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데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데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의 딸이자 태양신 헬리오스의 손녀이다. 이아손과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으나, 코린토스에서 이아손에게 버림받고 복수를 위해 자신의 자녀를 살해한다. 그녀는 마법 능력이 뛰어나 헤카테 여신에게 약초와 마법을 배웠으며, 이아손을 돕기 위해 황금 양털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마법을 사용했다. 메데이아는 다양한 문학 작품, 영화, 오페라, 연극, 미술 작품 등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복수와 여성의 지위, 모성애 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메데이아는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의 딸로, 아버지 쪽으로는 태양신 헬리오스(티탄 히페리온의 아들)의 직계 후손이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헬리오스와 오케아니스 페르세이스 사이에서 키르케와 아이에테스가 태어났다.[5] 아이에테스는 오케아니스 이디아와 결혼하여 메데이아를 낳았다.
메데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이아손이 황금 양털을 찾아 콜키스로 왔을 때 처음 등장한다. 헤라는 아프로디테나 에로스를 시켜 메데이아가 이아손과 사랑에 빠지도록 만들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에게 자신과 결혼할 것을 조건으로 그를 돕겠다고 약속했고, 이아손은 이에 동의했다.[108]
메데이아는 마법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혈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 메데이아는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의 딸로, 아버지 쪽으로는 태양신 헬리오스의 직계 후손이다.[101] 헬리오스는 티탄 히페리온의 아들이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헬리오스와 오케아니스 페르세 사이에서 키르케와 아이에테스가 태어났다.[101] 아이에테스는 오케아니스 이디아와 결혼하여 메데이아를 낳았다.
메데이아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고 평가되는 복잡한 인물이다.
2. 계보 및 신성
메데이아의 가계도는 다소 복잡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 설에 따르면, 아이에테스와 이디아는 메데이아와 칼키오페 두 딸만 낳았고, 압시르토스는 아이에테스와 아스테로데아 사이에서 태어난 이복 형제였다. 다른 설에 따르면, 이디아가 메데이아와 압시르토스를 낳았고, 아스테로데아가 칼키오페를 낳았다.
성장한 메데이아는 이아손과 결혼하여 여러 명의 자녀를 낳았는데, 자녀의 수와 이름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메데이아》에서는 이름 없는 두 아들을 언급하지만,[6] 다른 자료에서는 2명에서 14명까지 다양하게 언급된다. 메르메로스, 페레스 또는 테살로스, 알키메네스, 티산드로스 등이 자녀로 언급되기도 하고, 7명의 아들과 7명의 딸을 낳았다는 설도 있으며, 메두스(폴릭세누스라고도 함)와 에리오피스 두 자녀만 언급되거나, 아르고스라는 한 아들만 언급되기도 한다.[7]
메데이아는 코린토스에서 이아손과 헤어진 후 아테네의 왕 아이게우스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 이 아들이 메디아인의 조상이 되는 메데우스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메데이아의 신성은 그의 계보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아르고나우티카》와 같은 일부 자료에서는 그를 그리스 신 헤라와 아프로디테의 영향을 받는 필멸의 여성으로 묘사하지만,[8] 마법 능력을 지닌 신성한 혈통의 존재로 그려진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는 메데이아와 이아손의 결혼을 필멸자와 신의 결합으로 묘사하여 그가 주로 신성을 가졌음을 암시한다.[9] 메데이아는 마법의 여신 헤카테와도 관련이 있는데,[10] 이는 그의 마법 능력의 주요 원천 중 하나일 수 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역사 도서관》에서 콜키스의 페르세스를 헤카테의 아버지로, 아이에테스를 헤카테의 남편이자 메데이아와 키르케의 아버지로 설정하기도 했다.[11]
