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어는 객가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손님 가족' 또는 '손님 사람들'을 의미한다. 중국어 방언의 하나로, 사용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객가인들의 이동과 함께 발전해왔다. 하카어는 성모, 운모, 성조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이현 방언을 기준으로 17개의 자음 성모와 74개의 운모, 6개의 성조를 가진다. 하카어는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대륙, 타이완 등지에서 사용된다. 또한, 방송, 미디어, 사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하카어 사용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 문화 - 하카 텔레비전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하카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객가어
다른 이름객가화, 객가어
고유 이름客家話
Hak-kâ-va / Hak-kâ-fa
Hak-kâ-ngî
Khak-ka-ua
Kèjiāhuà
Kah-ka-ho
haak3 gaa1 waa2
haak gā wá
Kheh-oē (客話)
사용 지역중국 남부 및 남서부, 광둥성 중심
홍콩 신계, 말레이시아, 베트남 쩌런
인도네시아 방카블리퉁 제도 및 서칼리만탄
광둥성 동북부, 푸젠성 서부, 장시성 남부, 후난성, 쓰촨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저장성 일부
홍콩 신계 지역
타이완 북서부 및 남부
기타 국가 차이나타운, 화교화인 사회, 셔족 거주 지역
민족객가인
사용자 수4386만 2230명 (2023년)
순위32위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조상 언어원시 중국티베트어
고대 중국어
원시 객가-사
원시 객가어
국가타이완
소수 언어해당 사항 없음
공용어없음
문자 체계
문자한자, 라틴 문자 (백화자)
방언
주요 방언메이셴 방언
우화 방언
팅저우 방언
쓰셴 객가어
후이저우 방언
언어 규제 기관
기관타이완: 교육부, 객가위원회
중국: 광둥성 교육청
언어 코드
ISO 639-3hak
Glottologhakk1236
Lingua79-AAA-g > 79-AAA-ga (+ 79-AAA-gb transition to 79-AAA-h)
ISO 639-1zh
ISO 639-2chi, zho
추가 정보
공용어 지위타이완의 국어; 타이완의 대중교통 안내 방송 언어 중 하나이며, 귀화 시험 언어로 사용
표준화광둥성 교육청은 1960년에 광둥성에서 4개의 언어 중 하나인 메이셴 객가 방언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을 만들었으며, 이를 '객가화 병음 방안'이라고 부름.

2. 명칭

객가족의 이름은 문자 그대로 "손님 가족" 또는 "손님 사람들"을 의미한다. 'Hak'(客|kè중국어)은 "손님"을, 'ka'(家|jiā중국어)는 "가족"을 뜻한다.[26] 객가족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Hak-ka-fa', 'Kak-ka-fa', 'Hak-fa', 'Kak-fa', 'Tu-gong-dung-fa' (문자 그대로 "토착 광동어"), 그리고 'Ngai-fa' ("나의/우리의 언어") 등으로 다양하게 부른다.

쓰촨성, 충칭시 일대의 객가어는 '''투광둥어'''(土广东话|투광둥화중국어, 土廣東話중국어)로 불린다. 이 지역의 투광둥어 구사자는 청나라 초기 호광전사천 시기에 광둥성 일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이들을 '''투광둥인'''(土广东人|투광둥런중국어, 土廣東人중국어)이라고 부른다.[26]

객가어의 사용 지역이 넓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존재한다. 광둥성 동부와 북부, 푸젠성, 타이완에서는 주로 '''객가어'''(客家話|커자화중국어) 또는 '''객화'''(客話|커화중국어)라고 불린다. 장시성 통구현에서는 'Huai-yuan-fa'라고 부른다.

3. 역사

일반적으로 객가인은 전쟁과 내란 시기에 북쪽 중국에서 남쪽 중국으로 여러 차례 이주하면서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7] 그 기원은 서진 시대 말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8] 객가인의 조상은 현재의 중원 지역인 허난산시 출신이다. 이들은 당시 중원 지역에서 사용되던 중국어 방언의 특징을 가지고 남쪽으로 이주했다. 현대 객가어에는 다른 현대 남부 중국어 방언에서도 발견되지만 표준중국어에서는 사라진 옛 입성운미(入聲韻尾)인 -p, -t, -k와 같은 종성 발음 등 고대 중국어의 특징이 많이 남아 있다. 또한 북경어의 성조가 4개인 데 비해 객가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지역에서는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하는 특징도 보인다.

