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렙토수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렙토수쿠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의 강과 호수에 서식했던 멸종된 악어의 한 속이다. 큰 입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현재 4개의 종으로 추정된다. 렙토수쿠스는 루티오돈, 마케로프로소푸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종 분류 및 계통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화석은 1922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드로마에오사우루스
    후기 백악기 캄파니안절에 살았던 드로마에오사우루스는 "달리는 도마뱀"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2m 정도 크기의 육식공룡으로 날카로운 이빨과 낫 모양 발톱, 강력한 턱힘을 이용해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 외에 정확한 분류는 아직 연구 중이다.
  • 192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알라모사우루스
    알라모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만 발견되었지만 몸길이가 26~30m에 달하며, 기원에 대해서는 남아메리카 기원설과 아시아 기원설이 존재하고 백악기 대멸종 이후 생존 가능성도 논의된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파라수쿠스
    파라수쿠스는 부푼 코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멸종된 파충류로, 인도와 아시아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잡식성 악어로 추정된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돌레로사우루스
    돌레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오스트리아 지역에 살았던 기초적인 이궁류 파충류 속으로, 한때 피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에 새로운 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작은 크기와 희소한 화석으로 인해 정보가 부족하지만 잡식성으로 추정된다.
  • 악어형류 - 크리코사우루스
    크리코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긴 주둥이와 톱 모양 이빨, 염분 배설 땀샘, 유선형 몸체와 지느러미 꼬리 등 바다 생활에 적응한 특징을 가진다.
  • 악어형류 - 스테네오사우루스
    스테네오사우루스는 쥐라기 초기에 동부 대서양에 서식했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큰 두개골, 뼈의 돌기, 염분 배출 기능이 특징이며, 모식종인 'S. 로스트로마요르'가 인정되었으나 속 'Steneosaurus'는 무효명이 되었다.
렙토수쿠스
기본 정보
L. crosbiensis 두개골
L. crosbiensis 두개골
학명Leptosuchus
명명자케이스, 1922년
모식종Leptosuchus crosbiensis
모식종 명명자케이스, 1922
지질 시대후기 삼첩기, 2억 3700만 년 전 ~ 2억 850만 년 전
하위 분류
Leptosuchus crosbiensis Case, 1922
Leptosuchus studeri Case & White, 1934

2. 특징

렙토수쿠스는 매우 크게 벌어질 수 있는 큰 입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현재까지 렙토수쿠스에는 4개의 아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종은 두개골 지붕 아래 측두구 아치의 유사한 위치와 측문 과정보다 더 멀리 확장되는 스쿼모살의 후방 과정을 공유한다. 유형 종은 1922년 텍사스에서 발견된 화석을 기준으로 명명되었다.

렙토수쿠스 아다마넨시스(Leptosuchus adamanensisla)는 1930년에 처음 기술되었으며, 당시에는 애리조나주 석화숲 국립공원의 블루 메사(Blue Mesa)에서 발견된 표본들을 바탕으로 L. lithodendrorum와 L. gregorii라는 별도의 종으로 여겨졌다. 이 종들이 렙토수쿠스속에 속한다는 것은 1995년 미국 남서부의 네발동물에 관한 논문이 출판된 후에야 인정받았다. 특히 L. gregorii는 장밋빛 돌기의 독특한 크기 때문에 한때 스밀로수쿠스(Smilosuchus)라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 특징이 독립적으로 발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다시 렙토수쿠스속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렙토수쿠스 임퍼펙투스(Leptosuchus imperfectusla)는 완모식표본과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부분적인 두개골(UMMP 7523)을 기반으로 하지만, 조각난 상태로 수집되어 재조립되었고 공식적인 기술이 부족하여 노멘 누둠(nomen nudum, 잠정 학명)으로 간주된다.

