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련(連)씨는 한국과 중국에 모두 존재하는 성씨이다. 한국의 연씨는 전주 연씨 단본으로,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32명으로 조사되었다. 전주 연씨의 시조는 고려 태조 때 이등공신에 녹훈된 연주이며, 918년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웠고, 936년 일리천 전투에 참전했다. 중국의 연씨는 한족, 흉노족, 선비족, 몽골족, 만주 계통 등 7가지 계통이 있으며, 중국에서는 희소 성씨에 속한다. 대만에서는 2018년 기준 73번째로 많은 성씨로, 연전, 롄성원 등이 저명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련'''(連)은 한국인의 성씨 중 하나이다. 련(連)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32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본관은 전주 연씨 단본으로 알려져 있다. 전주 연씨의 시조는 고려 태조 때 이등공신에 오른 '''연주'''(連珠)이다.
2. 한국의 연씨
2. 1. 역사와 인물
련(連)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32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전주 연씨 단본이다.
전주 연씨(全州 連氏)의 시조는 고려 태조(太祖) 원년에 이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된 '''연주'''(連珠)이다. 연주(連珠)는 918년(고려 태조 1) 8월 고려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을 선정하여 포상할 때 견권(堅權)·능식(能寔)·권신(權愼)·염상(廉湘)·김락(金樂)·마난(麻煖)과 함께 이등공신(二等功臣)이 되어 금, 은, 그릇과 비단을 받았다. 이후 936년에는 후백제(後百濟)와의 마지막 결전이었던 일리천 전투(一利川: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에 원보(元甫)로서 대상(大相) 김철(金鐵)·홍유(洪儒)·박수경(朴守卿), 그리고 원윤(元尹) 훤량(萱良)과 함께 마군(馬軍) 1만 명을 거느리고 3군(軍) 중 우군(右軍)에 소속되어 참전하였다.
2. 2. 본관
련(連)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32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당시에는 본관이 전주 연씨 단본으로 알려져 있었다.
전주 연씨(全州 連氏)의 시조는 '''연주'''(連珠)이다. 그는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918년 고려 태조 원년에 견권(堅權), 능식(能寔) 등과 함께 이등공신(二等功臣)에 책록되었다. 또한 936년에는 후백제(後百濟)와의 마지막 전투였던 일리천(一利川, 현재 경상북도 구미) 싸움에 원보(元甫)로서 대상(大相) 김철(金鐵), 홍유(洪儒), 박수경(朴守卿) 등과 함께 마군(馬軍) 1만 명을 거느리고 우군(右軍)에 소속되어 참전하였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는 나주 연씨가 48명으로 새롭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11명은 본관이 확인되지 않았다.[3]
2. 3. 인구 통계
련(連)씨는 대한민국 통계청의 2000년 인구 조사에서 532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전주 연씨 단본이다.
연도별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
| 연도 | 인구 | 세대수 | 순위 | 비고 |
|---|---|---|---|---|
| 1930년 | 7세대 | |||
| 1960년 | 202명 | 258성 중 177위 | ||
| 1985년 | 398명 | 88세대 | 274성 중 186위 | |
| 2000년 | 532명 |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 | ||
| 2015년 | 59명[3] |
중국의 연(連)씨는 한족 계통의 주나라, 초나라, 강성과 소수민족 계통의 흉노족, 선비족, 몽골족, 만주족 등 7가지 계통이 있다고 전해진다. 중국 본토에서는 인구가 매우 적어 희소 성씨에 속한다. 2020년 중화인민공화국 통계에 따르면 인구 순위 100위 안에 들지 못했다[1]. 반면, 대만에서는 2018년 통계 기준으로 73번째로 많은 성씨이며, 총 39,918명이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2].
3. 중국의 연씨
3. 1. 저명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二〇二〇年全国姓名报告》发布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21-02-08
[2]
웹사이트
全國姓名統計分析
https://www.ris.gov.[...]
중화민국내정부
2018-10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