로랑 사가르는 객가어와 남부 감어가 송나라 시대 장시 중부에서 사용되던 공통 조상어(원남감어)에서 유래한 자매 방언이라고 보았다. 사가르는 객가어와 남부 감어에서 비중국어 기층어(아마도 몽미어족일 가능성이 있음), 고대 중국어 어휘층, 그리고 비교적 후대의 중국 중세어 어휘층을 확인했다. 1990년대 이후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객가어의 음운 체계가 대략 송대에 형성되었다고 본다. 류전발(2001)은 객가어가 송대 감어와 같은 뿌리에서 나왔으며, 명나라 중엽에 이르러 감어 내에서 독립적인 갈래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13] 강민화(2011)는 감어의 특정 음운 변화(전탁청화 송기)와 일부 동부 감어 방언의 인칭대명사 복수 어미가 객가어와 공통적으로 만들어진 특징이라고 분석했다.[14]

다른 감어 방언들은 · 시대에 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객가어의 조상이 된 감어 동부 방언은 상대적으로 관화의 영향이 적었다. 이는 남송 시대에 장시 남부에서 감어 동부 방언을 사용하던 한족이 민서 산간 지역으로 대규모 이주하여, 기존에 묘족, 야오족 등이 거주하던 지역을 개척했기 때문이다.[15] , 시대의 과거 시험 우대 정책이나 노역 제도는 민서 산지의 감어계 한족과 토착민(여인) 간의 협력을 촉진했고, 이 과정에서 토착 언어 사용자들이 대규모로 한화(漢化)되어 언어가 변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등성유(2007)는 객가어에 묘족이나 야오족의 고대 어휘가 일부 남아 있으며, 이들 어휘의 음과 뜻이 묘족·야오족 언어 내에서도 잘 보존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동물의 성별을 나타내는 수식어 순서나 동작의 반복을 나타내는 부사의 위치 등 어법적인 면에서도 객가어와 묘족·야오족 언어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16][17]

객가인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객가어는 그들이 정착한 지역의 다른 언어들, 예를 들어 민어, 사어(몽미어족) 등의 영향도 받았다. 객가어, 크라이-다이어족, 몽미어족 사이의 어휘적 연관성도 제기된 바 있다.[9] 오늘날 복건성절강성의 대부분의 사족은 객가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어 중국어를 사용한다.

4. 음운

객가어의 음절은 다른 중국어(한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성모(어두 자음)와 운모(모음과 종성)의 조합 및 성조로 이루어진다. 객가어는 입성을 포함하여 5개 또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광둥성 메이저우시 내의 객가어(특히 메이현 방언)를 기준으로 할 때, 기본 성모는 17종, 운모는 74종, 성조는 6종이 있다.

4. 1. 성모 (메이현 방언 기준)

하카어의 성모는 메이현 방언을 기준으로 17개의 자음 성모와 소리 없는 성모인 영성모(零聲母) 1개가 있다. 성모는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치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나뉘며, 조음 방식에 따라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접근음으로 분류된다.

'''하카어 메이현 방언 성모 표'''
colspan="2" |양순음순치음치경음
(치음)
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기음b /p/d /t/g /k/
유기음p /pʰ/t /tʰ/k /kʰ/
파찰음무기음z /ts/
유기음c /tsʰ/
마찰음f /f/s /s/h /h/
비음m /m/n /n/ng /ŋ/
접근음v /ʋ/l /l/y /j/


  • 표에 제시된 성모 외에, 어두에 자음이 오지 않는 영성모(∅)가 있다.
  • 경구개음 파열음, 마찰음, 비음은 연구개음 계열 성모(k /k/, g /kʰ/, h /h/, ng /ŋ/)가 /i/ 모음 앞에 올 때 나타나는 변이음이다. 즉, /ki/, /kʰi/, /hi/, /ŋi/ 등이 각각 경구개음 [ci], [cʰi], [çi], [ɲi] 등으로 발음될 수 있지만, 독립적인 음소는 아니다.
  • 운모가 /i/로 시작하는 경우, 성모 자음에 구개화가 일어날 수 있으나, 비구개화 자음과의 의미 구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 많은 지역 방언에서 성모 /s/와 /ʃ/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4. 2. 운모 (메이현 방언 기준)

하카어의 음절은 다른 중국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성모(어두 자음)와 운모,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광둥성 메이저우시의 메이현 방언을 기준으로 할 때, 운모는 74종이 있다.