헤시오도스는 메데이아를 '눈부신 소녀'라고 불렀으며,[59]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메데이아나 키르케가 헬리오스의 자손임을 증명하는 황금색 광채를 발하는 빛나는 눈동자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60][61][62][63] 메데이아는 헤카테 신전의 무녀였으며,[63][64] 헤카테의 마술에 능했다. 그 이름은 "사려 깊고, 통치하는 여성"을 의미하며, 본래는 코린토스에서 숭배받던 주 여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5]
3. 신화 속 이야기
이아손은 아이에테스에게 황금 양털을 받는 대가로 몇 가지 과제를 수행해야 했다. 첫 번째는 불을 뿜는 황소들을 멍에 씌워 밭을 가는 것이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에게 연고를 주어 자신과 무기를 보호하게 했다. 다음으로 이아손은 용의 이빨을 심어야 했는데, 메데이아는 여기에서 병사들이 솟아날 것이라고 경고하고 돌을 던져 혼란시키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마지막 과제는 양털을 지키는 잠들지 않는 용과의 싸움이었다. 메데이아는 마취 약초로 용을 잠들게 하여 이아손이 양털을 얻도록 도왔다. 이아손은 메데이아와 함께 배를 타고 떠났고, 도망치는 과정에서 메데이아는 자신의 오빠 압시르토스를 죽여 아버지의 추격을 늦췄다.[108]
이후 메데이아는 이아손의 배 아르고호가 리비아를 다스리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고, 이는 바투스를 통해 실현되었다.[110] 크레타에서는 청동 인간 탈로스를 만났는데, 메데이아는 약물, 속임수, 혹은 포이아스의 화살을 이용하여 탈로스를 제거했다.[111] 테살리아에서 메데이아와 네레이스 테티스는 아름다움을 겨루었고, 이도메네우스의 심판에서 패배한 메데이아는 크레타인들을 저주했다.[113]
이아손의 아버지 아이손이 늙어 축하연에 참여할 수 없자, 메데이아는 약초를 사용하여 그를 젊어지게 했다.[114] 펠리아스 왕의 딸들도 아버지에게 같은 일을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메데이아는 펠리아스를 죽이기 위해 늙은 양을 젊은 양으로 바꾸는 마법을 보여준 후 딸들이 직접 아버지를 죽이도록 유도했다.[115] 이후 이아손과 메데이아는 코린토스로 도망쳤다.
코린토스에서 메데이아는 데메테르와 님프에게 제물을 바쳐 기근을 종식시켰고, 제우스의 구애를 거절하여 헤라로부터 자녀들을 불멸로 만들어 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다.[117] 그러나 이아손은 메데이아를 버리고 글라우케와 결혼하려 했고, 메데이아는 복수를 위해 글라우케와 크레온 왕을 독살하고 자신의 두 자녀를 살해한 뒤, 헬리오스가 보낸 전차를 타고 아테나이로 도망쳤다.[121]
아테네에서 메데이아는 아이게우스와 결혼하여 메도스를 낳았지만, 테세우스를 독살하려다 실패하고 추방되었다.[49][93] 콜키스로 돌아간 메데이아는 페르세스를 죽이고 아버지 아이에테스를 다시 왕위에 앉혔다.[10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메데이아와 메도스는 이란고원에 정착하여 아리아인들이 메디아인으로 이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100]
3. 1. 이아손과의 만남과 황금 양털 획득
메데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이아손이 황금 양털을 되찾아 자신의 유산과 왕위를 주장하기 위해 이올코스에서 콜키스로 왔을 때 처음 등장한다. 현존하는 가장 완전한 기록인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따르면, 헤라가 아프로디테 또는 에로스를 설득하여 메데이아에게 마법을 걸어 이아손과 사랑에 빠지게 하고 그를 돕게 했다.[84] 메데이아는 이아손이 자신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그를 돕기로 약속했고, 이아손은 메데이아의 능력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을 알고 동의했다.
핀다로스에 따르면, 아프로디테는 수레바퀴에 오색방울새를 묶은 주술 도구 이윤크스를 만들어, 주문과 함께 이아손에게 주었다. 이아손은 이 주술을 사용하여 메데이아를 동료로 끌어들였다.[83]
아이에테스는 이아손에게 황금 양털을 약속했지만, 일련의 과제를 완수해야만 했다. 첫 번째 과제는 이아손이 불을 내뿜는 황소들에 멍에를 씌워 밭을 가는 것이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에게 연고를 주어 자신과 무기에 바르게 하여 황소들의 화염 숨결로부터 보호하게 했다. 밭을 간 후, 이아손은 용의 이빨을 뿌려야 했다. 메데이아는 이빨에서 병사들이 솟아날 것이라고 경고하고, 군중 속에 돌을 던져 병사들 사이에 혼란을 일으키라고 조언했다. 혼란에 빠진 병사들은 서로를 공격하여 죽였다. 마지막 과제로, 아이에테스는 이아손에게 양털을 지키는 잠들지 않는 용과 싸우라고 명령했다. 메데이아는 마취 약초로 용을 잠들게 하여 이아손을 도왔다. 용이 잠들자 이아손은 양털을 가지고 메데이아와 함께 배를 타고 떠났다.
