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 정교회는 11세기에 라트비아에 전래되었으며, 러시아 제국 시기, 독립 라트비아 시기, 소련 및 나치 독일 점령기를 거쳐왔다. 1991년 독립 회복 이후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를 복구하고 자치 교회 지위를 회복했으며, 2022년 라트비아 의회는 라트비아 정교회의 완전한 독립(자치 교회) 지위를 부여했다. 현재 라트비아에는 약 35만 명의 정교회 신자가 있으며, 교회 슬라브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정교회 - 교부
    교부는 초기 기독교 신학자들로, 정통 교리를 세우고 성스러운 삶을 살았으며 교회로부터 인정받았고, 활동 시기와 지역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이들의 사상은 교파를 초월한 기독교 공통의 사상 재산으로 여겨진다.
  • 동방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는 1세기 사도 안드레아의 전승에서 기원하여 988년 국교로 채택되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를 거쳐 소련 붕괴 후 재건되었고,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1세가 수장이며, 비잔틴 전례와 러시아 십자가를 사용하는 동방 정교회의 자치 교회이다.
  • 기독교에 관한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 기독교에 관한 -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는 1884년 매클레이 선교사의 내한으로 시작된 한국 개신교 교단으로, 일제강점기 탄압을 거쳐 1949년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존 웨슬리의 신학을 바탕으로 공교회주의를 지향하고 교육, 의료, 사회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라트비아 정교회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라트비아 정교회
로마자 표기Latvijas Pareizticīgā Baznīca
현지어 명칭Latvijas Pareizticīgā Baznīca
Rīgas un visas Latvijas metropolīts
러시아어 명칭Латвий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Митрополит Рижский и всея Латвии
약칭LOC
유형동방 정교회
소속러시아 정교회
신학동방 정교회 신학
정치 체제주교제
교회 체제코이노니아
수장 직함수좌
수좌 이름알렉산드르스 쿠드랴쇼브스
자치권 획득1921년
사용 언어라트비아어, 교회 슬라브어
전례비잔틴 전례
본부리가, 라트비아
관할 지역라트비아
독립2022년 (사실상)
분리 대상러시아 정교회
교구 수126개 (2019년)
웹사이트pravoslavie.lv
기타
리가 그리스도 탄생 대성당
리가 그리스도 탄생 대성당

2. 역사

1905년 종교의 자유가 선포되면서 약 12,000명의 라트비아인들이 정교회에서 루터교로 종파를 옮겼는데, 이는 정교회 신자와 루터교 신자가 혼인하는 데 어려움이 많고 가족 구성원이 서로 종파가 달라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라트비아의 정교회 재산은 독일군에 의해 압류되었다. 라트비아 독립 초기에는 정교회가 친러시아 세력의 중심이라는 의심을 받아 정부의 공인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21년 라트비아 태생인 야니스 포메르스가 리가 대주교로 임명되었고, 1926년 정교회는 정부의 공인을 받게 되었다. 그는 좌파를 비롯한 반대자들의 거센 공격에 맞서 교회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으며, 볼셰비키에 반대하면서도 라트비아 정교회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에 계속 있도록 하였다.

1934년, 야니스 포메르스 대주교는 소련 요원(혹은 라트비아 민족주의자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고용한 암살요원)에 의해 암살당했다는 의혹이 있다. 그는 현대 정교회에서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1936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라트비아 정교회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 자치 교회로 편입시켰다.[4] 이후 5년 간 아우구스틴 대주교의 사목 아래 라트비아 정교회는 계속 좋은 상태로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동안 정교회 성당은 단 한 곳도 신설되지 않았다.

1940년 소련라트비아를 점령하면서 라트비아 정교회의 독립은 갑작스럽게 끝이 났다. 러시아 정교회는 1941년 2월 24일 라트비아 정교회를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지역을 포함하는 총대주교구로 전환시켰고, 3월 31일에는 라트비아 정교회의 자치권을 공식적으로 폐지했다.[4] 리가와 라트비아 전체의 대주교였던 아우구스티누스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이러한 상황을 인정하는 법령에 강제로 서명해야 했다.[4]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나치 독일이 라트비아를 점령했다. 이 기간 동안 아우구스티누스 대주교는 1941년 7월 20일 라트비아 정교회의 재건을 선포했지만, 많은 본당들이 이에 합류하지 않았고 독일은 러시아 총대주교구를 지원했다.[4]

1944년 소련이 라트비아를 다시 점령하면서 아우구스티누스 대주교와 많은 라트비아 정교회 구성원들은 서독으로 망명하여 망명 시노드를 설립했다.[4] 1944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은 라트비아를 재병합하여 통치했고, 이 시기 동안 라트비아 정교회는 탄압을 받았다. 다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정교회가 소련을 지원한 덕분에 1943년부터 1948년까지, 그리고 미하일 고르바초프 통치 말기에는 탄압이 다소 완화되었다.