운모는 주모음, 그리고 선택적으로 앞에 오는 개음(medial)과 뒤에 오는 운미(coda)로 이루어진다. 메이저우 객가어의 주모음은 /a ɛ i ɔ u ə/ 6개이다. 개음으로는 i- 와 u- 가 사용된다. 운미(받침)로는 비음 계열인 m, n, ng 와 파열음 계열인 p, t, k 가 있다. 이 중 p, t, k는 불파음으로 발음된다(/p̚/, /t̚/, /k̚/).

m(/m̩/), n(/n̩/), ng(/ŋ̍/) 및 ɿ(/z̩/)는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어 운모로 기능하기도 한다.

메이저우 객가어 운모표
개음·모음개구음절비음절폐쇄음절
무운모i 운모u 운모m 운모n 운모ŋ 운모p 운모t 운모k 운모
무모음/m̩/ 唔/n̩/ 五
무개음/a/ 阿/ai/ 矮/au/ 坳/am/ 暗/an/ 研/aŋ/ 罌/ap̚/ 鴨/at̚/ 殺/ak̚/ 呃
개음 i-/ia/ 野/iai/ 椰/iau/ 要/iam/ 艷/ian/ 燕/iaŋ/ 影/iap̚/ 葉/iat̚/ 粤/iak̚/ 爚
개음 u-/ua/ 瓜/uai/ 快/uan/ 關/uaŋ/ 礦/uat̚/ 刮/uak̚/ 𥕏
무개음/ɛ/ 欸/ɛu/ 歐/ɛm/ 森/ɛn/ 恩/ɛp̚/ 罯/ɛt̚/ 黑
개음 i-/iɛ/ □/iɛn/ 棉/iɛt̚/ 列
개음 u-/uɛn/ 耿/uɛt̚/ 國
무개음/i/ 衣/iu/ 有/im/ 音/in/ 英/ip̚/ 邑/it̚/ 一
무개음/ɔ/ 屙/ɔi/ 愛/ɔn/ 安/ɔŋ/ 戇/ɔt̚/ 遏/ɔk̚/ 悪
개음 i-/iɔ/ 喲/iɔn/ 軟/iɔŋ/ 羊/iɔt̚/ □/iɔk̚/ 約
개음 u-/uɔ/ 過/uɔn/ 官/uɔŋ/ 光/uɔk̚/ 郭
무개음/u/ 烏/ui/ 危/un/ 温/uŋ/ 翁/ut̚/ 吻/uk̚/ 屋
개음 i-/iui/ 鋭/iun/ 運/iuŋ/ 用/iut̚/ 郁/iuk̚/ 肉
무개음/z̩/ 思/əm/ 審/ən/ 神/əp̚/ 十/ət̚/ 食


4. 3. 성조 (메이현 방언 기준)

하카어는 다른 많은 중국어 방언처럼 성조 언어이다. 전통적으로 광둥성 메이저우시(구 매현시)에서 사용되는 메이현 방언이 하카어의 표준으로 여겨진다.

메이현 방언에는 중고한어의 사성(평성, 상성, 거성, 입성)을 기반으로 한 6개의 성조가 있다. 이 중 평성과 입성이 각각 음(陰, 높음)과 양(陽, 낮음)으로 나뉘어 총 6개의 성조가 된다.

하지만 입성의 조치(음높이)는 평성의 조치와 가깝기 때문에(음입성은 양평성과, 양입성은 음평성과 비슷함), 실제로는 4가지 종류의 조치를 구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메이현 방언의 6가지 성조는 다음과 같다.