렙토수쿠스는 루티오돈(Rutiodon), 마케로푸로소푸스(Machaeroprosopus)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과거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이 세 속이 실제로는 루티오돈이라는 하나의 속에 속한다고 보기도 했는데, 이는 루티오돈이라는 이름이 가장 먼저 명명되었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의 차이점은 성적 이형성, 성장 단계의 차이, 또는 개체 간의 변이로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특히 장미 빛 돌기와 콧구멍(나레)의 위치 유사성 때문에, 이전에는 북아메리카 내에서의 지리적 분포 차이(렙토수쿠스는 주로 남부, 루티오돈은 동부에서 발견됨)가 다른 속으로 분류하는 근거로 여겨지기도 했다. 다른 연구에서는 렙토수쿠스가 마케로푸로소푸스나 피토사우루스와 동의어일 수 있다고 결론 내리기도 했다. 1998년의 한 연구는 렙토수쿠스가 루티오돈과 다르다는 점을 다시 확인했지만, 이후 다른 연구에서는 루티오돈의 유형종인 R. carolinenesis가 실제로는 렙토수쿠스에 속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렙토수쿠스의 위턱과 아래턱에는 삼각형 모양의 이빨이 있으며, 이를 이용해 먹이를 씹거나 잘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식성에 대해서는 당대에 서식했던 물고기갑각류 같은 동물성 먹이와 양치식물 같은 식물성 먹이를 모두 섭취했을 잡식성 파충류로 추정된다.

3. 종 분류

렙토수쿠스 속은 모든 종에서 두개골 천장 바로 아래에 있는 측두궁의 위치가 비슷하고, 비늘뼈의 뒤쪽 돌기가 뒤통수 돌기보다 훨씬 뒤로 뻗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14]. 모식종인 ''L. crosbiensis''는 1922년 텍사스에서 발견된 표본을 바탕으로 이름 붙여졌다[15].

''L. adamanensis''는 1930년 화석의 숲 국립공원의 블루 메사 층(Blue Mesa Member)에서 나온 화석을 근거로 마카에로프로소푸스의 한 종으로 처음 기재되었고, ''L. lithodendrorum''과 ''L. gregorii'' 두 종도 마찬가지였다. 1995년 미국 남서부의 네발동물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면서 이 종들은 렙토수쿠스 속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L. gregorii''는 주둥이 볏(crest)의 크기가 뚜렷하게 달라, 스밀로수쿠스라는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14]. 다만 이 종에서 크고 완전한 볏이 독립적으로 발달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고, ''L. gregorii''를 여전히 렙토수쿠스 속으로 보는 연구도 이후 발표되었다[16]. 이후 연구에서는 ''L. gregorii'', 즉 스밀로수쿠스를 렙토수쿠스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독립된 속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우세하다[24]. 또한 ''L. adamanensis''와 ''L. lithodendrorum'' 역시 스밀로수쿠스 속으로 옮겨지면서, 현재 렙토수쿠스 속에는 모식종 ''L. crosbiensis''와 1934년에 기재된 ''L. studeri'' 두 종만 남게 되었다[24].

렙토수쿠스는 마카에로프로소푸스 및 루티오돈과 가까운 관계이며,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렙토수쿠스와 마카에로프로소푸스를 루티오돈과 같은 속(동속이명)으로 보기도 했다[17]. 이 세 속을 구분하는 특징들은 성별에 따른 차이(성적 이형), 성장 단계의 차이, 또는 개체 간의 차이로 설명되기도 했으며, 주둥이의 볏이나 콧구멍 위치 등에서는 유사점이 발견되었다[18]. 과거 북아메리카의 피토사우루스류는 주로 남부에서는 렙토수쿠스가, 동부에서는 루티오돈이 발견되는 지리적 분포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속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9]. 다른 연구에서는 렙토수쿠스를 마카에로프로소푸스 또는 피토사우루스(''Phytosaurus'')의 동속이명으로 결론짓기도 했다[20]. 1998년 연구에서는 렙토수쿠스를 다시 루티오돈과 같은 속으로 보았다[21]. 하지만 2001년 연구에서는 루티오돈의 모식종인 ''R. carolinensis''가 렙토수쿠스와 매우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앙기스트리누스의 동속이명으로 분류되었다[22].

''L. imperfecta''라는 종은 조각들을 재조립한 부분적인 두개골(UMMP 7523)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L. crosbiensis''의 모식 표본과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Long과 Murry(1995)는 이 종이 정식으로 기재되지 않았다고 보아 의문명(nomen dubium)으로 처리하고 해당 표본을 ''L. adamanensis''로 재분류했다. 반면 Camp(1930)와 Ballew(1989)는 이 표본을 ''L. crosbiensis''로 분류했다. Stocker(2010)는 이 표본이 ''L. crosbiensis''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서 둘이 같은 종일 가능성을 제기했다[23].