도망치는 동안 메데이아는 자신의 오빠 압시르토스를 죽여 아버지의 주의를 분산시켰다.[12]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함께 데려온 어린 남동생 압시르토스를 죽여 시체를 바다에 흩뿌리고, 추격대가 이것을 줍는 동안 탈출했다.[45]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에 따르면, 압시르토스는 이미 성인이었고 함대를 이끌고 아르고나우테스를 추적했다. 메데이아는 황금 양모를 되찾을 셈이라고 거짓으로 전갈을 보내고, 압시르토스를 작은 섬으로 유인하여 숨어 있던 이아손이 그를 죽였다.[85] 메데이아는 친족 살해의 죄를 정화하기 위해 아이아이에 섬을 방문하여 키르케에게 정화받았다.[45]
알키노오스 왕이 통치하는 코르키라 섬에 도착했을 때, 콜키스 인의 추격대가 섬에 와서 메데이아의 인도를 요구했다. 알키노오스는 "만약 메데이아가 처녀인 채였다면 아이에테스에게 돌려보내겠지만, 이아손과 부부의 언약을 맺은 후라면 부부를 떼어놓는 판결은 내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레테는 아르고호에게 왕의 판단을 알렸고, 그들은 마크리스의 성스러운 동굴에서 혼례를 올렸다. 오르페우스는 혼례 축가를 불렀고, 메데이아는 이아손과 부부의 언약을 맺었다.[86]
크레테 섬에서는 타로스와 조우했는데, 메데이아는 주문을 외워 타로스에게 환영을 보여주었다. 타로스는 바위를 떨어뜨리고 발꿈치의 혈관을 다쳐 이코르가 흘러나와 죽었다.[87] 메데이아가 약으로 미치게 만들었다거나, 불사로 만들어주겠다고 약속하여 타로스를 속여 혈관을 막는 못을 뽑아 죽였다는 설도 있다.[88] 이러한 모험을 거쳐 메데이아는 이아손의 조국 이올코스에 도착했다.
3. 2. 코린토스에서의 비극
코린토스에서 이아손은 메데이아를 버리고 왕의 딸 글라우케와 결혼하려 했다. 기원전 5세기 이전에는 이 신화의 결말에 두 가지 변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단편 서사시 《코린티아카》의 저자로 알려진 시인 에우멜로스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실수로 자신의 자녀들을 죽였다.[118] 그는 자녀들을 불멸로 만들 수 있다고 믿고 헤라 신전에 산 채로 묻었다.[119] 그러나 시인 크레오필로스는 그들의 살해를 코린토스 시민들의 탓으로 돌렸다.[120]
에우리피데스의 판본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독이 묻은 옷과 황금 관을 글라우케에게 보내 복수했다.[121] 이로 인해 공주와 그를 구하러 간 크레온 왕 모두 죽음을 맞았다. 메데이아는 계속해서 복수를 이어가 자신의 두 자녀를 직접 살해하고 이아손이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게 했다. 그 후 그는 코린토스를 떠나 할아버지인 태양신 헬리오스가 보낸 용들이 끄는 황금 전차를 타고 아테나이로 날아갔다.