'''메이저우 하카어의 성조'''
성조 번호성조 명칭성조 패턴조치(음높이)예시 글자비고
제1성음평성(陰平聲)고평조(高平調)44
제2성양평성(陽平聲)저평조(低平調)11
제3성상성(上聲)저강조(低降調)31
제4성거성(去聲)고강조(高降調)53
제5성음입성(陰入聲)저촉조(低促調)1조치는 양평성과 같음
제6성양입성(陽入聲)고촉조(高促調)5조치는 음평성과 가까움


5. 방언

하카어는 매우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이다. 화자가 분포한 지역만큼 다양한 지역 방언이 존재하며, 각 방언은 고유한 음운론적 특징과 성조 체계를 가진다. 광둥성 메이저우시의 메이현 방언이 전통적인 표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주요 하카어 방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후이저우 방언(惠州話)
  • 메이현 방언(梅縣話)
  • 우화 방언(五華話)
  • 싱닝 방언(興寧話)
  • 평원 방언(平遠話)
  • 자오링 방언(蕉嶺話)
  • 다부 방언(大埔話)
  • 펑순 방언(豐順話)
  • 해로 방언(海陸話)
  • 사현 방언(四縣話)
  • 라오핑 방언(饒平話)[10]
  • 자오안 방언(詔安話)
  • 창팅 방언(長汀話)


하카어 화자는 주로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장시성 남부 등 중국 대륙의 산간 지역에 분포하며, 타이완, 동남아시아(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모리셔스, 인도, 미국 등 전 세계 화교·화인 사회에도 널리 퍼져 있다. 추정 사용 인구는 약 5,500만 명(중국 4,500만 명, 타이완 300만 명, 기타 해외 1,000만 명)이다.

많은 거주 지역에서 하카어 화자는 소수인 경우가 많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를 차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지역적 차이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의 하카어에서는 말레이어, 타이완의 하카어에서는 타이완어, 광둥성의 하카어에서는 광둥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이 보인다. 반대로, 하카어가 주류인 지역에서는 다른 민족이 하카어를 사용하거나 어휘를 받아들이는 사례도 있다.

5. 1. 중국 대륙

쓰촨성충칭시 일대의 하카어는 土广东话|투광둥화중국어로 불린다. 이 언어 사용자들은 청나라 초기 호광전사천 시기에 광둥성 일대에서 이주해 온 이들로, 土广东人|투광둥런중국어이라고 불린다.[26]


(저는 하카어를 합니다. 하카어 사용 환경입니다.)


하카어는 화자가 다수인 지역만큼 다양한 지역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이다. 전통적으로 광둥성 메이저우시의 메이현 방언이 대표적인 하카어로 여겨진다. 메이현은 평원현, 다부현, 자오링, 싱닝, 우화현, 펑순 등 여러 현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 현의 방언은 고유한 음운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어, 싱닝 방언에는 '-m'과 '-p' 종성음이 없고, 이들은 각각 '-n'과 '-t' 종성음으로 합쳐졌다. 메이현에서 멀리 떨어진 홍콩의 하카어 방언에는 '-u-' 중간모음이 없어, 메이현 방언에서 '光'(광) 자를 'kwɔŋ˦'으로 발음하는 반면, 홍콩 하카어 방언에서는 인접한 선전의 하카어와 유사하게 'kɔŋ˧'으로 발음한다.

하카어 방언들은 성조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하카어 방언은 여섯 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푸젠성 서부의 창팅현 방언처럼 모든 입성(入聲)을 잃고 해당 음절들이 다른 성조로 편입된 경우도 있다. 반면, 광둥성 남동부 해안의 하이펑루펑 방언에서는 초기 하카어의 성조 체계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거성(去聲)'에서 음(陰)과 양(陽)의 분화가 나타나 총 일곱 개의 성조를 가진다.

하카어 화자는 주로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장시성 남부의 산간 지역에 분포하며, 그 외에도 쓰촨성, 후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저장성 남부 등 여러 성과 자치구에 걸쳐 분포한다. 푸젠성과 저장성에 거주하는 객가인의 대부분도 하카어를 사용한다.

중국사회과학원오스트레일리아 인문과학원의 『중국언어아틀라스』(中國語言地圖集) 등에 따르면, 중국 대륙 지역의 하카어는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될 수 있다.

  • 감주편(贛州片)
  • 월북편(粤北片)
  • 동강본지편(東江本地片)
  • 초산편(潮汕片)
  • 초장편(潮漳片)
  • 월계경편(粤桂瓊片)
  • 정주편(汀州片)
  • 영룡편(寧龍片)
  • 우계편(于桂片)
  • 동고편(銅鼓片)
  • 천상편(川湘片)


''에스놀로그''는 하카어 방언을 월태어(메이현, 우화, 라오핑 등 포함), 월중어(중앙 광둥어), 후이저우어, 월북어(북부 광둥어), 팅저우어(민객어), 닝롱어(롱난어), 위귀어, 통구어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많은 거주 지역에서 하카어 화자는 소수인 경우가 많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를 차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지역적 차이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광둥성의 하카어에서는 광둥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이 보인다.