4. 분류

렙토수쿠스는 피토사우루스과(Phytosauridae)에 속하는 파충류의 한 속이다. 이 속의 모든 종들은 두개골 지붕 바로 아래에 위치한 측두궁(temporal arch)의 유사한 위치, 그리고 뒤통수 돌기(occipital process)보다 더 뒤쪽으로 확장된 비늘뼈(squamosal)의 후방 돌기라는 공통된 특징을 공유한다.[14]

모식종(type species)은 ''L. crosbiensis''로, 1922년 미국 텍사스에서 발견된 화석 표본을 기반으로 처음 명명되었다.[15] 처음에는 ''L. adamanensis'', ''L. lithodendrorum'', ''L. gregorii'' 등 여러 종이 렙토수쿠스 속으로 분류되었으나[14], 이후의 연구들을 통해 일부 종은 스밀로수쿠스(*Smilosuchus*)와 같은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기도 하였다.[14][16][24] 현재는 모식종 ''L. crosbiensis''와 1934년에 기재된 ''L. studeri''만이 렙토수쿠스 속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4]

렙토수쿠스는 마케로푸로소푸스(*Machaeroprosopus*) 및 루티오돈(*Rutiodon*)과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과거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이들을 모두 루티오돈 속의 동물이명(synonym)으로 간주하기도 했다.[17][18] 이러한 속들 간의 정확한 분류 관계는 학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다.[19][20][21][22] ''L. imperfecta''라는 종은 불완전한 두개골 화석(UMMP 7523)으로 알려졌으나, 정식 기재 부족 및 ''L. crosbiensis''와의 유사성 때문에 의문명(nomen dubium)으로 취급되거나 ''L. crosbiensis''의 동물이명일 가능성이 제기된다.[23]

4. 1. 계통

렙토수쿠스는 매우 크게 벌어지는 큰 입이 특징이다. 렙토수쿠스 속의 종들은 두개골 지붕 아래 측두구 아치의 유사한 위치, 측두창(lateral temporal fenestra)보다 뒤로 뻗은 인상골(squamosal)의 후방 돌기 등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 유형종(type species)인 ''Leptosuchus crosbiensis''는 1922년 텍사스에서 발견된 화석을 기준으로 명명되었다.

1930년, 미국 애리조나주의 석화된 숲 국립공원 블루 메사(Blue Mesa) 지역 화석을 바탕으로 ''L. adamanensis'', ''L. lithodendrorum'', ''L. gregorii'' 등이 처음 기술되었다. 이 종들은 1995년 미국 남서부의 사지동물군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기 전까지는 렙토수쿠스 속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L. gregorii''는 두드러진 두개골 볏(rostral crest) 크기 등 독특한 특징 때문에 별도의 속인 스밀로수쿠스(*Smilosuchus*)로 분류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L. gregorii''를 다시 렙토수쿠스 속에 포함시키며, 크고 완전한 볏은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루티오돈(*Rutiodon*), 렙토수쿠스, 마케로푸로소푸스(*Machaeroprosopus*)는 서로 매우 유사하여, 과거 일부 고생물학자들은 렙토수쿠스와 마케로푸로소푸스를 루티오돈과 같은 속으로 보기도 했다. 이 경우 가장 먼저 명명된 루티오돈이라는 속명이 우선권을 가진다. 이 세 속에서 관찰되는 형태적 차이는 성적 이형성, 성장 단계의 차이, 또는 개체 변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과거에는 두개골 볏이나 콧구멍(nares) 위치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발견 지역의 차이 때문에 다른 속으로 간주되었다. 예를 들어, 렙토수쿠스 화석은 주로 미국 남부에서, 루티오돈 화석은 동부에서 발견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렙토수쿠스가 마케로푸로소푸스피토사우루스(*Phytosaurus*)의 동물이명(synonym)이라고 결론짓기도 했다.

