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즈돌나야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즈돌나야강은 중국 지린성에서 발원하여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발해 시기에는 솔빈강, 금나라 때는 소빈강, 명나라 때는 속평강으로 불렸으며, 청나라 때부터는 수분강으로 불리다가, 1972년 러시아 지명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라즈돌나야강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라즈돌나야강은 대수이펀강으로도 불리며, 지류로는 그라니트나야강, 보리소프카강, 라코프카강 등이 있으며, 이 강 유역에는 우수리스크 시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강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강 - 우수리강
    우수리강은 만주 지방을 흐르며 아무르강의 주요 지류이고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퉁구스계 민족의 활동 무대이자 여러 국가의 흥망성쇠와 관련되었으며, 현재는 동북아시아의 중요한 수자원이지만 환경 오염과 자원 개발로 위협받고 있다.
  • 헤이룽장성의 강 - 아무르강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발원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오호츠크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고,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중·러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나 수질 오염 문제도 겪고 있다.
  • 헤이룽장성의 강 - 눈강
    눈강은 다싱안링 산맥에서 발원하여 헤이룽장성과 내몽골 자치구를 흐르며 쑹화강의 주요 지류이고, 하류의 쑹눈 평원은 중국의 중요한 곡창 지대이자 목초지이며, 역사적으로 교통로 역할을 했고, 환경 문제에도 직면했으나 주요 습지들은 보호받고 있다.
  • 동해 수계 - 모가미강
    모가미강은 야마가타현을 흐르는 일본의 대표적인 강으로, 빠른 유속과 수운, 농업용수, 치수 사업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현재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하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동해 수계 - 아가노강
    아가노강은 후쿠시마현 아라카이강을 발원지로 하여 니가타현을 흐르는 하천으로, 시나노강과 함께 니가타 평야를 이루며 수력 발전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라즈돌나야강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라즈돌나야강, 수이펀강
로마자 표기Rajdolnaya gang, Suip'eon gang
중국어 간체绥芬河 (Suífēn Hé)
중국어 정체綏芬河 (Suífēn Hé)
한자수분하 (綏芬河)
러시아어Раздольная река (Razdol'naya reka)
지리
발원지중국 지린성 왕칭현 푸싱진 판링산맥 북쪽 기슭
합류 지점소수이펀강(小绥芬河)과 대수이펀강(大绥芬河)의 합류
하구러시아 동해 아무르만
위치러시아, 중국
길이242 km
발원지 해발 고도880 m
하구 해발 고도0 m
유역 면적16830 km²
평균 유량 (하구 근처)81.3 m³/s

2. 역사

이 강은 발해 때는 '''솔빈강'''(率賓水), 금나라 때는 '''소빈강'''(蘇濱水), 명나라 때는 '''속평강'''(速平水), 청나라 때부터는 지금과 같이 '''수분강'''(綏芬河)이라고 썼다. 쓰인 한자는 다르지만, 모두 각 시대에 이 강을 부르던 만주어의 발음(sufin→suifun)을 한자로 음차(音借)한 것으로 해석된다.[3] 강의 상류에는 시넬리코보 발해유적이 있다.

2. 1. 명칭의 유래

이 강은 발해 때는 '''솔빈강'''(率賓水), 금나라 때는 '''소빈강'''(蘇濱水), 명나라 때는 '''속평강'''(速平水), 청나라 때부터는 지금과 같이 '''수분강'''(綏芬河)이라고 썼다. 쓰인 한자는 다르지만, 모두 각 시대에 이 강을 부르던 만주어의 발음(sufin→suifun)을 한자로 음차(音借)한 것으로 해석된다.[3] 강의 상류에는 시넬리코보 발해유적이 있다.

'수이펀'은 만주어 단어 ᠰᡠᡳ᠌ᡶ᠋ᡠᠨ|suifunmnc으로, 송곳을 뜻하며, 이는 Oncomelania 달팽이 종의 모양을 지칭한다.[3]

러시아에서는 이 강을 원래 같은 만주어/중국어 이름(러시아어로 Суйфун (수이푼)으로 표기)으로 불렀다. 1969년 진바오다오 사건 이후인 1972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중국 기원 지명들이 대거 새로 만들어진 러시아 이름으로 대체되었고,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이펀의 러시아 부분은 '라즈돌나야'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이는 러시아어에서 "넓게 흐르는"으로 번역될 수 있다.