1978년 4월,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라트비아 정교회를 비활동 상태로 선언했다.[4]

1991년 라트비아가 독립을 회복한 이후, 라트비아 정교회는 여러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1992년 12월, 라트비아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를 복구하며 자치 교회 지위를 다시 선언했다.[19]

2001년에는 1934년 순교한 야니스 포메르스 대주교가 시성되었고,[19] 2006년에는 '거룩한 순교자 야니스 훈장'이 제정되어 정교회에 봉사한 이들의 공로를 기리고 있다.[20]

2022년 9월 9일, 라트비아 의회는 라트비아 정교회법 개정안을 채택하여 라트비아 정교회가 라트비아 외부의 어떤 교회 당국으로부터도 완전히 독립적인(자치 교회) 지위를 갖도록 하였다.[2]

오늘날 라트비아에는 약 35만 명의 정교회 신자가 있으며,[21] 주로 교회 슬라브어로 전례가 이루어진다. 라트비아어 전례는 리가, 아이나지 등 일부 성당에서 집전되고 있다.

2. 1. 초기 전래와 발전 (11세기~18세기)

라트비아에 정교회 신앙이 전해진 것은 11세기인데, 폴라츠크 교구의 선교 구역에 포함되었다. 라트비아 사람들 대부분은 13세기 독일 십자군 튜턴 기사단에게 정복당하기 전까지 이교도였다. 그렇지만 이에 앞서 비스발디스 등 라트갈레인 귀족들 일부와 일반 라트갈레인 대다수는 이미 자발적으로 정교회로 개종했다. 그 증거로 리보니아 연대기에는 당시 예르시카에 정교회 성당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많은 교회 관련 단어들이 당시 라트비아어에 유입되었다. 정교회는 라트비아가 공식적으로 튜턴 기사단령에 합병된 이후에도 러시아 상인들을 위한 차원에서 계속 존재했으나 로마 가톨릭교회나 1525년 이후 들어온 루터교와 비교했을 때 매우 작은 공동체였다.

18세기에 라트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면서 라트비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과 정교회 신자 수가 상당히 증가했으나 라트비아인들에게 있어 정교회는 여전히 생소한 종교였다.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라트비아인까지 포함하는 라트비아 정교회는 1840년대에 시작되었다. 당시 러시아 제국의 신민이었던 라트비아 원주민들이 모국어로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허가해 줄 것을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에게 청원했기 때문이다. 정교회는 라트비아어를 사용하고 발트 독일인에 의해 제한된 권리를 가진 라트비아 원주민들을 지원하려는 현지 정교회 주교들의 지원으로 인해 라트비아인들 사이에서 선교 활동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3] 1880년대에는 리가에 정교회 성탄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그러나 이는 지역의 루터교 독일 귀족들에게 항상 의심스럽게 여겨졌다. 반대로 라트비아의 루터교회의 주로 독일인 성격은 약 4만 명의 라트비아인들이 루터교에서 정교회로 개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2. 2. 러시아 제국 시기 (18세기~1917년)

18세기에 라트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면서(대부분의 라트비아는 북방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니슈타트 조약에 따라, 라트갈레 지역은 1772년 폴란드 제1분할 이후) 라트비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과 정교회 신자 수가 상당히 증가했지만, 동방 정교회는 일부 라트비아인들에게는 여전히 낯선 종교였다. 북방 전쟁 이후 처음 세워진 정교회는 리가 구시가지에 있는 알렉세예프스키 수도원이었다.

리가의 알렉세예프스키 정교회 수도원(현재 성 마리아 막달레나 가톨릭 교회)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라트비아인까지 포함하는 라트비아 정교회는 1840년대에 시작되었다. 당시 러시아 제국의 신민이었던 라트비아 원주민들이 모국어로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허가해 줄 것을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에게 청원했기 때문이다. 정교회는 라트비아어를 사용하고 발트 독일인에 의해 제한된 권리를 가진 라트비아 원주민들을 지원하려는 현지 정교회 주교들의 개인적인 호소로 인해 라트비아인들 사이에서 선교 활동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3] 1880년대에는 리가에 정교회 성탄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그러나 이는 지역의 루터교 독일 귀족들에게 항상 의심스럽게 여겨졌다. 반대로 라트비아 루터교회의 주로 독일적인 성격은 약 4만 명의 라트비아인들이 루터교에서 정교회로 개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05년 종교의 자유가 선포되었을 때, 약 1만 2천 명의 라트비아인들이 정교회에서 루터교로 개종했다.