5. 2. 타이완



타이완에서는 북서부의 타오위안시 남부, 신주현과 묘리현 대부분, 신주시타이중시 일부 지역에서 하카어가 사용된다. 또한 남부의 핑둥현가오슝시의 육퇴(六堆)라 불리는 지역, 그리고 동부 화롄현 일부에서도 사용된다. 하지만 객가위원회가 2004년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하카어 밀집 지역에서도 젊은 세대의 화자 비율은 30%에 미치지 못하는 등 하카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초등학교에서는 모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하카어 수업 시간을 마련하고 있으며, 민주진보당 정권 이후 설립된 국영 객가 TV 등을 통해 하카어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2] 기업들도 콜센터나 창구 등에서 하카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나라 시대에 타이완으로 이주한 하카인들은 출신 지역에 따라 주로 다음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이를 흔히 “사(四), 해(海), 대(大), 평(平), 안(安)”이라고 부른다.

방언 명칭 (약칭)주요 출신지 (청나라 행정구역 기준)타이완 내 주요 분포 지역주요 특징
사현 방언 (四縣話) (사)광둥성 가응주부 (메이현, 우화현, 싱닝현, 자오링현, 핑위안현4개 현)타오위안시 일부, 묘리현 "산선(山線)" 지역, 육퇴(六堆) (가오슝시, 핑둥현 일부)타이완 하카어의 표준 발음으로 간주됨. 묘리현 공관(公館) 부근 발음을 표준으로 여겨 묘리 방언이라고도 함. 남부 육퇴 지역 방언은 남사현 방언으로 구분하기도 함.
해륙 방언 (海陸話) (해)광둥성 혜주부 (하이펑현, 루펑시)타오위안시 신우구, 관음구, 신주현 대부분신주 방언이라고도 불림. 사현 방언 다음으로 널리 사용됨. 사현 방언과 성조의 높낮이 방향이 반대이며, 성조 유형이 하나 더 많음(거성이 두 개).
대포 방언 (大埔話) (대)광둥성 가응주부 다부현타이중시 둥스구, 스강구, 신서구동시 방언이라고도 불림. 발음은 사현 방언과 유사함.
요평 방언 (饒平話) (평)광둥성 차오주부 (라오핑현, 후이라이현, 푸닝시, 제양현, 하이양현, 차오양구)묘리현 줘란진, 장화현 위얼린진, 융징향, 톈웨이향, 신주현 일부발음은 대포 방언과 유사함.
조안 방언 (詔安話) (안)푸젠성 장주부 (자오안현, 난징현, 핑허현, 윈샤오현)윈린현 룬베이향, 얼룬향, 시뤄진, 타오위안시 바더구, 다시진, 룽탄향푸젠성 민난어와 어휘를 많이 공유하나, 성조는 장저우 민난어와 높낮이가 반대처럼 느껴짐. 타이완 내 화자 수가 매우 적으며(수천 명 추정), 다른 하카어 화자들도 이해하기 어려움.


6. 표기

객가어 한자 문학 작품


객가어는 일반적으로 한자( , ''Hon-sṳ'')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타이완 객가어 등 여러 객가 방언은 로마자 또는 백화자(Pha̍k-fa-sṳ)로 표기되기도 한다.

객가어는 역사적으로 꾸준히 한자로 표기되어 왔다. 타이완에서는 중화민국 교육부가 객가어의 연구, 보존, 교육 증진을 목적으로 2009년 이후 '타이완 객가어 표기 추천 자형' 台灣客家語書寫推薦用字|타이완 커자위 수셰 퉤이젠 융쯔중국어을 제정하고 있다.

