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데비히 판 헤이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데비히 판 헤이덴은 네덜란드와 러시아 제국 해군에서 복무한 해군 제독이다. 아홉 살에 네덜란드 해군에 입대하여 오렌지 공 빌럼 5세와 함께 망명길에 동행했으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이후 러시아 해군에 입대하여 흑해와 발트해에서 복무했으며, 1808-09년 러시아-스웨덴 전쟁에서 승리했다. 1827년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 함대를 격파하여 그리스 독립에 기여했으며, 부제독으로 진급하고 여러 훈장을 받았다. 말년에는 크론시타트와 탈린의 군정 장관을 역임했으며, 부종으로 1850년 탈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데비히 판 헤이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이름 | 로데비히 판 헤이덴 |
현지어 표기 | Lodewijk Sigismund Vincent Gustaaf van Heiden |
다른 이름 | 로긴 (로긴) 페트로비치 게이덴 |
로마자 표기 | Rogin (Login) Petrobicheu Geideun |
출생 | 1772년 9월 6일 |
출생지 | 네덜란드 공화국 주트라로렌 |
사망 | 1850년 10월 17일 |
사망지 | 탈린 |
군사 정보 | |
소속 | |
복무 기간 | 1782년 - 1850년 |
최종 계급 | 제독 |
지휘 | 발트 함대 수오멘린나 부대 러시아 지중해 함대 탈린 소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프랑스 혁명 전쟁 제2차 대프랑스 동맹 나폴레옹 전쟁 핀란드 전쟁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단치히 포위 그리스 독립 전쟁 나바리노 해전 러시아-튀르크 전쟁 (1828년-1829년) |
훈장 | |
서훈 내역 | 성 게오르기 훈장 성 블라디미르 훈장 성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하얀 독수리 훈장 성 안나 훈장 생루이 훈장 그리스도 훈장 빌럼 군사훈장 프란체스코 1세 훈장 바스 훈장 |
2. 초기 생애 및 네덜란드 해군 경력
로데비히 판 헤이덴은 네덜란드 북동부 주이드라렌에서 렌스테인과 라르워드의 영주이자 드렌터주의 드로스트였던 아버지 지기스문트 피터 알렉산더 라이히스그라프 판 헤이덴과 어머니 마리 프레데리케 프라이인 판 레데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내륙 지방인 드렌터주 출신의 유일한 네덜란드 해군 영웅이다.[2]
판 헤이덴은 덴마크 출신 해군 장교 요하네스 아케레이 대위의 딸인 안네마리 아케레이와 결혼하여, 프리드리히 모리츠와 훗날 핀란드 대공국의 총독이 된 루드비히 하인리히 지기스문트 판 헤이덴 등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2]
2. 1. 네덜란드 해군 입대
판 헤이덴은 아홉 살의 나이에 네덜란드 해군에 입대하여 16세에 해군 중위로 진급했다. 현역 복무 6년 동안 네덜란드 해외 영토를 여러 차례 항해했다. 그는 충실한 오렌지파였으며 총독 빌럼 5세가 스헤베닝겐에서 잉글랜드로 도망갈 때 동행했다. 네덜란드로 돌아온 그는 체포되어 악명 높은 헤이그의 게방겐포르트 감옥에 갇혔다. 여러 차례 가혹한 심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빌럼의 도주에 대한 어떠한 세부 사항도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는 프랑스 장군 피슈그루의 주도로 두 달 후에 풀려났다. 그 후 그는 사임하고 주이드라렌으로 돌아갔다.[1]2. 2. 오렌지파로서의 활동
그는 충실한 오렌지파였으며 총독 빌럼 5세가 스헤베닝겐에서 잉글랜드로 도망갈 때 동행했다. 네덜란드로 돌아온 그는 체포되어 악명 높은 헤이그의 게방겐포르트 감옥에 갇혔다. 여러 차례 가혹한 심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빌럼의 도주에 대한 어떠한 세부 사항도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는 프랑스 장군 피슈그루의 주도로 두 달 후에 풀려났다. 그 후 그는 사임하고 주이드라렌으로 돌아갔다.3. 러시아 해군 경력
1795년, 러시아에서 게이덴으로 알려진 판 헤이덴은 러시아 황제에게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는 불과 22세의 나이에 해군 대위-중위로 임명되었고 빠르게 진급했다. 1803년까지 흑해에서 활동했으며, 그 기간 동안 해군 2급 대위로 진급했다. 결혼 후 판 헤이덴은 당시 러시아 발트해 연안 지방 중 하나였던 에스토니아에 정착했다.[3] 그는 이 기간 동안 여러 차례 훈장을 받았다.