2. 2. 시대별 명칭 변화

발해 때는 '''솔빈강'''(率賓水), 금나라 때는 '''소빈강'''(蘇濱水), 명나라 때는 '''속평강'''(速平水), 청나라 때부터는 지금과 같이 '''수분강'''(綏芬河)이라고 썼다. 쓰인 한자는 다르지만, 모두 각 시대에 이 강을 부르던 만주어의 발음(sufin→suifun)을 한자로 음차(音借)한 것으로 해석된다.[3]

ᠰᡠᡳ᠌ᡶ᠋ᡠᠨ|suifunmnc만주어 단어로 송곳을 뜻하며, 이는 Oncomelania 달팽이 종의 모양을 지칭한다.[3]

러시아에서는 이 강을 원래 같은 만주어/중국어 이름(러시아어로 Суйфун (수이푼)으로 표기)으로 불렀다. 1969년 진바오다오 사건 이후인 1972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중국 기원 지명들이 대거 새로 만들어진 러시아 이름으로 대체되었고,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이펀의 러시아 부분은 '라즈돌나야'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이는 러시아어에서 "넓게 흐르는"으로 번역될 수 있다.

2. 3. 1972년 러시아의 지명 변경

1972년 진바오다오 사건 이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중국 기원 지명들이 대거 새로운 러시아 이름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수이펀강의 러시아 부분은 라즈돌나야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이는 러시아어로 "넓게 흐르는"으로 번역될 수 있다.[3]

3. 지리

라즈돌나야강은 우수리스크 인근의 저지대를 지나기 때문에 동해로 흘러드는 한반도와 연해주의 강들 중에서 두만강을 제외하면 가장 넓은 유역 면적을 갖고 있다.

3. 1. 발원지와 하구

라즈돌나야강은 대수이펀강(大綏芬河)이라고도 불리며, 상류는 중국 지린성 왕칭현 동부 푸싱진(復興鎮) 판링산맥(盤嶺山脈) 북쪽 기슭에서 발원해 북쪽으로 흐르다가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둥닝시(東寧市)에서는 동쪽으로 흘러 다오허진(道河鎮)에서 소수이펀강과 합류한다. 소수이펀강(小綏芬河)은 헤이룽장성 무링시 동부 흑송산(黑松山)에서 발원해 남쪽으로 흐른다. 수이펀강의 중국 내 하천 길이는 253km이고, 러시아 경내의 길이는 191km이다.

수이펀강의 발원지는 헤이룽장성의 샤오수이펀강(소수이펀강)과 다수이펀강(대수이펀강)의 합류 지점이다. 강의 하류는 러시아 영토로 들어가 한카 저지를 거쳐 아무르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강의 길이는 245km이며, 이 중 191km가 러시아에 위치한다. 유역 면적은 16830km2이다.[4]

3. 2. 하천 길이 및 유역 면적

라즈돌나야강(수이펀강)의 중국 내 하천 길이는 253km이고, 러시아 경내의 길이는 191km이다. 강의 총 길이는 245km이며, 이 중 191km가 러시아에 있다.[4] 유역 면적은 16830km2이다.[4] 동해로 흘러드는 한반도와 연해주의 강들 중에서 두만강을 제외하면 가장 넓은 유역 면적을 갖고 있다.

주요 지류로는 그라니트나야강 (99km), 보리소프카강 (86km), 코마로프카강 (76km, 주요 지류 라코프카강) 등이 있다.[5]

3. 3. 주요 지류 및 도시

라즈돌나야강의 주요 지류는 그라니트나야강(99 km), 보리소프카강(86 km), 코마로프카강(76 km, 주요 지류 라코프카강)이다.[5] 우수리스크는 1866년 라즈돌나야강과 코마로프카강(라코프카강)의 합류 지점에 건설되었다.

수이펀강의 발원지는 중국 헤이룽장성의 샤오수이펀강(소수이펀강)과 다수이펀강(대수이펀강)의 합류 지점이다. 수이펀허시는 이 강의 중국어 이름에서 따왔다.

참조

[1] 간행물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гидрограф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России и других стран — членов СНГ https://rosreestr.ru[...] Federal Service for Geodesy and Cartography of Russia 1999
[2] 백과사전 Раздольная http://bse.sci-lib.c[...]
[3] 웹사이트 ........: Suifenhe City of China :...... http://www.suifenhe.[...]
[4] GVR Река Суйфун
[5] 웹사이트 primpogoda.ru http://primpogoda.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