에우리피데스의 희곡에서 이아손이 메데이아를 신과 인간에게 가장 증오스러운 존재라고 부르지만, 헬리오스가 그에게 전차를 준 사실은 신들이 메데이아의 편에 서있음을 나타낸다. 베르나르 녹스가 지적했듯이, 메데이아의 마지막 장면은 에우리피데스의 다른 희곡에 등장하는 명백히 신적인 존재들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러한 신들처럼 메데이아는 "아래 수준의 인간의 폭력적 행동을 중단시키고" "무시와 조롱을 당했다는 이유로 자신의 잔인한 복수를 정당화"하며 "죽은 자들의 매장에 대한 조치와 명령을 내리고, 미래를 예언하며" "제의의 설립을 선언한다."[122]
메데이아가 의도적으로 자녀를 살해하는 이 판본은 에우리피데스의 창작으로 보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네오프론이 이 새로운 전통을 만들었다고 믿는다.[123] 그의 자식 살해는 이후 작가들에게 표준이 되었다.[124] 파우사니아스는 기원후 2세기 후반에 코린토스를 여행하며 그들의 기념비를 보았다고 전하면서 메데이아의 자녀들에게 일어난 일에 대한 다섯 가지 다른 판본을 기록했다.[125]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이아손과 메데이아는 코린토스에서 행복하게 살았지만, 코린토스의 왕 크레온의 딸 글라우케와 결혼하기 위해 이아손은 메데이아와 이혼했다. 격노한 메데이아는 결혼을 맹세한 신들에게 이아손의 배은망덕을 질책하고, 글라우케에게 독을 바른 페플로스[49](혹은 마법의 약으로 만든 황금 관[51])을 선물했고, 그것을 입은 글라우케는 불길에 휩싸여 도우려던 크레온 왕과 함께 왕궁도 잿더미가 되었다. 게다가 메데이아는 두 아들 메르메로스와 페레스를 살해하고[49][51], 헬리오스에게 받은 날개 달린 용의 전차를 타고 아테네로 도망쳤다.[49]
이 복수극은 후대의 에우리피데스에 의한 각색이라고도 한다.[89] 이아손과 메데이아 사이에는 7명의 아들과 7명의 딸이 있었지만, 메데이아가 아닌 글라우케와 크레온의 살해에 분노한 코린토스인들이 그들을 모두 붙잡아 돌을 던져 죽였다는 것이다.
또한, 복수극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코린토스는 원래 메데이아의 아버지 아이에테스의 출신지였고, 아이에테스가 국정을 맡은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코린토스인들은 왕통이 끊어진 후에 메데이아를 맞이했다.[90] 그러나 메데이아는 아이들을 불멸로 만들려고 헤라 신전에 숨겼지만, 그 사실을 알게 된 이아손은 코린토스를 떠났고, 메데이아도 코린토스를 시시포스에게 넘겨주고 떠났다고 한다.[91]
3. 3. 아테네에서의 삶과 이후 행적
메데이아는 코린토스를 떠나 처음에는 테바이의 헤라클레스에게 의지했다. 헤라클레스는 이아손의 불성실함을 비난하며, 광기를 치료해 주면 숨겨주겠다고 약속했다. 메데이아는 약초로 헤라클레스를 치료했지만, 에우리스테우스가 헤라클레스에게 다른 과업을 강요하여 결국 그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92]
그 후 메데이아는 아테네를 방문하여 아이게우스 왕과 결혼했다. 그러나 왕궁에 온 테세우스를 위험하게 여겨 제거하려 했다. 아이게우스에게 테세우스를 조심하라고 말했고, 아이게우스는 메데이아의 말을 믿고 테세우스를 마라톤의 황소 퇴치에 보냈다. 테세우스가 무사히 돌아오자 메데이아는 독살을 시도했지만, 아이게우스가 테세우스가 헌상한 검을 보고 자신의 아들임을 깨달아 실패했다. 결국 메데이아는 아들 메도스와 함께 아테네에서 추방되었다.[49][93]
테살리아 지방에 잠시 머물면서 여신 테티스와 아름다움을 겨뤘으나, 이도메네우스의 심판에서 패했다는 이야기가 있다.[94]
콜키스에서 아버지 아이에테스가 백부 페르세스에게 왕위를 빼앗겼다는 소식을 듣고, 메데이아는 메도스를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가[49][54] 페르세스를 죽이고 아이에테스를 다시 왕위에 앉혔다. 아들 메도스는 후에 주변 여러 나라를 정복하여 메디아를 건국했다.[49]