3. 1. 발트 함대 복무 및 스웨덴과의 전쟁
1808년, 판 헤이덴은 1급 대위로 진급했으며, 1807년 틸지트 조약 이후 나폴레옹과 동맹을 맺은 러시아의 스웨덴과의 1808-09년 전쟁에서 비보르의 러시아 함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산되스트룀 해전에서 표트르 도트 중령과 함께 스웨덴 갤리 함대를 격파했다.[3] 스웨덴 함대는 올란드 제도로 후퇴한 반면, 스웨덴과 영국의 공해 함대는 발트해를 계속 통제했다. 그 후, 판 헤이덴은 핀란드 대공국의 함대 사령관이 되었다.[3]단치히 포위전 (1813년) 이후, 판 헤이덴은 준장으로 진급했다.[4]
4. 그리스 독립 전쟁 참전
1826년, 판 헤이덴은 지중해 주둔 러시아 함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나바리노 해전에서 투르크군에 맞서 승리했다. 이 공로로 부제독으로 진급하고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그리스인들에게 구원자로 여겨졌다.[1]
4. 1. 나바리노 해전
1826년, 판 헤이덴은 지중해 주둔 러시아 함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부관은 미하일 라자레프였다.) 1827년 10월 27일, 그는 그리스 독립 전쟁 중 투르키예군을 상대로 벌어진 나바리노 해전에서 러시아 함대의 지휘관이었다. 이 해전은 전쟁의 가장 중요한 해전 중 하나였다. 이 해전은 투르키예-이집트 함대의 패배와 나바리노 요새의 강력한 포대의 파괴로 끝났다. 판 헤이덴은 그가 서 있던 함교가 포탄에 의해 산산조각 났을 때 가까스로 죽음을 면했다. 이 승리는 부제독으로의 진급과 여러 훈장을 의미했다. 그의 국제적 명성은 높아졌다. 그리스인들은 그를 투르크인으로부터의 구원자로 여겼다. 아테네에서는 빅토리아 광장으로 가는 도로 중 하나가 판 헤이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그의 동상이 있으며, 1927년에는 그의 초상화가 그리스 우표에 실렸다.5. 말년
판 헤이덴은 명성이 절정에 달하고 모든 사람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수많은 유럽 훈장을 받았다. 그는 황제에 의해 군정 장관으로 소환되었는데, 이는 크론시타트(핀란드만의 코틀린 섬, 에스토니아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사이에 위치)와 레발(Reval, 현재 에스토니아의 수도인 탈린, 당시에는 에스토니아 현의 수도)을 다스리는 직책이었다. 주민들은 그를 사랑했고, 그리스인들처럼 그를 바바(아버지)라고 불렀다.
1832년, 판 헤이덴은 마지막으로 네덜란드로 돌아왔다. 그는 빌럼 1세의 환영을 받았고, 국왕은 그에게 여러 주요 도시와 그의 고향인 자위들라렌을 방문할 수 있도록 장갑 증기선을 빌려주었다. 의장대는 그를 시청까지 호위했으며, 라르보우드에서 대규모 연회가 열렸다. 그는 그 영지에서 얼마 동안 머물렀지만,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움츠러들었다. 그는 자위들라르더메르 호수를 항해하기 위해서만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신세계로 떠났지만 실망하여 결국 에스토니아로 돌아왔다. 탈린으로 돌아온 그는 부종으로 병들어 1850년, 77세의 나이로 그곳에서 사망했다. 자위들라렌에 묻히고 싶어 했던 그의 소원과는 달리, 판 헤이덴은 현재는 파괴된 탈린의 코플리 묘지에 묻혔다.
