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어는 중국 남부 장시성 일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간' 또는 '간 방언'으로 불리기도 한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 시대 한족의 이주와 함께 형성되었으며, 오호 십육국 시대, 남조 시대, 당나라 시대 등을 거치며 독자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관화의 영향으로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최근 지역 언어를 보호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간어 관련 매체가 등장하고 있다. 장시성을 중심으로 안후이성, 저장성, 푸젠성 등지에서도 사용되며,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중국 문자를 사용하며, 로마자 표기법도 존재하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간어
개요
간어 (贛語)를 한자로 표기
간어 (贛語)를 한자로 표기
다른 이름간 (Gann)
고유 명칭간어/赣语
로마자 표기: Gon ua
사용 국가중국
사용 지역장시성 중부 및 북부
후난성 동부
후베이성 동부
안후이성 남부
푸젠성 북서부
사용자2,260만 명 (2021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중국어파
어계중국어
분기객가어-간어?
조상 언어고대 중국어
문자 체계한자
파콰츠
언어 코드
ISO 639-3gan
Glottologganc1239
LinguaLIB79-AAA-f
방언
주요 방언창두 간어 (난창)
이류 간어 (이춘)
잉이 간어 (잉탄)
다퉁 간어 (다예)
추가 정보

2. 명칭


  • '''간'''(Gan): 가장 흔한 이름이다. 만다린어에서 이름의 하강조를 반영하여 ''간''(Gan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중국 본토의 학자들은 '간' 또는 '간 방언'을 사용한다.
  • '''장시화(江西話)'''(강서어)는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언어의 경계가 성의 경계를 따르지 않으므로 이 이름은 지리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 '''시'''(Xi, 右江|우강중국어, 오른쪽 강 언어): 고대 이름으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간어 사용자가 하류로 내려갈 때 오른편 강둑 너머 양쯔강 남쪽에 살고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했다.

3. 역사

진나라(기원전 221년) 시대에 중국 남부로 파견된 대규모 군대가 푸젠성광둥성의 백월 영토를 정복하면서, 다수의 한족장시성으로 이주했다. 한나라 초기(기원전 202년) 난창은 위장 군(豫章郡)의 수도로 지정되었고, 장시성의 18개 현(縣)을 포함했다. 위장군의 인구는 서기 2년 35만 명에서 서기 140년 167만 명으로 증가하여 당시 중국 100여 개 군 중 4위를 차지했다. 양주에서 가장 큰 군이었던 위장은 인구의 5분의 2를 차지했으며, 간어는 이 시기에 점차 형태를 갖추었다.

오호 십육국 시대의 유혈 사태를 피해 중국 중부 사람들이 남부로 이주하면서 장시성이 이주 통로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고대 간어는 북부 방언에 노출되기 시작했다.[1] 남조 지배 이후에도 간어는 북부 언어의 일부 요소를 흡수했지만 고유한 특성을 유지했다.[1] 당나라 시대까지 고대 간어와 당시 간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1] 오대 십국 시대부터 장시성 중부 및 북부 지역 주민들이 동부 후난성, 동부 후베이성, 남부 안후이성, 북서부 푸젠성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1] 수백 년에 걸친 이주 이후, 간어는 현재 분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

관화는 정치적 요인으로 표준어로 발전했으며, 이는 주로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와 함께 간어와 관화의 차이는 뚜렷해졌다. 장시성은 관화, 샹어, 객가어 사용 지역과 접해 있어, 간어는 특히 경계 지역에서 주변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1949년 이후, 중국 대륙에서 간어는 "방언"으로서 위기를 맞았다.[1] 정부 주도 언어 캠페인으로 관화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1] 현재 많은 젊은이들이 간어 표현을 익히지 못하거나, 간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한다.[1]

최근 지역 언어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어는 다양한 지역 매체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간어 방송 뉴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도 제작되고 있다.[1]

3. 1. 고대

진나라(기원전 221년) 시대에, 대규모 군대가 중국 남부로 파견되어 푸젠성광둥성의 백월 영토를 정복했고, 그 결과 다수의 한족이 이후 몇 년 동안 장시성으로 이주했다. 한나라 초기(기원전 202년) 난창은 위장 군(豫章郡)의 수도로 지정되었으며(이 이름은 간강의 원래 이름에서 유래), 장시성의 18개 현(縣)과 함께였다. 위장군의 인구는 서기 2년 350,000명에서 서기 140년 1,670,000명으로 증가했으며, 당시 중국의 100개 이상의 군 중 인구 수에서 4위를 차지했다. 양주에서 가장 큰 군이었던 위장은 인구의 5분의 2를 차지했고, 간어는 이 시기에 점차 형태를 갖추었다.