1998년 연구에서는 렙토수쿠스가 루티오돈과 구별되는 속임을 다시 확인했지만, 이후 다른 연구에서는 렙토수쿠스가 루티오돈의 유형종인 ''R. carolinensis''와 매우 유사하며 같은 속에 속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Leptosuchus imperfectus''라는 종은 완모식표본(holotype)과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부분적인 두개골(UMMP 7523)로 알려져 있으나, 조각난 상태로 수집되어 재조립되었고 공식적인 기재가 부족하여 로버트 A. 롱과 필립 A. 머리에 의해 의문명(nomen dubium)으로 간주되었다.

Stocker (2012)의 계통 분석에 따르면[24], 렙토수쿠스는 피토사우루스과(Phytosauridae) 내의 렙토수쿠스형류(Leptosuchomorpha)에 속한다. 이 분석에서는 ''L. adamanensis'', ''L. lithodendrorum'', ''L. gregorii''를 렙토수쿠스가 아닌 스밀로수쿠스 속으로 분류한다. 렙토수쿠스(''L. crosbiensis'', ''L. studeri'')는 스밀로수쿠스, 프라부수쿠스(*Pravusuchus*), 미스트리오수쿠스과(Mystriosuchini) 등을 포함하는 분기군의 자매 그룹으로 나타난다.

5. 생존 시기 및 서식지

렙토수쿠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 지금으로부터 약 2억 년 전부터 1억 8천만 년 전 사이에 생존했던 악어이다. 주요 서식지는 당시 북아메리카 대륙의 호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1922년 미국의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미국의 고생물학자 Ermine Cowles Case|에르민 카울스 케이스eng가 이를 연구하고 새로운 종으로 명명하였다.

6. 화석 발견

렙토수쿠스의 화석1922년 미국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미국의 고생물학자인 에르민 카울스 케이스(Ermine Cowles Case)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되었다.

참조

[1] 논문 Two new specimens of phytosaurs from the Upper Triassic of Western Texas 1934
[2] 논문 Late Triassic (Carnian and Norian) tetrapods from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1995
[3] 논문 New reptiles and stegocephalians from the Upper Triassic of western Texas?! 1922
[4] 논문 The vertebrate fauna of the Upper Triassic Chinle Formation in Northern Arizona Mesa Southwest Museum 2005
[5]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Phytosauria from the Late Triassic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lbuquerque 1989
[6] 논문 The relationships of the American phytosaur Rutiodon 1962
[7] 논문 A study of phytosaurs, with description of new material from western North America Berkeley 1930
[8] 논문 Studies of the phytosaurs Machaeroprosopus and Rutiodon 1947
[9] 논문 Global Triassic tetrapod biostratigraphy and biochronology 1998
[10] 논문 Statu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Late Triassic phytosaur Rutiodon carolinensis 2001
[11] 간행물 A new taxon of phytosaur (Archosauria: Pseudosuchia) from the Late Triassic (Norian) Sonsela Member (Chinle Formation) in Arizona, and a critical reevaluation of Leptosuchus Case, 1922 2010
[12] 서적 化石の百科事典 朝倉書店 2012-01-25
[13] 논문 Two new specimens of phytosaurs from the Upper Triassic of Western Texas 1934
[14] 논문 Late Triassic (Carnian and Norian) tetrapods from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1995
[15] 논문 New reptiles and stegocephalians from the Upper Triassic of western Texas?! 1922
[16] 논문 The vertebrate fauna of the Upper Triassic Chinle Formation in Northern Arizona Mesa Southwest Museum 2005
[17]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Phytosauria from the Late Triassic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lbuquerque 1989
[18] 논문 The relationships of the American phytosaur Rutiodon 1962
[19] 논문 A study of phytosaurs, with description of new material from western North America Berkeley 1930
[20] 논문 Studies of the phytosaurs Machaeroprosopus and Rutiodon 1947
[21] 논문 Global Triassic tetrapod biostratigraphy and biochronology 1998
[22] 논문 Statu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Late Triassic phytosaur Rutiodon carolinensis 2001
[23] 간행물 A new taxon of phytosaur (Archosauria: Pseudosuchia) from the Late Triassic (Norian) Sonsela Member (Chinle Formation) in Arizona, and a critical reevaluation of Leptosuchus Case, 1922 2010
[24] 간행물 A new phytosaur (Archosauriformes, Phytosauria) from the Lot's Wife beds (Sonsela Member) within the Chinle Formation (Upper Triassic) of Petrified Forest National Park, Arizona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