리가 정교회 신학교 건물, 현재 리가 스트라딘슈 대학교

2. 3. 독립 라트비아 시기 (1918년~1940년)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라트비아의 정교회 재산은 독일군에 의해 압류되었다.[18] 라트비아 독립 초창기에는 정교회가 친러시아 세력의 중심이라는 의심을 받아 정부의 공인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21년 라트비아 태생인 야니스 포메르스가 리가 대주교로 임명되었고, 1926년 정교회는 정부의 공인을 받게 되었다. 그는 좌파를 비롯한 반대자들의 거센 공격에 맞서 교회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으며, 볼셰비키에 반대하면서도 라트비아 정교회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에 계속 있도록 하였다.

1921년 7월 6일, 러시아 정교회는 라트비아 정교회에 자치권(제한된 자치)을 부여했다.[4]

1934년, 야니스 포메르스 대주교는 소련 요원(혹은 라트비아 민족주의자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고용한 암살요원)에 의해 암살당했다는 의혹이 있다. 그는 현대 정교회에서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1936년 2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라트비아 정교회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 자치 교회로 편입시키고, "리가 및 라트비아 전체 대주교구"로 명명했다.[4]

2. 4. 소련 및 나치 독일 점령기 (1940년~1991년)

1940년 소련라트비아를 점령하면서 라트비아 정교회의 독립은 갑작스럽게 끝이 났다. 러시아 정교회는 1941년 2월 24일 라트비아 정교회를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지역을 포함하는 총대주교구로 전환시켰고, 3월 31일에는 라트비아 정교회의 자치권을 공식적으로 폐지했다.[4] 리가와 라트비아 전체의 대주교였던 아우구스티누스는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이러한 상황을 인정하는 법령에 강제로 서명해야 했다.[4]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나치 독일이 라트비아를 점령했다. 이 기간 동안 아우구스티누스 대주교는 1941년 7월 20일 라트비아 정교회의 재건을 선포했지만, 많은 본당들이 이에 합류하지 않았고 독일은 러시아 총대주교구를 지원했다.[4]

1944년 소련이 라트비아를 다시 점령하면서 아우구스티누스 대주교와 많은 라트비아 정교회 구성원들은 서독으로 망명하여 망명 시노드를 설립했다.[4] 1944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은 라트비아를 재병합하여 통치했고, 이 시기 동안 라트비아 정교회는 탄압을 받았다. 다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정교회가 소련을 지원한 덕분에 1943년부터 1948년까지, 그리고 미하일 고르바초프 통치 말기에는 탄압이 다소 완화되었다.

1978년 4월,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라트비아 정교회를 비활동 상태로 선언했다.[4]

2. 5. 독립 회복 이후 (1991년~현재)

1991년 라트비아가 독립을 회복한 이후, 라트비아 정교회는 여러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1992년 12월, 라트비아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를 복구하며 자치 교회 지위를 다시 선언했다.[19]

2001년에는 1934년 순교한 야니스 포메르스 대주교가 시성되었고,[19] 2006년에는 '거룩한 순교자 야니스 훈장'이 제정되어 정교회에 봉사한 이들의 공로를 기리고 있다.[20]

2022년 9월 9일, 라트비아 의회는 라트비아 정교회법 개정안을 채택하여 라트비아 정교회가 라트비아 외부의 어떤 교회 당국으로부터도 완전히 독립적인(자치 교회) 지위를 갖도록 하였다.[2] 이는 에길스 레비츠 라트비아 대통령이 "이 법안은 라트비아 정교회의 역사적 지위를 회복시킨다"고 밝히며, 1921년 모스크바 총대주교 티콘이 야니스 포메르스 대주교에게 발행한 토모스와 1926년 정교회 지위에 관한 장관 규정에 의해 설립된 교회의 독립성을 강조한 결과였다.[2]

라트비아 정교회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국가는 우리 교회의 지위를 자치적인 것으로 확립했습니다. 국가는 라트비아 정교회가 라트비아 외부에 있는 어떤 교회 중심으로부터도 법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며, 전 세계 모든 정교회와 영적으로, 기도와 전례적으로 친교를 유지한다고 규정했습니다. 지위의 변화는 정교회 신앙, 교리, 교회의 전례 생활, 달력, 성스러운 전례 언어, 의식, 전통 및 내부 교회 생활을 바꾸지 않습니다."[2]

오늘날 라트비아에는 약 35만 명의 정교회 신자가 있으며,[21] 주로 교회 슬라브어로 전례가 이루어진다. 라트비아어 전례는 리가, 아이나지 등 일부 성당에서 집전되고 있다.

