''')
  • 성조 부호 유무 및 종류 ('''없음''', ‘'''◌່|lo'''’(mai ek), ‘'''◌້|lo'''’(mai tho))
  • 음절 종류 ('''평음절''' (장모음, 이중 모음, 비파열음 말자음으로 끝남), '''촉음절''' (단모음, 파열음 말자음으로 끝남))

(※ 성조 부호는 기본적으로 평음절에만 붙는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 표와 같다.

}’(mai ek) || ‘◌້|lo’(mai tho) ||style="width:5em;"| 장모음 ||style="width:5em;"| 단모음

|-

|style="background: #fcc" | 고자음 ||style="background:#ff0;"| 상승 || 중평 || 저강 || 저강 || 중고

|-

|style="background: #cfc" | 중자음 ||style="background:#ff0;"| 상승 || 중평 || 하강 || 저강 || 중고

|-

|style="background: #ccf" | 저자음 ||style="background:#ff0;"| 중고 || 중평 || 하강 || 하강 || 중평

|}

6. 구두점

라오 문자는 전통적으로 단어 사이에 공백을 사용하지 않는다. 공백은 절이나 문장의 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마침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의문문은 문장 내의 의문사로 판단할 수 있다. 전통적인 구두점 기호에는 ◌໌(쓸모없게 된 자음 묵음 표시), ໆ(앞 단어의 반복을 나타내는 데 사용), ຯ(단어 생략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라오 생략 부호), ฯ(왕족 이름과 같이 구의 축약형을 나타내는 다소 쓸모없게 된 기호), ฯລฯ(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 등이 있다.

좀 더 현대적인 글쓰기에서는 느낌표(!), 물음표(?), 괄호(()), 인용 부호(«»)와 같은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구두점 기호가 사용되지만, ""도 흔히 사용된다. 하이픈(-)과 줄임표(...) 또한 현대적인 글쓰기에서 흔히 발견된다.

7. 숫자

자음 종류평음절촉음절
없음‘{{lang|lo|◌່|}
01234567891020
라오 숫자 ໑໐ ໒໐
라오 이름 0 1 2 3 4 5 6 7 8 9 10 20
태국 숫자 ๑๐ ๒๐
RTGS sun nueng song sam si ha hok chet paet kao sip sao
음역sounnungsongsamsihahokchetpètkaosipxao



0123456789
sun 0nung 1song 2sam 3si 4ha 5hok 6chet 7paet 8kao 9
0123456789



라오 문자의 숫자는 힌두-아라비아 숫자에서 유래했다.[1]

8. 컴퓨터

라오 문자는 컴퓨터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 리눅스는 2005년부터 라오 문자를 지원해왔다.[27]
  • 윈도우는 윈도우 비스타부터 라오 문자를 공식적으로 지원한다.[28]
  • iOS는 아이폰아이패드에서 라오 문자를 지원한다.
  • 2011년 3월, 라오스 회사 XY 모바일은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에서 페사랏 OT를 선보였다.[32]
  • 2011년 12월, 라오스 과학기술부와 우정통신부는 페사랏 OT[31]를 국가 표준 글꼴로 공식 승인했다.[30]

8. 1. 유니코드

라오 문자의 유니코드 블록은 U+0E80–U+0EFF이며, 유니코드 버전 1.0에 추가되었다.[27] U+0EDx 행의 처음 10개 문자(໐-໙)는 라오 숫자 0부터 9까지이다.[28] 표 전체에서 회색은 할당되지 않은 코드 포인트를 나타낸다. 이는 할당된 라오 문자가 의도적으로 해당 태국 문자의 상대적인 위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라오 문자 ສlo가 알파벳순이 아닌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했는데, 이는 이 문자가 태국 문자 สth와 동일한 코드 포인트를 차지하기 때문이다.[29]

라오 문자
[https://www.unicode.org/charts/PDF/U0E8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0123456789ABCDEF
U+0E8xກ | ຂ | | ຄ | | ຆ | ງ | ຈ | ຉ | ຊ | | ຌ | ຍ | ຎ | ຏ
U+0E9xຑ | ຒ | ຓ | ດ | ຕ | ຖ | ທ | ຘ | ນ | ບ | ປ | ຜ | ຝ | ພ | ຟ
U+0EAxມ | ຢ | ຣ | | ລ | | ວ | ຨ | ຩ | ສ | ຫ | ຬ | ອ | ຮ | ຯ
U+0EBxັ | າ | ຳ | ິ | ີ | ຶ | ື | ຸ | ູ | ຺ | ົ | ຼ | ຽ | |
U+0ECxແ | ໂ | ໃ | ໄ | | ໆ | | ່ | ້ | ໊ | ໋ | ໌ | ໍ | ໎ |
U+0EDx໑ | ໒ | ໓ | ໔ | ໕ | ໖ | ໗ | ໘ | ໙ | | | ໜ | ໝ | ໞ | ໟ
U+0EEx| | | | | | | | | | | | | |
U+0EFx| | | | | | | | | | | | | |
참고



리눅스는 2005년부터 라오 문자를 지원해왔다.[27] 윈도우는 윈도우 비스타에 이르러서야 라오 문자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28]

2011년 12월, 라오스 과학기술부와 우정통신부는 공식적으로 페사랏 OT[31]를 국가 표준 글꼴로 사용할 것을 승인했다.[30]

2011년 3월, 라오스 회사 XY 모바일은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태블릿 PC에서 페사랏 OT를 선보였다.[32]

iOS는 아이폰아이패드에서 라오 문자를 지원한다.