6. 가족 관계
로데비히 판 헤이덴은 덴마크 출신 해군 장교 요하네스 아케레이 대위의 딸 안네마리 아케레이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아들 중에는 프리드리히 모리츠와 훗날 핀란드 대공국의 총독이 된 루드비히 하인리히 지기스문트 판 헤이덴이 있었다.[2]
7. 서훈
로데비히 판 헤이덴은 러시아와 유럽 각국으로부터 수많은 훈장을 받았다.[1]
훈장 | 수여 일자 |
---|---|
Орден Святого Александра Невского|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ru (다이아몬드 장식) | |
Орден Святого Георгия|성 게오르기 훈장ru 3등급 | 1827년 11월 9일 |
Орден Святого Георгия|성 게오르기 훈장ru 4등급 | 1821년 6월 6일 |
Орден Святого Владимира|성 블라디미르 훈장ru 1등급 | |
Орден Белого орла|백색 독수리 훈장ru | |
Order of the Bath|바스 훈장영어 명예 기사 사령관 | |
Militaire Willems-Orde|빌렘 군사 훈장nl 사령관 | 1832년 8월 26일 |
Орден Святой Анны|성 안나 훈장ru 1등급 | |
Ordine reale di Francesco I|프란치스코 1세 왕립 훈장it 대십자 기사 | |
Τάγμα του Σωτήρος|구세주 훈장el (그리스) 대십자 | |
Svärdsorden|검 훈장sv (스웨덴) 사령관 대십자 | |
무용 금검 |
7. 1. 러시아 제국

훈장 | 수여 일자 |
---|---|
Орден Святого Александра Невского|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ru (다이아몬드 장식) | |
Орден Святого Георгия|성 게오르기 훈장ru 3등급 | 1827년 11월 9일 |
Орден Святого Георгия|성 게오르기 훈장ru 4등급 | 1821년 6월 6일 |
Орден Святого Владимира|성 블라디미르 훈장ru 1등급 | |
Орден Белого орла|백색 독수리 훈장ru | |
Order of the Bath|바스 훈장영어 명예 기사 사령관 | |
Militaire Willems-Orde|빌렘 군사 훈장nl 사령관 | 1832년 8월 26일 |
Орден Святой Анны|성 안나 훈장ru 1등급 | |
Ordine reale di Francesco I|프란치스코 1세 왕립 훈장it 대십자 기사 | |
Τάγμα του Σωτήρος|구세주 훈장el (그리스) 대십자 | |
Svärdsorden|검 훈장sv (스웨덴) 사령관 대십자 | |
무용 금검 |
7. 2. 그 외 국가
Александр Невский|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ru (다이아몬드 장식)Орден Святого Георгия|성 게오르기 훈장ru 3등급 (1827년 11월 9일), 4등급 (1821년 6월 6일)
Орден Святого Владимира|성 블라디미르 훈장ru 1등급
Орден Белого орла|백색 독수리 훈장ru
Order of the Bath|바스 훈장영어 명예 기사 사령관
Militaire Willems-Orde|빌렘 군사 훈장nl 사령관 (1832년 8월 26일)
Орден Святой Анны|성 안나 훈장ru 1등급
Ordine reale di Francesco I|프란치스코 1세 왕립 훈장it 대십자 기사
Τάγμα του Σωτήρος|구세주 훈장el (그리스) 대십자
Svärdsorden|검 훈장sv (스웨덴) 사령관 대십자
Золотое оружие «За храбрость»|무용 금검ru
참조
[1]
문서
[2]
간행물
Genealogisches Handbuch der baltischen Ritterschaften Teil 2,3: Estland
https://web.archive.[...]
Görlitz
1930
[3]
서적
Heiden, Lodewijk Sigismund Vincent Gustaaf graaf van
http://www.dbnl.org/[...]
1921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