3. 현재 상황

오늘날 라트비아에는 35만 명의 정교회 신자가 있다.[21] 전례 언어는 교회 슬라브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신자 대다수가 러시아어 화자이기 때문이다. 교회에서 소수인 라트비아인들을 위해 라트비아어로 전례를 집전하는 성당들은 리가, 아이나지 등에 있다.

2022년 9월 9일, 라트비아 의회는 라트비아 정교회법 개정안을 채택하여 라트비아 정교회가 라트비아 외부의 어떤 교회 당국으로부터도 완전히 독립된 지위(자치 교회)를 확보하도록 하였다.[2] 이는 라트비아 대통령 에길스 레비츠가 "이 법안은 라트비아 정교회의 역사적 지위를 회복시킨다"고 말하며 법안을 제출한 지 며칠 후에 나온 결정이다. 그는 1921년 7월 6일(율리우스력 19일) 모스크바 총대주교 티혼이 야니스 포메르스 대주교에게 발행한 토모스와 1926년 10월 8일 정교회 지위에 관한 장관 규정에 의해 설립된 교회의 독립성을 강조했다.[2]

라트비아 정교회는 국가가 교회의 지위를 자치적인 것으로 확립했으며, 라트비아 정교회가 라트비아 외부에 있는 어떤 교회 중심으로부터도 법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며, 전 세계 모든 정교회와 영적으로, 기도와 전례적으로 친교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위의 변화가 정교회 신앙, 교리, 교회의 전례 생활, 달력, 성스러운 전례 언어, 의식, 전통 및 내부 교회 생활을 바꾸지 않는다고 명확히 하였다.[2]

4. 기타 정교회 공동체

라트비아에는 여러 구교도 정교회 공동체가 있다. 리가에 있는 그레벤시치코프 기도처의 무사제파 교회는 포모르 구정교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구교도 교회로 여겨진다.[8] 라트비아 자치 정교회러시아 자치 정교회(진정교회)의 일부이며,[9][10] 라트비아에도 존재한다.[11][12][13]

참조

[1] 웹사이트 С 1992 года количество православных общин в Латвии выросло на 35% https://www.blagoves[...] 2019-10-28
[2]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of Latvia seceded from Moscow – It was a matter of national security, says the President https://orthodoxtime[...] 2022-09-10
[3] 웹사이트 Homepage of Latvian Orthodox Church. History of Holy Orthodoxy in Latvia. http://pareizticiba.[...]
[4] 서적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2009-03-01
[5] 웹사이트 Канонизация святого священномученика Иоанна Архиепископа Рижскаго и Латвийскаго (Поммера) Собором ЛПЦ http://www.pareiztic[...] 2019-02-23
[6] 웹사이트 Орден святого священномученика Иоанна архиепископа Рижского http://www.pareiztic[...] 2019-02-23
[7] 웹사이트 Na Łotwie działa ponad 1,2 tys. wspólnot religijnych http://ekai.pl/serwi[...] 2007-07-28
[8] 서적 Law and Religion in Post-Communist Europe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3
[9]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Autonomous Church - Bishops {{!}} Archbishop Victor of Daugavpils and Latvia http://www.roac-suzd[...] 2019-02-23
[10] 웹사이트 Bishops {{!}} His Eminence, The Most Reverend Archbishop VICTOR of Daugavpils and Latvia http://www.roacusa.o[...] 2019-02-23
[11] 학술지 Current Developments - The Baltic Area http://www.communica[...] 2006
[12] 학술지 Quelques chiffres sur les appartenances religieuses http://www.eurel.inf[...] 2017-05-15
[13] 학술지 2017 http://www.eurel.inf[...] 2017-10-02
[14] 일반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15] 일반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6] 일반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7] 일반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18] 웹사이트 라트비아 정교회 홈페이지 - 라트비아 정교회의 역사 http://pareizticiba.[...]
[19] 웹인용 라트비아 정교회의 공식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8-01-05
[20] 웹인용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Латвий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https://web.archive.[...] 2018-01-05
[21] 웹인용 Na Łotwie działa ponad 1,2 tys. wspólnot religijnych http://ekai.pl/serwi[...] 2007-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