19세기 중반부터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문맹인 서민들을 대상으로 전도하기 위해 다양한 하카어 로마자 표기법을 고안하기 시작했다. 이 표기법들은 각 지역 방언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방언에 따라 표기법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2012년에 출판된 『』에 사용된 백화자는 타이완 하카어 중 사현조(四縣腔)를 기반으로 하면서 해륙조(海陸腔)의 요소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18]

각 지역에서는 로마자 표기법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 '''광둥성''': 성 교육부 주도로 1960년 9월에 '객가화 병음 방안' 客家話拼音方案|커자화 핀인 팡안중국어이 공포되었다. 이 방안은 일반적으로 표준 하카어로 여겨지는 매저우시 메이현구의 '매현화' 梅县话|메이셴화중국어[19][20] 발음을 기반으로 하며, 성조는 로마자 오른쪽 위에 번호를 붙여 표기한다.
  • '''타이완''':
  • 1998년 통용병음의 일환으로 '타이완 객가어 통용병음' 客語通用拼音|커위 퉁융 핀인중국어이 개발되어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공식 발음 표기로 채택되었다. 이 표기법은 사현조와 해륙조 방언 모두에 적용 가능했다. 2000년에 출판된 어린왕자의 하카어판(사현조 묘리현 방언 기준)은 한자와 타이완 하카어 통용병음을 병기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21]
  • 2009년, 중화민국 교육부는 타이완 객가어 통용병음을 기반으로 하되, 성조 기호를 한어병음 방식에 맞추고 다푸조(大埔腔), 라오핑조(饒平腔), 저우안조(詔安腔) 표기까지 지원하는 '타이완 객가어 병음 방안' 臺灣客家語拼音方案|타이완 커자위 핀인 팡안중국어을 공포했다.
  • 이 방안은 2012년에 남사현조(南四縣腔) 표기까지 지원하도록 개정되었고, 명칭도 '하카어 병음 방안'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22]


이 외에도 타이완 언어 문학 협회의 하카음표 방안 등 각 기관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하카어 로마자 표기법들이 존재한다.

일제강점기에는 타이완 총독부에서 타이완 객가어의 발음을 가타카나로 표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같은 시기 가타카나를 사용하여 표기했던 타이완어 가나와는 달리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7. 미디어

차이잉원 타이완 총통 겸 하카 혈통을 가진 인물이 "강객방송(講客廣播電臺)"에 출연하여 연설하는 모습.


1950년, 중국중앙인민방송국(China Central People's Broadcasting Station)은 메이셴(梅縣) 정부 반경 2km 이내에 거주하는 하카 방송인 장궈화(張國華)를 최초로 채용했다. 같은 해 4월 10일, '''객가지성(客家之聲, Voice of Hakka)''' 방송이 시작되었다. 이 방송은 단파 및 온라인 라디오를 통해 매일 9시간 동안 하카어로 송출되었으며, 일본, 인도네시아, 모리셔스, 레위니옹, 오스트레일리아, 홍콩, 타이완 등 하카 인구가 많은 국가 및 지역을 대상으로 했다.

1988년에는 '''매저우텔레비전방송국(梅州電視臺, Meizhou Television Station)'''이 설립되었다. 이후 1994년, 이 방송국의 '''하카공공채널(客家公共頻道, Hakka Public Channel)''', 즉 '''매저우TV-2(Meizhou TV-2)'''가 방송을 시작하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하카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2021년, 이 채널의 이름은 '''객가생활채널(客家生活頻道, Hakka Life Channel)'''로 변경되었다.

1991년에는 '''매저우인민방송국(梅州人民廣播電臺, Meizhou People’s Broadcasting Station)''' 또는 '''매저우유선방송국(梅州有線廣播電臺, Meizhou Wired Broadcasting Station)'''이 공식적으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매저우 라디오는 뉴스(FM 94.8 또는 도심 FM 101.9), 교통 정보(FM 105.8 MHz), 개인 자동차 채널(FM 94.0 또는 도심 FM 103.9)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송된다. 현재까지도 뉴스, 라디오 드라마, 감성 프로그램, 오락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하카어가 사용되고 있다.

1999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3CW오스트레일리아중문방송국(3CW澳大利亞中文廣播電臺, 3CW Chinese Radio Australia)'''이 개국하여, 표준 중국어, 광둥어, 하카어를 사용하여 방송하고 있다.

2001년, 매저우텔레비전방송국과 매저우인민방송국이 합병하여 '''매저우방송텔레비전국(梅州廣播電視臺, Meizhou Radio and Television Station, MRT)'''으로 개편되었고, 2004년에 공식적으로 설립을 완료했다.

2003년, 타이완의 '''타이완공공방송텔레비전그룹(臺灣公共廣播電視集團, Taiwan Broadcasting System, TBS)'''은 하카어 위성 케이블 채널인 '''하카 TV'''를 개설했다. 타이완에는 총 7개의 하카어 라디오 채널이 운영되고 있다.