3. 2. 중세

오호 십육국 시대의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중국 중부의 많은 사람들이 중국 남부로 이주했으며, 이때 장시성이 이주 통로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고대 간어는 북부 방언에 노출되기 시작했다.[1] 남조 지배 이후, 간어는 북부 언어의 일부 요소를 흡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유한 특성을 유지했다.[1] 당나라 시대까지 고대 간어와 그 시대의 간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1] 그러나 오대 십국 시대부터 장시성 중부 및 북부 지역의 주민들이 동부 후난성, 동부 후베이성, 남부 안후이성, 북서부 푸젠성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1] 수백 년에 걸친 이주 이후, 간어는 현재 분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

3. 3. 근대

관화는 정치적 요인에 힘입어 표준어로 발전했으며, 이는 주로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한다. 동시에 간어와 관화의 차이는 더욱 뚜렷해졌다. 그러나 장시성은 관화, 샹어, 객가어 사용 지역인 장화이와 접해 있기 때문에, 간어는 특히 경계 지역에서 이러한 주변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3. 4. 현대

1949년 이후, 중국 대륙에서 간어는 "방언"으로서 위기의 시기를 맞이했다.[1] 정부 주도의 언어 캠페인으로 인해 관화의 영향이 오늘날까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1] 현재 많은 젊은이들이 간어 표현을 익히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간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1]

그러나 최근 들어, 지역 언어를 보호하려는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어는 다양한 지역 매체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간어 방송 뉴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도 제작되고 있다.[1]

4. 지리적 분포

간어는 장시성 서북쪽에서 많이 사용되며 안후이성, 저장성, 푸젠성, 후난성, 후베이성, 허베이성에서도 사용 인구가 있다.

대부분의 간어 화자는 간강의 중하류, 푸강 유역, 포양호 지역에 거주한다. 또한 동부 후난성, 동부 후베이성, 남부 안후이성, 북서부 푸젠성 등에도 많은 간어 화자가 거주한다.

『중화인민공화국 분할도』에 따르면,[4] 간어 사용 인구는 약 명으로,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명[5]

|-

| 안후이성 || 명[6]

|-

| 후베이성 || 명[7]

|-

| 후난성 || 명[8]

|-

| 푸젠성 || 명[9]

|}

5. 하위 방언

''중국 언어 지도''(1987)에서는 간어를 아홉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10][11]

간어 사용 지역 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간어는 여기에 나열된 것보다 더 많은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차로 분류된 안푸 현에는 남상화(Nanxiang Hua)와 북상화(Beixiang Hua)라고 불리는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거나 다른 지역에 노출되지 않았다면, 한 지역의 사람들은 다른 지역의 사람들을 이해할 수조차 없다.

지역인구
장시성{{cvt|29|M|}
간어의 하위 방언
하위 그룹대표 방언성(省)시(市)
창두 昌都片난창 방언장시성 북서부난창시, 난창, 신젠, 안이, 융슈, 슈이*, 더안, 싱쯔, 두창, 후커우, 가오안*, 펑신*, 징안*, 우닝*, 퉁구*
후난성 북동부핑장
이류 宜浏片 / 宜瀏片이춘 방언장시성 중부 및 서부이춘시, 이춘, 이펑*, 상가오, 칭장, 신간, 신위시, 펀이, 핑샹시, 펑청, 완자이
후난성 동부류양*, 링링
지차 吉茶片지안 방언장시성 중부 및 남부지안시, 지안*, 지수이, 샤장, 타이허*, 융펑*, 안푸, 롄화, 융신*, 닝강*, 징강산*, 완안, 수이촨*
후난성 동부유셴*, 차링*, 린셴
푸광 抚广片 / 撫廣片푸저우 방언 (撫州, 푸저우(福州)와 혼동하지 말 것)장시성 중부 및 동부푸저우시, 린촨, 충런, 이황, 러안, 난청, 리촨, 쯔시, 진시, 둥샹, 진셴, 난펑, 광창*
푸젠성 남서부젠닝, 타이닝
잉이 鹰弋片잉탄 방언장시성 북동부잉탄시, 구이시, 위장, 완녠, 러핑, 징더전*, 위간, 포양, 펑쩌, 헝펑, 이양, 촨산
다퉁 大通片다예 방언후베이성 남동부다예, 셴닝시, 자위, 푸치, 충양, 퉁청, 퉁산, 양신, 젠리*
후난성 동부린샹*, 위에양*, 화룽
레이쯔 耒资片 / 耒資片레이양 방언후난성 동부레이양, 창닝, 안런, 융싱, 쯔싱시
둥쑤이 洞绥片 / 洞綏片둥커우 방언후난성 남서부둥커우*, 수이닝*, 룽후이*
화이웨 怀岳片 / 懷嶽片화이닝 방언안후이성 남서부화이닝, 위에시, 첸산, 타이후, 왕장*, 수쏭*, 둥즈*, 스타이*, 구이츠*


  • 로 표시된 도시는 부분적으로 간어를 사용한다.

