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랑 사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랑 사가르는 1951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언어학자이다. 하카어, 간어를 중심으로 중국어 방언을 연구했으며, 상고 한어 연구를 통해 어근과 접사를 분리하는 재구성을 시도했다. 윌리엄 H. 백스터와 협력하여 고고학, 보수적인 중국 방언의 음운론적 구별, 베트남어족, 묘요어족, 카다이어족으로의 중국어 차용어를 고려한 상고 한어 재구성을 수행했다. 또한, 중국티베트어족의 기원을 연구하여 농업의 전파와 함께 어족이 퍼졌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학자 -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는 영국의 외교관이자 언어학자, 중국학 교수로, 아편 전쟁 참전 후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국어 교육에 기여했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발전한 로마자 표기법을 개발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초대 중국어 교수를 역임했다.
  • 중국어학자 - 마건충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이홍장의 막료로 활동하며 프랑스 유학 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문통》을 저술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 프랑스의 언어학자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언어학자 - 조르주 뒤메질
    프랑스의 비교종교학자이자 인도유럽학자인 조르주 뒤메질은 인도유럽 신화와 사회 구조 연구, 특히 사회를 사제, 전사, 생산자로 구분하는 삼기능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학계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논쟁도 있다.
  • 1951년 출생 - 김무성
    김무성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 핵심 인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역임, 한나라당(새누리당, 자유한국당)에서 주요 당직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펼친 정치인이다.
  • 1951년 출생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로랑 사가르
기본 정보
이름로랑 사가르
출생 연도1951년
출생지프랑스, 파리
학력
박사파리 제7대학교
국가박사프로방스 대학교
직업
직장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관심 분야중국어학
중국티베트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2. 생애

로랑 사가르는 1951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14][2][13] 1977년에 홍콩의 숭謙堂村에서 말해지는 하카어의 음운 연구로 파리 제7대학에서 제3과정 박사 학위를 받았다.[3] 그 후, 베이징어언대학난징대학으로 유학했다. 1990년에는 간어 연구로 엑스-마르세유 제1대학에서 국가박사 학위를 받았다.[4]

1980년 이후 파리동양언어문화대학 및 프랑스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가르쳤고, 1996년부터는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 내의 동아시아 언어연구센터(CRLAO) 교수를 맡고 있다. 그의 초기 연구는 중국 방언학에 집중되었다. 이후 그는 상고 한어로 관심을 돌려 어근과 접사를 분리하는 상고 한어 재구성을 시도했다.[5] 최근에는 윌리엄 H. 백스터와 협력하여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고고학, 보수적인 중국 방언(민어, 객가어, 와상어)의 음운론적 구별, 그리고 베트남어족, 묘요어족, 카다이어족으로의 중국어 차용어 초기를 고려한 상고 한어 재구성을 수행했다.[6] 4,000개의 한자를 재구성한 결과가 온라인으로 출판되었다.[7] 그들의 2014년 저서는 미국 언어학회로부터 레너드 블루 필드 도서상을 수상했다.[8]

3. 주요 업적

로랑 사가르의 연구 분야는 다방면에 걸친다.

3. 1. 중국어 방언 연구

사가르는 하카어간어를 중심으로 중국어 방언을 연구하였다.[15][16][17][18] 1982년에는 "의심스러운 어원을 가진 Sung Him Tong Hakka 단어 목록"을 발표하였다.

3. 2. 상고 한어 연구

사가르는 정장상팡윌리엄 백스터의 연구를 높게 평가하며, 백스터와 많은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상고 한어의 형태론 연구가 많다.[15][16][17][18]

3. 3. 시노-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가설

사가르는 시노-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가설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시노-티베트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기며,[9] 또한 타이카다이어족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자매 그룹으로 취급한다.

1990년 이후 사가르는 상고 중국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이에 친연 관계가 있다는 설을 주장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농업의 전파와 함께 어족이 퍼졌다는 가설을 고대부터 현대까지 존재했던 50개의 중국티베트어족에 대한 계통발생학적 연구로 입증하면서, 로랑 사가르 등의 국제 합동 연구진과 중국의 연구진은 중국티베트어족이 약 7200년 전 북중국에 위치한 기장(millet) 농부들에게서 기원했다고 결론지었다.[15][16][17][18]