2005년, '''메이셴방송텔레비전국(梅縣廣播電視臺, Meixian Radio and Television Station)'''은 국가 문화 체제 개혁에 따라 분리 후 재편되었다. 이 방송국은 메이셴 현 당위원회와 현 정부의 관할 하에 있으며, 매저우와 그 주변 지역에서 400만 명이 넘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방송하고 있다.

2012년, 홍콩에서는 '''홍콩지성(香港之聲, Voice of Hong Kong)'''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사해객가 채널(Sihai Kejia Channel)에서 하카어를 사용한다.

2019년, '''신주지성(神州之聲, Shenzhou Easy Radio)'''은 하카어 방송 시간대를 추가하여 중국 본토 남동부 해안, 타이완, 동남아시아, 남태평양, 일본에 방송하기 시작했다. 또한, '''대만구지성(大灣區之聲, Radio The Greater Bay)'''에도 사해객가 채널이 합류했다.

2023년, 중국 공산당 선전부(Publicity Depart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의 감독 하에 있는 '''학습강국(學習強國, Xuexi Qiangguo)''' 플랫폼에서 하카어 자동 방송 기능이 추가되었다.

8. 사전

대만의 하카어와 관련해서는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공식적으로 제작한 온라인 사전인 이 개설되어 있다. 2008년 5월에 시험판이 공개된 후, 데이터 수정과 시스템 재구축을 거쳐 2019년 11월부터 공식적으로 공개되고 있다.[23]

참조

[1] 뉴스 Draft National Language Development Act Clears Legislative Floor http://focustaiwan.t[...] 2018-12-25
[2] 웹사이트 Dàzhòng yùnshū gōngjù bòyīn yǔyán píngděng bǎozhàng fǎ https://zh.wikisourc[...]
[3] 웹사이트 Standards for Identification of Basic Language Abilities and General Knowledge of the Rights and Duties of Naturalized Citizens http://www.ris.gov.t[...]
[4] 웹사이트 Hakka Basic Act https://law.moj.gov.[...] 2019-05-22
[5]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Routledge 2003
[6] 서적 Shezu yuyan 畲族语言 Fujian People's Press 福建人民出版社 2002
[7] 웹사이트 The Hakka People > Historical Background http://edu.ocac.gov.[...] 2010-06-11
[8] 웹사이트 [Insert title here] http://edu.ocac.gov.[...] 2014-10-12
[9] 논문 Kèjiāhuà gēn Miáo-Yáo-Zhuàng-Dòngyǔ de Guānxì wèntí https://core.ac.uk/d[...] 2021-07-03
[10] 논문 Guǎngdōng Shěng Ráopíng fāngyán jì yīn 1993
[11] 서적 Kèyǔ pīnyīn zìhuì Xianggang zhongwen daxue chubanshe 1997
[12] 서적 台湾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6-08-25
[13] 서적 《客家——誤會的歷史、歷史的誤會》 學術硏究雜誌社
[14] 논문 從分群觀點看東部贛語與客家話的關係 Hanguk Munhwasa 2011
[15] 논문 畲民之間:帝國晚期中國東南山區的國家治理與族群分類 http://www2.ihp.sini[...]
[16] 논문 客家話的古漢語和非漢語成分分析研究 https://www.hakka.go[...] 國立中正大學中國文學系博士論文
[17] 논문 客語源起南方的語言論證 中央研究院語言研究所 2006-07
[18] 웹사이트 《客語聖經 : 現代台灣客語譯本》序言 http://www.laijohn.c[...] 台湾聖書協会
[19] 서적 客家語会話練習帳 大学書林 1999-04-20
[20] 서적 平成23年度言語研修客家語研修テキスト1(改訂版) 客家語入門 https://hdl.handle.n[...] 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12
[21] 서적 客家話小王子 南天書局有限公司 2000-07
[22] 간행물 客家語拼音方案使用手冊 https://ws.moe.edu.t[...] 中華民国教育部 2012-11
[23] 웹사이트 臺灣客家語常用詞辭典 系統說明 https://hakkadict.mo[...] 中華民国教育部
[2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http://www.ethnologu[...]
[25] 일반
[26] 논문 四川客家人的来源,移入及分布 1992
[27] 서적 客語拼音字彙 中文大學出版社
[28]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dict.variants[...] 2018-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