6. 음운

백화자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 m, n, ng는 성절자음(m̩, n̩, ŋ̩)이 될 수 있다.
  • 받침은 n, ng, k, t가 있고 p와 m은 일부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입성인 6, 7성은 4, 5성과 고저가 같아 사실상 다섯 개의 성조가 존재한다.


창두 방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비음운모nŋ을 구별하지만, m은 없고 n에 합류했다.
  • 입성운은 난창에서는 -t, -k만 있지만, 린촨에서는 -p도 보인다.
  • 성조는 6개가 일반적이다.


남창어를 대표로 할 때, 간어에는 19개의 성모, 65개의 운모, 7개의 성조가 있다. 성조는 中古사성이 음양으로 나뉜 7개이며, 그중 2개는 입성이고 톤의 차이로는 5개이다.

  • '''음평''' (42)
  • '''양평''' (24)
  • '''상성''' (213)
  • '''음거''' (55)
  • '''양거''' (21)
  • '''음입''' (5)
  • '''양입''' (21)

6. 1. 성모 (聲母)

창두 방언을 기준으로, 백화자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여 간어의 성모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olspan=2 |양순음치음/치경음치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m/) 麻gn(/ɲ/) 魚ng(/ŋ/) 牙
파열음무기음b(/p/) 巴d(/t/) 打g(/k/) 加
유기음p(/pʰ/) 怕t(/tʰ/) 讀k(/kʰ/) 卡
마찰음f (/ɸ/) 花s(/s/) 紗x(/ɕ/) 寫h(/h/) 蝦
파찰음무기음dz(/ts/) 渣j(/tɕ/) 脊
유기음tz(/tsʰ/) 茶q(/tɕʰ/) 喫
설측음l(/l/) 啦



간어에는 청탁 대립이 존재하지 않지만, 북방어와 달리 옛 탁음은 유기음으로 변화했다. 예를 들어 "大"(크다/da4)나 "道"(길/dao4)는 로 발음된다.[1] 치찰음은 치경음만 존재한다.[1]

성모은 있지만, 은 존재하지 않는다.[1] 예를 들어 "南"(남쪽/nan2)은 "藍"(쪽/lan2)처럼 발음된다.[1] 다만 [i] 앞에서는 치경구개음 비음 이 나타난다.[1]

7. 문자

간어는 중국 문자로 표기되며, 강력한 문자 전통은 없다. 몇 가지 로마자 표기법도 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간어 화자들은 글을 쓸 때 일반적으로 모든 중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구어체 중국어를 사용한다.[12] 간어는 한자를 사용한다.

참조

[1] Ethnologue
[2] 문서 The double ''nn'' represents the falling tone in Mandarin
[3] 논문 Ditransitives in three Gan dialects: valence-increasing and preposition incorporation
[4] 서적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xíngzhèng qūhuà jiǎncè
[5] 웹사이트 Jiāngxī rénkǒu zhuàngkuàng http://www.pprd.org.[...] 2005-09-09
[6] 뉴스 Ānhuī rénkǒu kòngzhì: 14 niánshào shēng 800 wàn rén http://www.sh.xinhua[...] 2005-01-07
[7] 웹사이트 Húběi: Rénkǒu zǒngliàng chíxù dīsù zēngzhǎng qù niándǐ zǒng rénkǒu 6001.7 wàn http://www.chinapop.[...] 2004-12-29
[8] 뉴스 Húnán rénkǒu dádào 6697 wàn 30 niánshào shēng "yīgè zhōngděng guójiā" http://news.rednet.c[...] 2005-01-06
[9] 웹사이트 Fújiàn: Rénkǒu qùnián túpò 3500 wàn http://www.chinapop.[...] 2005-01-13
[10] 서적 Introduction to Chinese Dialectology LINCOM Europa 2006
[11] 서적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De Gruyter Mouton 2010
[12] 웹사이트 Chinese, Gan http://www.ethnologu[...]
[13] 문서 로마자 표기의 통일안이 없음.
[14] 웹사이트 http://www.teache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