8. 2. 키보드

Windows의 라오어 키보드 배열은 다음과 같다.[18]

빨간색 부분은 "오른쪽 Alt"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8. 3. 소프트웨어 지원

라오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블록은 U+0E80–U+0EFF이며, 유니코드 버전 1.0에 추가되었다. U+0EDx 행의 처음 10개 문자는 라오 숫자 0부터 9까지이다.

라오 문자
0123456789ABCDEF
U+0E8x
U+0E9x
U+0EAx
U+0EBx
U+0ECx
U+0EDx
U+0EEx
U+0EFx
참고


9. 기타 언어 표기

라오 인민민주공화국 2003년 수정 헌법 제89조에 따르면, 라오 문자는 원래 라오어 표기에만 사용되었지만, 여러 소수 민족 언어를 표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7]

테라바다 불교의 의례 언어인 빨리어/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추가적인 라오 문자가 유니코드 12.0과 함께 제공된다.[18]

크무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추가적인 라오 문자도 인코딩되었다.[20][21] 이 문자는 카투어에도 적용되었으며, 타이 담과 화이트 타이 등 베트남의 타이족은 유사한 문자(타이 비엣 문자)를 사용한다.[22]

라오어의 이전 버전인 ''타이 노이 문자''는 이산이 시암에 병합되기 전에 태국 이산 지역의 라오족에 의해 사용되었다.[23] 1871년 태국 정부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고, 매우 유사한 태국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이 지역은 20세기까지 정부 캠페인과 태국 국가로의 통합(타이화)이 강요될 때까지 문화적, 정치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다.[24]

일부 소수 민족 언어는 다른 표기 체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흐몽족은 로마자 표기법을 채택하여 흐몽어를 표기한다.

10. 폐지된 자음

현재 사용하지 않는 이 라오 문자는 한때 팔리어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제거되어 자음 목록을 줄이고 태국어와 라오어 간의 철자 유사성을 감소시켰다.


아래 자음 문자는 철자 개혁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용되지 않는 문자에 대한 문자는 이후 버전의 유니코드에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알파벳 표 및 산스크리트어 및 팔리어 사용법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문자유니코드유사한 태국어 문자
PALI GHA
PALI CHA
PALI JHA
PALI NYA
PALI TTA
PALI TTHA
PALI DDA
PALI DDHA
PALI NNA
PALI DHA
PALI BHA
SANSKRIT SHA
SANSKRIT SSA
PALI LLA


참조

[1] 웹사이트 https://hal.science/[...]
[2]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 웹사이트 https://hal.science/[...]
[4] 웹사이트 Proposal to Encode Lao Characters for Pali http://www.unicode.o[...]
[5] 웹사이트 Lao Characters for Pali added to Unicode 12 https://blogs.cs.st-[...] 2023-03-01
[6] 서적 English-Lao, Lao-English Dictionary Vientiane 1999
[7] 서적 Dictionary of the Lao Language 2005
[8] 서적 Lao Language, level 1 Ministry of Education and Sports 2007
[9] 간행물 ແບບຮຽນ ພາສາລາວ ຊັ້ນປະຖົມສຶກສາ ປີທິ1 ເຫຼັ້ມ1 http://www.moes.edu.[...] 2019
[10] 문서
[11] 논문 The story of Lao r: Filling in the gaps http://www.laostudie[...] 2015
[12] 서적 Creating Laos: the making of a Lao space between Indochina and Siam, 1860–1945 Nordic Inst of Asian Studies 2008
[13]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2.0 Unicode Consortium 2019
[14] 서적 Lao-English Dictionary Catholic University Press 1972
[15] 서적 Lao-English Dictionary Dunwoody Press 1995
[16] 웹사이트 Southeast Asian Language Resource Lao Dictionary http://sealang.net/l[...]
[17] 법률 Constitution of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www.wipo.int/[...] National Assembly 2003-05-06
[18] 웹사이트 Revised Proposal to Encode Lao Characters for Pali https://www.unicode.[...] 2017
[19] 웹사이트 Lao (Pali) http://aksharamukha.[...] 2020-02-25
[20] 웹사이트 Proposal to add minority characters to Lao script http://unicode.org/L[...] 2010
[21] 논문 A Description of Kmhmu’ Lao Script-Based Orthography http://www.sealang.n[...] 2013
[22] 서적 Writing systems of MSEA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1-08-23
[23] 논문 Magical Use of Traditional Scripts in Northeastern Thai Villages 2009
[24] 논문 Evidence of the Thai Noi alphabet found in inscriptions 1992
[25] 웹사이트 Towards a comprehensive proposal for Thai Noi/Lao Buhan script https://www.unicode.[...] 2018
[26] 논문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Lao writing system and its suitability for minority language orthographies 2014
[27] 웹사이트 Survey of Language Computing in Asia http://www.panl10n.n[...]
[28] 웹사이트 Microsoft Windows help page http://msdn.microsof[...]
[29] 웹사이트 AMERILAO.org site How to "Setup Internet Explorer to read Lao font" http://www.amerilao.[...]
[30] 웹사이트 New font drives IT development in Laos http://www.aihd.mahi[...]
[31] 웹사이트 Phetsarath OT Information page http://www.phetsarat[...]
[32] 웹사이트 Vientiane Times Laos unveils first Tablet http://www.vientiane[...]
[33] 서적 라오스를 아는 60장 明石書店 2010
[34] 서적 라오스를 아는 60장 明石書店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