일설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아르테미스의 무녀라고 속이고 페르세스의 나라를 방문했다. 크레온의 아들 히포테스가 투옥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그가 자신을 죽이러 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끌려온 메도스를 보고 자신의 아들임을 알아차리고, 메도스에게 페르세스를 죽이라고 명령했다. 메도스가 페르세스를 죽이고 왕권을 빼앗자, 메데이아는 그 땅을 자신의 이름을 따서 메디아라고 이름 지었다. 헤로도토스도 메디아인들이 아테네에서 도망친 메데이아의 이름을 따서 메디아 왕국이라고 명명했다고 주장했다고 말했다.[95]
결국 메데이아는 불멸의 존재가 되어 엘리시온의 들판을 다스렸다고 한다. 아킬레우스는 죽은 후 헬레네와 결혼했다는 전설이 있지만, 상대는 헬레네가 아니라 메데이아라는 설도 있다.[96]
4. 마법 능력
메데이아의 가계도는 다소 복잡한데, 일부 설에 따르면 아이에테스와 이디아는 메데이아와 칼키오페 두 딸만 낳았고, 압시르토스는 아이에테스가 다른 여인에게서 얻은 아들이라고 한다. 다른 설에서는 이디아가 메데이아와 압시르토스를 모두 낳았다고 한다.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여신 헤카테에게서 마법 약초와 그 사용법을 배웠다.[66] 메데이아가 사용하는 마법은 불길을 누그러뜨리고, 강의 흐름을 막으며, 별과 달의 운행을 방해할 정도였다.[66] 또한, 메데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를 지상으로 끌어내려 밤하늘에서 달빛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었다.[67] 명부의 주민을 불러내거나 환영을 보여주는 것 역시 가능했다.[68]
메데이아의 약초 지식 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프로메테이온'이라는 약초이다. 이 약초는 코카서스 산맥에 묶인 프로메테우스의 이코르에서 태어난 것으로,[74] 이 약초로 만든 마법약을 몸이나 무기에 바르면 하루 동안 칼날이나 불로부터 보호받고 무쌍의 힘을 얻을 수 있었다.[75]
메데이아는 잠의 마법에도 능숙했다.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메데이아가 황금 양털을 지키는 용을 잠재우기 위해 힙노스에게 도움을 청하고, 헤카테에게 가호를 빌었다고 전한다. 메데이아는 노간주나무 가지를 약초 즙에 적셔 용의 눈에 뿌려 잠재웠다.[78]
메데이아의 가장 유명한 마법은 노인을 젊어지게 하는 마법이다.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만월의 밤에 여러 신들에게 기도를 올리고 각 지방에서 채취한 약초를 사용하여 마법약을 만들었다. 이 약을 노인의 목이나 상처에 흘려 넣으면 순식간에 젊어진다고 한다.[79] 아폴로도로스는 메데이아가 노인의 몸을 찢어 약초와 함께 가마솥에 삶아 젊어지게 했다고도 전한다.[80]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이아손은 메데이아에게 아버지 아이손을 젊어지게 해달라고 부탁했고, 메데이아는 마법으로 아이손을 젊어지게 했다.[79]
5. 다양한 해석과 평가
주요 사건:
사건 | 내용 |
---|---|
압시르토스 살해 | 메데이아는 동생 압시르토스를 살해하고, 이아손과 함께 키르케의 섬에서 죄를 사면받는다. |
펠리아스 살해 | 테살리아로 돌아온 후, 메데이아는 펠리아스의 딸들을 속여 아버지를 죽이게 한다. |
코린토스 사건 | 코린토스에서 이아손은 글라우케와 결혼하고, 메데이아는 복수심에 불타 글라우케와 크레온 왕을 독살한다. |
자녀 살해 | 메데이아는 이아손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들을 살해하고, 헬리오스가 보낸 전차를 타고 도망친다. |
아이게우스와의 결혼 | 메데이아는 아이게우스 왕과 결혼하여 메도스를 낳지만, 테세우스의 등장으로 인해 다시 도망친다. |
- 심리학적 해석: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그의 저서 《행복 가설》에서 메데이아가 이아손에 대한 사랑과 아버지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분열된 자아"와 이드와 초자아 사이의 갈등의 예로 설명한다.[40] 메데이아는 이성적으로는 옳은 길을 알면서도, 강렬한 감정과 욕망에 이끌려 잘못된 길을 따르는 인간의 내적 갈등을 보여준다.