3. 4. 시노-티베트어족 기원 연구

2019년 이후 로랑 사가르 등의 국제 합동 연구진과 중국의 연구진은 농업의 전파와 함께 어족이 퍼졌다는 가설을 고대부터 현대까지 존재했던 50개의 중국티베트어족에 대한 계통발생학적 연구로 입증하면서, 중국티베트어족이 약 7200년 전 북중국에 위치한 기장(millet) 농부들에게서 기원했다고 결론지었다.[15][16][17][18] 발렌틴 투조, 로빈 J. 라이더, 사이먼 J. 그린힐, 요한-마티스 리스트, 기욤 자크, 윤판 라이와 같은 수많은 연구자들과 함께 사가르는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게재된 연구에서, 시노-티베트어족이 약 7,200년 전 기장 재배자들 사이에서 발생했으며, 이들은 중국 북부에 위치했다고 결론 내렸다.[10][11]

3. 5. 인도유럽어 연구

로랑 사가르는 인도유럽어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는 우유 소화 능력이 인도유럽어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제안을 공동 저술했으며(Garnier et al. 2017)[1], 인도유럽어 연구와 관련하여 프랑스 학계에서 벌어진 논쟁에도 참여했다(Pellard et al. 2018).[2]

4. 주요 저작


  • 윌리엄 백스터와의 공저에 대해서는 윌리엄 백스터를 참조.
  • Phonologie du dialecte Hakka de Sung Him Tong|粉嶺崇謙堂客家話語音系統프랑스어 (1982), Langages croisés, Paris. 파리대학 박사논문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12]
  • A List of Sung Him Tong Hakka words of dubious etymology영어 (1982), ''Cahiers de linguistique - Asie orientale'', 11 (2): 69–86. 숭겸당(崇謙堂) 방언 가운데 한자로 쓸 수 없는 어휘 목록.[12]
  • Les dialectes Gan: Études sur la phonologie et le lexique d'un groupe de dialectes chinois|贛方言研究프랑스어 (1993), Langages croisés, Paris. 엑스-마르세유대학 박사논문을 기반으로 하는 저작. 간어 연구.[12]
  • Chinese and Austronesian: Evidence for a genetic relationship영어 (1993),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21: 1–62.[12]
  • Austronesian Final Consonants and the Origin of Chinese Tones영어 (1993),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s'', 24: 47–59.[12]
  • Proto-Austronesian and Old Chinese Evidence for Sino-Austronesian영어 (1994), ''Oceanic Linguistics'', 33 (2): 271–308. 상고한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친족관계에 관한 논문.[12]
  • The origin of Chinese tones영어 (1999), in Kaji, Shigeki,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Cross-Linguistic Studies of Tonal Phenomena: Tonogenesis, Typology, and Related Topics'', 도쿄 외국어 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 언어문화연구소, 91-103쪽.[12]
  • The Roots of Old Chinese영어 (1999), John Benjamins. 고대 중국어의 단어 가족과 형태론 연구. 중국어역: 上古漢語的詞根중국어 (2004), 上海教育出版社.[12]

번역:

  • Zhengzhang, Shangfang영어, The Phonological System of Old Chinese영어 (2000), Collection des cahiers de linguistique - Asie Orientale, 5,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Centre de Recherches Linguistiques sur l'Asie Orientale, Paris.[12]

참조

[1] 웹사이트 Laurent Sagart http://crlao.ehess.f[...] 2013-11-14
[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Laurent Sagart http://www.archivesa[...] 2013-11-14
[3] 서적 Phonologie du dialecte Hakka de Sung Him Tong Paris: Langages croisés 1982
[4] 서적 Les dialectes gan Paris: Langages Croisés 1993
[5] 서적 The Roots of Old Chinese Amsterdam: John Benjamins 1999
[6] 서적 Old Chinese: a New Reconstru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 간행물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v. 1.00) http://crlao.ehess.f[...] 2012-12-11
[8] 웹사이트 Old Chinese: A New Reconstruction wins Bloomfield Book Award http://www.linguisti[...]
[9] 간행물 Sino-Tibetan-Austronesian: an updated and improved argument London: RoutledgeCurzon 2005
[10] 학술지 Dated language phylogenies shed light on the ancestry of Sino-Tibetan 2019-05
[11] 뉴스 Origin of Sino-Tibetan language family revealed by new research https://www.scienced[...] 2019-05-06
[12] 학술지 L'Indo-européen n'est pas un mythe https://hal.archives[...]
[13] 웹사이트 "Généalogie des langues d'Asie orientale" http://www.archivesa[...] Archives Audiovisuelles de la Recherche 2015-05-12
[14] 웹인용 "Généalogie des langues d'Asie orientale" http://www.archivesa[...] Archives Audiovisuelles de la Recherche 2015-05-12
[15] 저널 인용 https://www.pnas.org[...] 2021-05-16
[16] 저널 인용 2021-05-16
[17] 뉴스 인용 https://www.natureas[...] 2021-05-16
[18] 뉴스 인용 https://www.scienced[...] 2021-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