- 연극적 해석: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메데이아》에서 메데이아는 남편에게 버림받고 복수를 갈망하는 상처받은 여성으로 묘사된다. 데보라 보데커는 에우리피데스가 사용한 다양한 이미지와 상징성(자연의 힘, 동물과의 비교, 항해 관련 언급)을 통해 메데이아의 강력한 힘, 동물적 본능, 그리고 이아손과의 관계를 강조한다고 분석한다.[34]
- 성(性) 역할 분석: 엠마 그리피스는 에우리피데스가 만든 남성/여성 이분법을 통해 메데이아의 성격을 분석한다.[10] 메데이아는 뛰어난 지능과 기술을 가진, 전형적인 남성적 특징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지만, 동시에 자신의 지능을 이용하여 남성을 조종하는 부정적인 여성적 특징도 보여준다. 또한, 모성애와 자녀 살해라는 상반된 모습을 통해 복잡한 성격을 드러낸다.
- 아폴로니우스의 묘사: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는 《아르고나우티카》에서 메데이아를 이아손을 간절히 사랑하는 젊은 여성으로 묘사한다. 그녀는 이아손을 돕기 위해 아버지에게 반항하고 오빠를 죽이는 선택을 한다. 제임스 J. 클라우스는 이 작품에서 메데이아가 겪는 사랑, 수치심, 그리고 이아손을 돕겠다는 결심 등의 감정 변화를 분석한다.[36]
- 조력자 처녀: 여러 학자들은 메데이아가 이아손의 탐험을 돕는 "조력자 처녀"의 역할을 한다고 논의한다. 이 역할에서 메데이아는 이야기의 중심보다는 조력 역할로 축소되며, 그녀의 주요 목적은 영웅의 탐험을 돕는 것이다.
6. 메데이아를 소재로 한 작품
- 헤시오도스, 『신통기』 1000-2
- 헤로도토스, 『역사』 I.2 및 VII.62i
- 핀다로스, 피티오스 송가 IV
- 네오프론, 『메데이아』 (단편)
- 에우리피데스, 『메데이아』
- 아폴로니오스 로디오스, 『아르고호 이야기』
- 플라우투스, 『푸세울루스』 869–871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역사총서』
- 오비디우스[41]
:: 『헤로이데스 서신』 XII
:: 『변신 이야기』 VII, 1–450
:: 『트리스티아』 iii.9
- 세네카, 『메데이아』 (비극)
- 히기누스, 『파불라에』 21–26
-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아르고나우티카』 (서사시)
고대 그리스 3대 비극 시인 중 한 명인 에우리피데스의 희곡으로, 코린토스를 무대로 남편 이아손에게 이혼당하고 추방당한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의 새 신부와 그 아버지인 왕, 그리고 자신의 두 아들을 살해하고 코린토스를 떠나는 내용이다.
7. 관련 항목
- 아폴로도로스, ''비블리오테카''
-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 녹스, B.M.W., ''단어와 행동: 고대 극장에 관한 에세이''
- 스미스, 윌리엄, ''그리스 로마 전기 및 신화 사전''
- 메데이아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 메데이아 (1969년 영화)
- 메데이아 (1988년 영화)
참조
[1]
서적
Who's who in Classical Mythology
https://books.google[...]
Gramercy Books
2003
[2]
문서
Theogony
[3]
문서
Argonautica
https://archive.org/[...]
[4]
문서
Histories
[5]
문서
Theogony
[6]
문서
Medea
[7]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By various writers. Ed. by William Smith. Illustrated by numerous engravings on wood.
http://name.umdl.umi[...]
2005
[8]
웹사이트
The Argonautica
https://www.gutenber[...]
2021-11-12
[9]
웹사이트
Hesiod, Theogony
https://chs.harvard.[...]
2021-11-12
[10]
서적
Medea
Routledge
[11]
문서
Historic Library
https://topostext.or[...]
[12]
문서
Absyrtus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1849
[13]
서적
Jason and the Argonauts
Penguin Classics
[14]
문서
Medea
[15]
문서
P.
[16]
서적
Apollodorus I
http://dx.doi.org/10[...]
[17]
문서
Argonautica
[18]
문서
New History
https://topostext.or[...]
[19]
웹사이트
Lives of the Necromancers
https://archive.org/[...]
[20]
서적
Medea
[21]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Vol 2
http://quod.lib.umic[...]
2016-12-06
[22]
문서
Scholia
https://scaife.perse[...]
[23]
문서
[24]
저널
A New Musical Papyrus: Carcinus, Medea
2007
[25]
문서
Medea
[26]
문서
Medea
[27]
서적
Word and Action: Essays on the Ancient Theat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28]
문서
[29]
문서
Fabulae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Theogony
[33]
저널
Desire and Deception in Medea
[34]
서적
Medea: Essays on Medea in Myth, Literature, Philosophy, and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서적
Medea: Essays on Medea in Myth, Literature, Philosophy, and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서적
Medea: Essays on Medea in Myth, Literature, Philosophy, and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문서
Medea at a Shifting Distance: Images and Euripidean tragedy
[38]
서적
Corinth
[39]
문서
Medea as foundation heroine
[40]
서적
The happiness hypothesis : finding modern truth in ancient wisdom
https://www.worldcat[...]
2006
[41]
문서
Medea
[42]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
[64]
서적
[65]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시케리아의 디오도로스, 4권 52・2
[72]
서적
히ュギーヌス, 24화
[73]
서적
시케리아의 디오도로스, 4권 50・6
[74]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3권 851행-853행
[75]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3권 844행-850행
[76]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3권 1029행-1050행
[77]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3권 1194행-1264행
[78]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4권 145행-164행
[79]
서적
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 7권
[80]
서적
아폴로도로스, 1권 9・27
[81]
서적
시케리아의 디오도로스, 4권 51・1
[82]
서적
시케리아의 디오도로스, 4권 51・5
[83]
서적
핀다로스 『퓨티아 승리 기념시』 제4가 213행 이하
[84]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3권 10행 이하
[85]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4권 410행-481행
[86]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4권 995행 이하
[87]
서적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4권 1638행-1689행
[88]
서적
아폴로도로스, 1권 9・26
[89]
서적
아이리아노스, 5권 21화
[90]
서적
파우사니아스, 2권 3・9
[91]
서적
파우사니아스, 2권 3・11
[92]
서적
시케리아의 디오도로스, 4권 55・4
[93]
서적
아폴로도로스, 적용(E) 1・5-1・6
[94]
서적
포티오스 『도서 총람』 190화
[95]
서적
헤로도토스, 7권 62
[96]
서적
아폴로도로스, 적용(E) 5・5
[97]
서적
Who's who in Classical Mythology
https://books.google[...]
Gramercy Books
2003
[98]
서적
Theogony
[99]
서적
Argonautica
https://archive.org/[...]
[100]
서적
Histories
[101]
서적
Theogony
[102]
서적
Medea
[103]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name.umdl.umi[...]
2005
[104]
웹사이트
The Argonautica
https://www.gutenber[...]
2021-11-12
[105]
웹사이트
Hesiod, Theogony
https://chs.harvard.[...]
2021-11-12
[106]
서적
Med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07]
문서
Historic Library
https://topostext.or[...]
[108]
문서
Absyrtus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109]
문서
Medea
[110]
문서
Olympian Odes
[111]
서적
Apollodorus I
http://dx.doi.org/10[...]
[112]
문서
Argonautica
[113]
문서
New History
https://topostext.or[...]
[114]
웹인용
Lives of the Necromancers
https://archive.org/[...]
[115]
서적
Medea
[116]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Vol 2
http://quod.lib.umic[...]
2016-12-06
[117]
문서
Olympian Odes
https://scaife.perse[...]
[118]
문서
Olympian Ode
[119]
저널
A New Musical Papyrus: Carcinus, Medea
2007
[120]
문서
Medea
[121]
문서
Medea
[122]
서적
Word and Action: Essays on the Ancient Theat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3]
문서
[124]
문서
Fabulae
[125]
문서
[126]
문서
[127]
문서
Theogony
[128]
서적
Medea: Essays on Medea in Myth, Literature, Philosophy, and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9]
서적
Medea: Essays on Medea in Myth, Literature, Philosophy, and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0]
서적
Medea: Essays on Medea in Myth, Literature, Philosophy, and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1]
문서
Medea at a Shifting Distance: Images and Euripidean tragedy
[132]
서적
Corinth
[133]
문서
Medea as foundation heroine
[134]
서적
The happiness hypothesis : finding modern truth in ancient wisdom
https://www.worldcat[...]
2006
[135]
문서
메데이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